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631B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631B1
KR0162631B1 KR1019950036552A KR19950036552A KR0162631B1 KR 0162631 B1 KR0162631 B1 KR 0162631B1 KR 1019950036552 A KR1019950036552 A KR 1019950036552A KR 19950036552 A KR19950036552 A KR 19950036552A KR 0162631 B1 KR0162631 B1 KR 0162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ot
filtration
unit
incinera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363A (ko
Inventor
황규덕
Original Assignee
황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덕 filed Critical 황규덕
Priority to KR1019950036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631B1/ko
Publication of KR970020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4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using washing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6/00Waste heat recuperation
    • F23G2206/20Waste heat recuperation using the heat in association with another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50Intercepting solids by cleaning fluids (washers or sc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타이어를 1, 2차적으로 소각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소각되어 발생되는 매연 및 분진을 소금과 숯의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부(1)와, 상기 폐타이어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된 폐타이어(100)를 안착시켜 구비되는 연소공간(212)을 통해 측벽 소정위치에 설치된 폐유관(213)으로부터 공급되는 폐유와 함께 수동점화시켜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제1소각로(21)를 통해 폐타이어의 소각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을 제1집진부(22)에 걸러 상기 제1소각로(21)로 순환시켜 재연소시킬 수 있도록 한 1차연소부(2)와; 상기 1차연소부(2)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구비되는 제2소각로(32)를 거쳐 매연을 여과부(4)로 재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2차연소부(3)와; 상기 1차연소부(2) 및 2차연소부(3)에서 발생되는 매연이 와류식으로 통과하면서 통상의 소금 및 숯 등의 여과재를 통과여과시키고, 소금물 및 식초를 분사하는 다단으로 여과공정을 거치게 하는 여과부(4)와; 상기 제1차연소부(2) 및 제2차연소부(3)의 소각로(21)(32) 외부로 수로(50)를 형성하여 가열된 물을 공급시키는 온수공급부(5)로 구성된 것인 바, 폐타이어를 연료로 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원절감 및 소각시 발생되는 매연을 다단계의 여과방식으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온수공급/여과장치를 도시한 외부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내부 전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타이어 투입부 2 : 1차연소부
3 : 2차연소부 4 : 여과부
5 : 온수공급부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를 소각하면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고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매연을 완전히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폐타이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폐타이어의 처리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는 실정에 있는 것으로, 이는 폐타이어의 소각에 필요한 또 다른 연료의 소비와 소각시 발생되는 매연에 의한 환경오염이 주된 관건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자원이 부족한 국내의 사정을 감안하여 볼 때 연료의 소비를 줄이면서 막대한 양으로 수거되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할 수 있는 방법 또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되는 사항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폐타이어를 연료로 하여 열을 얻고 이 열로 온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폐타이어의 소각시 발생되는 매연을 완전히 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폐타이어를 1, 2차적으로 소각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소각되어 발생되는 매연 및 분진을 소금과 숯의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통체의 상단 입구측에 뚜껑이 힌지결합된 폐타이어 투입부와; 상기 폐타이어 투입부를 통해 투입된 폐타이어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이 내측 하부로부터 연소공간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측벽 소정위치에 폐유관이 설치되어 폐유와 함께 수동점화시켜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제1소각로와, 제1소각로 내부에 설치되어 폐타이어의 소각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을 걸러주는 제1집진부와, 제1집진부를 통과한 매연을 제1소각로에 순환시켜 재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부측에 연통하는 연통관A을 갖고 연통관A 내에 송풍팬이 구비된 1차연소부와; 상기 1차연소부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제1소각로 상부 일측과 연통하는 통로를 통해 여과부로 유입된 매연 중의 분진을 흡입시켜 여과부 내의 하부측 경사판A로 유도하는 흡입팬과, 흡입팬에 의해서 내부로 유입된 매연을 재연소시키는 제2소각로와, 제2소각로 내부로 경사판A측의 매연을 유입시키도록 연통설치되는 유입관과, 제2소각로 내의 상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유입관을 통해 연소된 매연을 걸러주는 제2집진부와, 제2집진부를 통과한 매연을 여과부로 재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2소각로의 상부측에서 연통설치된 연통관B으로 이루어진 2차연소부와; 상기 제1차연소부 및 제2차연소부에서 발생된 매연이 와류식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본체 내부에 수개의 격벽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와류부와, 와류부의 격벽 사이에 밀도를 가지는 소금을 채워 넣어 유입된 매연을 여과하는 1차연과부와, 1차여과부를 통과한 매연이 격벽사이에 채워진 숯을 통과하여 여과하는 2차여과부와, 2차여과부를 통과한 매연에 소금물을 분사시켜 여과하는 3차여과부와, 3차여과부를 통과한 매연에 식초를 분사시켜 여과하는 4차여과부와, 3차여과부 및 4차여과부의 소금물 및 식초를 본체의 하부측 유입공간A, B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개의 유입공이 면상에 형성된 중간판체부와, 중간판체부의 유입공을 통해서 유입된 분진섞인 소금물을 모터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의 회전 및 경사판B의 흘러내림으로 공급관A의 입구측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소금물을 순환펌프에 의해 본체 상부측의 필터로 송출시켜 여과된 소금물을 3차여과부로 재분사시키는 제1분사부와, 상기 중간판체부의 유입공을 통해 유입되어 경사판C을 타고 흘러내려온 식초를 순환펌프에 의해 공급관B를 통해 4차여과부로 재분사시키는 제2분사부와, 상기 4차여과부에서 환풍팬으로 배출된 매연을 송풍팬에 의해 본체의 상부측과 연이어 통하는 배출통 및 상기 배출통과 폐타이어 투입부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관C로 배출시키거나 재공급하고 상기 환풍팬에 의해 배출된 매연을 가스점화로 소각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일측벽에 통공 및 가스점화구를 구비한 가스연소부로 이루어진 여과부와; 상기 제1차연소부 및 제2차연소부의 소각로 외부로 수로를 형성하고 순환펌프에 의해 일측 유입구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타측 배출구를 통해 온수를 공급시키는 온수공급부로 구성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제1도는 본 발명의 온수공급/여과장치를 도시한 외부 전체구성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내부 전체구성도이다.
폐타이어를 1, 2차적으로 소각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소각되어 발생되는 매연 및 분진을 소금과 숯의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먼저, 폐타이어 투입부(1), 1차연소부(2), 2차연소부(3), 여과부(4) 및 온수공급부(5)로 크게 나뉘어 구성된다.
상기 폐타이어 투입부(1)는 통체의 상단 입구측에 뚜껑(12)이 힌지결합되며, 폐타이어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된 1차로 연소시키기 위한 1차연소부(2)는 폐타이어(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211)이 내측 하부로부터 연소공간(212)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측벽 소정위치에 폐유관(213)이 설치되어 폐유와 함께 수동점화시켜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제1소각로(21)가 설치된다.
상기 제1소각로(21)로 내부에는 폐타이어의 소각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을 걸러주는 제1집진부(22)가 설치되고, 제1집진부(22)를 통과한 매연을 제1소각로(21)에 순환시켜 재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부측에 연통하는 연통관A(23)을 갖고 연통관A(23)내에 송풍팬(23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1차연소부(2)를 거치는 상기 2차연소부(3)는 1차연소부(2)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제1소각로(21) 상부 일측과 연통하는 통로(311)를 통해 여과부(4)로 유입되는 매연 중의 분진을 흡입시켜 여과부내의 하부측 경사판A(312)로 유도하는 흡입팬(31)과, 흡입팬(31)에 의해서 내부로 유입된 매연을 재연소시키는 제2소각로(32)가 구비되고, 제2소각로(32) 내부로 경사판A(312)측의 매연을 유입시키도록 유입관(33)이 연통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소각로(32) 내의 상부측 소정위치에는 유입관(33)을 통해 연소된 매연을 걸러주기 위한 걸름 망체의 제2집진부(34)가 설치되고, 상기 제2집진부(34)를 통과한 매연을 여과부(4)로 재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2소각로의 상부측에는 연통관B(35)이 연이어 연통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1차연소부(2) 및 2차연소부(3)에서 발생된 매연을 여과시키는 여과부(4)는 매연이 와류식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본체(41) 내부에 수개의 격벽(420)이 일정간격으로 와류부(42)가 설치되고, 이 와류부(42)의 격벽(420) 사이에 소정 굵기의 입자를 갖는 통상의 소금을 채워 넣어 유입된 매연을 여과시키기 위한 1차 여과부(43)가 형성된다.
상기 1차여과부(43)를 통과한 매연이 격벽(420)사이에 채워진 통상의 숯을 통과하여 여과시키기 위한 2차여과부(43A)가 형성되고, 2차여과부(43A)를 통과한 매연에 소금물을 분사시켜 여과시키기 위한 3차여과부(43B)가 형성된다. 또한 3차여과부(43B)를 통과한 매연에 식초를 분사시켜 여과시키기 위한 4차여과부(43C)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3차여과부(43B) 및 여과부(4)의 소금물 및 식초를 본체(41)의 하부측 유입공간A, B(411)(4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개의 유입공(440)이 면상에 형성된 중간판체부(44)가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체부(44)의 유입공(440)을 통해서 유입된 분진섞인 소금물을 모터(451)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452)의 회전 및 경사판B(453)의 흘러내림으로 공급관A(454)의 입구측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소금물을 순환펌프(456)에 의해 본체(41) 상부측의 필터(456)로 송출시켜 여과된 소금물을 3차여과부(43B)로 재분사시키는 제1분사부(45)가 설치된다.
상기 중간판체부(44)의 유입공(440)을 통해 유입되어 경사판C(461)을 타고 흘러내려온 식초를 순환펌프(463)에 의해 공급관B(462)를 통해 4차여과부(43C)로 재분사시키는 제2분사부(46)가 설치된다.
상기 4차여과부(43C)에서 환풍팬(471)으로 배출된 매연을 송풍팬(472)에 의해 본체(41)의 상부측과 연이어 통하는 배출통(473) 및 상기 배출통(473)과 폐타이어 투입부(1)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관C(474)로 배출시키거나 재공급하고 상기 환풍팬(471)에 의해 배출된 매연을 가스점화로 소각시킬 수 있도록 본체(41)의 일측벽에 통공(475) 및 가스점화구(476)를 구비한 가스연소부(47)로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온수공급부(5)는 상기 제1차연소부(2) 및 제2차연소부(3)의 소각로(21)(32) 외부로 수로(50)를 형성하고 순환펌프(51)에 의해 일측 유입구(52)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타측 배출구(53)를 통해 온수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폐타이어 투입부(1)의 뚜껑(12)를 통해 폐타이어(100)를 투입시켜 주면, 폐타이어(100)는 1차연소부(2)의 제1소각로(21) 내부로 낙하되면서 상기 제1소각로의 안착판(211)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폐타이어가 안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폐유관(213)을 통해 유입된 폐유와 함께 수동점화로 점화시켜 폐타이어를 소각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상태로 소각되는 폐타이어에서는 각종 분진을 유발하는 매연이 발생되고, 매연은 제1소각로(21)의 내측에 설치된 제1집진부(22)에 분진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제1집진부(22)를 통과한 매연은 다시 제1소각로(21)의 상부측에 연결설치된 연통관A(23) 및 통로(311)로 유입되는 데 이때 상기 연통관A(23)로 유입된 매연은 연통관A(23)에 설치된 송풍팬(230)의 송풍력에 의해서 제1소각로(21) 내부로 재공급된다.
한편, 상기 통로(311)로 유입된 매연은 여과부(4)로 유입되어 2차연소부(3)의 흡입팬(31)에 의해서 경사판A(312)로 유도되어 유입관(33)을 통해 제2소각로(32)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제2소각로(32)로 유입된 매연은 다시 가스 점화에 의한 가열로 재연소과정을 거치고, 여기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매연은 상부측의 제2집진부(34)에 걸러진 후 다시 연통관(B)를 통해 여과부(4)로 재투입된다. 또한 상기 통로(311)를 통해 여과부로 유입된 매연은 여과부(4)의 본체(41)내부에 수개 설치된 와류부(42)의 격벽(420)에 의해서 와류식으로 통하게 되는 것으로 유입된 매연은 격벽(420)사이에 채워진 소금을 통한 1차 여과부(43)를 통과하여 숯이 채워진 2차여과부(43A)를 통과하게 되고, 2차여과부(43A)를 통과한 매연은 다시 3차여과부(43B) 및 4차여과부(43C)를 거치면서 소금물 및 식초의 분사로 재차 여과된다.
그리고 3차여과부(43B) 및 4차여과부(43C)의 소금물 및 식초는 낙하되어 중간판체부(44)의 유입공(440)을 통해 각각 유입공간A, B(411)(412)로 유입되는데, 상기 유입공간A(411)로 유입된 소금물은 모터(451)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452)의 회전에 의해서 경사판B(453)로 모여 흘러내려 공급관A(454)를 통해 순환펌프(455)에 의해서 필터(456)에 강제 송출되고, 상기 필터(456)를 거쳐 여과된 소금물은 다시 3차여과부(43B)로 재분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입공간B(412)로 유입된 식초는 경사판C(461)를 타고 흘러 내려와 공급관B(462)를 통해 순환펌프(463)에 의해 강제 순환되어 4차여과부(43C)로 재분사하게 되고, 상기 4차여과부(43C)를 통과한 매연은 환풍팬(471)에 의해서 배출된 후 다시 가스연소부(47)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연소된 후 송풍팬(472)의 송풍력에 의해 배출통(47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배출통(473)과 폐타이어 투입부(1)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관C(474)를 통해 폐타이어에 재투입됨으로써, 일련의 소각 및 매연의 여과동작을 완료한다.
한편, 1차연소부(2)의 제1소각로(21) 및 2차연소부(3)의 제2소각로(32)의 외부로 수로(50)를 형성한 온수공급부(5)는 상기 소각로(21)(32)에 의한 열로 가열되어 일측 유입구(52)로 유입되어 상기 소각로를 순환한 물이 타측의 배출구(53)를 통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온수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폐타이어를 연료로 하여 열원을 얻고 이 열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자원절감 및 소각시 발생되는 매연을 다단식의 여과방식으로 환경오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폐타이어를 1, 2차적으로 소각시켜 온수를 공급하고, 소각되어 발생되는 매연 및 분진을 소금과 숯의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 배출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통체의 상단 입구측에 뚜껑(12)이 힌지결합된 폐타이어 투입부(1)와; 상기 폐타이어 투입부(1)를 통해 투입된 폐타이어(10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211)이 내측 하부로부터 연소공간(212)을 두고 이격 설치되며, 측벽 소정위치에 폐유관(213)이 설치되어 폐유와 함께 수동점화시켜 폐타이어를 소각하는 제1소각로(21)와, 제1소각로(21) 내부에 설치되어 폐타이어의 소각에 따라 발생되는 분진을 걸러주는 제1집진부(22)와, 제1집진부(22)를 통과한 매연을 제1소각로(21)에 순환시켜 재연소시킬 수 있도록 상부측에 연통하는 연통관A(23)을 갖고 연통관A(23)내에 송풍팬(230)이 구비된 1차연소부(2)와; 상기 1차연소부(2)에서 발생되는 매연을 제1소각로(21) 상부 일측과 연통하는 통로(311)를 통해 여과부(4)로 유입된 매연 중의 분진을 흡입시켜 여과부내의 하부측 경사판A(312)로 유도하는 흡입팬(31)과, 흡입팬(31)에 의해서 내부로 유입된 매연을 재연소시키는 제2소각로(32)와, 제2소각로(32) 내부로 경사판A(312)측의 매연을 유입시키도록 연통설치되는 유입관(33)과, 제2소각로(32) 내의 상부측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유입관(33)을 통해 연소된 매연을 걸러주는 제2집진부(34)와, 제2집진부(34)를 통과한 매연을 여과부(4)로 재공급시킬 수 있도록 제2소각로의 상부측에서 연통설치된 연통관B(35)으로 이루어진 2차연소부(3)와; 상기 제1차연소부(2) 및 제2차연소부(3)에서 발생된 매연이 와류식으로 통과될 수 있도록 본체(41) 내부에 수개의 격벽(42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와류부(42)와, 와류부(42)의 격벽(420) 사이에 밀도를 가지는 소금을 채워 넣어 유입된 매연을 여과하는 1차 여과부(43)와, 1차 여과부(43)를 통과한 매연이 격벽(420) 사이에 채워진 숯을 통과하여 여과하는 2차여과부(43A)와, 2차여과부(43A)를 통과한 매연에 소금물을 분사시켜 여과하는 3차여과부(43B)와, 3차여과부(43B)를 통과한 매연에 식초를 분사시켜 여과하는 4차여과부(43C)와, 3차여과부(43B) 및 4차여과부(43C)의 소금물 및 식초를 본체의 하부측 유입공간A, B(411)(4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수개의 유입공(440)이 면상에 형성된 중간판체부(44)와, 중간판체부(44)의 유입공(440)을 통해서 유입된 분진섞인 소금물을 모터(451)의 구동에 의한 이송스크류(452)의 회전 및 경사판B(453)의 흘러내림으로 공급관A(454)의 입구측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소금물을 순환펌프(455)에 의해 본체(41) 상부측의 필터(456)로 송출시켜 여과된 소금물을 3차여과부(43B)로 재분사시키는 제1분사부(45)와, 상기 중간판체부(44)의 유입공(440)을 통해 유입되어 경사판C(461)을 타고 흘러내려온 식초를 순환펌프(463)에 의해 공급관B(462)를 통해 4차여과부(43C)로 재분사시키는 제2분사부(46)와, 상기 4차여과부(43C)에서 환풍팬(471)으로 배출된 매연을 송풍팬(472)에 의해 본체(41)의 상부측과 연이어 통하는 배출통(473) 및 상기 배출통(473)과 폐타이어 투입부(1)와 연이어 통하는 연통관C(474)로 배출시키거나 재공급하고 상기 환풍팬(471)에 의해 배출된 매연을 가스점화로 소각시킬 수 있도록 본체(41)의 일측벽에 통공(475) 및 가스점화구(476)를 구비한 가스연소부(47)로 이루어진 여과부(4)와; 상기 1차연소부(2) 및 2차연소부(3)의 소각로(21)(32) 외부로 수로(50)를 형성하고 순환펌프(51)에 의해 일측 유입구(52)로 유입된 물을 가열하여 타측 배출구(53)를 통해 온수를 공급시키는 온수공급부(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KR1019950036552A 1995-10-23 1995-10-23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KR0162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552A KR0162631B1 (ko) 1995-10-23 1995-10-23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6552A KR0162631B1 (ko) 1995-10-23 1995-10-23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63A KR970020363A (ko) 1997-05-28
KR0162631B1 true KR0162631B1 (ko) 1999-01-15

Family

ID=19430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552A KR0162631B1 (ko) 1995-10-23 1995-10-23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6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70B1 (ko) * 2001-12-03 2004-07-07 송호운 굴뚝없는 폐기물 소각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766B1 (ko) * 1997-07-15 2005-11-23 김창수 소각장치
KR20000063153A (ko) * 2000-03-07 2000-11-06 김도환 폐기물 소각장치 및 소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370B1 (ko) * 2001-12-03 2004-07-07 송호운 굴뚝없는 폐기물 소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363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2631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온수공급/여과장치
KR102128925B1 (ko) 이차 연소장치가 구비된 소각장치
KR200291644Y1 (ko) 연기 순환식 간이 소각로
KR100893389B1 (ko)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
JPH10148313A (ja) 焼却装置
KR100462525B1 (ko) 공해물질 배출 방지용 소각장치
KR100249104B1 (ko) 산업폐기물 소각방법 및 그 장치
KR102046329B1 (ko)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CN218599733U (zh) 一种工业废物焚烧机构及工业废物焚烧系统
KR100666043B1 (ko) 연소기의 연소실 내 공기 공급장치
KR100217005B1 (ko) 복합형 소각장치
KR20110119924A (ko) 폐타이어 소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온수장치
KR100230188B1 (ko) 복합형 소각장치
KR19990085244A (ko) 열분해식 폐기물 소각장치 및 그 방법
KR102444301B1 (ko) 가연성 물질 연소기
JP3107544B2 (ja) 旋回燃焼炉
JP2005326076A (ja) 廃棄物焼却炉
KR930002347Y1 (ko) 쓰레기 소각처리 장치
JP2707210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010091644A (ko) 개질연소식 분체상 가연폐기물 연속소각장치 및 이를이용한 보일러
KR930005209Y1 (ko) 쓰레기 소각장치
JP3825424B2 (ja) ごみ焼却炉
JPH0225618A (ja) ごみ焼却装置
JP2000291926A (ja) 高熱ガス化燃焼方式による焼却装置
JP2735911B2 (ja) 焼却装置における助燃装置及び該助燃装置を装備した無煙焼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