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743B1 -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743B1
KR0163743B1 KR1019950040290A KR19950040290A KR0163743B1 KR 0163743 B1 KR0163743 B1 KR 0163743B1 KR 1019950040290 A KR1019950040290 A KR 1019950040290A KR 19950040290 A KR19950040290 A KR 19950040290A KR 0163743 B1 KR0163743 B1 KR 0163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mitter
bipolar transistor
heterojunction bipolar
hb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0884A (ko
Inventor
이태우
박문평
송기문
박성호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50040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3743B1/ko
Publication of KR970030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0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H01L29/737Hetero-junction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04Emitter regions of bipolar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고온 및 고전압 상태에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작할 수 있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들의 에피성장 기술을 이용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층은 고온 및 고전압하에서 HBT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베이스로부터 에미터로의 정공 역주입을 극소화시키기 위하여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중 가장 큰 에너지 대역을 갖는 AlyGa1-yInxP1-x로 구성되고, 상기 HBT의 콜렉터층은 베이스-콜렉터간의 항복 파괴전압을 개선할 수 있도록 GaxIn1-xP로 이루어진 AlGaInP/GaAs/GaInP 적층구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수직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및 고전압 상태에서 우수한 성능을 유지하면서 동작할 수 있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이하, HBT라 약함)는 에미터와 베이스간에 이종접합을 형성하고 에미터의 에너지 밴드갭(Energy Bandgap)을 베이스의 것보다 크게 하여, 베이스로부터 에미터로의 소수 캐리어의 주입을 차단할 수 있는 특징을 찾는다.
이에 따라, 실리콘에 비해 높은 캐리어 이동도를 갖을 뿐만아니라 화합물 및 조성비에 따라 에너지 밴드갭을 자유로이 제어할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 재료의 특성을 HBT의 제작에 활용함으로써, 에미터 주입효율을 더 높게 유지하고, 활성 베이스 영역의 저항을 낮게 유지하고자 하는 연구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하여 제작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항목으로는,
첫째, 고온 및 고전압 상태에서 HBT의 동작 성능을 크게 제한하는 베이스에서 에미터로의 소수 캐리어의 역주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야 하며,
둘째, 항복 파괴전압이 높아야 한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현재 개발된 화합물 반도체 HBT는 에미터/베이스/콜렉터로서, AlGaAs/GaAs/GaAs의 적층구조가 사용되고 있으나, 고온 및 고전압용으로서, 또한 항복 파괴전압의 증대 측면에서 한계를 나타내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 AlGaAs와 같은 Ⅲ-Ⅴ족 계통이면서 보다 큰 에너지 대역을 갖는 대체 화합물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고온 및 고전압하에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높은 항복 파괴전압을 갖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들의 에피성장 기술을 이용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층은 고온 및 고전압하에서 HBT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베이스로부터 에미터로의 정공 역주입을 극소화시키기 위하여,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중 가장 큰 에너지 대역을 갖는 AlyGa1-yInxP1-x로 구성되고, 상기 HBT의 콜렉터층은 베이스-콜렉터간의 항복 파괴전압을 개선할 수 있도록 GaxIn1-xP로 이루어진 AlGaInP/GaAs/GaInP 적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미터층과 상기 베이스층과의 격자정합 및 전도대 스파이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AlyGa1-yInxP1-x에미터층의 알루미늄의 성분비 y가 0.2부터 0까지 변화되는 그레이딩(grading)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미터층은 알루미늄 성분비 y가 15%인 Al0.15Ga0.85InP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콜렉터층은 GaAs 베이스층과의 격자정합(lattice match)을 위하여 조성비 x=0.52인 Ga0.52In0.48P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온 및 고전압에서의 응용을 위하여, 에미터층 뿐만아니라 콜렉터층에서도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다.
특히,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중에서도 가장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AlGaInP를 에미터층에 사용하고 콜렉터층에는 GaInP를 사용하여 HBT의 큰 장점중의 하나인 우수한 에미터 전자 주입효율을 유지하면서, 고온 및 고전압에서도 내성을 갖는 HBT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만을 이용하여 HBT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인 유기금속 화학기상증착법(MOCVD)이나 분자선 에피택시(Molecular Beam Epitaxy)와 같은 성장방법을 이용하여 에너지 대역을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는 화합물 반도체 재료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통상의 AlGaAs 에미터/GaAs 베이스 구조의 HBT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GaInP/GaAs 구조는 에미터-베이스간의 총 에너지 대역 차이중 전도대(conduction band) 에너지 스파이크(ΔEc)의 비율이 작으며, 산소와의 반응을 무시할 수 있고, 접합 경계면 성능이 우수하므로 종래의 AlGaAs의 대체 화합물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현재, 100GHz 이상의 차단 및 최대 공진주파수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GaInP/GaAs/GaAs SHBT(Single HBT)의 항복 파괴전압을 개선하기 위하여, 콜렉터층에 에너지 대역이 1.4eV인 GaAs 대신에 1.9eV의 밴드 갭을 갖는 GaInP을 사용함으로써, 에너지 대역의 1.5승에 비례하는 항복 파괴전압을 약 60% 가까이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고온 및 고전압하에서 HBT의 동작 성능을 크게 제한하는 베이스에서 에미터로의 정공 역주입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에미터층의 에너지 대역을 최대한 증가시키면서 가전대(valance band)의 에너지 불연속 비율(ΔEv/ΔEg)을 증대시키고자 GaInP 에미터층에 적정량의 알루미늄 성분을 첨가한 AlyGa1-yInP층을 사용하였다.
실험 측정 결과에 의하면, GaInP/GaAs 이종접합에서 ΔEc=0.2eV, ΔEv=0.3eV이나, GaAs 베이스층 위에 GaInP 에미터층을 성장하는 과정에서 자연적으로 그레이딩이 이루어져. ΔEc≒30meV 정도가 되므로 Al 성분을 에미터층에 삽입하는 경우 Al의 그레이딩에 의하여 전도대 스파이크(ΔEc)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된 HBT의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참조부호 10은 불순물이 도핑되지 않은 반절연성 GaAs 기판을, 12는 Si이 고농도로 도핑된 약 2500Å 두께의 n+GaAs 부콜렉터층을, 14는 Si이 도핑된 n형의 GaInP 콜렉터층을, 16은 카본(C)이 고농도로 도핑된 p+GaAs 베이스층을, 18은 Si이 도핑된 nAlGaInP 에미터층을, 19는 GaInP 에미터 캡층을 각각 나타낸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HBT에서, 상기 베이스층(16)은 높은 차단 및 최대 공진주파수를 얻기 위하여, 3-5×1019/cm3의 고농도로 카본을 도핑하고 두께를 약 700-1000Å 정도로 극박막으로 에피 성장시킨다.
상기 에미터 캡층(19)과 콜렉터층(14)에 사용된 GaxIn1-xP는 상기 GaAs 베이스층(16)과의 격자상수 일치를 위하여, 조성비 x=0.52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에미터층(18)에 사용된 AlyGa1-yIn0.48P는 알루미늄 성분비 y=0.3 범위에서 에너지 대역이 직접 대역에서 간접 대역으로 바뀐다는 것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y=0에서 0.2까지는 전류 이득이 증가하나 y=0.2 이상에서는 전류 이득이 일정 또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에미터의 Al 성분비 y를 약 0.15 정도로 하고, AlGaInP 에미터의 양면으로 Al 성분비를 그레이드하여 상기 에미터 캡층(19)과 베이스층(16)으로 격자 상수를 일치시키면서 에미터-베이스 사이의 불필요한 전도대 스파이크를 최소화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AlGaAs/GaAs 또는 InP/InGaAs 구조의 SHBT에 비하여, 높은 항복 파괴전압을 가지고 고온 및 고전압에서 동작이 가능한 전력 소자로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으로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하다.

Claims (4)

  1.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들의 에피성장 기술을 이용한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HBT)에 있어서,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층은 고온 및 고전압하에서 HBT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베이스로부터 에미터로의 정공 역주입을 극소화시키기 위하여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중 가장 큰 에너지 대역을 갖는 AlyGa1-yInxP1-x로 구성되고, 상기 HBT의 콜렉터층은 베이스-콜렉터간의 항복 파괴전압을 개선할 수 있도록 GaxIn1-xP로 이루어진 AlGaInP/GaAs/GaInP 적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층과 상기 베이스층과의 격자정합 및 전도대 스파이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AlyGa1-yInxP1-x에미터층의 알루미늄의 성분비 y가 0.2부터 0까지 변화되는 그레이딩(grading)층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미터층은 알루미늄 성분비 y가 15%인 Al0.15Ga0.85InP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렉터층은 GaAs 베이스층과의 격자정합(lattice match)을 위하여 조성비 x=0.52인 Ga0.52In0.48P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1019950040290A 1995-11-08 1995-11-08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KR0163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290A KR0163743B1 (ko) 1995-11-08 1995-11-08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290A KR0163743B1 (ko) 1995-11-08 1995-11-08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884A KR970030884A (ko) 1997-06-26
KR0163743B1 true KR0163743B1 (ko) 1998-12-01

Family

ID=19433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290A KR0163743B1 (ko) 1995-11-08 1995-11-08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3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904A (zh) * 2017-03-31 2017-07-14 成都海威华芯科技有限公司 一种GaAs声电集成器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614B1 (ko) * 2000-07-05 2003-04-10 한국과학기술원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2904A (zh) * 2017-03-31 2017-07-14 成都海威华芯科技有限公司 一种GaAs声电集成器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0884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vorak et al. 300 GHz InP/GaAsSb/InP double HBTs with high current capability and BV/sub CEO/> 6 V
US5177583A (e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Bhat et al. InP/GaAsSb/InP and InP/GaAsSb/InGaAsP doubl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with a carbon‐doped base grown by organometallic chemical vapor deposition
Hanson et al. Comparison of In/sub 0.5/Ga/sub 0.5/P/GaAs single-and double-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with a carbon-doped base
US7482643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9980034078A (ko) 핫 전자 장치(Hot Electron Device) 및 공진 터널링 핫 전자 장치
US4821082A (e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with substantially aligned energy levels
US542995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US5349201A (en) NP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including antimonide base formed on semi-insulating indium phosphide substrate
US5003366A (e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KR20040012518A (ko) 반도체 장치
US5571732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bipolar transistor
Wu et al. Small offset-voltage In/sub 0.49/Ga/sub 0.51/P/GaAs double-barrier bipolar transistor
US5814843A (e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aving a graded-composition base region
US6049099A (en) Cadmium sulfide layers for indium phosphide-based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US20070096150A1 (en)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US6797996B1 (en) Compoun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4799938B2 (ja)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KR0163743B1 (ko) 이종접합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Matine et al. Nearly ideal InP/GaAsSb/InP doubl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with ballistically launched collector electrons
US5612551A (en) AlPSb/InP singl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on InP substrate for high-speed, high-power applications
US20020125498A1 (en) Method of preparing indium phosphid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Wang et al. AlGaAs/GaAs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with a two‐dimensional electron gas emitter
JP3952815B2 (ja) 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Ezis et al. A high-gain (Ga, Al) As/GaAs heterostructure bipolar transistor with an equilibrium-depleted spike-doped b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