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1275B1 -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1275B1
KR0161275B1 KR1019900011100A KR900011100A KR0161275B1 KR 0161275 B1 KR0161275 B1 KR 0161275B1 KR 1019900011100 A KR1019900011100 A KR 1019900011100A KR 900011100 A KR900011100 A KR 900011100A KR 0161275 B1 KR0161275 B1 KR 016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vibrator
concrete
concrete material
pow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571A (ko
Inventor
데니스 앨리슨 제이.
에이. 스미트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데니스 앨리슨 제이.
콜럼비아 머시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니스 앨리슨 제이., 콜럼비아 머시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데니스 앨리슨 제이.
Publication of KR9100025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5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 B28B1/087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vibrating or jolting by means acting on the mould ; Fixation thereof 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2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 B28B13/0215Feeding the moulding material in measured quantities from a container or silo
    • B28B13/022Feeding several successive layers, optionally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B28B3/06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with two or more ram and mould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중앙 블록 성형부와 측면에 서로 마주한 공급통 조립체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를 따라 취해진 중앙 블록 성형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중앙 블록 성형부의 한쪽면(제1도에서 바라본)을 나타낸 부분도.
제4도는 중앙 블록 성형부의 다른쪽면을 나타낸 부분도.
제5도는 제1도의 선 5-5를 따라 취해진 중앙 블록 성형부의 평면도.
제6도는 제1 공급통 조립체의 측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선 7-7을 따라 취해진, 제1 공급통 조립체의 정면도.
제8도는 제1 공급통 조립체내의 규정 지지물로부터 분리된 팔레트 공급 조립체의 측면도.
제9도는 형틀 위에 배치된 제1 공급통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6 : 공급통 조립체 14 : 블록 성형부
24,26 : 수직 안내컬럽 28 : 압축 비임
30 : 스트리퍼(stripper) 비임 32,34,36,38,62,64 : 부싱
40-48 : 슈우 52,58,74a,76b,188 : 로드
50,56,186,210 : 실린더 54,60 : 에어 백
66,70 : 돌출부 68,72 : 정지부재
74,76,206 : 실린더/로드 조립체 78 : 팔레트 테이블
80,81 : 팔레트 98 : 진동수단
100 : 형틀 102-110 : 공동
124,138 : 동력 구동수단 128,134 : 진동기 하우징
130,136,142,144 : 진동기 로드 132,143 : 축수단
146,148,156,158,168,170,184 : 휘일 52 : 호퍼
154 : 아암 160,162,172,174 : 트랙
164 : 공급통 166 : 스크리드(screed) 판
173 : 로드 175,176,178 : 링크
182,212 : 모터 182 : 편심 폴리
200 : 팔레트 공급기 조립체 202 : 리프팅수단
214 : 기어상자 216 : 전달수단
218 : 잠금/해제기구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균일하고 조밀한 밀도로 콘크리트 블록 및 페이버(pavers)를 연속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트리트 블록 및 페이버 제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형틀안으로 분배된 콘크리트 재료를 진동시키고 압축시키는 대규모 성형기를 사용했다. 압축후에, 형틀로부터 콘크리트 블록 또는 페이버를 떼어내고나서, 적합한 교정장소를 거쳐 몇 시간후에 제품을 출하한다.
전술한 바와 유사한 종류의 성형장치가 미합중국 특허 제 3,343,239 호에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형틀이 팔레트 호울더 위에 지지되어, 프레임 구조내에 적절하게 설치되고, 단일 진동기 로드가 형틀의 양단에 설치되어 형틀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연결된다. 진동기 로드는 그 하단부가, 형틀을 진동시키기 위해 진동기 로드에 진동을 전달하는 회전축에 연결된다. 진동은 형틀내의 콘크리트 재료를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진동장치의 여러유형의 다른 예가 세키구치(미국 특허 제4,139,754호), 키타하라(미국 특허 제4,111,627호), 겔브만(미국 특허 제3,659,986호), 및 히르트(미국 특허 제3,712, 785호) 등에 개재되었다. 이들 특허의 각각에는, 형틀을 진동시키거나 콘크리트 재료가 균일하게 형틀에 채워지도록 하는 몇가지 유형의 장치가 개재된다. 또한, 팔레트 테이블에 연결된 회전 진동기를 이용한 시스템이 있는데,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서 작동하는, 대개 한쌍으로 된 전기 진동기(내장된 편심추를 가지는 모터를 사용)를 이용한 시스템 같은 것이 있다.
형틀을 채우기 위한 여러 유형의 공급통을 사용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를 가지고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공급통이 콘크리트 재료를 형틀내의 각각의 공동 안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문제점이 있다. 이것은, 공급통이 형틀위를 통과함에 따라서 초기에 제1공동안으로 이동된 재료가 최후의 공동 안으로 이동되는 재료보다 더 조밀하게 되기 때문이다. 다시말하면, 공급통이 후퇴될 때, 형틀내의 콘크리트 재료가 불균등한 형태로, 즉 일단부의 재료가 타단부의 재료보다 더 많이있는 상태로 내보내게 된다. 그러므로, 형틀내에 있는 콘크리트 재죠를 균등하게 분배할 수 있는 어떤 유형의 진동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며, 압축하는 동안에도 콘크리트 재료를 진동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콘크리트 재료가 형틀 내부의 각각의 공동에 동일한 양으로 채워질 수 있도록 형틀의 양단에 형틀의 제어 및 선택가능한 진동을 제공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비고정적으로 설치된 형틀을지지하는 프레임 수단에 의해서 형성되는 자립식 중앙 블록 성형부를 이용한다. 공급통과 같은 공급 수단은 콘크리트 재료를 수용하도록 작동할수 있는 형틀과 접촉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으며, 콘크리트 재료를 형틀의 공동 안으로 투하하거나 채우도록 형틀의 상단면 위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대개 형틀의 양단에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진동기 로드쌍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진동기 로드쌍은 제1동력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고, 제2진동기 로드쌍은 제2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된다 각각의 동력 구동수단은 제1 및 제2진동기 로드쌍을 각각 동기적으로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만일 형틀이 불균등하게 채워졌다고 판단되면, 진동기 로드의 쌍중 하나가 하강하고 다른쌍은 상승하거나, 또는 다른 선택된 순서로 작동한다. 중요한 것은 각각의 쌍이 변속 구동 장치에 의해 독립적으로구동되어 생산 싸이클의 모든 작동단계에서 동기화되거나, 또는 그 싸이클의 일부분에 대해 동기화되거나, 또는 나머지에 대해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 및 제2공급통이 프레임 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형틀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형틀위에 일치된 위치까지 독립적으로 직선이동을 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곧, 콘크리트 블록이나 페어버에 색깔있는 추가의 덧붙인 층(cap)을 장식용으로 붙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 좀더 설명하면, 제1공급통이 형틀위에 위치하여 형틀안으로 재료를 투하하고, 그 공급통이 후퇴한후에, 다른 공급통이 그 위치로 이동하여서 형틀내에 이미 제공된 재료위에 다른 색깔있는 콘크리트 재료를 투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을 연속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임을 알려둔다. 전체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통산 도면부호(10)으로 지칭되며, 도면부호 12의 제1공급통 조립체, 도면부호 14의 중앙 블록 성형부, 도면부호 16의 제2공급통 조립체로 구성된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 또는 색깔 있는 추가 층(cap)을 갖는 페이버(paver)를 성형할수 있는 능력이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블록 성형부(14)는 그 자체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인 지지장치로 설계되어 있으며, 제1 및 제2공급통 조립체는 보수 유지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외측으로 회전될 수도 있도록 동력 구동 휘일상에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분리 장치이다.
먼저 제1도 뿐 아니라 제2도를 참조하여 블록 성형부(14)를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 성형부(14)는 서로 연결된 수직부재 및 크로스 비임 등을 포함하는 도면부호 18의 상자형 프레임 수단을 포함한다. 참조 부호 20의 기저수단을 포함하는 프레임 수단(18)은 방진기(22)의 위에 설치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록 성형부(14)에는 횡으로 뻗어 있는 압축 비임(28), 및 하부에 배치된 주비임 또는 스트리퍼 비임(30)을 미끄럼가능하게 수용하는 한쌍의 마주한 수직 안내컬럼(24,26)이 있다. 압축비임(28)에는 부싱(32,34)이 있고, 스트리퍼 비임(30)에는 부싱(36,38)이 있다. 압축 비임(28)에는 콘크리트 재료를 압축하여 형성된 제품을 설명한 방식으로 형틀내의 공동으로부터 배출하도록 구성된, 도면부호 40 내지 48의 하부로 연장하는 다수의 슈우(shoe)가 있다. 각각의 슈우에는 도면부호 40a 및 42a의 기판이 있다. 제2도의 상부에 도시한 점선 A는 압축 비임(28)이 상승되는 최상 위치를 나타내며, 그 위치에서의 기판(40a,42a)의 최상 위치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트리퍼 비임(30)에 따라 압축 비임(28)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할 수 있는 유압 실린더 및 그에 따른 로드가 스트리퍼 비임(30)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제2도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50)는 스트리퍼 비임(30)상에 설치되어 로드(52)를 상승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고, 그 로드(52)가 압축 비임(28)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54의 방진용 에어백(air bag)은 압축 비임(28) 및 그 작동에 연관된 구성 부품의 완충작용을 한다. 동일하게, 제2도의 오른쪽에 있는 실린더(56)는 압축 비임(28)의 하단에 연결된 로드(58)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부호(60)으로 지시되는 에어 백(air bag)은 로드(58)의 연장부상에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수단(18)상에 설치된 부싱(62,64)은 각각 안내칼럼(24,26)을 미끄럼 가능하게 수용한다. 볼트로 조여져 있고 아래로 연장하는 돌출부(66)가 압축 비임(28)의 왼편에 설치되어 있는데, 이것이 정지부재(68)와 맞닿아서 압축 비임(28)이 아래로 하강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한다. 유사하게,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 비임(28)의 오른편에도 돌출부(70)가 압축 비임(28)의 하강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정지부재(72)와 맞닿을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스트리퍼 비임(30)이 스트리퍼 비임의 인접 대향단부에 설치된 스트리퍼 실린더/로드 조립체(74,76)에 의해서 프레임 수단(18)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도, 제3도, 및 제4도 뿐만 아니라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스트리퍼 비임(30)은 완전히 후퇴한 위치에 있다 실린더/로드 조립체(74,76)는 관련 로드(74a,76b)가 스트리퍼 비임(30)과 맞물려 그것을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킨다.
스트리퍼 비임(30)은 도면부호 80의 팔레트용 지지물을 제공하는 팔레트 테이블(78)을 지지한다. 전형적으로, 콘크리트 블록 또는 페이버를 수용하기 위한 팔레트(80)는 38.1㎜ 강판으로 되어 있다. 팔레트 테이블(78)은 스페이서/브래킷 조립체(92,94,96)에 의해서 설치된 새들(saddle)(90)에 차례로 설치된 에어백(82-88) 같은 진동 완충기에 의해서 설치된다.
이제 블록 성형부(14)내에 위치되어 그곳에서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형틀(100)에 적절하게 연결된 진동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형틀(100)은 미리 결정된 블록 또는 페이버 형태를 한정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도면 부호 102-110의 내부 공동과 함께 제2도에 도면 부호 100으로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형틀(100)은 도면부호 112 및 114의 안내 지지부재의 양단에 적절하게 설치된다. 안내 지지부재(112,114)는 가요성 있는 길다란 판스프링(116,118)에 의해 프레임 수단(18)에 비고 정적으로 설치된다. 더 상세하게, 제4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116,118)은 안내 지지부재(112)를 프레임 수단(18)에 비고정적으로 가요성 있게 서로 연결한다. 동일하게 제2도 및 제3도의 오른편을 보면, 판 스프링(120,122)이 안내 지지부재(114)를 프레임 수단(18)에 가요성 있게 서로 연결한 것을 볼 수 있다.
제2도(제4도 참조)의 좌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동력 구동수단(124)이 프레임 수단(18)상에 적절하게 설치되며, 도시된 바와같이 안재지지부재(112)에 볼트로 조여진, 수직으로 연장하는 진동기로드(130)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내부 편심장치를 포함하는 진동기 하우징(128)에 제1동력 구동수단(124)이 타이밍 벨트 구동장치(126)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제2도의 하단을 보면, 제1동력 구동수단(124)에 의해 구동되는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축수단(132)은 진동기 하우징(128)으로부터 안내 지지부재(114)에 볼트로 조여진 진동기 로드(136)에 진동 전달하도록 편심장치를 제공한 진동기 하우징(134)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일하게, 제2동력 구동수단(138)(제4도에 도시)는 진동기 로드(142)에 진동을 전달하고 제2축수단(143)을 통해서 진동기 로드(144)(제3도에 도시된)에 진동을 전달하기 위해 진동기 하우징(140)에 적절하게 결합된다. 이와같이, 형틀(10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진동기 세트에 대해 설명했다. 진동기는 일단부가 형틀(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1동력 구동수단(124)에 연결되어있는, 서로 이격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진동기 로드(130,136)쌍으로 형성된다. 제2진동기 세트 또한 일단부가 형틀(10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제2동력 구동수단(138)에 연결된, 서로 이격분리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진동기 로드(142, 144)쌍으로 형성된다.
한쌍의 진동기 로드(130,136)쌍은 제2진동기 로드(142,144)쌍과 독립적으로 또는 동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전술한 장치의 작동으로부터 분명하듯이, 재료가 채워진 형틀(100)에 진동을 자유자재로 전달하거나 형틀의 한 단부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중요하다. 그러나, 먼저 공급통 조립체(12,16)를 설명할 필요가 있다. 먼저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하면, 제1공급통 조립체(12)는 장치를 세척하거나 보수하고자 할 때 트랙을 따라 이동할 수 있어서 중앙 블록 성형부(14)로부터 멀리 후퇴시키기 위한, 서로 마주한 휘일(146,148)상에 설치된 프레임 구조물상에 차례로 설치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공급통 조립체(12)는 위에 설치된 호퍼(152)를 갖는 보통 고정된 상자(150)로 구성된다. 상자(150)의 양측면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은 제6도에 도시된 휘일(156,158)과 같은 한 쌍의 휘일의 양측면에 축받이가 되는 아암(154)이다(제7도에 도시). 상자(150)의 양측면에 있는 휘일은 제7도에 도시된 인접한 트랙(160,16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자(150) 밑에 배치된 것은 제1공급통(164)으로 언급되는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공급통이다. 제1공급통(164)에 수직으로 조정 가능하여 긁어흘러내리는 스크리드판(screed plate)(166)을 제공한다. 또한, 제1공급통(164)의 양측면에 휘일(168,170) 및 휘일(169)같은 비슷한 것을 제공한다. 제7도에는 도시한 바와 가이 휘일은 트랙(172,174)상에 있다. 길다란 요동로드(173)는 제1공급통(164)의 안쪽에 배치된 요동핑거에 연결되는 일련의 피봇가능하게 연결된 링크(175, 176 및 178)을 통하여 적절하게 연결된다. 요동로드(173)는 편심풀리(182)에 연결된 모터(180)에 의해서 구동되어 링크 및 핑거를 요동시켜 공급통(164) 및 상자(150)내에 있는 콘크리트 재료를 뒤섞어 흔든다. 또한 모터(180) 및 편심풀리(182)는 트랙(172)을 따라 이동하기 위한 리어 휘일(184)(reer wheel)을 포함한다. 맞은편 휘일은 트랙(174)에 따른 이동을 위해 제공된다. 유압실린더(186)는 로드(188) 및 인접한 연결부재(190)를 전진, 후퇴하도록 작동하여서 제1도 및 제6도에서 볼 때, 선택적으로 제1공급통(164)을 상자(150)에 대해 왼쪽으로 연장시키고, 다시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제1공급통(164)을 귀환시킨다. 이렇게 하여, 콘크리트 재료는 호퍼(152) 및 상자(150)로 분배된 후 제1공급통(164)로 공급된다. 제1공급통은 밑바닥이 없지만 제1공급통이 제6도에 도시된 오른쪽에 위치될 때 콘크리트 재료는 프레임구조 위에 마련된 판에 의해 유지된다. 제1공급통(164)이 왼쪽으로 이동되어 형틀(100)의 위에 위치될 때, 콘크리트 재료는 설명되는 바와같이, 제1공급통(164)안으로 투하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통(164)은 트랙(172,174)을 따라 형틀(100)위의 위치로 이동된다.
다시 제1도를 참조하면, 트랙(172)은 중앙 블록 성형부(14)을 통하여 연장하여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1도의 왼쪽을 보면 제2공급통 조립체(16)는 제1도에 도면부호 200의 팔레트 공급기 조립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방금 설명한 제1공급통 조립체(12)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제 제8도에 도시된 팔레트 공급기 조립체(200)를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팔레트 공급기 조립체(200)는 팔레트(80,81)를 수용하는 리프팅 수단(202)으로 구성된다. 리프팅 수단(202)은 리프팅 실린더/로드 조립체(206)에 의해 구동되어 팔레트가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로 이동하여서 팔레트는 도면부호 80의 위치로 상승된다. 그 다음에, 푸쉬로드(208)가 구동실린더(2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작동되어 팔레트의 일단부를 파지하여 왼쪽으로 이동시키므로, 팔레트는 팔레트 테이블(78)위에 배치된다. 제1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모터(212)가 기어박스(214) 및 전송수단(216) 통하여 휘일(146)에 서로 적합하게 연결되어서, 제1공급통 조립체(12) 및 지지프레임은 중앙 블록 성형부(14)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제2공급통 조립체(16)에도 동일한 구조가 제공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을 서로 연결시키는 잠금/해제기구가 도면부호 218로 표시된다. 마지막으로, 제1도 및 제6도에는 트랙(172)이 연속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사실상 트랙(172)은 분리되어 정렬되게 구성되며, 보수 및 수선이 요구될 때 제1 및 제2공급통 조립체는 중앙 블록 성형부(14)로부터 멀리 이동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방법은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데 있어서, 몇가지 독특하고 중요한 잇점을 제공한다. 색깔있는 추가 층(cap)이 제공되지 않는 작동모드에 있어서의 단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제2도를 참조하면, 스트리퍼 비임(30)이 스트리퍼 실린더/로드 조립체(74, 76)를 통하여 최하위치에 하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린더(50, 56)가 작동하여 그에 따른 로드(52, 58)를 각각 내뻗어 압축 비임(28)을 제2도에서 도면부호(A)로 지시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스트리퍼 비임(30)이 최하위치에 있을 때, 팔레트 공급기 조립체(200)가 작동하여 팔레트를 팔레트 테이블(78)에 이동시킨다. 팔레트는 제2도 내지 4도에 도시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때에, 실린더(74,76)가 스트리퍼 비임(30)을 수직으로 상승시키도록 작동하여서 팔레트(80)의 상단이 형틀(100) 바로 밑에 위치된다.
제1공급통(164)은 콘크리트 재료를 채운다음, 블록 성형부(14)를 향하여 즉 제1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왼쪽으로 이동된다. 제1공급통(164)의 프론트 에지(front edge) 또는 스크리드 판이(166)이 형틀(100)의 리딩 에지(leading edge)위를 통과하기 시작할 때, 콘크리트 재료는 형틀(100)의 제1공동 안으로 분배되며, 제1공급통이 형틀(100)의 위로 계속 지나갈 때, 나머지 공동이 콘크리트 재료로 채워진다. 투하단계 동안에, 요동로드(173)가 작동하여 콘크리트 재료를 계속해서 뒤섞는다. 제2도는 제1공급통(164)이 궤도(172, 174)를 따라 이동한후에 형틀(100) 위의 제1공급통(164)의 위치를 나타낸다. 공급통에는 밑바닥이 없으며, 콘크리트 재료를 도면부호 102,104 및 106으로 나타낸 개개의 공동 안으로 옮겨진다. 콘크리트 재료가 각각의 공동에 채워지고 팔레트(80)는 상기 공급통의 바닥 리테이너를 형성한다.
형틀(100) 위의 제1공급통을 절단하여 확대한 개략도가 제9도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에 채워진 공동이 다음에 채워진 공동보다 더 큰 밀도를 가지기 때문에 콘크리트 재료는 각각의 공동에 균등히 분배되지 않는다. 이것은 제1공급통 내의 콘크리트 재료가 초기에 채워지는 공동보다 가장 깊게 있어서 거기에 더 밀집한 양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재료의 밀도는 도면부호(110)으로 도시되는 왼쪽 공동에서 가장 작다. 형틀(100)의 리딩 에지(100a)에 근접한 공동은 초기의 콘크리트 재료의 밀도보다 더 조밀하다. 그러나, 공동내의 밀도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각각의 공동은 균등한 양의 콘크리트 재료를 포함해야 한다.
따라서, 제2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혼합단계 동안에 제1공급통이 형틀(100)위에 배치되면, 제1 및 제2동력 구동수단(124,138)이 이제 작동되어 제1진동기 로드(130,136)쌍 및 제2진동기 로드(142,144)쌍에 진동을 각각 전달한다. 진동의 결과로서, 콘크리트 재료는 진동되고 이동되어서 공동내에 더 균등하게 배치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일 작업자가 콘크리트 재료가 균등하게 분배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거나, 그 재료를 다시 분배하거나 형틀(100)내의 형태를 바꾸기 원한다면, 제1진동기 로드(130,136)쌍이 작동중에 있는 동안 제2진동기 로드(142,144)쌍을 작동시키지 않아야 한다. 제2진동기 로드(130,136)가 초기에 채워진 공동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어서, 이 로드(130, 136)의 계속되는 작동으로 형틀(100)의 하단에 더 많은 진동을 가져와서 콘크리트 재료를 확실히 균등하게 분배한다. 이러한 것은 형틀(100)위에 위치된 제1공급통(164)에 대해 성취된다. 즉, 한 쌍의 진동기 로드는 다른 진동기 로드쌍이 작동되지 않는 동안에 작동되어서 콘크리트 재료의 바람직한 분배를 성취할 수 있다.
다음에, 제1공급통(164)이 후퇴되어서 스크리드판(166)이 뒷방향으로(제1도에서 봤을 때 오른쪽으로) 콘크리트 재료를 훑어 내린후, 한 쌍의 진동기 로드는 형틀이 원하는대로 콘크리트 재료의 외형이 나타나도록 독립적이거나 동시에 작동된다. 또한, 공급통이 후퇴되는 동안에 어떤 쌍의 진동기 로드도 작동되지 않는다. 여기에서의 관점은 작업자가 형틀의 원하는 형태를 명령하여 선택적으로 시스템을 작동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제1 공급통(164)가 완전히 후퇴된 후에, 압축단계가 다음과 같이 발생한다. 압축 실린더(50,56)가 작동하여 인접한 로드(52,58)을 어떤 위치로 하강시켜 슈우(40a,42a)가 형틀(100)의 공동 안으로 아래로 향하게 되어 콘크리트 재료를 압축시켜 조밀하게 한다 이 압축단계 동안에, 전형적으로 4개의 진동기 로드 모두가 형틀(100)의 진동을 위해 구동되거나, 다른 한쌍이 작동되지 않는 동안에 선택된 한쌍의 진동기 로드가 작동된다. 어떤 경우에, 진동 및 압축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 및 제2동력구동 수단의 동기적 또는 독립적 작동은 환경에 의존할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압축 비임(28)이 하강하여 그것의 돌출부(66,70)가 대응하는 정지부재(68, 72)에 맞닿아 정지한 후에, 실린더/로드 조립체(74, 76)가 작동하여 팔레트 테이블(78)을 하강시킴으로써 압축성형된 도면부호 b로 표시된 블록 또는 페이버를 수용하고 이제 이 제품을 형틀(100)에서 떼내야 한다.
본 발명을 이용한 또다른 공정은 다른 색깔있는 추가 층을 갖는 블록 또는 페이버를 제조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즉, 콘크리트의 기본재료가 공급되는 제1공급통(164)은 초기에 형틀(100)을 채우고 혼합한다. 진동수단(98)은 상술한 바와같이 진동을 제공하도록 적합하게 작동한다. 제1공급통(164)이 후퇴한 후에 다른 색깔을 가진 콘크리트 재료로 채워진 제2공급통 조립체(16)의 공급통이 그 위치로 이동되어서 새로운 재료가 원래 기본재료의 윗부분에 분배되어 색깔있는 추가 층을 제공한다. 제2공급통이 후퇴된 다음, 압축 비임(28) 및 스트리퍼 비임(30)이 상술한 바와같이 압축 및 제거단계를 제공하도록 작동 한다. 또다시, 진동이 필요할 때 마다 필요로하는 만큼 제공된다. 그러한 색깔있는 추가 층을 갖는 페이버는 매우 장식적이어서 보도 및 가로수 길 등에 많이 응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진동기 로드는 그에 인접한 편심구동장치에 설치 되어서 하사점(BDC)에서 상사점 (TDC)까지 25.4(㎜)의 80/1000의 범위상에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형틀(100)은 그 행정거리에 상응하여 이동하거나 적당한 명령에 의해서 선택된 더 짧은 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형틀(100)의 일단부는 선택된 한쌍의 진동기 로드의 적합한 명령 작동에 의해서 타단부와 관련하여 이동될 수 있다. 작업자는 형틀(100)내의 콘크리트 재료를 균등히 분배하기 위해 분배를 조정하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콘크리트 재료의 외형은 공급통이 후퇴될때마다 변화될 수 있다. 형틀(100)에 전달되는 진동이 있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상술한 바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작동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몇몇 중요한 장점들이 성취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제일 먼저, 장치를 여러부분, 즉 중앙 블록 성형부를 제1 및 제2공급통 조립체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상기 세부분의 부품을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공급통만을 사용할 수 있게 설계할 수 있다. 진동수단의 제1 및 제2 동력구동축이 맞은편 반대방향에서 회전하기 때문에 균형있는 설계가 되어 재료를 형틀에 정확하게 채우고 압축하는 특성을 가지게 한다.
본 발명의 주요장점은 대체로 형틀 양단에 고정되어 있는 제1 및 제2 진동기 로드 쌍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각각의 진동기 로드 제1 및 제2쌍 맞은편 반대방향에서 각자의 독립 동력 구동수단에 의해서 구동되어 각각의 쌍은 다른 것과 동시에 작동되거나 독립적으로 작동된다. 이것은, 만일 형틀이 불균등하게 채워지면 진동기 로드 쌍의 하나가 다른 것보다 더 긴 싸이클동안 작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형틀의 각각 공동내에 동일 양의 재료를 채워서 그 공동내의 밀도를 균등하게 하는 것이다. 공급통이 후퇴한 후에, 형틀내에 남아있는 콘크리트 재료의 밀도상태는 압축 동안에도 더 균등해지는데, 즉 진동기 로드가 실제 압축단계 동안에 작동되어서 압욱 비임(28)에 의해 슈우를 콘크리트 재료쪽으로 이동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어떤 특정한 제어장치, 호스, 와이어링 장치 등을 도시하지 않은 채로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의 모든 특징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들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제1공급통 조립체로부터 연장하여 중앙 블록 성형부를 거쳐서 제2공급통 조립체로 이어지는 트랙이 제공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면부호 172, 및 174로 표시된 트랙이 실제 연속적인 부재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형틀의 맞은편에서 길이방향으로 마주보고있는 공급통이 형틀에서 떨어진 제1위치로부터 투하단계가 실행되는 형틀 바로 위에 위치되는 제2위치로 트랙을 따라 직선이동할 수 있게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172, 174)의 위치선정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공급통을 형틀로부터 효과적으로 격리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형틀이 판(116-120)같은 가요성 지지물에 의해 정위치에 차례로 위치되기 때문에 형틀에 전달되는 진동은 트랙 및 공급통에 반드시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은 만일 공급통이 진동되면, 그 안의 재료가 더 축소되어 형틀로 손쉽게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선택된 작동시간을 사용하는 동안에, 전형적인 순서는 대략 2-3초의 투하단계 동안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투하작업후에 , 진동기의 한 쌍만이 1초동안 작동한다. 콘크리트 재료 등에 따라 다른 순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은 다음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는 형태 및 세부사항에 있어서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로서, 지지구조물을 형성하는 프레임 수단과, 미리 결정된 블록형태의 내부 공동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수단 위에 가요성 있게 설치된 형틀 수단과, 상기 형틀 수단의 윗면에 선택적으로 위치하여형틀의 공동 안으로 콘크리트 재료를 투하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콘크리트 재료 수용용 공급 수단과, 대체로 상기 형틀 수단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 진동기 쌍으로 구성되는 진동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진동기쌍을 각각 동기적 또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1 및 제2 동력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기 쌍은 일단부가 상기 형틀 수단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1 동력 구동수다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분리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1 전동기 로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진동기 쌍은 일단부가 상기 형틀 수단에 여결되며 타단부가 상기 제2 동력 구동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분리되어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진동기 로드쌍으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진동기 쌍은 서로에 대해 횡으로 나란히 위치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기 로드쌍을 서로 연결시켜 작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1축수단, 및 상기 제2 진동기 로드쌍을 서로 연결시켜 작동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수평으로 연장하는 제 2 축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단은 상기 형틀 수단 위에 수평으로 연장하는 레일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형틀 수단에서 멀리 떨어진 제1위치로부터 상기 형틀 수단 바로 위에 배치되어 콘크리트 재료를 형틀내의 공동 안으로 콘크리트 재료를 투하하는 제2위치로 상기 레일 수단을 따라서 선택적으로 직성 이동할 수 있는 공급통 조립체로 형성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제1 및 제2공급통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공급통은 콘크리트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 수단 위에 설치되며 형틀 수단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부터 상기 형틀 수단 바로 위의 위치로 순차적인 직선이동을 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수단은 상기 형틀 수단의 대향단부 위에서 외측 측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다란 트랙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공급통은 상기 트랙수단 위에 설치되어 그 트랙수단을 따라 선택적으로 왕복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8.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방법으로서, 미리 결정된 블록형태의 내부 공동을 갖는 형틀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공동 내부에 콘크리트 재료를 투하하는 단계와, 진동수단에 의해 상기 형틀을 진동시키거나 상기 형틀의 선택된 부분을 진동시킴으로써 상기 투하단계중 형틀에 진동을 전달하는 단계와, 형틀에 진동을 계속해서 전달하는 동안에 형틀내의 콘크리트 재료를 압축시키는 단계와, 형틀의 진동을 제거하는 단계, 및 형틀내의 압축된 콘크리트 재료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동력 구동수단이 비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동력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 및 상기 제1동력 구동수단이 비작동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2동력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콘크리트 블록 연속 성형장치.
KR1019900011100A 1989-07-21 1990-07-21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방법 및 그 장치 KR01612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83,054 1989-07-21
US7/383,054 1989-07-21
US07/383,054 US5059110A (en) 1989-07-21 1989-07-21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blocks having plural separately driven vibrator se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571A KR910002571A (ko) 1991-02-25
KR0161275B1 true KR0161275B1 (ko) 1998-11-16

Family

ID=23511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100A KR0161275B1 (ko) 1989-07-21 1990-07-21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059110A (ko)
EP (1) EP0409471B1 (ko)
KR (1) KR0161275B1 (ko)
AT (1) ATE118397T1 (ko)
AU (1) AU632808B2 (ko)
CA (1) CA2018214C (ko)
DE (1) DE69016864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18B1 (ko) * 2016-04-19 2017-01-03 (주)한보이엔지 방진고무 보호 구조를 갖는 옹벽블록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0557B1 (ko) * 1990-12-26 1999-03-20 후까이 히로도시 벽돌 압착기
CN1036980C (zh) * 1992-06-15 1998-01-14 冶金工业部钢铁研究总院 混凝土轨枕构件振动成型装置
US5395228A (en) * 1994-02-07 1995-03-07 Columbia Machine, Inc.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products
US5807591A (en) * 1994-07-28 1998-09-15 Columbia Machi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ncrete products
GB2292105B8 (en) * 1994-08-10 1999-07-05 Kameel Diab Sawalha System for producing discrete components or articles from continuous fibre metal matrix composite
US5542837A (en) * 1995-01-13 1996-08-06 Columbia Machine, Inc. Mold box assembly with partition plates
FR2729602B1 (fr) * 1995-01-25 1997-04-11 Adler Sa Procede de moulage sous pression,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US5866026A (en) * 1995-06-01 1999-02-02 Columbia Machin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mmodating tolerances in a mold for concrete products
ES2135302B1 (es) * 1996-02-07 2000-05-16 Medrano Bermejo Maria Carmen Maquina para la fabricacion de tableros de hormigon prefabricados.
ES2140273B1 (es) * 1996-11-05 2000-09-01 Diprom 2 000 S L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elementos de balaustrada de hormigon en masa y maquina correspondiente.
US6007321A (en) * 1997-09-04 1999-12-28 Meckel; Kevin Unitary paver mold
US5939104A (en) * 1998-02-11 1999-08-17 Columbia Machine, Inc.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level concrete product
US6758665B2 (en) * 2000-12-07 2004-07-06 Sigmund P. Cichos Concrete block vibrator
EP1707331A3 (de) * 2005-03-30 2007-10-31 Godelmann Pflastersteine GmbH & Co. KG Verfahren sowie Form zum Herstellen von Bodenplatten aus zementgebundenem Material bzw. Beton
RU2353514C1 (ru) * 2007-11-15 2009-04-27 Набатников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Вибропресс и способ вибропрессования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DE102009050731A1 (de) * 2009-10-26 2011-04-28 Outotec Oyj Anlage zur Herstellung eines für die Verkokung geeigneten Kohlekuchens
US9492944B2 (en) * 2013-11-25 2016-11-15 Ness Inventions, Inc. Agitator grid with adjustable restrictor elements for concrete block machine
CN106426520B (zh) * 2016-11-08 2019-01-04 山东建筑大学 双工位混凝土构件成型机
CN107839287A (zh) * 2017-11-28 2018-03-27 合肥波林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粉末成形送料装置
CN111775274A (zh) * 2020-06-23 2020-10-16 陈悦锋 一种水泥板制作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5935A (en) * 1961-05-30 Control system for a concrete block forming machine
US2396999A (en) * 1945-02-22 1946-03-19 Frank C George Block molding machine
US2706320A (en) * 1948-12-06 1955-04-19 Neth Fred Concrete block machine
US2589115A (en) * 1948-12-06 1952-03-11 Neth Fred Machine for making concrete blocks
US2859502A (en) * 1952-04-18 1958-11-11 Jr Charles Kepler Brown Block molding machine
US2819046A (en) * 1953-11-13 1958-01-07 Albert C Jandris Vibration absorbing apparatus
US2842827A (en) * 1955-01-14 1958-07-15 Richmond Foundry & Mfg Co Inc Block forming machine
US3343239A (en) * 1965-01-27 1967-09-26 Columbia Machine Concrete block forming machine with pneumatic vibration
US3331112A (en) * 1966-05-10 1967-07-18 Raymond W Clanton Machine for molding concrete blocks
DE1758927B1 (de) * 1968-09-04 1970-12-17 Vaw Ver Aluminium Werke Ag Ruettel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ohle-Elektroden hoher Dichte fuer die Aluminium-Industrie
US3659986A (en) * 1970-03-16 1972-05-02 Nathan L Gelbman Apparatus for making concrete products
US4111627A (en) * 1977-03-29 1978-09-05 Kabushiki Kaisha Tiger Machine Seisakusho Apparatus for molding concrete-blocks
JPS5424922A (en) * 1977-07-26 1979-02-24 Katsura Kikai Seisakushiyo Kk Vibration equipment for concrete block molding machine
US4238177A (en) * 1978-04-24 1980-12-09 Crile Eugene E Molding machine with vibration isolation
US4265609A (en) * 1978-07-19 1981-05-05 Yutaka Kitahara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concrete block products
FR2478519A1 (fr) * 1980-03-24 1981-09-25 Mfp Di Manfio Alberto C Machine automatique pour la confection d'elements prefabriques en pate de ciment
DE3040876A1 (de) * 1980-10-30 1982-06-09 Kronimus & Sohn Betonsteinwerk und Baugeschäft GmbH & Co KG, 7551 Iffezheim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uenstlichen pflastersteinen unter verwendung von betonmischung/en
US4445839A (en) * 1982-09-16 1984-05-01 Metalfab, Inc. Reciprocating tamper for a concrete mold pr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518B1 (ko) * 2016-04-19 2017-01-03 (주)한보이엔지 방진고무 보호 구조를 갖는 옹벽블록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8214A1 (en) 1991-01-21
DE69016864T2 (de) 1995-08-03
AU5504490A (en) 1991-01-24
AU632808B2 (en) 1993-01-14
EP0409471A3 (en) 1991-10-09
DE69016864D1 (de) 1995-03-23
US5059110A (en) 1991-10-22
KR910002571A (ko) 1991-02-25
ATE118397T1 (de) 1995-03-15
EP0409471A2 (en) 1991-01-23
CA2018214C (en) 1995-05-23
EP0409471B1 (en) 1995-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1275B1 (ko)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방법 및 그 장치
JP4249275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装置、コンクリート製品の成形用型枠箱、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品成形装置における型枠の位置合わせ方法
US7635261B2 (en) Large pallet machine for forming molded products
US6177039B1 (en) Method for forming concrete products
US2859502A (en) Block molding machine
US8899958B2 (en) Shuttle for a feedbox of a block machine
US3555599A (en) Apparatus for shaping of granular substances
US5277853A (en) Method for forming concrete blocks
RU20389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RU223065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JPH0733011B2 (ja) 硬化性材料の形成装置
RU2188122C1 (ru) Агрега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AU710218B2 (en) Mold box for forming concrete products
GB2336801A (en) Method and machine for producing concrete blocks
RU2158678C1 (ru) Агрега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JPH011340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