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942B1 -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942B1
KR0163942B1 KR1019950055242A KR19950055242A KR0163942B1 KR 0163942 B1 KR0163942 B1 KR 0163942B1 KR 1019950055242 A KR1019950055242 A KR 1019950055242A KR 19950055242 A KR19950055242 A KR 19950055242A KR 0163942 B1 KR0163942 B1 KR 0163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natural
blocker
producing
composite pi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797A (ko
Inventor
최재욱
김동명
이영익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5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942B1/ko
Publication of KR97003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83Matrix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2Microsized, i.e. having sizes between 0.1 and 100 micr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60Particulate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sition
    • A61K2800/61Surface treated
    • A61K2800/62Coated
    • A61K2800/63More than one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우수한 자외선 차단체인 미립자 무기 안료에 2중 코딩하여 모든 파장 영역에서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도록 하는 복합안료를 만들고, 다시 이 복합 안료를 다공성의 유기고분자 파우더와 복합화 함으로서 순수 안료의 표면 전하를 중화킴과 동시에 유기 부자 파우더의 성질을 갖도록 하여 안료들의 상호 응집을 막아 사용감,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활성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도를 향상시킨 복합안료를 개발함으로서 분체, 오일상, 분산, 유화계등 모든 메이크업 제형에 사용할 수 있도록한 색조화장료용 복합 안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안정성이 향상되고 사용감이 우수한복합 안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한 색조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성과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천연자외선 차단제인 커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백 추출물, 가수분해 콩단백질/쉐아버터 불검화물, 쉐아버터, γ-오리자놀등을 특수 공정에 의해 무기 안료인 이산화 티탄, 산화아연등과 복합화 하여 자외선 차단 효과, 피부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다시 유기 고분자 안료와 복합화하여 피부 부착력, 퍼짐성과 전연성을 높여 우수한 사용감을 갖도록 한 복합 안료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색조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에는 중자외선(280-320㎚ : UV B)과 근자외선 (320-400㎚ : UV A)이 있는데 하절기에는 피부가 일광에 많이 노출되며, 요즈음에는 오존층의 파괴로 더욱더 많은 야의 자외선이 인체에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되면 중자외선에 의하여 피부에 흥반, 수포등이 형성되고, 근자외선에 의해서는 피부노화, 탄닌(Tanning)효과 등의 부작용이 일어나며, 심할때에는 피부암이 유발되어 피부건강을 해치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손상을 막기 위해서는 자외선을 피부로부터 차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근에 와서 메이크업 제품에 대한 소비자인식도가 높아지면서 주기능인 피부 표현, 색감 표현외에도 스킨케어, 자외선 차단등의 부가적인 기능을 요구하게 되었고, 따라서 메이크업 화장료에 있어서 자외선 차단은 필수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차단체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물리적 자외선 차단계(Physical sunscreens)와 화확적 자외선 차단체(Chemical sunscreens)가 그것이다.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반사, 산란하는 물리적 장벽을 만들어 피부 표면을 투과하는 양을 줄이거나 도달하는 양을 줄이는 것으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초미립자 산화아연, 탈크, 마이카, 카올린, 산화철 등이 있고,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유기 물질로, 피부 속까지 도달하는 자외선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파라아미노안식향산(Para Amino Benzoic Acid(PABA)) 및 그 유도체, 살리실레이트류(Salicylates), 신나메이트류(Cinnamates), 벤조페논류(Benzophenones), 디벤조일메탄류(Dibenzolmethanes)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외선 차단제에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만 피부와 반응성이 있고, 안료 및 타 원료와 상용성이 나쁘며, 세안 후에도 피부에 잔존하여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인 무기안료들은 다량 배합시 피부에서 들뜬다는 문제점 때문에 사용량에 제한이 있고, 특히 산화 아연, 미립자 산화 아연은 자외선 차단 효과와 피부 수렴, 진정, 소염 작용이 있는 좋은 원료이나 다량 배합시 재응집(Reaggregation)이 일어나고, 활성이 놓아 계를 불안정하게 하는 등의 이류로 배합량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배합량을 줄이는 대신, 자외선 흡수 능력이 있는 다른 물질로 대체하거나 자외선을 흡수하는 유기 물질이 피부에 잔존하는 것을 없애기 위해 유기 물질을 안료와 결합, 피복 처리하는 기술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또한, 피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산화 아연을 도입하는 기술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산화 아연이 재응집 되는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산화아연 분산액을 사용하는 방버이 공시되어 있다.(일본 특허 平4-164815) 그러나, 이 산화 아연 분산액은 pH를 9이상의 염기성 조건으로 하여야 하므로, 사용량이 작아서 효과도 적고, 피부 트러블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되며, 가용화 제품 또는 흔들어 사용하는 분산형 제품에는 사용이 가능하나 파우더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고, 무엇보다도 메이크업 화장료의 최종 상태의 pH가 중성(대개 6.5∼7.5)이 됨에 따라 재응집의 문제가 그대로 대두되어 화장료의 안정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피부 안정성이 보다 우수한 천연 자외선 차단 물질들이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종류로는 쉐아버터(Shea butter), γ-오리자놀(Oryzanol), 가수분해 콩단백질/쉐아버터 불검화물(Hydrolyzed soy protein/Shea butter unsaponifiables), 녹차 추출물, 커피 추출물, 루이코안토시아닌, 괴화 추출물, 황백 추출물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배합량이 적어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가 힘들며, 액상으로 된 것은 파우더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고, 분말로 된 제품은 균일하게 분산, 혼합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수용성인 것들은 립스틱이나 스킨커버등 오일 성분이 주성분인 제형에는 미량만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제조시 열에 의한 차단 성분의 파괴가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천연 자외선 차단제들을 초미립자 무기 안료에 표면 처리, 복합화하여 기존의 원료들이 갖는 단점들을 극복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몇몇 방법들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런 방법들은 피부 안전성에 좋고, 사용량을 증가시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높이는 것에는 효과가 있으나, 색조 화장료 품질 결졍의 중요 사항인 피부 도포시의 균일한 도포력, 피부에 대한 밀착력, 퍼짐성등에 대한 고려가 충분히 이루워지지 않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자외선 차단 효과가 있으면서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수용성 천연 추출물을, UV B 차단 효과가 우수하고 표면 전하가 높아 코팅하기에 용이한 미립자 산화 아연에 1차로 피복 시키고, 2차로 UV A차단 효과가 우수한 천연 물질을 피복시켜, 피부 자극이 있는 유기물질의 자외선 흡수제를 쓰지 않고도 자외선 차단효과 및 내수성, 지속성, 안정도가 우수한 분말을 얻을 수 있으며, 전기한 분말에 다공성 분체를 다시 복합화시켜 균일한 화장막을 가지게 하여 기존의 자외선 차단 복합 안료들이 가졌던 좋지 않은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내수성, 지속성, 안정도가 향상되고, 사용감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용 복함안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내수성, 지속성, 안정도가 향상되고 사용감이 우수한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를 함유하는 색조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은,
(1) 천연 추출물(천연 자외선 차단제)을 초미립자 무기안료예 피복시키는 공정; 과
(2) 상기한 (1)에서 얻은 수용성 천연 추출물을 피복한 초미립자 무기안료를 유기 고분자 안료의 상전이 과정에 투입하여 다공성 유기 파우더와 복합화 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조 화장료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복합안료를 1.0∼50%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천연 추출물은 피부 자극이 없고 UV B 차단 효과가 우수한 커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백 추출물등과 UV A차단 효과가 우수한 가수분해 콩단백질/ 쉐아버터 불검화물(Hydrolyzed soy protein/Shea butter unsaponifiables), 쉐아버터(Shea butter), γ-오리자놀 등이며, 얻어진 복합안료 100% 중량비에 대해 1.0∼30% 되는 양으로 2종이상 혼용하여 배합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초미립자 무기안료는 평균 입자 직경이 0.05∼0.5㎛인 산화 아연과, 0.01∼0.20㎛인 미립자 이산화 티탄으로, 얻어진 복합안료 100% 중량비에 대해 40∼90% 되는 양으로 단독 또는 혼용하여 배합한다.
또, 본 발명의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유기 고분자 안료는 나일론 파우더, 폴리메틸메타이크릴레이트등이며, 얻어진 복합안료 100% 중량비에 대해 10∼60%되는 양으로 단독 또는 혼용하여 배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각 공정별로 보다 구체저으로 설명한다.
(1) 천연 추출물(천연 자외선 차단제)을 초미립자 무기안료에 피복시키는 공정 에탄올, 물, 또는 그의 혼합액을 60-70℃로 가열한 것에 피부 자극이 없고 UV B 차단 효과가 우수한 커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황백 추출물등을 용해 시킨후 염화 알루미늄이나 황산 알루미늄과 같은 다가염을 소량 넣어 천연추출물을 반응성이 놓은 다가염으로 만든다. 미립자 산화 아연은 일반 조건에서는 수용액상에 분산이 되지 않기 때문에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을 소량 가하여 pH를 9이상이 되도록 한다. 그 후, 미립자 산화 아연을 분산시키면 미립자 산화 아연이 유리되면서 천연 자외선 차단제가 부가 피복 처리된다. 다시, UV A차단 효과가 우수한 가수분해 콩단백질/ 쉐아버터 불검화물(Hydnolyzed soy protein/Shea butter unsaponifiables), 쉐아버터(Shea butter), γ-오리자놀등을 적절한 용매에 알칼리 조건에서, 상기한 분산액에 투입하면 이들이 2차로 피복 처리된다. 이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2중으로 피복처리 하는 것은 모든 파장영역에서 자외선의 차단효과를 우수하게 하기 위해서 이다.
이 복합 안료의 제조시, 산화 아연 대신 미립자 이산화 티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산화 아연과 혼용할 수도 있으며, 천연 추출물의 경우도 1종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는데, 이때는 어느 물질을 출발 물질로 하는가에 따라 반응 조건을 상이하게 해야 한다.
2) 상기한 (1)에서 얻은 복합안료를 유기 고분자 안료의 상전이 과정에 투입하여 다공성 유기 파우더와 복합화 시키는 공정
다음으로, 퍼짐성이 우수한 다공성의 유기 고분자 파우다를 적절할 용매에 분산, 가열하여 고분자 안료가 리버리상(Rubbery state)으로 상전이하는 과정에서 상기 (1)에서의 복합안료가 초미립자 함입될 수 있는 조건으로 하여얻은 고분자 안료의 분산액을, (1)에서 얻은 추미립자 복합안료의 분산액에 투입하여 교반하고 이를 탈수, 수세, 건조하여 복합안료를 유기 고분자 안료에 내재시킨다. 이렇게 하는 것은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초미립자 복합안료룰 유기 고분자 미립자와 복합시켜 유기 고분자가 갖는 우수한 사용감, 즉 퍼짐성, 밀착력, 균일한 도포력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 단계에서 중요한 것은 유기 고분자 미립자에 초미립자 복합안료를 효과적으로 내재시키는 것인데, 이것을 위해서는 유기 고분자의 상전이 과정을 효과적으로 제어하여야 한다. 이들 고분자 안료들은 용액중에서 용매의 극성 및 온도에 따라 글래시상(Glasy state), 러버리상, 검상(Gum state) 및 고분자 요액등의 여러 상을 가질 수 있는데 러버리상일 때에 점착성을 가져 효과적인 내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2)에서의 복합화 방법은 이러한 고분자 미립자의 상전이를 이용한 것으로, 이 발명에서 사용한 나일론 파우다 또는 폴리메틸메타이크릴레이트 파우다의 경우, 분산액의 온도가 복합화에 적당한 온도보다 높은 경우 각 고분자 입자간에 응집이 발생하여 입자의 합체 현상이 보이고, 그 온도가 낮게 되면 표면에 점착성이 나타나지 않아 복합화를 이룰 수 없다. 용매의 경우에도 극성이 낮으면 입자간 합체가 이루어지고 또 극성이 너무 높으면 복합화에 적당한 조건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 고분자 안료의 분산액의 조성비와 온도를 조절함으로서 자외선 차단 능력이 있는 초미립자 복합안료와 복합화를 이룰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색조화장료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복합안료를 본 발명에 따른 색조 화장료는, 상기한 제조방법에 따라 얻어지는 복합안료를 1.0∼50%의 양으로 함유함으로써, 향상된 자외선 차단 효과, 내수성, 지속성 및 안정도와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조 화장료는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파운데이션류, 스킨커버, 마스카라, 아이부라우 펜슬, 트윈 케익, 아이새도, 콤펙트, 립스틱등의 색조화장료의 선크림등의 기초화장료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조 방법]
1) 원료 1과 2를 평량, 분쇄기(Ban Tan Mill)에 2회 분쇄한 후 30분간 리본 믹서로 혼합한다.
2) 원료 3을 70∼80℃로 가열하고 원료 4∼6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30분간 호모믹싱(Homomixing)한다.
3) 2)에 1)을 서서히 가하여 30분간 교반한다.
4) 원료 7을 60∼65℃까지 가열한 후 원료 8을 가하여 30분간 잘 호모믹싱 한다.
5) 4)를 3)에다 가하고 다시 30분간 교반한다.
6) 실시예 1, 2의 경우 원료 9에 11을 투입하여 60∼65℃에서 1시간 교반하고, 실시예 3의 경우 원료 9와 10에 12를 투입한 후 40∼45℃에서 1시간 교반한다.
7) 6)의 분산액을 5)의 분산액에 투입하고 70∼80℃에서 30분간 교반한다.
8) 코딩이 끝나면 증류수로 3회 세척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내 용물은 건조기로 완전히 건조시켜 1회 분쇄하여 복합 안료를 얻는다.
실시예 1∼3에서 얻은 복합 안료와 단순 혼합된 혼합안료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3를 행하였다.(수치는 중량비임)
[제조 방법]
1) 원료 1∼5를 평량하여 분쇄기에 2회 분쇄한 후 30분간 리본 믹서에 교반한다.
2) 원료 5를 60℃까지 가열하여 녹인 후 2)에 2차 분무하여 30분간 교반후 분쇄기에 1회 분쇄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복합 안료 실시예 1∼3과 비교예 1∼3의 물성을 비교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3과 같다.
1) 평가 기준
◎ : 극히 양호 ○ : 양호 △ : 보통 × : 불량
2) 시험 방법
가. 자외선 차단 효과
멀티포트 600 솔라 UV 시뮬레이터(MULTIPORT 600 SOLAR UV SIMULATOR)기기에 의해 시료를 도포하지 않았을 때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을 구하고 시료를 도포한 후의 값을 측정하여 그 비율로 SPF를 구한 후 SPF 25 이상은 극히 양호, SPF 15∼25는 양호, SPF 7∼15는 보통, SPF 7 이하는 불량으로 평가한다.
나. 수분산성
시료 20% 중량을 물에 호모믹서로 20분간 분산시켜, 입자의 분산도를 전자 현미경으로 육안 관찰한다.
다. 유분산성
시료를 20% 중량을 액상 파라핀 오일(Liquid Paraffin ; Union Carbide, 미국)에 호모믹서로 20분간 분산시킨 후 입자의 분포도를 전자 현미경으로 육안 관찰한다.
라. 밀착력
시료를 인공 피부에 어플리케이터로 균일하게 도포시킨 후, 도포된 상태를 화상 분석기를 이용하여 시료의 밀착 두께(필름값)를 구한 후, 평균 두께 30㎛를 기준으로 두께가 얇을수록 밀착력이 좋은 것으로 평가한다.
마. 퍼짐성
같은량의 각각의 시료를 인공 피부에 어플리케이터로 균일하게 도포시킨후 화상분석기로 시료의 밀찰 두께(필름값)을 구한 후, 평균 두께 20㎛를 기준으로 두께가 얇을수록 퍼짐성이 좋은 것으로 평가한다.
바. 광안정성
시료를 성형기에 압축하여 양지에 7일간 방치하면서 색상 차이 및 상태 변화를 관찰, 평가한다.
사. 열안정성
시료를 성형기에 압축하여 45℃의 항온, 항습기에 7일간 방치하면서 색상 차이 및 상태 변화를 관찰, 평가한다.
상기와 같은 실험에서 무기 안료의 표면전하를 이용하여 천연 자외선 차단제를 코팅한 후 다공성 분체와 복합한 복한 안료가 단순 혼합된 혼합 안료보다 모든 면에서 더 좋은 결과를 나타냈으며, 기존 원료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다음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메이크업 제품에 실제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합 안료와 기존의 단순 혼합 방식의 혼합 안료의 화장 효과를 교하기 위히 실시예 4∼6과 비교예 4∼6을 제조하였다.
[제조방법]
1) 원료 1∼9를 평량하여 리본 믹서로 1시간동안 혼합한 후 분쇄기로 1회 분홰한다.
2) 원료 10∼12를 평량, 80℃로 용해한 후 1)에 분무한 다음 혼합기로 30분간 혼합한다.
3) 2)를 1회 분쇄 후 성형한다.
[제조 방법]
1) 원료 1∼4를 70∼75℃로 가열한 후 5∼8을 가하여 호모믹싱하여 분산시킨다.
2) 원료 9∼13을 80∼85℃로 가열하여 1)에 가하고 10분간 호모믹싱하여 유화시킨 후, 원료 14를 가하여 다시 1분간 호모믹싱한 후에 탈기하고 냉각시킨다.
[제조 방법]
1) 1∼7의 원료를 75∼80℃로 가열, 용해하고 원료 8∼9을 가한후 호모믹싱하여 분산시킨다.
2) 원료 10∼11를 75∼80℃러 기열하여 1)에 투입하여 10분간 호모믹싱하여 유화시키고 원료 12를 가하여 다시 1분간 호모믹싱한 후 탈기, 냉각한다.
상기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실시예 4∼6과 비교예 4∼6에 대한 자외선 차단지수와 안전성 시험결과 및 사용성 실험결과는 아래 표 2와 같다.
1) 평가방법
모든 시험항목은 20∼35세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 사용성
각 실시예와 비교예를 시험 대상자가 2달간 사용하게 한 후 관능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나. 자외선 차단 지수(SPF)
멀티포트 600 솔라 UV 시물레이터(MULTIPORT 600 SOLAR UV SIMULATOR)기기에 의해 시료를 도포 하지 않았을 때의 최소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을 구하고 시료를 도포한 후의 값을 측정 하여 그 비율로 SPF를 구한 후 각 실험자의 평균값을 내었다.
다. 피부 안전성
시험 대상자중 30명을 대상으로 첩포시험을 실시한 뒤 강양성 반응 및 약양성 반응 20명 이상은 불량, 약양성 반응이 10∼20명이면 보통, 약양성 반응 5∼10명 이면 좋음, 약양성 반응 5명 이하는 매우 좋음으로 구분하였다.
라. 안정도
각 실시예와 비교예를 45℃의 항온, 항습조에 넣고 1달간 관찰하였다.
상기 결과에서 볼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안료를 사용한 실시예 4∼6의 제품이 기존의 원료를 단순 혼합한 혼합안료를 사용한 비교예 4∼6과 비교시 자외선 차단 효과, 사용감, 피부안전성, 제품의 안정도면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얻어 기능의 우수성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 효과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천연 추출물을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인 미립자 무기 안료에 2중 코팅하여 모든 파장 영역에서의 우수한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갖도록 하는 복합안료를 만들고, 다시 이 복합 안료를 다공성의 유기 고분자 파우더와 복합화 함으로서 순수 안료의 표면 전하를 중화킴과 동시에 유기 고분자 파우더의 성질을 갖도록 하여 안료들의 상호 응집을 막아 사용감, 지속성 향상시키고, 활성을 억제하여 제품의 안정도를 향상시킨 복합안료를 개발함으로써 분해, 오일상, 분산, 유화계등 모든 메이크업 제형에 사용할 수 있도록한 색조화장료용 복합안료에 관한 것이다.

Claims (9)

  1. 색조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자외선 B 차단효과를 갖는 천연 자외선 B차단제를 초미립자 무기안료에 1차 피복한 후, 자외선 A차단효과를 갖는 천연 자외선 A차단제로 2차 피복시키는 공정;과 (2) 상기한 (1)에서 얻은 수용성 천연 자외선 B 차단제 및 A 차단제로 피복된 초미립자 무기안료를 유기 고분자 안료가 글래시상(glassy state)에서 러버리상(rubbery state)으로 상전이하는 과정이 투입하여 고분자 유기 파우더로 복합화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초미립자 무기안료는 평균 입자 직경이 0.05∼0.5㎛인 미립자 산화아연과 0.10∼0.20㎛인 미립자 이산화티탄을 단독 또는 혼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B 차단제는 커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황백 추출물이고, 천연 자외선 A 차단제는 가수분해 콩단백질/쉐아버터 불검화물, 쉐아버터 또는 γ-오리자놀이며, 얻어진 복합안료 총 중량에 대하여 1.0∼30중량%의 양으로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초미립자 무기안료는 얻어진 복합안료 총 중량에 대하여 40∼90중량%의 양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미립자 산화아연, 미립자 이산화티탄을 분산핵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용액을 알칼리 조건인 pH 9∼14로 하며 이를 위해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B 차단제를 물, 에탄올, 또는 그의 혼합계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의 pH를 9이상으로 한 후 여기에 무기안료를 투입하여 천연 자외선 B 차단제를 피복처리시킨 후 동일 조건으로 천연 자외선 A 차단제를 2차 피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에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차단제의반응성을 높이기 위해 AlCl3, 또는 Al2(SO4)3의 다가 금속염으로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기 고분자 안료는 나일론 파우더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클릴레이트를 단독 또는 혼용한 것이며, 얻어진 복합안료 총 중량에 대하여 10∼60%의 양으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천연 자외선 B 차단제 및 A 차단제가 피복된 초미립자 무기안료를 유기 안료에 복합시키는 방법으로 유기 안료를 극성 유기용 매인 에탄올 또는 아세톤에 분산하여 유기안료를 글래시상(Glassy state)에서 리버리상(Rubbery state)으로 전이시켜 초미립자를 복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는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기재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색조화장료용 복합안료를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1.0∼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조화장료 조성물.
KR1019950055242A 1995-12-23 1995-12-23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KR0163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242A KR0163942B1 (ko) 1995-12-23 1995-12-23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5242A KR0163942B1 (ko) 1995-12-23 1995-12-23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97A KR970032797A (ko) 1997-07-22
KR0163942B1 true KR0163942B1 (ko) 1998-12-01

Family

ID=19443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5242A KR0163942B1 (ko) 1995-12-23 1995-12-23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889A1 (en) * 2007-03-07 2008-11-13 Grune Guer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cytoprotective, biodegradabl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816B1 (ko) * 1997-12-30 2005-09-2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홍경천 추출물 표면처리 화장료용 무기안료
KR100437224B1 (ko) * 2001-08-29 2004-06-23 주식회사 태평양 자외선 산란용 무기/고분자 복합입자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6889A1 (en) * 2007-03-07 2008-11-13 Grune Guerry L High spf transparent or translucent, cytoprotective, biodegradable, uv radiation resista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797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582B1 (ko) 화장조성물
EP1673061A1 (en) Soft-foc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umed alumina
JP2001511435A (ja) 凝集基体を含む化粧組成物
JPH03115211A (ja) 化粧料
JPH022867A (ja) 紫外線吸収剤内包マイクロカプ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マイクロカプセルを含有する化粧料
JP3702072B2 (ja) シリカ/酸化亜鉛複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S624212A (ja) 化粧品組成物
JPS6267014A (ja) 化粧料組成物
KR0163942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JP2544200B2 (ja) 化粧料
JP2635073B2 (ja) 化粧品組成物
JPH04128211A (ja) 下地化粧料
KR20120049589A (ko) 표면이 개질된 화장료용 안료 및 개질된 안료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08247844A (ja) スティック状メーキャップ化粧料
JP2002509548A (ja) セラック含有化粧品
JPH1112493A (ja) 複合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0699281B2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3426025B2 (ja) 有機−無機複合顔料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H07173044A (ja) 化粧料
KR0163835B1 (ko) 색조 화장료용 복합안료의 제조방법
JPS61257910A (ja) 化粧料
JPH0451523B2 (ko)
JP3494339B2 (ja) セリシン被覆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て成る化粧料
JPS61257907A (ja) 化粧料
JP2002332211A (ja) 着色球状ポリアミド粉体と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