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385B1 -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385B1
KR0160385B1 KR1019950031449A KR19950031449A KR0160385B1 KR 0160385 B1 KR0160385 B1 KR 0160385B1 KR 1019950031449 A KR1019950031449 A KR 1019950031449A KR 19950031449 A KR19950031449 A KR 19950031449A KR 0160385 B1 KR0160385 B1 KR 016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urge gas
gas supply
flow controller
suppl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968A (ko
Inventor
홍성현
이영복
강홍대
나관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3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385B1/ko
Publication of KR970017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9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44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coating
    • C23C16/4401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e.g. dust, moisture or residual gas, in the reaction chamber
    • C23C16/4408Means for minimising impurities, e.g. dust, moisture or residual gas, in the reaction chamber by purging residual gases from the reaction chamber or gas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Vapour Depos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의 CVD공정중, 유량제어기를 통해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를 감소시켜 유량제어기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쓰리웨이밸브의 제어에 의해 공정가스 또는 퍼지가스 선택적으로 유량제어기를 통과하여 공정챔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지가스가 공급되어지는 공급라인의 퍼지가스 통과 단면적을 축소시켜 퍼지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제어부를 퍼지가스 공급라인상에 설치한 구성으로, 이로써 유량제어기를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의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시스템 블럭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부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서 압력제어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공정가스 공급라인 12 : 퍼지가스 공급라인
13 : 쓰리웨이밸브 14 : 유량제어기
15 : 공정챔버 17 : 압력제어부
18 : 오리피스 가스켓 18a : 통공
19,20 : 암,수조인트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가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공정중 CVD(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정챔버(Process Chamber)로 공급되는 공정가스(Process Gas)와 퍼지가스(Purge Gas)의 압력차이를 감소시켜 압력차로 인한 유량제어기(Mass Flow Controller)의 손상을 방지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VD공정은 유전체나 도체로 작용하는 어떤 층을, 기체 상태의 화합물을 분해한 후 화학적반응에 의해 웨이퍼상에 적층하기 위한 것으로, 적층될 물질 원자를 포함한 화학물질이 공정챔버로 주입되고, 공정챔버에서 화학물질(가스상태)이 다른 가스와 반응함으로써 원하는 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물질은 웨이퍼상에 증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제1도는 상기와 같은 CVD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가스공급장치를 나타낸 시스템 블럭도로서, 공정가스는 유량제어기(1)를 통해 공정챔버(2)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공정챔버(2)에는 공정가스외에도 퍼지가스가 공급되어지는 것으로 퍼지가스는 통상 N2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퍼지가스 공급라인(3)은 공정가스 공급라인(4)과 쓰리웨이밸브(5)로 연결되며, 퍼지가스는 가스공급라인을 포함하는 유량제어기(1) 및 공정챔버(2)를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스공급장치는, 먼저 CVD공정중에는 쓰리웨이밸브(5)가 퍼지가스를 차단시키고 공정가스만 통과 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정가스는 유량제어기(1)를 거쳐 공정챔버(2)로 공급되고, CVD공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CVD공정을 종료하게 되면, 즉시 쓰리웨이밸브(5)가 제어부(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공정가스를 차단하여 공급을 중단시키고 퍼지가스는 통과시키게 된다. 따라서 퍼지가스는 다음 CVD공정을 위해 웨이퍼가 교체되는 동안 유량제어기(1)를 통해 공정챔버(2)로 공급되는 것이고, 이로써 퍼지가스는 유량제어기(1) 및 공정챔버(2)를 세정하게 되며, 웨이퍼의 교체가 완료되면, 다시 쓰리웨이밸브(5)에 의해 퍼지가스는 차단되고 공정가스가 공급되어 다음 CVD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공급장치는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공급압력 차이에 의해 유량제어기(1)가 손상되어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정가스의 공급압력은 통상 2kgf/cm2이고, 퍼지가스는 이보다 높은 4~6kgf/cm2이다.
따라서 CVD공정중 2kgf/cm2의 공정가스가 유량제어기(1)를 통과하다가 CVD공정의 종료로 4~6kgf/cm2의 퍼지가스가 유량제어기(1)로 흐르게 되면, 유량제어기(1)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리게 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유량제어기(1)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유량제어기를 통해 공정챔버로 공급되는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이를 감소시켜 이들의 압력차이에 따른 유량제어기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이를 감소시킴에 있어 가스공급라인내에 가스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가스공급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아도 설치공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쓰리웨이밸브의 제어에 의해 공정가스 또는 퍼지가스가 선택적으로 유량제어기를 통과하여 공정챔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지가스가 공급되어지는 공급라인의 퍼지가스 통과 단면적을 축소시켜 퍼지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제어부를 퍼지가스 공급라인상에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퍼지가스가 흐르는 퍼지가스 공급라인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통공을 갖는 오리피스 가스켓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의 통공은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가 적어도 2kgf/cm2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 오도록 단면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가스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서,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의 공급라인(11)(12)이 쓰리웨이밸브(13)와 연결되어 있고, 이 쓰리웨이밸브(13)는 제어부(도시안됨)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중 어느 하나의 가스만을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쓰리웨이밸브(13)를 통과한 공정가스 또는 퍼지가스는 유량제어기(14)를 통해 공정챔버(15)로 공급되도록 가스공급라인(16)으로 연결된 구성이고, 상기 퍼지가스로는 통상 N2를 많이 사용한다.
또한 상기 퍼지가스 공급라인(12)상에는 퍼지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압력제어부(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제어부(17)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지가스가 흐르는 퍼지가스 공급라인(12)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통공(18a)을 갖는 오리피스 가스켓(18)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18)의 통공(18a)은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가 적어도 2kg/cm2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 오도록 단면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는 상기의 퍼지가스 공급라인(12)상에 오리피스 가스켓(18)이 설치된 상태를 일예로 나타낸 것으로, 쓰리웨이밸브(13)와 퍼지가스 공금라인(12)의 이음부에 설치한 것이다. 즉 퍼지가스 공급라인(12)은 쓰리웨이밸브측 공급라인(12a)과 퍼지가스측 공급라인(12b)으로 분리되어 있고, 양측의 공급라인(12a)(12b)은 각각의 단부면이 맞닿도록 하여 내주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암조인트(19)와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수조인트(20)로 연결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양측의 공급라인(12a)(12b) 사이에는 오리피스 가스켓(18)이 밀착되어 설치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18)은 양측의 공급라인(12a)(12b)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게 되고, 오리피스 가스켓(18)의 통공(18a)은 퍼지가스측 공급라인(12b)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 구성이다. 따라서 퍼지가스측 공급라인(12b)으로 흐르던 퍼지가스가 단면적이 보다 작은 오리피스 가스켓(18)의 통공(18a)을 통과하게 되면서 오리피스 효과에 의해 압력이 강하되는 것이고, 이로써 유량제어기(14)로 흐르는 퍼지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18)이 통공(18a)은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의 압력차이에 따라 설정될 수 있으며, 공정가스의 성분에 따라 퍼지가스와의 압력차가 변화될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직경의 통공을 갖는 오리피스 가스켓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의하면, 퍼지가스 공급라인상에 설치된 오리피스 가스켓의 통공으로 퍼지가스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급압력이 강하되므로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가 감소되는 것이고, 이로인해 유량제어기에 순간적으로 높은 압력이 걸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유량제어기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력제어부가 오리피스 가스켓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가스공급에 필요한 보조장치가 필요치 않아 설치공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쓰리웨이밸브의 제어에 의해 공정가스 또는 퍼지가스가 선택적으로 유량제어기를 통과하여 공정챔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퍼지가스가 공급되어지는 공급라인의 퍼지가스 통과 단면적을 축소시켜 퍼지가스의 공급압력을 감소시키는 압력제어부를 퍼지가스 공급라인상에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제어부는 퍼지가스가 흐르는 공급라인의 통로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의 통공을 갖는 오리피스 가스켓을 구비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의 통공은 공정가스와 퍼지가스와의 압력차가 적어도 2kgf/cm2를 넘지 않는 범위내에 오도록 단면적을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가스켓은 암,수조인트로 연결되는 쓰리웨이밸브측 공급라인과 퍼지가스측 공급라인의 양단면 사이에 밀착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KR1019950031449A 1995-09-22 1995-09-22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KR016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449A KR0160385B1 (ko) 1995-09-22 1995-09-22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449A KR0160385B1 (ko) 1995-09-22 1995-09-22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968A KR970017968A (ko) 1997-04-30
KR0160385B1 true KR0160385B1 (ko) 1999-02-01

Family

ID=19427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449A KR0160385B1 (ko) 1995-09-22 1995-09-22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352A (ko) * 2017-10-23 2020-06-0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낮은 증기압 화학물질 전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352A (ko) * 2017-10-23 2020-06-03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낮은 증기압 화학물질 전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968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5370B2 (en) Gas-purged vacuum valve
CA2204939A1 (en) Fluid control device
KR0160385B1 (ko) 반도체 제조공정의 가스공급장치
KR20040013965A (ko) 멀티 챔버형의 공정설비
KR100714889B1 (ko) 화학기상 증착시스템의 리드
KR20010104572A (ko) 화학기상 증착장치
WO2006130774A1 (en) Gas-panel assembly
KR19990004094A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배관 퍼지장치와 그 퍼지방법 및 이들 퍼지장치와 퍼지방법을 이용한 제조설비의 클리닝 방법
KR200177318Y1 (ko) 반도체 화학기상증착장비의 가스역류방지장치
KR0167240B1 (ko) 반도체절연막 증착장비의 가스공급장치
KR100270754B1 (ko) 배기라인의 자동 세정방법
KR200154507Y1 (ko) 화학 기상 증착장비의 반응가스 주입장치
KR0122300Y1 (ko) 상압 cvd반응로의 버퍼 구조
KR200205120Y1 (ko) 블록 조립식 가스 공급장치
KR20060135447A (ko) 트랜스퍼 챔버에 디퓨저를 구비한 반도체 식각 장치
KR0166855B1 (ko) 웨이퍼의 보호막 도포장비
KR0181904B1 (ko) 화학기상증착설비의 배기 시스템
KR200240057Y1 (ko) 화학기상증착장치
KR100273222B1 (ko) 반도체 종형 화학기상증착장치
KR20010084013A (ko) 반도체장치 제조설비의 가스공급시스템
KR20050010206A (ko) 기상 증착 시스템
KR20010055918A (ko) 케미컬 공급시스템의 이중 퍼지시스템
KR20000015193U (ko) 분사도구
KR19990037993U (ko) 반도체 제조용 냉각가스 공급장치
KR19990069986A (ko) 가스필터 및 가스공급 밸브를 사용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장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