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786B1 -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786B1
KR0163786B1 KR1019910004061A KR910004061A KR0163786B1 KR 0163786 B1 KR0163786 B1 KR 0163786B1 KR 1019910004061 A KR1019910004061 A KR 1019910004061A KR 910004061 A KR910004061 A KR 910004061A KR 0163786 B1 KR0163786 B1 KR 0163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ember
container
neck
flang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579A (ko
Inventor
엘. 볼턴 스튜워트
에이. 코즐로스키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에드워드 제이. 모이
크라프트 제너럴 후드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드워드 제이. 모이, 크라프트 제너럴 후드스, 인크. filed Critical 에드워드 제이. 모이
Publication of KR910016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6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 B65D41/265Caps or cap-like cover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Optical Measuring Cells (AREA)

Abstract

계량컵 폐쇄부를 가진 액체 커피와 같은 유동가능한 제품용 용기이다. 용기 목부를 내부 밀봉체에 의해 폐쇄되어 있고 그곳에 고정된 링부재를 둘러싸는 하부 부분을 가지고 있다. 링부재의 상부부분은 계량컵의 개방 단부내에 삽통식 및 로크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링부재의 내부 플랜지는 목부에지에 대하여 밀봉되는 하부표면을 포함하고 상부부분은 계량컵의 개방 단부의 외측면과 밀봉을 형성하는 외주 비드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제1도는 계량컵 형식의 마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용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용기의 상부 부분의 확대 중앙 단면도.
제3도는 마개 요소들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어 용기의 목부로부터 멀리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제1도의 용기의 상부 부분을 도시한 확대 분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변경예를 도시하는, 마개 요소들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용기의 상부 부분의 중앙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내부 시일이 완전히 제거된 후의 제2도의 용기의 상부 부분과 마개 요소들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5도는 서로로부터 수직으로 분리된 용기의 상부 부분과 마개 요소들을 도시하는 분해 중앙 단면도이고, 제6도는 함께 결합된 제5도의 요소들을 도시하는 중앙 단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제4도의 수정된 내부 시일이 사용되는 경우의 제2도의 용기 및 마개 요소들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제7도는 서로 수직으로 분리된 이러한 요소들을 도시한 분해 중앙 단면도이고, 제8도는 함께 결합된 상기 요소들을 도시한 중앙 단면도.
제9도는 용기로부터 계량컵 안으로 액체 제품을 따르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제10도는 계량컵으로부터 용기 내로 사용되지 않은 액체 제품을 따르는 것을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2 : 계량컵
16 : 목부 18 : 내부 시일
19 : 개구 20 : 내부 나사
25 : 외부 나사 30 : 상부
33 : 목부 모서리 43 ; 원주 방향 리드
본 발명은 용기, 특히 계량컵을 포함하는 마개를 가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많은 경우에 있어서, 용기로부터 부어지는 유동 가능한 제품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계량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리를 위하여, 지금 까지는 계량컵을 용기 마개의 일부분으로서 합체하여 계량컵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게 하였다. 계량컵을 포함하는 종래의 공지된 이러한 마개의 실례는 하이노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349,056호와, 바우어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66,508호와, 스자나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566,509호에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특정한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공지의 계량컵 용기 마개에 의해 해결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변질되기 쉽고 유동 가능한 제품의 경우에 있어서, 마개는, 최종 사용자에 의해 개봉되고 냉장될 때까지 선적 및 보관 중에 용기의 내용물을 보호하는 밀봉 시일(seal)등의 내부 시일이 최초에 포장된 바와 같이 마개 내에 포함되게 하여야 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제품을 위한 마개는 최초의 내부 시일이 제거된 후에 적당한 기밀 밀봉을 제공함으로써 용기 내의 내용물이 모두 소비될 때까지 적당한 냉장 보관 중에 제품을 보호할 수 있어야 한다.
액체 커피와 같은 어떤 제품은, 표면 장력으로 인해 그러한 액체가 마개의 여러 요소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스며나오기 쉽다는 추가의 문제점을 나타냄으로서, 액체가 용기의 외부로 흘러내려 용기의 외관이 더러워지고 눈에 거슬리세 되며 상업적으로 허용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마개의 여러가지의 밀봉면은 제품이 열화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제품이 용기의 여러 틈새를 통하여 새어나와서 용기의 측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야만 한다.
모든 유동 가능 제품, 특히 물과 같은 액체에 있어서, 계량컵 내의 사용되지 않은 액페를 용기에 다시 담을때 제품이 용기 안으로 원활하고 효과적으로 흐르게하고, 계량컵 내에 남은 어떠한 제품도 용기 내로 들어가서 용기의 측면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하기 위하여 주의를 기울여야만 한다.
그러므로, 상기의 설명된 모든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계량컵 마개를 가진 신규하고 개선된 용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의 시일(original seal)을 필요로 하는 종류의 유동 가능 제품에 특히 적합하며, 최초의 시일이 제거된 후에 적당한 기밀 밀봉을 제공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계량컵형 마개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물과 같이 표면 장력을 가진 액체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은,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목부(neck)를 가진 종류의 용기와 조합하여, 요구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작용하는 다수의 마개 구성 요소들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목부를 둘러싸는 링 부재는 목부에 부착 가능한 하부 부분과, 거꾸로 뒤집힌 계량컵의 개방 단부가 삽통식으로 수납되는 상부 부분을 포함한다.
양호한 구성에 있어서, 내부 시일은 용기의 상부 개루를 밀폐하는데, 예컨대 개구 둘레의 목부의 모서리에 부착된다. 이러한 내부 시일은 액체 용기의 목부 안으로 내부 시일을 밀어 넣어 개방되는 종류이거나, 용기의 목부로부터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 시일을 천공하여 제거함으로써 개방되는 종류이거나, 탭(tab) 또는 모서리를 파지하여 내부 시일을 개구를 가로질러 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서 개방되는 종류의 것일 수 있다.
링 부재는 하부 부분으로터 상부 부분을 분할하는 내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의 바닥은 목부의 개구 둘레의 모서리와 맞물려, 내부 시일이 제거되고 링 부재가 목부 상으로 단단히 조여진 후에 플랜지의 바닥이 목부 모서리와 액체 밀봉을, 양호하게는 기체 밀봉을 형성하게 하여서, 유체가 용기의 목부와 링 부재의 하부 부분 사이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은, 계량컵의 상부 개방 단부가 뒤집혀 링 부재의 상부 부분 안으로 삽통식으로 삽입될 때 계량컵이 회전되어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의 내부와 나사 결합하도록, 계량컵의 상부 외측과 나사와 맞물리는 나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구조에 따르면, 링 부재 플랜지의 상부는 상방 및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져 있는데, 양호하게는 약 45℃의 각도로 경사져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개구를 둘러싸는 계량컵의 상부 외측은 플랜지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경사져 있다. 플랜지의 바로 위에서, 랑 부재의 내부는 원주 방향 비드(bead)를 포함한다. 계량컵과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의 나사들은, 계량컵의 개구가 링 부재의 상부 부분내로 삽입되고 나사의 결합이 개시되도록 회전되고 경사면이 플랜지의 상부와 결합 할 때, 링 부재 내에서 계량컵을 더욱 회전시키는 것이 계량컵을 하방으로 이동시켜 경사면이 프러랜지의 상부와 결합하도록 하고, 계량컵의 외측 모서리가 링 부재의 내벽 상의 원주 방향 비드에 압력을 가하도록 배열됨으로써, 계량컵과 링 부재의 상부 부분 사이에서 유체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체 밀봉을 제공한다.
일단, 내부 시일이 개방되고 최종 사용자가 제품의 일부를 소비하려 한다면, 최종 사용자는 용기에 접근하도록 링 부재가 목부로부터 벗어나 이동되지 않게 하면서 계량컵을 제거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은 링 부재의 상부 부분과 계량컵 사이의 나사의 지지력보다 훨씬 큰 지지력을 갖는 나사를 링 부재의 하부 부분과 목부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예를 들면, 목부와 링 부재의 하부 부분 사이의 나사의 피치는 계량컵의 나사와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의 나사 사이의 피치보다 더 작은 피치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계량컵을 잡고 돌릴때, 용기의 목부에 대한 링 부재의 하부 부분의 동시 회전 없이 계량컵은 즉시 해제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사용되지 않은 미리 부어 놓은 부분이 계량컵으로부터 용기 내로 다시 부어질 대 상기 부분이 마개를 통하여 용기 내로 다시 원활하게 유동하고 계량컵이 링 부재 내에 고정된 후에 어떠한 남은 액체도 용기 안으로 원활하게 다시 들어가도록 용기 및 마개가 설계된다는 것이다. 전술한 밀폐 기능을 갖는 플랜지 상부의 경사는 사용되지 않은 액체의 원활한 복귀 이동과 계량컵으로 부터 용기 내로의 액체의 잔류물의 배출을 촉진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계량컵 마개를 가진 형식의 신규하고 개선된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초의 내부 시일과, 최초의 내부 시일의 제거 후에 적당한 유체 밀봉을 필요로 하는 형식으로서 부패하기 쉬운 제품과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신규하고 개선된 게량컵 형식의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가 마개의 여러 틈새를 통해 용기의 측면 아래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물과 같은 표면 장력을 가진 액체와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전술한 형식의 신규하고 개선된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목부를 둘러싼 링 부재를 포함하며, 링 부재의 하부 부분이 용기의 목부와 결합하고,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이 링 부재의 상부 부분에 고정되는 계량컵을 가지며, 링 부재가 링 부재의 상부 부분 및 하부 부분으로 분할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의 바닥과 링 부재의 상부 부분이 용기의 목부 및 계량컵의 외부와 각각 협동하여 밀봉 표면을 형성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계량컵 형식의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목부로부터 링 부재를 동시에 제거함이 없이 계량컵을 둘러싸고 있는 링 부재로부터 계량컵이 편리하고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형식의 마개 부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 요소는 동일 참조 부호로 나타내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신규한 게량컵 마개가 합체된 용기(10)를 도시하고 있다. 용기의 마개(11)는 계량컵(12)을 포함하며, 계량컵의 하부 개방 단부는 링 부재(13) 내에 삽통식으로 수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용기는 용기 목부 비드(bead, 40)아래로부터 계량컵(12)의 상부를 따라서 또는 상부 위의 어느 지점의 높이까지 연장된 수축 목부 밴드의 형태인 겉포장(overwrap)을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2도(뿐만 아니라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면, 용기(10)는 통상적으로 유동 가능한 물질의 형태의 내용물이 채워져 있고, 본 발명의 양호한 적용에서 그 물질은 예컨대 액상 커피와 같은 액체(15)이다. 제1도 및 제2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겉포장이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업적으로 배포된 용기의 형태를 갖는 용기 및 마개(11)를 도시한다. 용기(10)는 상방으로 연장된 목부(16)를 포함하며, 목부의 상부는 원형 목부 모서리(33)를 형성한다. 용기(10)내에 담긴 제품이 부패하기 쉽다면, 포장된 상품이 최초에 상업적으로 배포될 때, 포일 내부 시일(18)이 목부 모서리(33)에 부착될 것이다. 내용물(15)의 특성에 따라 시일(18)은 기밀 시일(hermetic seal)이거나 기밀 시일이 아닐 수도 있다. 내용물이 부패하기 쉬운 액체커피라면, 포일 내부 시일(18)은 목부 모서리(33)에 밀봉 부착될 것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두 개의 다른 형태의 포일 내부 시일(18)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들 내부 시일은 기밀 시일이거나 기밀 시일이 아닐 수도 있다. 그러나, 이들 내부 시일은 개방하는 방법이 다르다. 제3도는 탭 또는 모서리(18a)가 마련되어 있고, 최종 사용자가 탭 또는 모서리(18a)를 파지하여 내부 시일을 후방으로 벗김으로써 제거되게 되는 내부 시일(18)을 도시한다. 제4도는 최종 사용자가 내부 시일(18)에 내측으로 구멍을 뚫어 개구(19)를 통해 밀어 넣어서 시일의 전체 원주 둘레에서 목부(16)의 내측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가압함으로써 개방되게 된 일종의 포일 내부 시일(18)을 도시한다. 다르게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4도의 내부 시일은 시일에 구멍을 뚫고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내부 시일을 제거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링 부재(13)와 계량컵(12)의 상세부를 제2도와 제5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5도를 보면, 링 부재(13)는 링 부재를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으로 분리하는 내측으로 향한 내부 플랜지(21)를 포함한다. 하부 부분은 목부(16)의 외부 나사(17)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20)를 포함한다. 링 부재(13)의 상부 부분은 계량컵(12)의 외부 나사(25)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22)를 포함한다. 플랜지(21)는 대체적으로 수평인 바닥(32)과 상방으로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진 상부(30)를 포함한다. 원주 방향의 밀봉 비드(43)는 플랜지(21) 바로 위에 위치되어 있다.
계량컵(12)은 바닥, 측면 및 상부 개구(24)를 포함한다[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량컵은 개구(24)가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뒤집혀 있다]. 계량컵은 양호하게는 용량 표시기를 포함하는데, 본 경우에서는 릿지(26)를 포함한다. 계량컵이 적어도 반투명이고, 투명하지 않다고 가정하면, 최종 사용자는 게량컵 내에 부어진 용량의 표시기로서 이들 릿지(26)를 사용할 수 있다. 계량컵은 또한 링 부재(13)의 내부 나사(22)와 결합하는 외부 나사(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개구(24)를 둘러싸고 한정하는 계량컵의 모서리에는 개구의 외부 부분 상에 경사 모서리(31)가 마련된다. 계량컵은 또한 바닥에서 받침 링(41)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21)는 목부(16)와 함께 적당한 기밀 또는 액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부(16)와 협동하고, 비드(43)는 계량컵의 외부와 함께 적당한 기밀 또는 액체 밀봉을 제공하기 위하여 계량컵의 외부와 협동한다. 제2도는 포일 내부 시일(18)이 제자리에 있는 상태에서 상업적으로 배포된 형태의 용기를 도시한다. 내부 밀봉 시일이 제자리에 있는 상태에서, 플랜지(21) 또는 비드(43) 및 이들의 결합면들에 의해 형성된 기밀 또는 액체 밀봉 설비는 덜 중요하다.
최종 사용자는 포일 내부 시일(18)을 여러 상이한 방법으로 제거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최종 사용자가 내부 시일(18)을 최초에 개방한 후에, 최종 사용자가 개방하는 데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변동을 위해 마개(11)가 적당한 기밀 또는 액체 밀봉을 할 수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에 대한 양호한 지시 사항은, 내부 시일(18)에 완전히 접근하도록 링 부재(13)을 제거하고 나서, 제3도의 실시에가 사용된다면 내부 시일을 후방으로 벗김으로써 내부 시일(18)을 제거하는 것이며, 또는 제4도의 실시예가 사용된다면 개구(19)를 통하여 내부 시일(18)에 구멍을 뚫고 내부 시일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내부 시일(18)을 제거하는 것이다. 몇몇 경우에 있어서 목부 모서리(33)에는 내부 시일(18)의 어떤 부분도 완전히 없을 수 있으며,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내부 시일(18)과 목부 모서리(33)사이의 접착력 및/또는 최종 사용자가 기울이는 주의 정도에 따라 내부 시일(18)의 외부 모서리의 일부분이 목부 모서리(33)에 부착된 채 남아 있을 것이다. 다르게는, 포장된 상품이 제3도의 내부 시일을 포함하든지 또는 제4도의 내부 시일을 포함하든지 간에, 많은 최종 사용자는 양호한 지시 사항에 따르지 않고 간단하게 계량컵(12)을 제거하고 나서 링 부재(13)를 제거하지 않고도 내부 시일(18)에 구멍을 뚫어 목부(16)의 개구(19)안으로 하강 시킬 것이다. 마개(11)가 내부 시일의 실시에 및/ 또는 최종 사용자의 개방순서의 이러한 어떠한 변동에 대해서도 링 부재(13)와 목부(16)사이에서 적당한 밀봉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6도는 목부 모서리(33)에서 내부 시일(18)이 목부 모서리로부터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서의 목부 모서리(33)와 플랜지(21)의 바닥(32)의 결합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 및 제8도는 내부 시일(18)의 일부분이 목부 모서리(33)상의 제위치에 남아 있을 때의 목부 모서리에 대한 플랜지의 밀봉 결합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링 부재(13)는 목부 모서리(33)에 대하여 제6도의 링 부재보다 약간 높은 높이에 있게 된다. 그러나, 제8도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도, 링 부재(13)는 바닥(32)과 목부 모서리(33)사이에서 기밀 또는 액체 밀봉을 생성하기에 충분한 힘으로 목부(16)에 나사 결합된다.
제5도 및 제6도, 또는 제7도 및 제8도는 계량컵(12)과 링 부재(13)의 내부 사이의 관계를 동일한 방식으로 도시한다. 내부 내부 나사(22) 및 외부 나사(25)는, 최하단의 개구(24) 및 계량컵(12)의 경사 모서리(31)가 플랜지(21)의 상부와 결합하기 시작하는 상태로 계량컵(12)이 링 부재(13)내로 삽통되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그리고 외부 나사(25)가 내부 나사(22)와 최초에 결합함에 따라 계량컵의 외측벽은 원주 방향 비드(43)에 대항하여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계량컵을 로킹히여 계량컵(12)과 링 부재(13)사이에서 기밀 또는 액체 밀봉을 형성하도록 위치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30)의 경사 각도는 약45도이고, 경사 모서리(31)의 각도도 또한 약45도이다.
용기가 최종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개방되고 마개가 재부착된 후에, 최종 사용자는 내용물을 완전히 소비할 때까지 여러번 용기를 재개방할 것이다. 이렇게 재개방하기 위하여, 최종 사용자는 계량컵(12)을 잡고 계량컵을 회전시켜서 이를 제거하여 용기에 접근하게 되고, 이때 링 부재(13)는 회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량컵을 용이하고 신뢰성 있게 제거하고 링 부재(13)를 신뢰성 있게 이동시키지 않게 하기 위하여, 마개는 계량컵(12)이 목부(16)에 대하여 링 부재(13)를 회전시키기에 필요한 힘보다 작은 힘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양호한 장치에 있어서, 이러한 것은 링 부재(13)의 하부 부분과 목부(16)를 상호 연결하는 나사(17,20)보다 큰 피치를 갖고 계량컵과 링 부재를 상호 연결하는 나사(22,25)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링 부재(13)를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계량컵을 용이하게 제거하게 하는 양호한 실시예이지만, 이러한 힘의 차등은 다른 방법으로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기와 마개의 각각의 부품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는 링 부재(13)와 계량컵(12)사이의 마찰력이 링 부재(13)와 목부(16) 사이의 마찰력보다 작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용 방법, 즉 작동은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하지만,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그 작동을 아래에서 간략히 요약하기로 한다.
최종 사용자는,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이 겉포장이 링 부재(13)와 링 부재의 바로 위 및 바로 아래의 틈을 둘러싸지만 제1도에 도시된 형태의 제품을 구입할 것이다. 선택 사양의 겉포장을 제거한 후에 최종 사용자는 내부 시일(18)을 제거할 것이다. 양호하게는, 최종 사용자는 내부 시일(18)에 완전히 접근하기 위하여 계량컵(12)이 여전히 부착된 상태에서 링 부재(13)를 제거하도록 지시된다. 그리고 나서, 제3도의 실시예가 사용된 경우라면 모서리 또는 탭을 후방으로 잡아 당김으로써 내부 시일(18)을 완전히 제거하도록 지시된다. 탭(18a)이 없이 제4도의 실시예가 사용된 경우라면, 다른 최종 사용자는 내부 시일(18)을 다른 방법으로 제거할 것이다. 어떤 사람은 내부 시일의 모서리를 잡거나 내부 시일에 구멍을 뚫고 내부 시일을 완전히 제거하려고 하는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내부 시일에 구멍을 간단히 뚫고 내부 시일을 목부(16)의 내부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어낼 수도 있다. 또, 다른 최종 사용자들은 이러한 양호한 작동 지시를 무시하고, 처음에 링 부재(13)가 아닌 계량컵(12)만을 제거하고, 내부 시일(18)을 목부 내로 하방으로 밀어 넣어 목부의 내벽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밀려고 할 수도 있다.
어쨌든, 최종 사용자가 내부 시일을 완전히 개방하여 내용물을 소비하고자 결정한 후에, 최종 사용자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량을 계량컵(12)내로 직접 부을 것이다. 액체 커피는 농축된 제품이므로, 제품에 따라 좌우되고 최종 사용자에 대한 지시 사항에 마련된 정밀한 비율과, 완성시의 커피의 양을 나타내는 여러 릿지(ridge)까지 소량의 액체 커피가 계량컵(12)에 채워진다. 어쨌든, 액체 제품의 선택된 양이 계량컵으로부터 최종 사용자의 커피잔, 커피포트 등의 안으로 부어진 후에, 양호하게는 용기 내로 다시 부어지게 될 소량의 잔류 부분이 계량컵내에 남아 있게 된다. 액체 커피처럼 물과 같은 표면 장력을 갖는 액체에 관하여 나타나는 하나의 문제점은 제품이 용기의 측면에 똑똑 떨어지지 않고 용기 안으로 다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계량컵이 용기 상에 고정된 후에, 어떠한 잔류분도 용기 안으로 효과적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과를 몇가지 방식으로 달성한다. 첫째, 플랜지의 바닥(32)과 목부 모서리(33)사이의 밀봉은, 용기 내로 다시 부어지거나 되돌아 가는 액체가 목부(16)와 링 부재(13)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새어 나오지 않게 한다. 둘째로, 플랜지(21)의 상부(30)상의 경사는 액체가 용기 내로 다시 원활하고 연속적이며 효과적으로 유동하게 한다. 제10도는 사용되지 않은 액체를 계량컵(12)으로부터 용기(10)안으로 다시 붓는 것을 도시하며, 액체는 플랜지(21)의 상부(30)를 가로질로 유동한다. 셋째로, 계량컵의 개방 상부는 계량컵을 적절히 취급함으로써 링 부재(13)의 상부 부분내에 완전히 끼워 맞춰지므로, 어떠한 액체도 용기(10)또는 링 부재(13)의 외부 측면 상에 떨어지지 않고 계량컵의 개방 상부는 링 부재(13)내로 하방으로 도입된다. 끝으로, 계량컵(12)이 전술한 방법으로 플랜지(21)상에 하방으로 조여짐에 따라, 플랜지 상에 남아 있는 잔류 액체는 내측으로 흘러 용기(10)내로 떨어진다. 양호하게는, 플랜지(21)는 목부 개구(19)와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그러나, 플랜지의 내경은 개구(19)의 내경보다 약간 크거나 약간 작을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은 여러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지만, 필요한 밀봉을 달성하기 위하여, 링 부재(13)와 계량컵(12)이 적당한 합성 탄성 재료로 형성될 것이 요구된다. 링 부재 또는 계량컵을 위한 양호한 재료에는 영가소성 플라스틱, 즉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사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부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Claims (17)

  1. 본체, 목부 및 계량컵 마개를 가진 유동 가능 제품용 용기에 있어서, 목부는 상부 개구를 형성하는 모서리와, 상기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개방 가능 내부 시일을 가지고, 용기의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용기는,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 분할하고 내측으로 연장된 원주 방향 플랜지를 가지고 목부를 둘러싸는 링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부분은 상기 목부에 부착되는 수단을 구비하며, 플랜지의 바닥은 액체 유동에 대해 밀봉하도록 상기 모서리와 결합 가능하고, 게량컵은 밀폐된 바닥, 측면, 상기 상부 부분내에 삽통식으로 수납가능한 개방 상부 및 상부 부분과 액체 밀봉 결합하도록 상기 게량컵 개방 상부를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링 부재는 목부와 나사 결합되고, 게량컵은 상부 부분과 나사 결합되며, 목부와의 링 부재의 나사 결합의 유지력은, 나사 풀림에 의한 계량컵의 통상적인 제거에 의해 링 부재가 목부로부터 나사 풀림되지 않도록, 계량컵과 링 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의 유지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수평 바닥과, 방사상 외측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경사진 상부를 가지며, 상기 바닥은 제거 가능한 액체 밀봉 시일을 형성하도록 상기 목부 모서리와 결합하고, 링 부재 플랜지의 상부 부분은 다른 제거 가능한 액체 밀봉 시일을 형성하도록 계량컵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플랜지의내경은 유동 가능 제품의 유동을 위한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목부 모서리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프러랜지의 상부의 경사는 약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링 부재는 목부와 나사 결합되고, 내부 시일은 목부 모서리와 플랜지의 바닥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목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내부 시일은 목부 모서리의 원주 전체 둘레에서 목부 모서리에 고정되고, 내부 시일에 목부 내로 하방으로 뚫거나 내부 시일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내부 시일은 목부 모서리의 원주 전체 둘레에서 목부 모서리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벗겨지는 모서리 또는 탭을 구비하며, 탭을 후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제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시일은 목부 모서리에 고정된 기밀 시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계량컵을 링 부재에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는 수단은 계량컵과 링 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링 부재 플랜지의 상부는 방사상 외측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경사지며, 계량컵의 개방 상부는 개구의 외부 상에서 경사부를 구비하고, 링 부재의 내부는 원주 방향 비드를 포함하며, 게량컵과 링 부재의 결합 나사들은 경사부가 플랜지의 경사진 상부와 결합함에 따라 최초로 서로 결합하여, 이들 각각의 나사들을 더욱 결합시키기 위하여 링 부재 내에서 계량컵을 더욱 회전시키는 것이 탄성 압력을 야기하여서 계량컵의 외부와 링 부재의 비드 사이에서 액체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2. 액체 커피 등의 부패성 액체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상부 개구를 형성하는 모서리까지 상방으로 연장된 목부와, 목부 모서리에 고정된 제거 가능 기밀 시일과, 하부 부분과,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 분할하고, 내측으로 연장된 원주 방향 플랜지와, 플랜지 바로 위에 있는 원주 방향 비드를 구비하며, 목부를 둘러싸는 링 부재와, 밀폐된 바닥, 측면, 개방 상부 및 상기 상부 부분과 액체 밀봉 결합하도록 개방 상부를 제거 가능하게 로킹하는 수단을 가지고, 용기로부터 부어지는 액체를 수납하여 분배하도록 되어 있으며, 개방 상부가 링 부재의 상기 상부 부분 내에 삽통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계량컵을 포함하고, 플랜지의 바닥은, (가)내부 시일이 완전히 제거된 경우에 플랜지 바닥이 목부 모서리와 직접 결합하든지 또는 (나)내부 시일이 내부 시일의 외측 모서리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경우에 플랜지 바닥이 내부 시일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여 액체 밀봉시키도록 하든지 간에, 플랜지 바닥과 목부 모서리 사이에서 액체가 유동하지 않도록 액체 밀봉 시일을 제공하기 위하여 목부 모서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상부는 액체가 용기 내부로 그리고 외부로 유동하게 하는 매끄러운 경사면을 제공하도록 상방으로 그리고 방사상 외측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내경은 액체가 용기 내부로 그리고 외부로 유동하게 하는 연속적인 표면을 형성하도록 목부 모서리의 내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플랜지의 상부의 경사는 약45°인 것을 특증으로 하는 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링 부재는 목부와 나사 결합되고, 게량컵은 링 부재의 상부 부분과 나사 결합되며, 목부와의 링 부재의 나사 결합의 유지력은, 나사 풀림에 의한 계량컵의 통상적인 제거에 의해 링 부재와 목부 모서리 사이의 액체 밀봉 시일이 개방되지 않도록, 계량컵과 링 부재 사이의 나사 결합의 유지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7. 제12항에 있어서, 계량컵은 링 부재의 내부와 나사 결합되고, 링 부재 플랜지의 상부는 방사상 외측으로 그리고 상방으로 경사지며, 계량컵의 개방 상부는 개구의 외부 상에서 경사부를 구비하고, 링 부재의 내부는 원주 방향 비드를 포함하며, 계량컵과 링 부재의 결합 나사들은 경사부가 플랜지의 경사진 상부와 결합하자마자 최초로 서로 결합하여, 이들 각각의 나사들을 더욱 결합시키기 위하여 링 부재 내에서 계량컵을 더욱 회전 시키는 것이 탄성 압력을 야기하여서 계량컵의 외부와 링 부재의 비드 사이에서 액체 밀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19910004061A 1990-03-15 1991-03-14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KR0163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94,116 1990-03-15
US07/494,116 US5078289A (en) 1990-03-15 1990-03-15 Container with measuring cup clos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579A KR910016579A (ko) 1991-11-05
KR0163786B1 true KR0163786B1 (ko) 1998-12-01

Family

ID=23963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061A KR0163786B1 (ko) 1990-03-15 1991-03-14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78289A (ko)
EP (1) EP0447091B1 (ko)
JP (1) JPH05124668A (ko)
KR (1) KR0163786B1 (ko)
AT (1) ATE116245T1 (ko)
CA (1) CA2037073A1 (ko)
DE (1) DE69106181T2 (ko)
DK (1) DK0447091T3 (ko)
ES (1) ES2065615T3 (ko)
GR (1) GR3015019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1838C2 (de) * 1992-07-03 1995-05-11 Henkel Kgaa Verschluß für einen Behälter für schütt- oder fließfähiges Gut
US5316054A (en) * 1993-04-30 1994-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elf-contained package for housing, dispensing and diluting concentrated liquid
ES2132319T3 (es) * 1994-02-10 1999-08-16 Procter & Gamble Envase con un sistema de cierre ligero de peso.
US6037570A (en) * 1997-07-03 2000-03-14 Noles; Terry T. Portable brewing pot for use in vehicles
USH2044H1 (en) 1998-11-02 2002-09-03 Mcneil-Ppc, Inc. Container with retaining member
USD416793S (en) * 1998-11-02 1999-11-23 Mcneil-Ppc, Inc. Container, retaining member and dispensing instrument
US6330960B1 (en) 1999-06-04 2001-12-18 Mcneil-Ppc, Inc. Squeeze dispenser
US6390341B1 (en) * 2000-03-02 2002-05-21 Japan Crown Cork Co., Ltd. Container closure with outflow tube
US7036693B2 (en) * 2001-12-05 2006-05-02 Masterchem Industries Llc Paint container
US6897260B2 (en) * 2003-02-06 2005-05-24 Plastic Suppliers, Inc. Longitudinal shrink films
US20040178164A1 (en) * 2003-03-10 2004-09-16 Konefal Robert S. Closure and container package having child-resistant and non-child-resistant modes of operation
US7040499B1 (en) * 2003-04-02 2006-05-09 Reif Michael Y Container with primary closure and a secondary closure
CN100336702C (zh) * 2004-02-17 2007-09-12 梅加特雷德国际公司 带手握持带和不锈钢瓶体的容器
US8133558B2 (en) * 2004-08-30 2012-03-13 Plastics Suppliers, Inc. Polylactic acid blown fil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7147020B2 (en) * 2005-02-22 2006-12-12 Bronner Nathaniel H Container with drip-resistant measuring cap
MX2007013057A (es) * 2005-04-19 2008-01-14 Plastic Suppliers Inc Peliculas termoencogibles de acido polilactico y metodos de fabricacion de las mismas.
US7552831B2 (en) * 2005-11-03 2009-06-30 Morris Catton Reversible nipple adapter
ES2615341T3 (es) 2005-11-21 2017-06-06 Plastic Suppliers, Inc. Métodos de moldeo de películas encogibles de ácido poliláctico
US20080044314A1 (en) * 2006-06-23 2008-02-21 Cephalon, Inc. Pharmaceutical measuring and dispensing cup
DE102007014622A1 (de) 2007-03-23 2008-09-25 Nordzucker Ag Verpackung für fließfähige, insbesondere pulverförimige oder flüssige Produkte
US7775393B1 (en) 2007-05-09 2010-08-17 Vladimir Feldman Combination closure-cup assembly
WO2009011982A1 (en) * 2007-07-16 2009-01-22 Javavoo, Llc French press brewing system
WO2009099754A2 (en) * 2008-02-01 2009-08-13 Mentesh William M Measuring cap
US8100008B2 (en) 2008-02-01 2012-01-24 Mentesh William M Measuring cap
US8287177B2 (en) * 2008-07-16 2012-10-16 Chef'n Corporation Cocktail mixer with rotatable top
US20100038273A1 (en) * 2008-08-13 2010-02-18 Johnson David T Sleeve, system and/or method for concealing a surface of a container
JP5245709B2 (ja) * 2008-10-16 2013-07-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締結構造及びこれを備える流体フィルタ
DE202009002838U1 (de) * 2009-02-14 2009-05-28 SCHäFER WERKE GMBH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Getränkebehälters mit einem Fitting
USD666495S1 (en) 2010-11-15 2012-09-04 Drug Plastics & Glass Company, Inc. Dosage cap
USD707555S1 (en) 2012-01-20 2014-06-24 Gateway Plastics, Inc. Closure with integrated dosage cup
US8899437B2 (en) 2012-01-20 2014-12-02 Gateway Plastics, Inc. Closure with integrated dosage cup
NZ706962A (en) 2012-11-10 2017-02-24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ntainer with a removable measuring cap
USD743279S1 (en) 2014-04-01 2015-11-17 Andrew Schwartz Measuring cup
US10392239B2 (en) * 2016-07-29 2019-08-27 Berry Plastics Corporation Liquid dispense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43427A (en) * 1951-02-27 Measuring cup
US814503A (en) * 1905-07-11 1906-03-06 Agfa Ag Receptacle.
US3217917A (en) * 1962-12-06 1965-11-16 Warren T George Connector
US3433378A (en) * 1967-02-20 1969-03-18 Donald J Ross Medicament container cap
US3581927A (en) * 1968-09-23 1971-06-01 Weck & Co Inc Edward Container closure
US3684120A (en) * 1970-09-22 1972-08-15 Monsanto Co Package for dispensing measured amounts of liquid
US3826395A (en) * 1973-05-03 1974-07-30 Sunbeam Plastics Corp Leak-proof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4269319A (en) * 1977-07-11 1981-05-26 Rubens George J Fluid measuring container closure cap
GR71916B (ko) * 1979-12-29 1983-08-16 Procter & Gamble
US4336891A (en) * 1980-06-09 1982-06-29 Smithy, Inc. Adapter closure
US4416381A (en) * 1981-11-27 1983-11-22 Swartwout Everett W Bottle cap with integral measuring cup and bottle closure
EP0109704B1 (en) * 1982-11-17 1987-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product pouring and measuring package with self draining feature
US4566509A (en) * 1984-07-09 1986-01-28 Continental Plastic Containers, Inc. Closure unit including measuring cup
US4566508A (en) * 1984-12-17 1986-01-28 Ethyl Molded Products Company Self-draining closure
DE3709777A1 (de) * 1987-03-25 1988-10-06 Berg Jacob Gmbh Co Kg Dosierverschlusskap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124668A (ja) 1993-05-21
DK0447091T3 (da) 1995-03-20
DE69106181T2 (de) 1995-05-11
EP0447091B1 (en) 1994-12-28
US5078289A (en) 1992-01-07
EP0447091A3 (en) 1992-01-22
KR910016579A (ko) 1991-11-05
GR3015019T3 (en) 1995-05-31
EP0447091A2 (en) 1991-09-18
DE69106181D1 (de) 1995-02-09
ATE116245T1 (de) 1995-01-15
CA2037073A1 (en) 1991-09-16
ES2065615T3 (es)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3786B1 (ko) 계량컵형 마개를 갖는 용기
US6250346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US3402855A (en) Mixing container
US6263923B1 (en) Device for maintaining separate ingredients in liquid food products
US4039435A (en) Unitary compartmentalized container
RU2596450C2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детской молочной смеси
EP1727739B1 (en) Volumetric dispenser
US4545508A (en) Plastic closure for grated cheese or the like
US4699290A (en) Sanitary tamperproof double closure container end cap
US4917270A (en) Closure device with pouring nozzle and pouring spout metering stopper
US3295726A (en) Container neck cap and seal arrangement
US3237816A (en) Measuring dispenser
IE52698B1 (en) Container unit
GB2159490A (en) Combination container for two liquids
US3045723A (en) Sanitary container closure with dispenser
US3704819A (en) Resealable closure for bottles and other containers
US4925063A (en) Container having a dual purpose cap and a dripless spout
EP0654417A1 (en) Refillable package
KR101296093B1 (ko) 마개 장치
US2882947A (en) Plastic container
CA1296295C (en) Two-piece screw closure for containers
US5823379A (en) Sealed container for hazardous material
US2862637A (en) Supplementary container for use with receptacle closures
JP2004106856A (ja) 副容器を備えた容器蓋
US3318483A (en) Compartmented squeeze dispen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