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3031B1 -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3031B1
KR0163031B1 KR1019900004110A KR900004110A KR0163031B1 KR 0163031 B1 KR0163031 B1 KR 0163031B1 KR 1019900004110 A KR1019900004110 A KR 1019900004110A KR 900004110 A KR900004110 A KR 900004110A KR 0163031 B1 KR0163031 B1 KR 016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compound
retardant polymer
compou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494A (ko
Inventor
레오폴드 마리 시리어 요하네스
루이스 댄포오스 리차드
게일 스미스 댈런
Original Assignee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629530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016303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7/332,250 external-priority patent/US4885328A/en
Priority claimed from GB898910011A external-priority patent/GB8910011D0/en
Application filed by 오노 알버어스, 셀 인터나쵸나아레 레사아치 마아츠샤피 비이부이 filed Critical 오노 알버어스
Publication of KR90001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3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oxygen or oxygen and carbon,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G2/00 - C08G65/00
    • C08G67/02Copolymers of carbon monoxide and aliphatic unsaturat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Polyether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본 발명은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특히 일산화탄소 및 최소한 하나의 엘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그러한 난연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중합체의 일반적인 부류가 최근 몇 년 동안 알려져 왔다. 미합중국 특허 제 2,495,286 호에 따라, 비교적 낮은 일산화탄소 함량을 가지는 이러한 중합체가 벤조일퍼옥시드와 같은 자유 라디칼 촉매의 존재 하에서 제조된다. 영국 특허 제 1,081,304 호는 촉매로서 팔라듐의 알킬포스핀 복합체의 존재 하에 제조되는 높은 일산화탄소 함량의 그러한 중합체를 공개한다.
보다 최근에, 폴리케톤으로 공지되는 일산화탄소 및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중합체의 부류가 개선된 제조 방법에 의하여 일부분에서 더 큰 흥미를 가진다.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제 181 014 호 및 제 212 965 호에 의해 개시된다. 공개된 방법은 그중에서도 특히 팔라듐과 같은 VIII 족 금속의 화합물, 2 이하의 pKa를 가지는 비(非)-히드로겐산의 음이온 및 인의 두자리 리간드를 사용한다. 결과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음식 및 음료용 용기 및 자동차 공업용 부품 및 건설 공업에서 사용되는 구조적 구성물과 같은 제품의 제조에서 이용성을 가지는 고분자량 열가소성 중합체이다.
공공의 적용에서 체용되는 모든 가소성 물질에 있어서, 불이 붙고 연소하는 물질의 영향에 대하여 어느 정도의 관심을 기울여야만 한다. 다른 것보다 쉽게 연소되는 몇몇 중합체가 공지되어 있다. 중합체,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는 연소시 난연 효과를 가지는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그러나, 이들 몇몇 가스성 화합물의 독성 및/또는 부식 성질에 의하여, 이러한 중합체의 적용 또는 그들을 기재로 한 제품이 제한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중합체, 예컨대 연소시 난연성 가스성 화합물을 형성하지 않는 중합체에 있어서는, 분해시 예컨대 이산화탄소 및 물과 같은 난연 가스성 화합물의 형성에 의해 난연성을 제공하는 화합물을 혼입시키므로써 나연성을 가지게 할 수도 있다.
많은 다른 중합체와는 달리, 상기 언급된 일산화탄소 및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매우 높은 융점에 의해 특징지워지는데, 상기 융점의 실제 값은 상기 불포화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의 성질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높은 융점은, 상기 중합체를 기재로 한 난연성 중합체의 제조에서 문제로 되는데, 이는 그러한 제조가 일반적으로 상기 융점 보다 상당히 더 높은 가공 온도를 요구하기 때문이다. 몇몇의 난연성 조성물은 상기 제조에 대해 요구된 것처럼 고 전단 및 고온 조건 하에서 너무 빨리 분해되어 난연성의 효과가 적어지고 동시에 가공하는 동안 중대한 문제가 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761,449 호에 따라서, 상기 공중합체 내에 탄산칼슘과 같은 알칼리 토금속(중) 탄산염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개선된 난연성을 보여주고는 있지만, 개선되어야 할 문제들이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25 중량% 이하의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불과 27~27.5의 극한 산소 지수(LOI Limiting Oxygen Index) 값을 가진다. 많은 상업적 적용에 있어서는 30 이상의 LIO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케톤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은 가능한 한 많이 보유되어야 하므로 상업적인 조성물을 얻기 위해 필요한 난연제의 양은 가능한 한 적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갖지 않는 상기 일산화탄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난연성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지속적이고 광범위한 연구 및 실험의 결과로서, 이제 공중합체로 혼입되는 동안 분해되지 않거나 거의 분해되기 힘든 선택된 화합물 및 상기 일산화탄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난연성 조성물을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고, 여기서 상기 화합물은 연소시 상기 중합체 조성물로부터 가스성 난연 화합물의 향상된 생성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와 하나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 및 분해시 난연성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난연량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옥살산염 및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성 또는 잠재적으로 염기성 반응 금속 화합물이고, 상기 중합체의 결정 융점 보다 25℃ 이상 더 높은 초기 분해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중합체는 일산화탄소 및 최소한 하나의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중합체이다. 적절한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은 20 개 이하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10 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지는, 완전히 지방족인 탄화수소, 예컨대 에틸렌 및 프로필렌, 부텐-1, 옥텐-1 및 도데켄-1 과 같은 기타의 α-올레핀 지방족 분자 상의 아릴 치환체, 특히 스티렌, p-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및 p-에틸스티렌과 같은 에틸렌 불푸화 탄소원자 상에 아릴 치환체를 함유하는 아릴 지방족 화합물; 및 O, N, P 및 할로겐과 같은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불포화 화합물을 포함하고,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운데센산, 6-클로로헥센, N-비닐피롤리돈 및 비닐-포스폰산의 디에틸에스테르와 같은 화합물에 의해 예시된다. 바람직한 중합체는 일산화탄소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또는 일산화탄소, 에틸렌 및 3 개 이상의 탄소 원자의 이차 지방족 α-올레핀, 특히 프로필렌의 삼원 공중합체이다.
중합체의 물리적 성질은 분자량 및 중합체가 공중합체인지 삼원 공중합체인지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전형적인 융점은 175℃~300℃ 이고, 보다 전형적으로 210℃~280℃ 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에서 바람직한 삼원공중합체는 중합체 내의 에틸렌 및 프로필렌의 삼원 공중합체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기성-반응 화합물은 유리 상태에서 산과 반응하여 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 그 자체가 강염기 또는 약산의 염이고 물에 의해 가수분해 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용어 잠재적인 염기성 반응 화합물은 예컨대, 분해기 염기성-반응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을 언급한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용어 난연량은 어느 정도의 난연 효과를 가지기에 충분한 양의 상기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하는 상기 화합물의 양을 말한다. 어떤 화합물들은 다른 것들 보다 더욱 쉽게 상기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난연량은 화합물의 성질에 따라 상당히 다양하다. 상기 화합물의 성질이 어떠하든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양은 일반적으로 최종 조성물의 최소 부분으로 구성될 것이다. 난연성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바람직하게는 2~40 %m,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 %m 를 구성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m 는 질량 퍼센트를 말한다.
용어 초기 분해 온도는 Thermochim Acta(1981), pp. 207-218에서 기술된, 분당 1℃ 의 가열 속도를 사용하는 열무게 측정 분석 수단에 의해 측정된 바와 같이, 화합물이 분해를 시작하는 온도이다.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금속 화합물은, 이후에 난연성 화합물로 언급되는 화합물, 예컨대, 연소가 일어나는 조건 동안 분해에 의해 난연성을 가지는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보다 큰 화합물 군에 속한다. 이러한 화합물은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것처럼, 일산화탄소 공중합체가 난연성 화합물의 상기 군의 염기성이거나 잠재적으로 염기성인 반응종과 결합할 때, 놀랍게 효과적인 난연성 조성물이 얻어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임의의 이론에 얽매임 없이, 염기성 화합물의 존재 하에서는 다른 무엇 보다도, 물을 생성하는 반응이 중합체 내에 유도될 수 있다고 믿어지며, 이는 미합중국 특허 제 3,979,373 호 및 영국 특허 명세서 제 613,180 호의 기재와도 잘 관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예컨대 탄화수소 중합체에 의해서는 일어날 수 없을 것이다. 이러한 반응을 선호하는 조건은 일반적으로 정규적인 사용 하에서는 그러한 중합체 또는 그 중합체를 기재로 한 생성물이 따르지 않는 조건일 것이다.
이러한 문맥에서, 그들의 잠재적으로 염기성인 성질의 관점에서, 다수의 금속 산화물 또는 상기한 일산화탄소 공중합체와의 조합으로 난연성 화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은 난연성 가스성 화합물을 생산하기 위해 분해되지 않고, 또한 활성 염기성 화합물이 되기 위해 물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상응하는 옥살산염 및 수산화물에 비교하여 덜 효과적인 것으로 느껴진다. 바람직한 난연성 금속 화합물은 주기율표의 I 족, IIA 족 및 IIB 족의 금속을 기재로 한 금속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이러한 화합물은 옥살산 칼슘, 수산화 마그네슘 및 수산화 칼슘을 포함한다. 이러한 IIB 족 금속 기재 화합물, 환언하면 알칼리 토금속의 옥살산염 및 수산화물, 특히 그들의 수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며, 마그네슘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난연성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미세 분말형으로 구입 가능하고, 이때, 평균 입자는 비록 더 작거나 더 큰 평균 입자 크기가 배제되지는 않으나 0.05μ ~ 100μ 이다.
난연성 화합물들은 그 자체로서 사용될 수도 있지만, 두 개 이상의 상기 난연성 화합물의 혼합물 뿐 아니라 하나 이상의 상기 난연성 화합물과 다른 난연성 화합물과의 혼합물로도 또한 본 발명의 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언급된 난연성 화합물, 즉 특히 금속 수산화물 같은 강한 염기성-반응 난연성 화합물들을 함유하는 조성물들은 때때로, 특히 상기 화합물들이 비교저기 높은 농도로 존재할 때, 수용할 수 없을 정도의 열화를 나타내는 것을 관찰하였다. 입자를 예비 처리, 즉 중합체 내에 분산시키기 전에 입자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열화가 극복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당히 감소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예비 처리의 예는 무기산, 실란, 실리콘유, 지방산 및 지방산 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수성 매질 내에서 상기 입자와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붕산은 바람직한 무기 처리제이고, 스테아르산은 바람직한 지방산이며 스테아르산 나트륨 및 올레산 나트륨은 바람직한 이러한 지방산염이다. 지방산은 일반적으로 공지되고 일반적으로 일반식 CnH2n+1COOH(여기서, n은 6~24 임)을 가지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비교적 낮은 정도, 예컨대 0.01~5 중량%의 난연제가 유용하다. 특정의 중합 물질 내에서 그들의 분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예컨대 금속 수산화물 또는 산화 금속 수산화물을 예비 처리하는 방법들이 공지되어 있으며, 현재는 이러한 방법들에 의하여 난연성 분말들이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난연성 조성물이 강한 염기성-반응 난연성 화합물을 기재로 할 때, 이러한 예비 처리된 입자의 형태인 그러한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예비 처리된 난연성 입자는 스테아르산 또는 붕산으로 처리된 입자이다. 상표명 제로겐 35 (Zerogen 35)로 시판되는 스테아르산으로 개질시킨 수산화 마그네슘이 특히 적절하다. 330℃ 이상의 온도 안정성, 즉 분해 온도를 가진다.
난연성 조성물은 폴리케톤 중합체를 통해 난연성 화합물을 혼합시키므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을 형성하는 방법은, 폴리케톤 중합체의 최소한 외부층을 통해 상기 난연성 화합물의 균일 화합물이 되는 한, 그렇게 까다롭지는 않다. 제조되는 형태로서 유용한 조성물의 제조에 있어서는, 조성물의 최외곽 부분에만 이러한 난연성 화합물이 제공되면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적용에 있어서는, 난연성 조성물은 이후에 더 가공될 형태로 생산되고, 이러한 적용에 있어서, 폴리케톤 중합체 및 난연성 화합물의 실질적으로 균일한 혼합물의 제조가 바람직하다. 임의의 변형에서, 조성물은 미립 형태인 성분을 건조 블렌딩시키므로써 제조되고, 계속해서 열 및 압력의 적용에 의해 실질적으로 균일한 조성물로 전환된다. 대안적으로는, 조성물은 용융될 때까지 폴리케톤 중합체를 가열시키므로써 제조되고, 난연성 화합물은 고-전단 혼합기 또는 압출기의 사용에 의해 중합체를 통해서 혼합된다.
중합체 및 난연성 화합물 외에 중합체 조성물은 조성물의 난연 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다른 통상적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이형제, 산화 방지제 및 가소제가 있으며, 이들은 난연성 화합물과 함께 또는 난연성 화합물과는 별도로 블렌딩 또는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첨가된다. 대안적인 실시 양태에서,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또는 조성물 내에 혼입되어 수산화물 또는 옥살산염의 일부를 대체할 수 있다. 고려해 볼 때, 탄산염의 첨가가 경제적이다. 탄산염 칼슘이 바람직하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60~85% 의 폴리케톤 중합체, 5~30% 의 수산화물 또는 옥살산염, 및 5~20% 의 알칼리 토금속 탄산염, 특히 60~85% 의 폴리케톤 중합체, 20~30% 의 수산화물 또는 옥살산염, 및 5~10% 의 알킬리 토금속 탄산염으로 구성되고, 단 탄산염에 대한 수산화물/옥산산염의 상대량이 최소한 1, 바람직하게는 최소한 2 이어야 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퍼센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합하여 100% 가 되어야 한다.
난연성 조성물을 사출 성형, 가압 성형 또는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난연성 외에 가요성 및 강도에 의해 특성화되고, 특히 고온에 노출될 것으로 보이는 다양한 적용에서 유용하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 예증될 것이다. 모든 실험에서, 난연성은 ASTM D2863-77 에 따르는 극한 산소 지수를 측정하므로써 측정된다. 본 시험은 시험 스트리프 상에서 180 초 동안 불꽃을 개시하고 지지하기에 필요한 산소-질소 분위기 하에서 산소의 최소 농도를 측정한다.
[실시예 1]
[수산화 마그네슘의 제조]
50L 의 연속 침전 단위에서 계속해서 휘저어 섞어 주면서, 40℃ 및 pH 9.5에서 염화 마그네슘 염수([MgCl2]=1.8M)와 수산화 나트륨([NaOH]=2.5M)을 접촉시켜 수산화 마그네슘을 제조하였다. 평균 체류 시간은 60분이었다. 침전된 수산화 마그네슘은 모든 가용성 염이 제거될 때까지 탈이온술 세척시킨 후에, 세척된 침전무를 진공-여과에 의해 탈수시키고 나서 140℃에서 분무-건조시켰다.
[실시예 2]
[붕산 처리 수산화마그네슘의 제조]
200 g 의 수산화 마그네슘을 1000 ml 의 탈이온수로 분산시키고, 분산액의 온도를 40℃ 로 높였다. 이어 450 ml 의 수성 붕산 용액(60 g/l 몰)을 10 분 동안 계속 휘저어 섞어 주면서 첨가하여, 초기의 pH 10.5 가 8.5 로 감소되었다. 침전된 수산화 마그네슘을 흡인 여과기에서 여과시키고 140℃에서 건조시켰다. 화학 분석에 의하여, 최종 생성물로서 0.65 %m 의 B 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스테아르산 아연-실리콘유 처리 수산화마그네슘의 제조]
300 g 의 수산화 마그네슘을 300 ml 의 탈이온수로 철저하게 혼합하였다. 이어, 리터당 195 g 의 스테아르산 아연, 225 g 의 35 %m 실리콘유 에멀션, 및 20 g 의 노닐페놀 에톡실산염을 포함하는 수성 분산액 21 ml를 수성 수산화 마그네슘에 첨가하였다. 결과 페이스트를 140℃에서 건조시켰다.
[실시예 4-7]
분말 공중합체(1.90 dl/g 의 LVN 및 219℃ 의 융점을 가지는 CO-에텐-프로펜 삼원공중합체) 및 아래의 표 1 에 나타난 바와 같은 비로 존재하는 그러한 타입의 다수의 난연성 조성물을 건조 블렌딩시키고 나서, 250℃에서 3 분 동안 압축 성형시켜 3mm 두께의 난연성 조성물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시이트로부터 난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표본을 절단하고, 극한 산소 지수를 측정하므로써 난연성을 측정하였다. 얻어진 자료는 표 I에서 나타난다.
[실시예 8 및 9]
수산화 마그네슘(Mg(OH)2)을 실리콘유 및 스테아르산 나트륨의 혼합물로 코우팅시킨 Mg(OH)2및 붕산 처리한 Mg(OH)2로 대치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VII 의 과정을 반복하였다. 난연성 측정 결과는 또한 표 1 에 나타나 있다.
Figure kpo00001
* 극한 산소 지수
[실시예 10]
아세트산 팔라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음이온 및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으로 형성된 촉매 조성물의 존재 하에, 일산화탄소, 에텐 및 프로펜의 선형 교호 삼원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218℃ 의 융점 및 1.14 dl/g 의 LVN을 가졌다. 4 개의 충전제(활석, 운모, 표면 처리된 운모 및 탄산칼슘) 및 두 개의 난연제(상표명 Zerogen 35 으로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수산화 마그네슘 및 표면 처리된 수산화 마그네슘)를, 15 mm 이축 스크류 압출기 상에서, 최종 블렌드의 중량을 기준으로 삼원공중합체 20~40% 와 건조 블렌딩시켰다. 압출 기계가 탈증기화를 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약간의 발포(發泡)가 일어났다. 그 후 압출물을 펠릿화하고, 50℃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12.5×1.25×0.32 cm 의 시험 플라크로 압축 성형하였다. 극한 산소 지수값을 측정하고 결과는 표 2 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2
수산화 마그네슘을 함유하는 실험 9-12 의 조성물만이 본 발명에 따르고, 표 II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일산화 탄소, 에텐 및 7% 의 프로펜의 두 개의 특정 선형 교호 삼원공중합체(하나는 220℃ 융점 및 1.79dl/g 의 LVN 을 가지고 33 중량%로 존재하며, 다른 하나는 223℃ 의 융점 및 1.62 dl/g 의 LVN을 가지고 67 중량% 로 존재함)의 블렌드를, 상기 두가지 중합체의 펠릿을 건조 혼합시키므로써 형성하였다. 그리고 나서, 선택된 난연제가 첨가될 때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온도의 상승 및 발포를 피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서서히 혼합시키면서 상기 블렌딩된 혼합물에 단일 공급물을 더욱 혼합시킨다. 이리 하여, 삼원 공중합체 블렌드(폴리케톤), 스테아르산으로 변형시킨 수산화 마그네슘 및/또는 탄산 칼슘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표 3 에 나타낸 비율로 제조하였다. 블렌드를 펠릿화시키고, 71℃에서 16 시간 동안 건조시켜 시험 표본으로 사출 성형하였다. 실온에서 칭된 이조드, 가요성 모듈러스, LOI 및 UL94 시험이 수행되었다.
UL94 시험은 수직 연소 시험이다. 시험 표본을 시험 챔버 내에 수직으로 매달아 두고, 10 분 동안 상기 시험 표본이 불꽃과 접촉되도록 유지시킨후 이를 제거하였다. 표본의 연소가 멈추는데 걸린 시간을 기록하였다. 신선한 표본에 대하여 이를 4 회 반복시켰다. 이들 시간을 합하여, 그 총합이 만약 50 초를 넘지 않으면 시료를 V-0 등급으로 주어지고, 50-250 초 사이이면서 불꽃 드립이 없는 것은 V-1 이고, 불꽃 드립이 있는 것은 V-2 로 등급이 주어진다. 만일 시료가 250 초 이상 연소된다면, 실패한 것으로 간주된다.
모든 시험 결과가 표 3 에 나타나 있다.
Figure kpo00003
실험 2-8 의 조성물만이 본 발명에 따른다. 표로부터, 고 융점의 폴리케톤 중합체에 대하여, 난연제의 선택이 중요하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변형된 수산화 나트륨은 기계적 특성에서 약간의 손실만을 가지는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다. 덜 비싼 탄산 칼슘으로 비교적 값비싼 변형된 수산화 마그네슘의 일부분을 치환하는 것은, 다수의 덜 요구적인 사용에 대해 썩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
[실시예 12]
40 %m 의 폴리프로필렌 단일 중합체 및 60 %m 의 변형된 수산화 나트륨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시예 11을 반복하였다. 높은 농도에서만 UL94에서 V-0 등급을 얻을 수 있었다. 이조드 충격 강도는 8.15 m.kg/m 였고 가요성 모듈러스는 2880 MPa 이나, 다른 물리적 성질은 상당히 저하하였는데, 예컨대, 충전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에 대하여 300% 이상으로부터 충전된 종류에 대해서는 12% 까지, 파단시 연신률이 감소되었다. 이것은 변형된 수산화 나트륨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높은 수준은 중합체의 기계적 특성에 불리하다는 것을 보여 주지만, 이러한 높은 수준은 놀랍게도, 일산화탄소 및 하나 이상의 올레핀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에서는 불필요하다는 것을 또한 나타낸다.

Claims (11)

  1. 일산화탄소와 하나 이상의 에틸렌형 불포화 화합물의 선형 교호 공중합체 및 분해시 난연성 가스성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난연량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옥살산염 및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화합물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성 또는 잠재적으로 염기성 반응 금속 화합물이며 상기 중합체의 결정 융점 보다 25℃ 이상 더 높은 초기 분해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 화합물이 주기율 표의 I 족, IIA 족, 및 IIB 족으로 부터의 금속을 기재로 한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주기율 표의 IIA 족으로 부터의 금속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연성 화합물이 전체 조성물의 2~40 %m를 구성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난연성 화합물이 전체 조성물의 5~25 %m를 구성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난연성 화합물의 입자가 중합체 내에 분산되기 전에 예비 처리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예비 처리는 무기산, 실란, 실리콘유, 지방산 및 지방산염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화합물을 수성 매질 내에서 상기 입자들과 접촉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는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지방산염이 스테아르산 나트륨 또는 올레산 나트륨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난연성 화합물의 입자가 붕산으로 처리되는 난연성 입자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10. 제7항에 있어서, 난연성 화합물의 입자가 스테아르산으로 처리되는 난연성 입자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 마그네슘인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1019900004110A 1989-03-31 1990-03-27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KR0163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2,250 1989-03-31
US07/332,250 US4885328A (en) 1989-03-31 1989-03-31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US332250 1989-03-31
GB8910011.9 1989-05-02
GB898910011A GB8910011D0 (en) 1989-05-02 1989-05-02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GB8910011,9 1989-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494A KR900014494A (ko) 1990-10-24
KR0163031B1 true KR0163031B1 (ko) 1999-01-15

Family

ID=26295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110A KR0163031B1 (ko) 1989-03-31 1990-03-27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390294B1 (ko)
JP (1) JP3146000B2 (ko)
KR (1) KR0163031B1 (ko)
CN (1) CN1031279C (ko)
AT (1) ATE123507T1 (ko)
AU (1) AU621472B2 (ko)
BR (1) BR9001415A (ko)
CA (1) CA2013291C (ko)
DE (1) DE69019863T2 (ko)
DK (1) DK0390294T3 (ko)
ES (1) ES2073506T3 (ko)
GR (1) GR3017058T3 (ko)
NO (1) NO1748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112498A3 (cs) * 1995-10-16 1998-09-16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 V. Směs polyketonového polymeru se sníženou hořlavostí
US6372835B1 (en) 1999-07-09 2002-04-16 Kyowa Chemical Industry Co., Ltd. Flame-retardant polyketon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20020193486A1 (en) * 2000-08-21 2002-12-19 Terutoshi Kumaki Chlorinated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KR101867941B1 (ko) * 2017-07-03 2018-07-18 주식회사 효성 난연성 폴리케톤 수지 조성물
CN114672068A (zh) * 2022-04-08 2022-06-28 四川大学 一种聚氨酯用膨胀阻燃剂、阻燃聚氨酯及其制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41036C3 (de) * 1971-08-17 1983-12-01 Bayer Ag, 5090 Leverkusen Selbstverlöschende Polyamidformmassen
JPS5783538A (en) * 1980-11-12 1982-05-25 Kyowa Chem Ind Co Ltd Polyolefin composition and agent thereof
JPS5787462A (en) * 1980-11-20 1982-05-31 Kyowa Chem Ind Co Ltd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magnesium oxide with its surface treated
JPS60179436A (ja) * 1984-02-27 1985-09-13 Shin Etsu Chem Co Ltd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系ゴム組成物
US4761449A (en) * 1987-10-22 1988-08-02 Shell Oil Company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1279C (zh) 1996-03-13
NO174894C (no) 1994-07-27
JPH02274767A (ja) 1990-11-08
ATE123507T1 (de) 1995-06-15
GR3017058T3 (en) 1995-11-30
KR900014494A (ko) 1990-10-24
NO901408D0 (no) 1990-03-28
AU5233290A (en) 1990-10-04
JP3146000B2 (ja) 2001-03-12
DE69019863D1 (de) 1995-07-13
EP0390294A1 (en) 1990-10-03
NO901408L (no) 1990-10-01
CN1046919A (zh) 1990-11-14
DK0390294T3 (da) 1995-07-31
CA2013291A1 (en) 1990-09-30
ES2073506T3 (es) 1995-08-16
EP0390294B1 (en) 1995-06-07
DE69019863T2 (de) 1995-12-14
AU621472B2 (en) 1992-03-12
BR9001415A (pt) 1991-04-09
CA2013291C (en) 2001-05-15
NO174894B (no) 199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0674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3
CN101688017A (zh) 无卤阻燃添加剂
WO1995018841A1 (en) New flame retardant polymeric compositions
KR19990037159A (ko) 수산화 마그네슘을 함유한 내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용도
US3996142A (en) Smoke and fire retardants for halogen-containing plas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reaction product of magnesium oxide and a zinc salt of an acid
JPH062843B2 (ja) 難燃剤および難燃性樹脂組成物
KR100202750B1 (ko) 복합금속수산화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얻어진 복합금속수 산화물과 그를 사용한 난연성고분자 조성물
JPH11513722A (ja) 難燃性ポリケトンポリマーブレンド
US4885328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EP0017925A1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molding resin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JP2620341B2 (ja) 難燃性ポリマー組成物
US4921897A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containing zinc borate
KR0163031B1 (ko)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CA2163827A1 (en) Polyketone stabilization
US3826775A (en) Modified alumina hydrate flame retardant filler for polypropylene
KR0163032B1 (ko) 난연성 중합체 조성물
US4885318A (en) Polyketone flame retardant composition
JPH0341132A (ja) 難燃剤および難燃性樹脂組成物
EP0026956B1 (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moulding composition having reduced flammability, and the mouldings made therefrom
CN107325329B (zh) 一种无卤阻燃剂及含有该阻燃剂的高分子材料
US4383064A (en) Flame retardant polyamide composition
JPH04233977A (ja) 組成物及びその用途
JP2001081306A (ja) 難燃性ポリケトン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USH1031H (en) Flame retardant composition #4
RU2252241C1 (ru) Огнезащищенная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