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9246B1 -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246B1
KR0159246B1 KR1019960000627A KR19960000627A KR0159246B1 KR 0159246 B1 KR0159246 B1 KR 0159246B1 KR 1019960000627 A KR1019960000627 A KR 1019960000627A KR 19960000627 A KR19960000627 A KR 19960000627A KR 0159246 B1 KR0159246 B1 KR 0159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guide
air conditioner
evaporator
piece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98A (ko
Inventor
백상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0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9246B1/ko
Publication of KR97005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2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조립돌기부를 경사형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하 가이드체(102), (104)에 의하여 고정부착되는 증발기(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하 가이드체(102)측에 형성되는 돌기체(10), (20)는 소정부 위에 경사부(12), (2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체(10), (20) 근방에 형성되는 삽입용 돌기체(104)에 형성되는 삽입안내 고정편(30)과, 이 삽입안내 고정편(30)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 가이드체(104)에 일체 형성되며 길고 짧은 각각의 가이드(33), (34)를 형성하고 있고, 탄성적인 고정을 위한 절개홈(41)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경사부(43)를 가지는 제 1탄성편(42)과 제2탄성편(44)으로 구성되는 고정편(40)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조화기의 증발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호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제1도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제2도의 각 부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돌기체 30 : 삽입안내 고정편
40 : 고정편 41 : 절개홈
42 : 제2탄성편 44 : 제2탄성편
100 : 증발기 14, 24 : 삽입용 돌기체
32, 34 : 가이드 102, 104 : 상하 가이드체
12, 16, 43 : 경사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돌기부를 경사형성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므로써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공기조하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증발기(100)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가이드체(12), (14)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조화기 본체에 고정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증발기 조립구조는, 상기 상하 가이드체(12), (14)에 돌기체 및 홈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가이드체(12), (14)가 상호 조립될 때에 이들 돌기체 및 홈부를 이용하여 암수 결착구조 형식으로 조립하므로 그 돌기체 및 홈부를 세팅하기가 매우 곤란하여 조립시간이 걸리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경사 삽입 단부를 가지는 돌기체를 가지도록 구성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는, 상하 가이드체에 의하여 고정부착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 가이드체 측에 형성되는 돌기체와, 이 돌기체는 소정부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체 근방에 형성되는 삽입용 돌기체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하 가이드체에 형성되는 삽입안내 고정편과, 이 삽입안내 고정편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 가이드체에 일체 형성되며 길고 짧은 각각의 가이드를 형성하고 있고, 탄성적인 고정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경사부를 가지 는 제 1탄성편과 제2탄성편으로 구성되는 고정편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의하면, 경사부 및 절개홈부를 가지는 돌기체를 일체로 형성한 상하 가이드체를 채택하므로써 공기조화기의 증발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호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개략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제2도의 각 부에 따른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중 부호 10은 상 가이드체(102) 측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돌기체이고, 12는 이 돌기체(10)에 형성된 경사부이다. 또, 상기 돌기체(10) 근방에도 삽입용 돌기체(14)가 형성되는데 이 삽입용 돌기체(14)에도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경사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제2b도의 경우는 설계변경된 돌기체(10), 삽입용 돌기체(14)가 도시되어 있는데, 삽입용 돌기체(24)의 경사부가 반대측에 형성된 점 외에는 상기 제2a도의 경우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제2c도는 하 가이드체(104)에 형성되는 삽입안내 고정편(30)를 나타내고 있다. 이 삽입안내 고정편(30)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 가이드체(104)에 일체 형성되며 길고 짧은 각각의 가이드(32), (34)를 형성하고 있다. 제2d도는 고정편(40)으로써 중간부에 탄성적인 고정을 위한 절개홈(41)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제1탄성편(42)과 제2탄성편(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탄성편(42)의 상단 일측에는 경사부(43)를 형성하여 상기 상하 가이드체(102), (104)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는, 상하 가이드체(102), (104)를 상호 조립할 때에 상기 돌기체(10)가 하 가이드체(104)의 증발기(100)의 테두리에 탄성적으로 접할 때에 상기 경사부(12)의 안내를 받아 정확하게 안착되므로써 상하 가이드체(102), (104)의 상호 조립을 정확하게 완성하고 있다. 또, 상기 경사부(16)(26)의 경우도 같다.
그리고 제2c도 및 제2d도와 같이, 본 발명의 하 가이드체(104)에 형성되는 삽입안내 고정편(30), 즉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 가이드체(104)에 일체 형성되며 길고 짧은 각각의 가이드(32), (34)를 형성하고 있는 삽입안내 고정편(30)은, 특히 탄성적으로 조립고정되고, 경사부(43)를 가지는 제1탄성편(42)과 제2탄성편(44)으로 구성되는 고정편(40)도 상기 경사부(43) 및 절개홈(41)의 구성에 의하여 조립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확대 단면도이다.
부호 50은 하 가이드(104)에 일체로 형성한 돌기체, 52는 상 가이드체(102)에 일체로 형성한 홈부이다. 이렇게 구성하면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을 감안할 때 재료의 휨을 최소화시키면서 밀착형성되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실내외가 이중단열 구조로 되는 작용을 하여 소음 차단에 특히 유용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의하면, 경사부 및 절개홈부를 가지는 돌기체를 일체로 형성한 상하 가이드체를 채택하므로써 공기 조화기의 증발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상호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제까지 구조적인 상세한 내용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다기능 잇점을 포함한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를 공기조화기에 적용하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며, 청구범위에서 주요 구성 요소에 병기한 참조부호는 청구범위의 기술권리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Claims (1)

  1. 상하 가이드체에 의하여 고정부착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 가이드체 측에 형성되는 돌기체와, 이 돌기체는 소정부위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기체 근방에 형성되는 삽입용 돌기체에 형성되는 경사부와, 상기 하 가이드체에 형성되는 삽입안내 고정편과, 이 삽입안내 고정편은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 가이드체에 일체 형성되며 길고 짧은 각각의 가이드를 형성하고 있고, 탄성적인 고정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도록 양측에 경사부를 가지 는 제 1탄성편과 제2탄성편으로 구성되는 고정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KR1019960000627A 1996-01-15 1996-01-15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KR0159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627A KR0159246B1 (ko) 1996-01-15 1996-01-15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627A KR0159246B1 (ko) 1996-01-15 1996-01-15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98A KR970059598A (ko) 1997-08-12
KR0159246B1 true KR0159246B1 (ko) 1999-01-15

Family

ID=19449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627A KR0159246B1 (ko) 1996-01-15 1996-01-15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92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98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8944A (ko) 그로밋
JPH11204824A (ja) 光コネクタ用キャップ
KR0159246B1 (ko) 공기조화기의 증발기 조립구조
KR19990063807A (ko) 전기 노이즈 흡수용 장치
KR970018856A (ko) 가동 커넥터의 피팅구조
JPH0215335Y2 (ko)
KR200494010Y1 (ko) 리니어 가이드웨이용 방진부재 및 이를 구비한 리니어 가이드웨이
KR200250488Y1 (ko) 방충창프레임 모서리 연결구
JPH07313218A (ja) 紐止め具
KR970003833Y1 (ko) 편향요크의 단자판 고정구조
JPS6035976Y2 (ja) 電気コネクタのパネル取付け機構
KR800000687Y1 (ko) 창문틀 부재
JPH0548377Y2 (ko)
KR200230472Y1 (ko) 창틀프레임의 모서리 연결구
KR0126875Y1 (ko) 샤시와 커넥터의 결합구조
JPH023657Y2 (ko)
JPS6233232Y2 (ko)
JPS5846547Y2 (ja) ジヤツク
KR0132694Y1 (ko) 편향 요크의 코마 코일 고정구조
KR200161543Y1 (ko) 창틀골재 연결구
JPS6124964A (ja) 冷蔵庫のキヤビネツト
KR960003418Y1 (ko) 정특성 써미스터장치의 중앙단자
JP2021050566A (ja) 壁パネルの止水構造
JPH0132782Y2 (ko)
KR200202667Y1 (ko) 튜너의 핀 블럭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