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592B1 - Vtr의 다중기록장치 - Google Patents

Vtr의 다중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592B1
KR0162592B1 KR1019940005007A KR19940005007A KR0162592B1 KR 0162592 B1 KR0162592 B1 KR 0162592B1 KR 1019940005007 A KR1019940005007 A KR 1019940005007A KR 19940005007 A KR19940005007 A KR 19940005007A KR 0162592 B1 KR0162592 B1 KR 0162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head
recording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항두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05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592B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VTR의 다중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비디오신호는 1필드의 신호에 동작하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가 상기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입력받는 동기제어 지연부를 경유한 후 1필드 디지털 메모리가 연결된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로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에서 헤드 스위칭 콘트롤신호와 다중기록 콘트롤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및 제2절환스위치를 거쳐 1채널헤드와 2채널헤드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2개의 비디오신호를 고해상도로 각 필드마다 동시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VTR의 다중기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중기록모드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비디오신호 처리부 2,5 : 1필드 디지털 메모리
3 : 동기제어 지연부 6,7 : 절환 스위치
8,9 : 헤드 10 : 마이컴
11 : 다중기록 스위치
본 발명은 VTR의 다중기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비디오 테이프를 사용하여 2개의 비디오신호를 동시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VTR의 다중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신호와 음성신호가 통합된 비디오신호를 자기기록방식으로 테이프에 기록하거나, 테이프에 기록된 비디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하여 VTR을 이용하고 있음은 이미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리고 2개 이상의 비디오신호를 하나의 화면에 해당하도록 모자이크 하여 기록하는 다중기록방식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종래에는 여러개의 CCTV을 통해 입력되는 비디오신호를 1개의 화면에 대해 여러 구획으로 분할한 상태처럼 압축하여 기록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중기록방식에 의하여서는 비디오신호를 시간축으로 압축하여 기록하였으므로 해상도가 크게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다중기록을 위하여는 해상도의 저하를 감수하여야 하였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디오신호를 시간축으로 분할하여 기록함으로써 재생시 동일한 해상도를 얻도록 한 VTR의 다중기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제1비디오신호는 1필드의 신호에 동작하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가 상기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로부터 동기신호를 입력받는 동기제어 지연부를 경유한 후 1필드 디지털 메모리가 연결된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로 입력되도록 하며, 상기 제1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에서 헤드 스위칭 콘트롤신호와 다중기록 콘트롤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제1 및 제2절환스위치를 거쳐 1채널헤드와 2채널헤드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2개의 비디오신호를 고해상도로 각 필드마다 동시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비디오신호(Video 1)는 1필드의 신호에 동작하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2)가 연결되어 1필드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읽어 들이는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로 입력되어 기록용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고,
제2비디오신호(Video 2)는 상기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로부터의 동기신호(Sync)를 입력받으면서 동기를 맞추기 위해 선택적으로 지연시키는 동기 제어 지연부(3)를 경유한 후 1필드 단위의 비디오신호를 1필드 디지털 메모리(5)에 저장하거나 읽어 들이는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로 입력되어 기록용 신호로 변환되도록 하며,
상기의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에 두 가동접점(a)(b)이 각각 접속된 제2절환스위치(6)의 고정접점(c)에는 제1절환스위치(7)의 고정접점(c)을 연결하면서 이의 두 가동접점(a)(b)에서는 1채널헤드(8)와 2채널 헤드(9)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의 제1절환스위치(7)와 제2절환스위치(6)에는 마이컴(10)으로부터의 헤드 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가 직접 또는 다중기록스위치(11)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2)를 통하여 마이컴(10)에 선택 입력한 기록방식에 따라 출력되는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와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에 의해 다중기록스위치(11)와 절환스위치(6)(7)의 접속상태가 조절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VTR의 다중기록장치는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2)를 통하여 마이컴(10)에 하나의 비디오신호(Video 1)만 기록하려고 선택하게 되면 이를 인식한 마이컴(10)에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는 H와 L가 반복되는 정상상태로 출력하면서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는 L로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절환스위치(7)는 두 가동접점(a)(b)이 교대로 접속되면서 1채널헤드(8)와 2채널헤드(9)를 교대로 접속시키는 동시에 다중기록 콘트롤신호(MR SW CTL)가 L이면 다중기록스위치(11)도 오프이므로 제2절환스위치(6)는 가동접점(a)만 접속되어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와 연결되도록 한다.
따라서 비디오신호(Video 1)가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에서 기록용 신호로 변환된 후 제1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a)가 L이면 제1절환스위치(7)의 가동접점(a)을 거쳐 1채널헤드(8)에 기록되면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가 H이면 제1절환스위치(7)의 가동접점(b)을 거쳐 2채널헤드(9)에 기록된다. 즉, 비디오신호(Video 1)의 각 필드에 따라 마이컴(10)에서 출력되는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가 L와 H를 반복하게 되므로 1채널헤드(8)와 2채널헤드(9)에 순차적으로 기록된다.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2)를 통해 다중재생이 아닌 싱글재생을 선택하게 되면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만 L와 H를 반복하면서 1채널헤드(8)와 2채널헤드(9)에 의해 재생된 신호가 제1절환스위치(7)의 가동접점(a)(b)을 거치고 제2절환스위치(6)의 가동접점(a)을 거쳐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에 입력됨으로써 비디오신호로 변환 출력된다.
한편, 제1비디오신호(Video 1)와 제2비디오신호(Video 2)가 입력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이 입력부(12)를 통해 다중기록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이를 인식한 마이컴에서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을 H로 출력하여 다중기록스위치(11)가 접속되도록 하면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를 L와 H가 반복되도록 출력한다.
그러므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가 L로 출력되는 동안에는 제1 및 제2절환스위치(7)(6)의 가동접점(a)이 모두 접속되어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와 1채널헤드(8)가 연결되도록 하고,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가 H로 출력되는 동안에는 제1 및 제2절환스위치(7)(6)의 가동접점(b)이 모두 접속되어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와 제2채널헤드(9)가 연결되도록 한다.
즉, 제2도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은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의 L로 입력되는 동안에는 제1비디오신호(Video 1)가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4)로 입력되면서 기록용 신호로 변환되어 제2 및 제1절환스위치(6)(7)의 가동접점(a)들을 거쳐 1채널헤드(8)에 전달되어 기록이 된다.
이때에는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로부터의 동기신호(Sync)가 동기제어지연부(3)로 입력되면서 제2비디오신호(Video 2)가 제1비디오신호(Video)에 의한 동기신호(Sync)에 동기되도록 한다.
그리고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가 H로 입력되는 동안에는 제2 및 제1절환스위치(6)(7)의 가동접점(b)이 접속되므로 상기의 동기제어 지연부(3)에서 동기된 제2비디오신호(Video 2)는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로 입력되어 기록용 신호로 변환된 후, 제2 및 제1절환스위치(6)(7)의 가동접점(b)을 거쳐 2채널헤드(9)에 전달되어 기록되고, 이와 같은 다중기록모드에 따른 제2도의 (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비디오신호에 의해 기록된 테이프는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오디오신호(Audio 1)와 제2오디오신호(Audio 2)가 상단에 2열로 기록되면서 하단에는 콘트롤신호(CCTL SIGNAL)가 기록된 상태에서 1채널헤드에 의한 제1비디오신호의 기록(CH 1 Video 1)과 2채널헤드에 의한 제2비디오신호의 기록(CH 2 Video 2)이 순차적으로 반복되는 시간축으로 분할된 상태로 기록된다.
기록된 테이프를 재생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다중재생모드의 선택을 입력받은 마이컴(10)에서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를 H로 출력하여 다중기록스위치(11)가 접속되도록 한 후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를 L와 H가 반복되도록 출력한다.
그러므로 제1채널헤드(8)에 의해 재생된 신호는 제2도의 (c)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의 L 동안에만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로 입력되고, 2채널헤드(9)에 의해 재생된 신호는 제2도의 (d)에 도시한 것과 같이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S SW CTL)의 H 동안에만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로 입력된다.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에서는 첫 번째 필드는 재생된 제1비디오신호(Video 1), 2번째 필드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2)에 저장되었던 재생신호(DOC 1)의 반복되는 상태로 변환된 제2도의 (e)와 같은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면서,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에서는 첫 번째 필드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5)에 저장되었던 재생신호(DOC 2), 2번째 필드는 2채널 헤드(9)에 의해 재생된 제2비디오신호(Video 2)의 반복되는 상태로 변환된 제2도의 (f)와 같은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VTR의 다중기록장치에 의하여서는 제1비디오신호와 제2비디오신호가 동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 입력되도록 한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에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와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절환스위치와 다중기록스위치를 통하여 1채널헤드와 2채널헤드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각 필드마다 수개의 신호를 동시에 기록하는 다중기록이 가능하도록 하거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가정용이나 산업용에서 2개 이상의 방송채널을 동시에 기록하거나 다수개의 CCTV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하나의 VTR로 하나의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4)

  1. 제1비디오신호(Video 1)를 입력받으면서 1필드신호에 동작하는 1필드 디지털 메모리(2)에 연결된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와, 제2비디오신호(Video 2)를 입력받으면서 상기의 제1비디오신호 처리부(1)로부터의 동기신호(Sync)에 따라 동기시키는 동기제어 지연부(3)와, 상기의 동기제어 지연부(3)로부터 동기된 제2비디오신호를 입력받으면서 1필드 디지털 메모리(5)에 연결된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4)와, 상기의 제1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1)(4)에 가동접점(a)(b)이 각각 접속 및 제2절환스위치(6)와, 상기의 제2절환스위치(6)에 가동접점(c)이 상호 연결되고 두 가동접점(a)(b)을 통해 1채널헤드(8) 및 2채널헤드(9)에 각각 연결된 제1절환스위치(7)와, 키이 입력부(12)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중기록스위치(11)를 제어하는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을 출력하면서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TL)를 직접 또는 상기의 다중기록스위치(11)를 거쳐 제2 및 제1절환스위치(7)(6)로 출력하여 제어하는 마이컴(10)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VTR의 다중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10)은 사용자에 의해 다중기록모드로 선택되면 다중기록스위칭 콘트롤신호(MR SW CTL)를 H로 출력하여 다중기록스위치(11)를 접속시키도록 한 VTR의 다중기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10)은 비디오신호의 1필드마다 L와 H가 변화하는 헤드스위칭 콘트롤신호(HEAD SW CRL)를 제1 및 제2절환스위치(7)(6)로 출력하여 신호의 경로를 전달하도록 한 VTR의 다중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비디오신호 처리부(1)(4)는 다중재생모드로 동작할 때 1채널헤드(8)와 2채널헤드(9)에 의해 재생된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필드의 사이에 1필드 디지털 메모리(2)(5)에 저장되었던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VTR의 다중기록장치.
KR1019940005007A 1994-03-14 1994-03-14 Vtr의 다중기록장치 KR0162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007A KR0162592B1 (ko) 1994-03-14 1994-03-14 Vtr의 다중기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007A KR0162592B1 (ko) 1994-03-14 1994-03-14 Vtr의 다중기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62592B1 true KR0162592B1 (ko) 1999-01-15

Family

ID=19378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007A KR0162592B1 (ko) 1994-03-14 1994-03-14 Vtr의 다중기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59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428344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0162592B1 (ko) Vtr의 다중기록장치
US5832174A (en) Videocassette recorder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a plurality signals
JP2685901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970076723A (ko) 기록 재생 장치
JP2735289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100395563B1 (ko) 오디오더빙이 가능한 콤비네이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오디오더빙방법
JPS63313382A (ja) プログラム再生装置
KR100204237B1 (ko) 디지탈 신호 기록 재생장치
JP2678063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950012226B1 (ko) 더블데크시스템에 있어서 자동반복장치 및 방법
JP2638657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テープレコーダ
KR0132228Y1 (ko) 노이즈 바 고정장치
KR0170144B1 (ko) 브이씨알의 정지화면 재생장치
KR19990005766A (ko) Dvcr의 파노라마식 고속 재생 방법
KR0134999B1 (ko)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의 고속탐색장치
JP2635768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方法およびその信号処理装置
JP3241361B2 (ja) Vtr付きビデオカメラ
KR100453044B1 (ko) 영상 신호 재생 장치 및 방법
JP2786481B2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KR100257510B1 (ko) 브이씨알/브이씨피의 편집기능 제어방법
KR960025458A (ko) 두 채널 동시 녹화가 가능한 비데오 카세트 레코더
JPH08287662A (ja) 記録再生装置
JPS5967072U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JPS6310359A (ja) ビデオ・テ−プ・レコ−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