KR0163990B1 - 공기 조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990B1
KR0163990B1 KR1019950012637A KR19950012637A KR0163990B1 KR 0163990 B1 KR0163990 B1 KR 0163990B1 KR 1019950012637 A KR1019950012637 A KR 1019950012637A KR 19950012637 A KR19950012637 A KR 19950012637A KR 0163990 B1 KR0163990 B1 KR 0163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coil
refrigerant
control unit
compression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913A (ko
Inventor
김기중
Original Assignee
김기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중 filed Critical 김기중
Priority to KR1019950012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990B1/ko
Publication of KR960041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3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two thre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 F25B2313/0274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reversing means using one four-way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 온풍 공급기능 및 냉, 온수 공급기능을 갖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냉매 유로 변경 조작에 의해서 냉, 온풍 공급기능과 냉, 온수 공급기능을 갖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개선된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 온수 공급기는 뿐만 아니라, 냉, 온풍공급 기능도 갖추며, 이러한 여러 가지 작동모드의 변환이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면 간단한 구성의 제1, 2 및 3 조작부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시스템으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서 용도에 따른 그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동모드를 각각 도시한 설명도로서.
a)도는 냉수공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도는 온수공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c)도는 냉풍공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d)도는 온풍공급 모드인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온수공급 시스템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코일 15 : 제1조작부
25 : 압축펌프 30 : 제2조작부
40 : 제2코일 50 : 제3코일
60 : 제3조작부 70 : 팽창코일
80 : 수조 85 : 팬(fan)
132a : 냉수 유입관 132b : 온수토출관
본 발명은, 냉, 온풍 공급 기능 및 냉, 온수 공급기능을 갖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냉매 유로변경 조작에 의해서 냉, 온풍 공급기능과 냉, 온수 공급기능을 갖는 사용상의 편리함이 개선된 공기 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고, 압축펌프에 의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온수를 생산하는 시스템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온수 공급 시스템(10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열 또는 대기온도에서 열을 흡수하여 내부의 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코일(110)을 갖추고, 상기 증발코일(110)의 일측 단부에는 압축펌프(115)가 장착되며, 상기 압축펌프(115)의 토출측에는 응축코일(120)이 형성되고, 응축코일(120)과 증발코일(110)은 리시버 및 팽창밸브(125)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코일(120)은 나선형으로 이루어져 중공형 탱크로 이루어진 수조(130)를 외측에서 다수회 감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조(130)에는 하부측에 냉수 유입관(132a)이 연결되고, 상부측에는 온수토출관(132b)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공급 시스템(100)은 냉매로서 프레온기체(Freon Gas)를 이용하며, 이는 기체상태의 냉매를 압축펌프(115)에 의해서 고압으로 압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고압의 냉매는 응축코일(120)을 통과하면서 액화되고, 이 때, 열을 방출하여 응축코일(120)에 의해 둘러싸인 수조(130)내의 물을 가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응축코일(120)에서 액체로 상변환된 냉매는 리시버와 팽창밸브(125)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크게 낮아지게 되고, 증발코일(110)을 통과하면서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기체 상태로 증발(evaporation)된다. 이 때 증발코일(110)에서는 태양열 또는 대기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냉매의 증발효과를 더울 높일 수있게 되며, 증발코일(110)을 통과한 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펌프(115)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기체상태로 바뀌고, 응축코일(120)을 통과하면서 다시 액체상태로 변환되면서 열을 방출하게 됨으로써 수조(130)내의 물을 일정 온도로 가열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온수공급 시스템(100)은 증발코일(110)과 응축코일(120) 사이에 압축펌프(115)와 팽창밸브(125)가 위치하여 냉매의 압축 및 팽창작용을 연속적으로 이룸으로써 증발코일(110)에서는 냉매의 흡열반응이 일어나고, 응축코일(120)에서는 냉매의 발열반응이 일어나도록 폐쇄회로로 구성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공급 시스템(100)은 단순히 수조(130)내의 물을 일정온도로 높이는 기능만을 갖는 것이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한정되어 광범위 하게 사용될 수 없는 한계를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단한 냉매유로의 방향전환에 의해서, 냉, 온수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팬코일유니트(Fan Coil Unit)로의 전환이 용이하여 냉, 온풍 공급기능을 갖출 수 있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펌프와, 복수의 입구를 갖는 4방향밸브로 이루어져 제2입구 및 제4입구가 각각 상기 압축펌프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 연결되며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제1조작부와,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1코일에 연결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코일과, 복수의 입구를 갖는 3방향 밸브로 이루어지며, 제1입구가 상기 팽창코일에 연결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제3조작부와, 상기 제3조작부의 제2입구에 연결되고, 수조와 접촉하여,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함에 따라 수조와 열교환하는 제2코일과, 상기 제3조작부의 제3입구에 연결되고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을 보유하여,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함에 따라 상기 팬에 의해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3코일과, 복수의 입구를 갖는 3방향밸브로 이루어져, 제1입구, 제2입구 및 제3입구가 각각 제1조작부의 제3입구,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연결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제2조작부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시스템(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1)은 내부에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도관(10a)을 코일형으로 형성하고, 실외(室外)에 설치되는 제1코일(10)을 갖추고, 상기 제1코일(10)의 일측단부에는 제1조작부(15)를 통하여 압축펌프(25)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펌프(25)는 제2조작부(30)를 통하여 냉, 온수 공급유니트를 구성하는 제2코일(40) 및 냉, 온풍 공급유니트를 구성하는 제3코일(50)에 연결된다. 또한, 제2코일(40)과 제3코일(50)을 각각 제3조작부(60)를 통해 팽창코일(70)에 연결되며, 팽창코일(70)은 상기 제1코일(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제1코일(10)-제1조작부(15)-압축펌프(25)-제2조작부(30)-제2또는 제3코일(40)(50)-제3조작부(60)-팽창코일(70)-제1코일(10)로 이루어지는 폐쇄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그 내부유로에는 냉매로서 프레온기체(Freon Gas)가 사용된다.
상기 제1코일(10)과 압축펌프(25) 사이에 배치된 제1조작부(15)는 솔레노이드(17)에 의해서 작동하는 4방향 밸브로서 이루어지고, 이는 몸체(18)의 일측으로는 제1코일(10)에 연결되는 제1입구(20a)가 형성되고, 그 하부측에는 압축펌프(25)의 유입구로 도관(22)을 통하여 연결되는 제2입구(20b)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입구(20b)의 하부측에는 제2조작부(30)의 제1입구(32a)로 도관(24)를 통하여 연결되는 제3입구(20c)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몸체(10)의 반대측으로는 제4 입구(20d)가 형성되어 도관(27)을 통하여 압축펌프(25)의 토출구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몸체(18)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가동자(17a)는 몸체(18)의 외측에 위치된 솔레노이드(17)와 연결되고, 내부에는 c형 유로(17b)를 형성하여 솔레노이드(17)가 on상태이면, 제1입구(20a)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가 서로 연통되고, 제3입구(20c)와 제4입구(20d)가 서로 연통하도록 위치되며(제1도의 실선부분 참조), 솔레노이드(17)가 OFF상태이면 가동자(17b)가 하향 이동되어 제1입구(20a)와 제4입구(20d)가 연결되고, 제2입구(20b)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3입구(20c)가 서로 연결되도록 유로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3방향밸브로 이루어진 상기 제2조작부(30)는 몸체(35)의 일측에 제1입구(32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제2입구(32b)와 제3입구(32c)가 형성되며, 제2입구(33b)는 제2코일(40)의 유입단부(41a)에 연결되고, 제3입구(32c)는 제3코일(50)의 유입단부(51a)에 연결된다. 또한 몸체(35)의 내부에는 가동자(37)가 위치되고, 이는 몸체(35)의 외부에 위치된 솔레노이드(38)에 연결되며, 솔레노이드(38)에 전류가 가해져서 on상태이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입구(32a)와 제2입구(32b)의 유로가 형성되고, 솔레노이드(38)에 전류가 차단된 off 상태에서는 제1입구(32a)와 제3입구(32c)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제1입구(32a)가 제2및 제3입구(32b)(32c)중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및 제3코일(40)(50)과 팽창코일(70)사이에 위치되는 제3조작부(60)는 상기 제2조작부(30)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단지 솔레노이드(62)에 전류가 공급된 on 상태에서는 제1입구(63a)와 제2입구(63b)가 연결되도록 가동자(65)가 몸체(67) 내부에서 이동하고, 솔레노이드(62)에 전류가 차단된 off 상태에서는 제1입구(63a)와 제3입구(63c)가 연결되도록 가동자(65)가 몸체(67)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냉, 온수 공급유니트를 구성하는 제2코일(40)은 수조(80)와 접촉하도록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코일(40)이 수조(80)를 외부에서 다수회 감고 있으며, 상기 수조(80)에는 냉수유입구(82a)가 하부에 위치되고, 온수토출구(82b)가 상부에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냉, 온풍 공급유니트를 구성하는 제3코일(50)은 상기 제3코일(50)의 도관(50a) 사이를 통과하여 열교환을 이루는 공기 흐름을 형성하도록 팬(85)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냉, 온풍 공급유니트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제2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냉, 난방용 팬코일유니트(Fan Coil unit)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동모드 별로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하기로 한다.
[냉수 공급모드]
먼저, 본 발명의 공기 조화시스템(1)은 제3도의 (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부(15)의 솔레노이드(17)가 off 상태로 되어 몸체(18)의 제2입구(20b)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3입구(20c)가 서로 연결되고, 동시에 제1입구(20a)와 제4입구(20d)가 서로 연결한다. 또한 제2조작부(30)의 솔레노이드(38)는 on 상태로 되어 제1입구(32a)와 제2입구(32b)가 서로 연결되고 제3입구(32c)는 차단되며, 제3조작부(60)의 솔레노이드(62)도 on 상태로 되어 제1입구(63a)와 제2입구(63b)가 서로 연결되고 제3입구(63c)는 차단된다. 따라서 제2및 제3조작부(30)(60)의 on 상태에 따라 제2코일(40)로 냉매가 공급될 수 있지만 제3코일(50)로는 냉매가 공급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냉수공급모드에서는 압축펌프(25)의 작동에 따라서 압축펌프(25)로부터 제1조작부(15)의 제4입구(20d)와 제1입구(20a)를 통하여 제1코일(10) 측으로 압축된 상태의 고압 냉매기체를 공급하고, 제1조작부(15)의 제3입구(20c)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를 통하여 압축펌프(25)로 저압의 냉매기체가 공급된다. 제1코일(10) 측으로 공급된 고압의 냉매기체는 점차 응축되어 액화되면서 발열된 후 유출되는데, 이 때 제1코일(10)이 응축코일(condensing coil)로서 사용된다. 제1코일(10)로부터 유출된 고압의 액체냉매는 팽창코일(70)을 거치면서 감압되고, 제3조작부(60)의 제1입구(63a)와 제2입구(63b)를 통해 제2코일(40)로 유입된다. 상기 제2코일(40)에서는 저압의 액체 냉매로부터 증발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 때 냉매의 증발에 따른 흡열현상이 발생되어 제2코일(40)이 감고 있는 수조(80) 내의 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됨으로써 수조(80)내의 물은 그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제2코일(40)은 증발코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제2코일(40)에서 저압의 기체상태로 상변환된 냉매는 제2조작부(30)의 제2입구(32b)와 제1입구(32a)로 통하여 제1조작부(15)의 제3입구(20c)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로 흐르고 압축펌프(25)로 재 순환됨으로서 하나의 싸이클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조(80) 내의 저온의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시스템(1)은 냉수공급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온수공급 모드]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1)이 온수공급모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3도의 나)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작부(15)가 on 상태로, 제2및 제3조작부(30)(60)가 모두 on 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즉 제1조작부(15)에서는 제1입구(20a)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가 서로 연결되고, 제3입구(20c)와 제4입구 (20d)가 서로 연결되며, 제2및 제3조작부(30)(60)에서는 각각 제1입구(32a)와 제2입구(32b) 및 제1입구(63a)와 제2입구(63b)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펌프(25)의 작동으로 제4입구(20d)와 제3입구(20c)를 통하여 기체상태의 고압의 냉매가 공급되고, 이 냉매는 제2조작부(30)의 제1입구(32a)와 제2입구(32b)를 통하여 제2코일(40)로 흐르며, 제2코일(40)에서는 고압의 냉매기체가 점차 응축되면서 열을 발산하여 고압의 액체상태로 되며, 이 열이 수조(80) 내부의 물을 가열 시키게된다. 그리고 상기 제2코일(40)로부터 유출되는 고압의 액체 냉매는 제 3조작부(60)의 제2입구(63b)와 제1입구(63a)를 통하여 팽창코일(70)로 흐르게 되고, 팽창 코일(70)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크게 낮아지게 되어 저압의 액체 냉매 상태로 바뀌게 되고, 제1코일(10)로 유입되면서 증발한다.
따라서, 제1코일(10)에서는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서 흡열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주위(대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는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되고, 제1조작부(15)의 제1입구(20a)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로 통하여 저압의 기체 상태로 압축펌프(25)로 재공급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1코일(10)은 증발코일로서 작동하고 제 2코일(40)은 응축코일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냉풍 공급모드]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1)은 제3도의 다)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냉풍 공급모드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제1조작부(15)의 솔레노이드(17)가 off 상태로 되어 몸체(18)의 제2입구(20b)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3입구(20c)가 서로 연결되고, 제1입구(20a)와 제4 입구(20d)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제2조작부(30)의 솔레노이드(38)는 off 상태로 되어 제1입구(32a)와 제3입구(32c)가 서로 연결되고 제2입구(32b)는 차단되며, 제3조작부(60)의 솔레노이드(62)도 off 상태로 되어 제1입구(63a)와 제3입구(63c)가 서로 연결되고 제2입구(63b)는 차단된다.
따라서, 제2및 제3조작부(30)(60)의 off 상태에 따라서 제3코일(500)로는 냉매가 공급될 수 있지만, 제2코일(40)로는 냉매가 공급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냉풍공급 모드에서는 압축펌프(25)의 작동에 따라 압축펌프(25)로부터 제1조작부(15)의 제4 입구(20d)와 제1입구(20a)를 통하여 제1코일(10) 측으로 압축된 상태의 고압 냉매기체를 공급하고, 제1조작부(15)의 제3입구(20c)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를 통하여 압축펌프(25)로 저압의 냉매기체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1코일(10)측으로 공급된 고압의 냉매기체는 점차 응축되어 액화되면서 발열현상을 일으키게 되고, 제1코일(10)로부터 액체 냉매상태로 유출되며, 이 때 제1코일(10)은 응축코일(condensing coil)로서 사용된다. 제1코일(10)로부터 유출된 고압의 액체냉매는 팽창코일(70)을 거치면서 감압되고, 제3조작부(60)의 제 1입구(63a)와 제3입구(63c)를 통해 제3코일(50)로 유입된다.
제3코일(50)에서는 저압의 액체냉매로부터 증발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이 때 냉매의 증발에 따른 흡열현상이 발생되어 팬(85)에 의해 제3코일(50)의 도관(50a)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흐름과 열교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킨다. 따라서 제3코일(50)은 증발코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제3코일(50)에서 저압의 기체상태로 상변환된 냉매는 제2조작부(30)의 제3입구(32c)와 제1입구(32a)를 통하여 제1조작부(15)의 제3입구(20c)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로 흐르고 압축펌프(25)로 재 순환됨으로서 하나의 냉풍공급 사이클을 종료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3코일(50)을 통과하는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킴으로서 하절기에는 냉풍공급 장치로서 본 발명의 공기 조화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온풍공급모드]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1)이 온풍 공급모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제1조작부(15)가 on 상태로, 제2및 제3조작부(30)(60)가 모두 off상태를 유지하면 된다. 즉, 제1조작부(15)에서는 제1입구(20a)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가 서로 연결되고, 제3입구(20c)와 제4 입구(20d)가 서로 연결되며, 제2및 제3조작부(30)(60)에서는 각각 제1입구(32a)와 제3입구(32c) 및 제1입구(63a)와 제3입구(63c)가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압축펌프(25)의 작동에 의해 제4 입구(20d)와 제3입구(20)를 통하여 기체상태의 고압의 냉매가 공급되고, 이 냉매는 제2조작부(30)의 제1입구(32a)와 제3입구(32c)를 통하여 제3코일(50)로 흐르며, 제3코일(50)에서는 고압의 냉매기체가 점차 약화하면서 열을 발산하게 되고, 이 열은 팬(85)에 의해 도관(50a)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코일(50)에서 응축된 고압의 액체냉매는 제3조작부(60)의 제3입구(63c)와 제1입구(63a)를 통하여 팽창코일(70)로 흐르게 되고, 팽창코일(70)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크게 낮아지게 되어 저압의 액체 냉매상태로 바뀌게 되고, 제1코일(10)로 유입하면서 액체로부터 기체로 증발작용이 일어난다.
따라서, 제1코일(10)에서는 냉매의 증발작용에 의해서 흡열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주위(대기)의 열을 흡수하여 냉매는 저압의 기체 상태로 변환되고, 제1조작부(15)의 제1입구(20a)와, c형 내부유로(17b) 및 제2입구(20b)를 통하여 저압의 기체상태로 압축펌프(25)에 재 공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제1코일(10)은 증발코일로서 작동하고, 제3코일(50)은 응축코일로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작동모드별로 각각 냉, 온수 공급유니트와 냉, 온풍 공급 유니트로서 사용 가능하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 온수 공급기는 뿐만 아니라, 냉, 온풍 공급기의 기능도 갖추며, 이러한 여러 가지 작동모드의 변환이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간단한 구성의 제1, 2 및 제3조작부에 의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소형 시스템으로도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으로서 용도에 따른 그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되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5)

  1.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펌프(25) : 복수의 입구를 갖는 4방향 밸브로 이루어져 제2입구 및 제4 입구가 각각 상기 압축 펌프의 유입구 및 토출구에 연결되며 작동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제1조작부(15) :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되는 제1코일(10) : 상기 제1코일에 연결되어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코일(70) : 복수의 입구를 갖는 3방향밸브로 이루어지며 제1입구가 상기 팽창코일에 연결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시키는 제3조작부(60) : 상기 제3조작부의 제2입구에 연결되고 수조와 접촉하여,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함에 따라 수조의 물과 열교환하는 제2코일(40) : 상기 제3조작부의 제3입구에 연결되고 공기를 유통시키는 팬을 보유하여, 유입되는 냉매가 응축 또는 증발함에 따라 상기 팬에 의해 유통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제3코일(50) ; 복수의 입구를 갖는 3방향밸브로 이루어져, 제1입구, 제2입구 및 제3입구가 각각 제1조작부의 제3입구, 제2코일 및 제3코일에 연결되어 작동모드에 따라 냉매의 유로를 변경하는 제2조작부(30)로 구성된 공기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4 입구 및 제2입구와 제3입구가 각각 연결되고, 제2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 2입구가 연결되며, 제3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냉매가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4 입구를 통해 제1코일에 유입되고 응축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로 된 후 팽창코일에서 감압되며, 감압된 냉매가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를 거쳐 제2코일에서 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하여 상기 제2코일과 접촉하는 수조의 물로부터 열을 흡수한 후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 및 제1조작부의 제2입구와 제3입구를 거쳐 다시 압축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1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 및 제3입구와 제4 입구가 각각 연결되고, 제2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가 연결되며, 제3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냉매가 상기 제1조작부의 제4 입구와 제3입구 및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를 통해 제2코일에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되어 상기 제2코일과 접촉하는 수조의 물에 열을 공급하며, 응축된 고압의 액체냉매가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를 통해 팽창코일에서 감압되고 제1코일에서 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된 후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를 통해 다시 압축펌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4 입구 및 제2입구와 제3입구가 각각 연결되고, 제2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가 연결되며, 제3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냉매가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4 입구를 통해 제1코일에 유입되고 응축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로 된 후 팽창 코일에서 감압되며, 감압된 냉매가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를 거쳐 제3코일에서 저압의 기체 냉매로 증발하여 팬에 의해 유통하는 공기의 열을 흡수한 후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 및 제1조작부의 제2입구와 제3입구를 거쳐 다시 압축펌프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1조작부가 온되어 상기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 및 제3입구와 제4 입구가 각각 연결되고, 제2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가 연결되며, 제3조작부가 오프되어 상기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가 연결되어, 상기 압축펌프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기체냉매가 상기 제1조작부의 제4 입구와 제3입구 및 제2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를 통해 제3코일에 유입되고, 고압의 액체냉매로 응축되어 팬에 의해 유통하는 공기에 열을 공급하며, 응축된 고압의 액체냉매가 제3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3입구를 통해 팽창코일에서 감압되고 제1코일에서 저압의 기체냉매로 증발된 후 제1조작부의 제1입구와 제2입구를 통해 다시 압축펌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시스템.
KR1019950012637A 1995-05-19 1995-05-19 공기 조화 시스템 KR0163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637A KR0163990B1 (ko) 1995-05-19 1995-05-19 공기 조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637A KR0163990B1 (ko) 1995-05-19 1995-05-19 공기 조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13A KR960041913A (ko) 1996-12-19
KR0163990B1 true KR0163990B1 (ko) 1999-01-15

Family

ID=1941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637A KR0163990B1 (ko) 1995-05-19 1995-05-19 공기 조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35B1 (ko) * 2011-03-31 2012-03-20 공석태 무제상 히트펌프 냉난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635B1 (ko) * 2011-03-31 2012-03-20 공석태 무제상 히트펌프 냉난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913A (ko) 199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033117A (ja) 冷凍装置
JP2003021428A (ja)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KR0163990B1 (ko) 공기 조화 시스템
US7086242B2 (en) Dehumidifying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04108715A (ja) 多室用空気調和機
JPH0682110A (ja) 多室冷暖房装置
JPH01208674A (ja) ヒートポンプ給湯暖冷房機
JPH02258467A (ja) 車両用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CN218915106U (zh) 空调器系统
JPH02161263A (ja) 冷暖房装置
KR102154500B1 (ko) 공기열원 및 수열원을 이용한 다중열원 냉난방시스템
JPH06272978A (ja) 空気調和装置
JPH04263742A (ja) 冷凍装置
KR20050046433A (ko) 복수개의 압축기를 갖는 용량 가변식 냉동 시스템 및 그제어 방법
JPH042377Y2 (ko)
KR20220165938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20220160190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JPH04222360A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
KR20230108394A (ko) 일체형 냉매 매니폴더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20240000663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20230005480A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KR20230007622A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CN118031296A (zh) 空调器系统
CN112728666A (zh) 空调系统
JP2018071793A (ja) エジェクタ式冷凍サイク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