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601B1 -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 Google Patents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601B1
KR0161601B1 KR1019960014382A KR19960014382A KR0161601B1 KR 0161601 B1 KR0161601 B1 KR 0161601B1 KR 1019960014382 A KR1019960014382 A KR 1019960014382A KR 19960014382 A KR19960014382 A KR 19960014382A KR 0161601 B1 KR0161601 B1 KR 0161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wing
air separator
moving wing
rec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1741A (ko
Inventor
다까히로 니시오까
고지 나까가와
다다시 고지
아끼라 다까다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6004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6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9/00Axial-flow pumps
    • F04D19/002Axial flow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저유량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측류팬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분리기를 갖는 축류팬의 소음저감과 고성능화를 도모하기 위해, 케이싱의 외주상에 고리형상으로 마련되어 움직임날개의 선단측의 흐름을 움직임날개의 상류로 인도하는 유로내에 구비한 정류베인을 구비한 공기분리기에 있어서의 유로로의 입구부분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의 위치를 케이싱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움직임날개로부터의 유출기류와 정류베인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주위에 형성되는 압력장과 정류베인의 간섭을 완화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러한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내에 발생하는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제1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축류팬의 전체를 도시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단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단면도.
제6도는 움직임날게 유출흐름의 유속변동의 반경방향으로의 변화특성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소음의 유량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9도는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와 움직임날개 선단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의 변화에 의한 소음의 변화의 특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압력상승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12도는 움직임날개 날개면의 압력분포특성도.
제13도는 움직임날개와 고정날개 사이의 거리와 소음의 관계를 도시한 특성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한 제7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저유량측운전시의 움직임날개 각도의 변화특성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 부분의 횡단평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단면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의 종단면을 상류측에서 본 도면.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움직임날개 2 : 케이싱
3 : 공기분리기의 외벽 4 : 공기분리기의 측벽
5 : 공기분리기 6 : 유로
6a : 유로입구부분 8a~8d : 기류
9 : 주류 12 : 내부케이스
16 : 정류베인 16a :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
19 : 연결부재
본 발명은 저유량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공기분리기(air separator)를 구비한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측류팬에 관한 것이다.
저유량특성 개선을 위한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평성3-87900호에 기재되어 있다.
공기분리기는 외벽과 측벽 및 정류베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의 위치는 케이싱의 내경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이다. 이 공기분리기는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서 상기 움직임날개의 축방향 날개길이의 중앙부근에 걸쳐서 상기 유로의 입구로 되는 개구부를 갖고, 또 움직임날개 입구부의 상류측에 상기 유로의 출구로 되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정류베인은 상기 유로의 입구에 설치되고,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는 상기 입구개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정류베인은 움직임날개의 선단에서 공기분리기의 유로의 입구개구부를 향하는 기류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 움직임날개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휨(젖혀짐)을 갖고 있다.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에서는 움직임날개의 선단측에 발생하는 역류기류가 원심력에 의해 기류로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분리기의 입구개구부에서 유로로 유입한다. 공기분리기의 유로에 유입한 기류는 유로내의 정류베인에 의해 둘레방향성분을 갖지 않는 기류로 되고, 움직임날개의 상류의 출구개구부에서 기류와 같이 유출해서 주류(主流)와 합류한다.
종래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에서는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의 위치가 케이싱의 내경위치와 거의 동일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제1과제로서 움직임날개에서 공기분리기로 유입하는 흐름과 정류베인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정류베인의 간섭이 발생하여 소음의 발생원인으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공기분리기를 갖는 축류팬에서는 정류베인이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에만 또는 출구부에만 설치되어 있었으므로, 제2과제로서 공기분리기내를 통과하는 기류가 갖는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작아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의 제3과제로서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기류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정류베인을 별개의 부재로 제작하고 있으므로, 용접 등을 사용해서 조립할 필요가 있어 조립작업이 번거로웠다.
또, 종래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의 제4과제로서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케이싱이 평행하므로, 공기분리기내를 통과하는 기류에 강한 흐트러짐이 발생하여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성능, 작동범위가 넓고 또한 저소음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및 제2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싱외주에 마련되고 움직임날개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를 가짐과 동시에 움직임날개 상류에 출구를 갖는 고리형상유로 및 상기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서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과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또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공기분리기 입구부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이상, 0.13이내로 한다.
또, 케이싱 외주에 마련되고 움직임날개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를 가짐과 동시에 움직임날개 상류에 출구를 갖는 고리형상 유로 및 상기 유로 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서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과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공기분리기 입구부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하류측으로 순차 크게 한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와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이상, 0.13이내로 한다.
또, 케이싱 외주에 마련되고 운전유량에 따라 움직임날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에 출구를 갖는 고리형상유로 및 상기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서 또는 입구부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과 상기 정류베인은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저유량측의 운전시에 움직임날개와 대치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의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의 위치를 케이싱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와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이상, 0.13이내로 한다.
또, 케이싱 외주에 마련되고 운전유량에 따라서 움직임날개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를 가짐과 동시에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에 출구를 갖는 고리형상유로 및 상기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서 또는 입구부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과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의 후퇴량을 하류측으로 감에 다라서 순차 작게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이상, 0.13이내로 한다.
또, 케이싱 외주에 마련되고 움직임날개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를 가짐과 동시에 움직임날개 상류에 출구를 갖는 고리형상유로 및 상기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서 또는 입구부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과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또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로 되는 부분의 정류베인을 둘레방향으로 움직임날개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휘게 하고 또한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 각도보다 크게 한다.
또, 제1~제3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싱 외주에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또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을 구성하는 분리기블럭을 금속관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 외주상의 측벽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의 연결부재에 의해 분리기블럭을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의 한쪽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분리기블럭의 안가장자리와 움직임날개 선단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선단의 비를 0.07이상, 0.13이내의 범위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정류베인 또는 분리기블럭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의 단면형상을 날개형으로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재를 원형관과 판재로 구성한다.
또, 제4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싱 외주에 고리형상으로 마련되고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선단과 대치하는 부분에 입구를 가짐에 동시에 그 상류측에 출구를 갖고 움직임날개 선단측의 흐름을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으로 보내는 유로 및 상기 유로내의 입구부에서 출구부가지 연장된 정류베인으로 이루어지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 또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외경을 하류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크게 한다.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에서 출구부에 걸쳐서 설치되고 안가장자리 위치가 케이싱 위치보다 외측으로 후퇴한 정류베인은 움직임날개에서 유출한 기류와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의 간섭을 완화시켜 발생소음을 저감함과 동시에, 공기분리기로 유입한 흐름이 갖는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가 커서 작동범위의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의 후퇴량을 하류측에서 크게 하면 상기 정류베인에 의한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에서의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의 저하를 적게 해서 상기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한다.
또,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의 저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에 움직임날개와 대치하는 부분 이외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의 내경위치보다 외측으로 하면, 대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에는 공기분리기로 유입하는 기류와 정류베인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의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의 간섭을 경감해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한다. 또, 저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에는 공기분리기 입구부에서의 정류베인에 의한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를 발휘하여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암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구비한 공기분리기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의 후퇴량을 하류측에서 순차 작게 하면, 대유량과 저유량의 중간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에 공기분리기로 유입하는 기류와 정류베인의 간섭 움직임날개의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한다. 또, 중간유량에서의 정류베인에 의한 공기분리기 입구부에서의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를 유지하여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 둘레방향으로 공기분리기에 있어서의 입구부의 정류베인의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각도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움직임날개와 정류베인이 중첩하는 부분이 적어져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정류베인상의 압력변동의 위상을 어긋나게 할 수 있으므로, 발생소음이 저감한다.
또,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으로 이루어지는 분리기블럭을 금속관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고, 상기 불리기블럭을 케이싱 외주상의 측벽 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하는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의 외벽의 일부를 정류베인으로서 대용할 수 있고, 별개의 부재로 제작하고 있던 정류베인이 불필요하게 되어 공기분리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정류베인을 지지하는 원형고리의 단면형상을 날개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부터의 유출흐름을 주류방향으로 원활하게 구부릴 수 있고 공기분리기로부터의 유출흐름과 주류의 혼합손실을 저감하여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정류베인 또는 분리기블럭을 움직임날개 선단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를 원형관과 판재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날개형단면을 갖는 연결부재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공기분리기의 외경을 하류측에서 순차 크게 하는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 내에서의 손실의 원인으로 되는 흐름의 흐트러짐이 억제되어 상기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으로 되는 축류팬의 전체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상기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단면사시도이다. 또, 제3도는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Ⅳ-Ⅳ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Ⅴ-Ⅴ단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움직임날개, (2)는 상기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는 케이싱, (5)는 공기분리기, (11)은 고정날개, (12)는 내부케이스, (13)은 흡입케이싱, (14)는 확산기(diffuser), (15a)~(15e)는 부착다리이다. 그리고, 움직임날개(1)은 내부케이스(12)의 내부 또는 외부에 마련된 전동기로 구동되어 회전하고, 흡입케이싱(13)에서 흡입한 공기를 가압해서 확산기(14)로 토출한다. 공기분리기(5)는 움직임날개(1)의 선단측에 발생하는 역류를 방지한다.
제2도에 있어서, 움직임날개(1)을 둘러싸는 케이싱(2)의 외측에 외벽(3)과 측벽(4)에 의해서 형성된 공기분리기(5)의 유로(6)에는 정류베인(16)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류베인(16)은 움직임날개(1)의 선단부근에 설치된 부재(1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기분리기(5)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날개(1)의 상류측에서 상기 움직임날개(1)의 축방향날개길이의 중앙부근에 걸쳐서 상기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로 되는 개구부(6a)를 갖고, 또 상기 움직임날개(1)의 입구부의 상류측에 출구로 되는 개구부(6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정류베인(16)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구로 되는 개구부(6a)에서 출구로 되는 개구부(6b)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정류베인(16)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6a)에서 움직임날개(1)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휨을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정류베인(16)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당한 피치로 둘레방향에 마련되어 있고, 공기분리기(5)의 유로(6)에 유입하는 기류(8a)와 출구를 향하는 기류(8c)에서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여 축방향으로 정류한다.
소음발생의 하나의 원인으로 되는 움직임날개(1)에서 공기분리기(5)로 향하는 기류(8a)의 유속변동은 제3도에 도시한 점a~점b 사이에서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한다. 또, 소음발생의 다른 원인으로 되는 움직임날개(1)의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변동도 제6도와 동일한 변화특성이다.
본 발명의 이 제1실시예에서는 유로(6)의 입구개구부(6a)에서 출구개구부(6b)에 걸쳐서 정류베인(16)을 설치함과 동시에 유로(6)의 입구개구부(6a)의 부분에 위치하는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의 위치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흐름(8c)가 갖는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를 크게 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유속변동과 압력변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움직임날개(1)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고, 상기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에 발생하는 압력변동을 작게 할 수 있어 제7도와 같이 사용유량범위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7도의 소음증가량은 종래형 공기분리기를 사용한 설계점 유량에서의 소음에 따르고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공기분리기(5)내의 입구부(6a)에만 정류베인(7)을 설치하고, 정류베인(7)의 안가장자리(7a)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실시예에 비해 기류(8c)가 갖는 둘레방향성분의 제거효과는 저하하지만, 제1실시예와 동일한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9도는 제3도에 도시한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와 움직임날개(1)의 선단 사이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의 변화에 의한 발생소음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발생소음은 종래형 공기분리기에서의 발생소음을 기본으로 무차원화하고 있다. 제9도에서 d/H가 0.07이상인 경우에는 발생소음의 저감이 완만하게 되어 있다.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d/H가 0.13이하인 범위에서는 작동범위의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도 없다. 그러나, d/H를 0.13이상으로 하면, 움직임날개 선단의 간극이 너무 크게 되어 정류베인(16)의 효과가 없어지고 제10도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범위의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이 저하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관계를 사용하여 제3도에 도시한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와 움직임날개(1)의 선단사이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한다. 이것에 의해,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작동범위의 확대효과를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8도에 도시한 제2실시예에서의 정류베인(7)의 안가장자리(7a)와 움직임날개(1)의 선단 사이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해도 제2실시예와 동일한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공기분리기(5)에 의한 작동범위의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또, 제12도는 그 움직임날개의 날개면의 압력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간섭 및 상기 움직임날개(1)의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제12도에 도시한 움직임날개의 압력면과 부압면의 압력차 △P에 의존한다.
이 제4실시예에서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날개(1)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거리(안가장자리의 후퇴량)d를 압력차△P에 비례시켜 변화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움직임날개(1)의 회전에 따라서 발생하는 유속변동이나 압력변동을 유효하게 완화시킬 수 있어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와의 간섭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3도는 기계학회편 「기계의 소음발생기구와 저소음 설계방법 연구분과회성과보고서」(평성4년 간행)에 기재되어 있는 소음과 움직임날개-고정날개간의 거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3도에 도시한 특성에 의하면, 움직임날개-고정날개 사이의 거리가 움직임날개(1)의 현길이(弦長)C의 수분이 1이면, 발생소음은 움직임날개-고정날개 사이의 거리가 짧은 경우의 1/2이하로 감소한다. 기류와 정류베인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 주위에 형성되는 압력장과 정류베인의 간섭에 의한 소음의 발생메커니즘도 움직임날개 유출기류와 고정날개의 간섭에 의한 소음의 발생메커니즘과 동일하다고 고려된다. 이 때문에, 제11도에 도시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최대내경위치의 거리(d)를 제13도에 도시한 소음과 움직임날개-고정날개 사이의 거리의 관계를 사용해서 결정해도 이 제4실시예와 동일한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움직임날개-고정날개 사이의 거리가 움직임날개(1)의 현길이C의 수분의 1이면, 발생소음은 1/2이하로 감소하므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거리d는 그다지 크게는 되지 않고 정류베인(16)이 기류(8a)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손실하지 않고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관계를 사용해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최대내경위치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하면 압력상승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원호형상으로 정류베인 안가장자리형상을 성형하고 있지만, 최대안가장자리위치를 교점으로 하는 직선으로 근사시켜도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최대안가장자리위치를 정점으로 해서 계단형상으로 성형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종단측면도이다. 이 제5실시예에서는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분에 위치하는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c)의 위치의 후퇴량을 하류측에서 크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1)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16)의 간섭을 완호시키기 위한 움직임날개(1)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c)의 거리를 하류측에서 크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4실시예보다 정류베인(16)의 가공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이 제5실시예에서는 움직임날개(1)의 앞가장자리 부근에서의 상기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c)의 거리가 접근하고 있으므로, 움직임날개(1)의 앞가장자리 부근에서의 소음저감효과는 약간 저하하지만, 상기 제1~제3실시예보다 기류(8a)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커서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 제6실시예로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4도에 도시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b)의 최대내경위치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하면 압력상승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한 제5실시예에서는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형상을 직선으로 하고 있지만, 원호 또는 하류방향으로 높아지는 계단형상으로 해도 동일한 발생소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관한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의 움직임날개와 공기분리기부분의 종단측면도이다.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서는 저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에는 제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움직임날개각도를 점선에서 실선으로 변화시키고, 상대흐름(17)에 대한 움직임날개(1)의 각도를 수정하여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 움직임날개(1)의 축방향 길이는 제17도의 점선에서 실선과 같이 짧아진다.
이 제7실시예는 저유량상태에서의 운전시의 움직임날개(1)과 대치하는 부분 이외의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d)의 위치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대유량상태에서는 움직임날개(1)(점선표시상태, (1a))의 상류측부분과 대치하는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d)의 위치가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1)의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16)의 간섭을 완화할 수 있어 발생소음이 저감한다. 또, 저유량상태에서는 움직임날개(1)(실선표시상태)의 상류측부분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d)가 접근하고 있으므로, 정류베인(16)이 기류(8a)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8실시예에서는 제15도에 도시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d)의 최대내경위치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한다. 이것에 의해 대유량상태에서의 압력상승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관한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있어서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이 제9실시예에서는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분(6a)에 있어서의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e)의 위치의 후퇴량을 하류측에서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제9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류팬은 대유량운전상태(도면중 1a로 나타낸 움직임날개각도)에서의 소음저감과 저유량운전상태(도면중 1b로 나타낸 움직임날개각도)에서의 정류효과는 약간 저하하지만, 제17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대유량과 저유량의 중간유량에서의 운전시의 움직임날개(1)에 대한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1)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16)의 간섭을 완화할 수 있어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중간유량에서의 운전시에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e)의 거리가 상술한 제7실시예보다 접근하고 있으므로, 정류베인(16)이 기류(8a)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는 효과를 유지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0실시예에서는 제8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7도에 도시한 움직임날개(1)의 선단과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e)의 최대내경위치의 거리d와 움직임날개(1)의 높이(H)의 비(d/H)를 0.07이상, 0.13이하로 한다. 이것에 의해 대유량상태에서의 압력상승을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횡단평면도이다. 이 제11실시예에서는 공기분리기(5)의 입구부분의 정류베인(16)을 움직임날개(1)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휘게 하고, 또한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 α를 움직임날개 부착감도 β보다 크게 하고 있다.
정류베인(16)의 각도를 움직임날개(1)의 부착각도보다 크게 하면,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분(6a)에서의 정류베인(16)과 움직임날개(1)의 중첩이 축방향으로 적어짐과 동시에 공기분리기(5)의 유로(6)으로의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1)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상기 정류베인(16)의 간섭에 의해 상기 정류베인(16)에 가해지는 압력변동의 위상을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어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 위치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지 않고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 제11실시예를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공기분리기(5)의 입구부분의 정류베인(16)을 움직임날개(1)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휘게 하고 또한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 α를 설계점에서의 움직임날개 부착각도 β보다 크게 한다. 이것에 의해, 발생소음이 가장 문제로 되는 대유량운전인 경우에도 설계점 유량에서의 소음저감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12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이 제12실시예는 제18도에 도시한 제11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류베인(16)을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정류베인(16)과 같이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분(6a)에서의 안가장자리(16a)의 위치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해,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1) 주위에 형성된 압력장과 정류베인(16)의 간섭을 완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정류베인(16)에 가해지는 압력변동의 위상을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할 수 있어 더욱더 큰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제10실시예에서의 공기분리기(5)의 입구부분의 정류베인(16)을 제18도에 도시한 제11실시예와 같이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휘게 하고 또한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각도보다 크게 한 경우에도 제1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더욱더 큰 소음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3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부분의 단면사시도이다. 또, 제21도는 제20도에 도시한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의 종(반경방향)단면을 상류측에서 본 도면이다. 이 제13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5)의 외벽(3)과 정류베인(16)을 금속관(18)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한 분리기블럭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2)의 외주상의 측벽(4) 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움직임날개(1)의 선단부근에 배치한 부재(19)에 의해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한 것이다. 유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안가장자리(18a)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2도에 도시한 공기분리기(5)를 구성하는 외벽(3)과 정류베인(16)을 동일부재(금속관(18))에 의해 제작하면, 정류베인(16)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1실시예보다 공기분리기(5)의 제작작업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금속관(18)의 둘레벽의 일부가 정류베인으로 되므로, 기류(8a), (8c)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정류베인의 휨을 인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기분리기(5)의 입구부에 위치하는 안가장자리(18a)를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있으므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를 유지한 상태에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제10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5)의 외벽(3)과 정류베인(16)을 금속관의 외주의 일부를 잘라내어 작성한 분리기블럭으로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2)의 외주상의 측벽(4) 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일체로 연결해서 상기 공기분리기(5)를 구성하도록 한 경우에도 이 제13실시예와 동일한 발생소음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14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이 제14실시예에서는 제4도에 도시한 정류베인(16)을 연결하는 부재(20)의 단면형상을 날개형으로 하고 있다. 유로입구부분에 위치하는 안가장자리(16a)는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후퇴시키고 있다. 부재(20)의 단면형상을 날개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5)의 출구부로부터의 유출흐름(8d)를 원활하게 보낼 수 있고 주류(9)와 흐름(8d)가 혼합할 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안가장자리(16a)가 케이싱 내경보다 외경측으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제13실시예에서 정류베인을 연결하는 부재(19)의 단면형상을 날개형으로 하는 것에 의해, 공기분리기(5)의 출구로부터의 유출흐름(8d)를 원활하게 보낼 수 있고 주류(9)와 흐름(8d)가 혼합할 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3도는 본 발명의 제15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제15실시예에서는 정류베인(16)을 연결하는 날개형단면의 부재(21)을 원형관(21a)와 판재(21b)로 구성함과 동시에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를 케이싱 외경위치보다 후퇴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날개형단면을 갖는 연결부재(21)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분리기(5)의 출구부로부터의 유출흐름(8d)를 원활하게 보낼 수 있고, 주류(9)와 흐름(8d)가 혼합할 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를 케이싱 외경보다 후퇴시키고 있으므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1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제13실시예에 있어서, 정류베인(16) 또는 분리기블럭(18)의 연결부재(19)를 제23도와 같이 원형관(21a)와 판재(21b)로 구성해도 공기분리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16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공기분리기(5)의 유로(6)내에 있어서의 기류(8a)~(8c)는 공기분리기(5)의 입구부분(6a)에서 출구부분(6b)로 향할 때에 정류베인(16)에 의해 둘레방향성분이 제거된다. 그 때, 공기분리기(5)의 유로(6)내에 손실의 원인으로 되는 흐트러짐이 발생하면, 상기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가 저하한다.
본 발명의 제16실시예는 이 공기분리기(5)의 외경을 하류측에서 서서히 크게 하고, 상기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단면적을 상류방향을 향해서 서서히 작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공기분리기(5)의 유로(6)내에서는 입구부분(6a)에서 출구부분(6b)로 향하는 기류(8c)를 가속할 수 있고, 상기 공기분리기(5)의 유로(6)내에서 발생하는 흐트러짐을 억제하여 상기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17실시예에 관한 축류팬의 주요부 종단측면도이다. 이 제17실시예는 상술한 제16실시예에 제1실시예를 조합하고, 공기분리기(5)의 유로(6)의 입구부분(6a)에 위치하는 정류베인(16)의 안가장자리(16a)의 위치를 케이싱(2)의 내경위치보다 외측으로 후퇴시킨 것이다. 이것에 의해, 움직임날개(1)로부터의 기류(8a)와 정류베인(16)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 주위에 형성되는 압력장과 정류베인(16)의 간섭을 완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공기분리기(5)내에 발생하는 기류(8c)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17실시예에 있어서의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방지와 아울러 발생소음도 저감할 수 있다.
제17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실시예~제10실시예와 제16실시예를 조합해서 실시한 경우에도 발생소음의 저감 및 공기분리기(5)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제17실시예에서는 축류팬 또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공기분리기를 원심형 또는 사류(斜流)형의 터보형 유체기계에 적용해도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으로 되는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은 공기분리기에 있어서의 정류베인을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에서 출구부에 걸쳐서 설치하고 있으므로,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와 압력상승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입구부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의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키고 있으므로, 움직임날개의 유출기류와 공기분리기내의 정류베인의 간섭 및 움직임날개 주위의 압력장과 정류베인의 간섭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발생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은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을 금속관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 내어 작성한 분리기블럭으로 구성하고, 이 분리기블럭을 일체로 연결해서 케이싱의 외주상에 고리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의해 기류의 둘레방향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움직임날개의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휨을 정류베인에 부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공기분리기의 제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공기분리기를 구비한 축류팬은 공기분리기의 외벽을 하류측에서 서서히 크게 하고 있으므로, 공기분리기내에 발생하는 기류의 흐트러짐을 억제할 수 있어 공기분리기의 작동범위 확대효과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8)

  1.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에 부착된 여러개의 움직임날개(1), 상기 움직임날개의 적어도 상류측 또는 하류측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내부케이스(12),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측에 부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고정날개(11),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의 외주측에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측이고 또한 상기 움직임날개 근방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공기분리기(5)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6a)를 갖고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 출구(6b)를 형성한 고리형상 유로, 상기 고리형상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16) 및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9)를 갖고, 또 상기 공기분리기의 입구부에 있어서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 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에 부착된 여러개의 움직임날개(1), 상기 움직임날개의 적어도 상류측 또는 하류측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내부케이스(12),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측에 부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고정날개(11),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의 외주측에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측이고 또한 상기 움직임날개 근방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공기분리기(5)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6a)를 갖고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 출구(6b)를 형성한 고리형상 유로, 상기 고리형상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16) 및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9)를 갖고, 또 상기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에 위치하는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 위치를 케이싱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3.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에 부착된 여러개의 움직임날개(1), 상기 움직임날개의 적어도 상류측 또는 하류측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내부케이스(12),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측에 부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고정날개(11),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의 외주측에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측이고 또한 상기 움직임날개 근방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공기분리기(5)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6a)를 갖고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 출구(6b)를 형성한 고리형상 유로, 상기 고리형상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16) 및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9)를 갖고, 또 저유량측의 운전시에 움직임날개와 대치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의 공기분리기에 있어서의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위치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축류팬.
  4.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에 부착된 여러개의 움직임날개(1), 상기 움직임날개의 적어도 상류측 또는 하류측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내부케이스(12),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측에 부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고정날개(11),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의 외주측에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측이고 또한 상기 움직임날개 근방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공기분리기(5)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6a)를 갖고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 출구(6b)를 형성한 고리형상 유로, 상기 고리형상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16) 및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9)를 갖고, 또 상기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로 되는 부분의 정류베인을 둘레방향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휘게 하고, 상기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각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5. 제1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에 위치하는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상기 움직임날개 선단의 날개면압력의 차에 비례해서 후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6. 제3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에 위치하는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의 후퇴량을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순차 작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7.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회전축에 부착된 여러개의 움직임날개(1), 상기 움직임날개의 적어도 상류측 또는 하류측중의 한쪽에 위치하는 내부케이스(12), 상기 내부케이스의 외주측에 부착되고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여러개의 고정날개(11),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의 외주측에 상기 고정날개 및 움직임날개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의 외주측이고 또한 상기 움직임날개 근방에 고리형상으로 형성된 공기분리기(5)를 구비한 축류팬에 있어서, 상기 공기분리기는 상기 움직임날개의 앞가장자리측 선단과 대치해서 입구(6a)를 갖고 상기 움직임날개의 상류측에 출구(6b)를 형성한 고리형상 유로, 상기 고리형상 유로내의 입구에서 출구에 걸쳐 마련한 여러개의 정류베인(16) 및 상기 정류베인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연결부재(19)를 갖고, 또 상기 공기분리기의 외경을 하류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8. 제1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9. 제2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0. 제1항에 있어서, 정륩인의 안가장자리위치의 후퇴량은 하류측을 순차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1. 제2항에 있어서, 정류베인의 안가장자리위치의 후퇴량은 하류측을 순차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2. 제10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3. 제5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의 날개면압력의 차에 비례해서 후퇴시킨 정류베인의 최대안직경위치와 움직임날개 선단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4. 제3항에 있어서, 저유량측의 운전시에 움직임날개와 대치하는 부분이외의 부분의 정류베인 안가장자리와 움직임날개 선단 사이의 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15. 제6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16. 제1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로 되는 부분의 정류베인을 둘레방향에 있어서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휨을 갖게 하고,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각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7. 제3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유로로의 입구로 되는 부분의 정류베인을 둘레방향에 있어서 회전방향과는 역방향의 휨을 갖게 하고, 회전축과 이루는 각도를 움직임날개 부착각도보다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18. 제16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19. 제17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20. 제1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을 구성하는 분리기블럭을 금속관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 외주상의 측벽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의 연결부재에 의해 분리기블럭을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의 한쪽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1. 제2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을 구성하는 분리기블럭을 금속관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 외주상의 측벽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의 연결부재에 의해 분리기블럭을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의 한쪽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2. 제3항에 있어서, 공기분리기의 외벽과 정류베인을 구성하는 분리기블럭을 금속관의 둘레벽의 일부를 잘라내어 형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을 케이싱 외주상의 측벽사이에 고리형상으로 여러개 배치하고,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의 연결부재에 의해 분리기블럭을 일체로 연결해서 공기분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분리기블럭의 한쪽의 안가장자리위치를 케이싱 내경보다 외경측으로 후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23. 제20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분리기블럭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4. 제22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분리기블럭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25. 제1항에 있어서, 정류베인 또는 분리기블럭을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연결하는 부재의 단면형상이 날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6. 제25항에 있어서, 날개형단면을 갖고, 움직임날개 선단 부근에서 정류베인 또는 분리기블럭을 연결하는 부재를 원형관과 판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7. 제11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정류베인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28. 제21항에 있어서, 움직임날개 선단과 분리기블럭 안가장자리 사이의 최대거리와 움직임날개 높이의 비를 0.07 이상, 0.13이내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류팬.
KR1019960014382A 1995-05-09 1996-05-03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KR01616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10729 1995-05-09
JP11072995 1995-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41A KR960041741A (ko) 1996-12-19
KR0161601B1 true KR0161601B1 (ko) 1999-01-15

Family

ID=1454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382A KR0161601B1 (ko) 1995-05-09 1996-05-03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61601B1 (ko)
CN (1) CN11710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83605B (zh) * 2012-08-31 2018-11-13 夏普株式会社 送风装置
CN105927590A (zh) * 2016-07-01 2016-09-07 长安益阳发电有限公司 一种轴流式动叶可调风机
CN114810628B (zh) * 2022-05-19 2023-09-05 深圳乐生机器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滤清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1741A (ko) 1996-12-19
CN1171021C (zh) 2004-10-13
CN1143167A (zh)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7331B1 (ko) 휀과,휀쉬라우드조립체
JP5495700B2 (ja) 遠心圧縮機のインペラ
AU2005265916B2 (en) Blower
EP0886070B1 (en) Centrifugal compressor and diffuser for the centrifugal compressor
EP2097313B1 (en) Axial fan casing design with circumferentially spaced wedges
KR100597118B1 (ko) 레이디얼 터빈의 블레이드 구조체
CN102042266B (zh) 涡轮式流体机械
JP3528285B2 (ja) 軸流送風機
US7476081B2 (en) Centrifugal compressing apparatus
JP2005536687A (ja) ターボ圧縮機の再循環構造
WO2003072949A1 (en) Anti-stall tip treatment means for turbo-compressors
EP0151169B1 (en) Axial-flow fan
JP5029024B2 (ja) 遠心圧縮機
KR20050035119A (ko) 라디에이터 팬 및 이것을 이용한 엔진 냉각장치
JPH08177792A (ja) 軸流ファン
KR100393993B1 (ko) 축류팬
JP3841391B2 (ja) ターボ機械
JP2005290987A (ja) 流体機械のための、特に圧縮機及び通風機のための羽根車及び案内車
KR0161601B1 (ko) 축류팬 및 움직임날개 가변 축류팬
JP3575164B2 (ja) 軸流ファン及びそれに用いるエアーセパレータ
WO1998045601A1 (en) Centrifugal fan with flow control vanes
WO2008082428A1 (en) Reduced tip clearance losses in axial flow fans
KR20030016175A (ko) 와류 팬
JP4146371B2 (ja) 遠心圧縮機
JPH10318117A (ja) 流体機械の羽根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