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427B1 - 부동전 - Google Patents
부동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8427B1 KR0158427B1 KR1019940039757A KR19940039757A KR0158427B1 KR 0158427 B1 KR0158427 B1 KR 0158427B1 KR 1019940039757 A KR1019940039757 A KR 1019940039757A KR 19940039757 A KR19940039757 A KR 19940039757A KR 0158427 B1 KR0158427 B1 KR 0158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ter
- inlet
- plunger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밸브와 파이프를 보온하지 않고도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급수가 가능한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부동전은 C형 유입관이 형성된 밸브몸체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적은 힘을 사용하여 부동전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배수량의 미량조절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며, 로드에 걸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스탬 파이프 및 연결부위가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고장을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든 부품이 상부로 분리가 가능하여 분해조립 및 보수가 간편하며 스위블 커플링에 의해 유입구 개폐 수단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누수에 의한 물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쿨러, 분수대 및 수도설비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공장, 실험실, 수처리설비 및 발전소 등의 비상샤워기 및 세안기에 적용하거나, 단시간에 많은 유량의 배수가 가능하므로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하는 옥외 소화전등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밸브몸체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핸들 2 : 밸브 스탬
3 : 상부 스위블 로드 4 : 스탬 파이프
5 : 하부 스위블 로드 6 : 플런저
7 : 가스킷 8 : 밸브덮개
9 : T형 이음관 10 : 파이프
11 : 밸브몸체 12 : 유입구
13 : C형 유입관 14 : 퇴수공
15 : 퇴수 엘보우 16 : 배수구
17 : 오링 18 : 너트
19 : 오링 20 : 너트
21 : 스위블 커플링 22 : 잠금 너트
23 : 너트 24 : 오링
41 : 플런저 42 : 유입구
43 : 밸브몸체 51 : 캠식 누름판
52 : 밸브 스탬 53 : 탄성부재
54 : 배수구 55 : 파이프
본 발명은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밸브와 파이프를 보온하지 않고도 동절기에 물의 결빙에 의한 동파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신속한 급수가 가능한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전은 동절기의 한파에 의해 물이 결빙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도전으로서, 이러한 부동전에 대한 종래의 기술은 밸브 및 파이프에 보온수단을 사용한 부동전과 부동전 자체의 내부구조를 개량한 부동전으로 대별될 수 있으나, 효과적인 동파방지를 위해서는 후자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종래의 부동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1-1727호에는 동체의 변실의 상단부 좌우 양측에 퇴수공을 가진 변실을 각각 형성하여 역지볼을 퇴수실에 넣어 이 퇴수실 내주면의 변실 내주면에 변실 내주면에 환상으로 요입된 패킹 좌를 형성하여 환상이나 C형의 탄성질 패킹을 확장되게 누를 수 있는 굵기의 원통형의 누름대를 통수공을 두고 형성한 부동전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92-4700호에는 수도콕크가 연결된 수도관의 내부에 변측을 종설한 것에 있어서 수도관의 하부에 퇴수공이 뚫린 금구를 일체로 연결하고 변측의 하단에는 유출공과 유입공이 상하부에 각각 뚫린 변관을 설치하여 뽀족한 하단 변부가 금구의 하단 변봉을 개폐하도록 금구에 변관을 나합시켜 구성한 부동전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4,971,097호에는 첫번째 및 두번째 단부를 지닌 하우징과 첫번째 단부로 부터 두번째 단부로의 유동을 위한 통로를 형성하고 통로에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 수단을 형성하며 하우징내에 퇴수수단을 설치하고 역류방지수단과 하우징의 첫번째 단부 사이의 통로에 교환가능한 카트리지 및 통로에의 유동을 막지 않도록 하우징내에 밸브가동 수단을 형성한 부동전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부동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어 산업상 실제로 사용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첫째, 부동전의 밸브몸체에 나사선을 형성하여 전기의 나사선과 나합된 변측에 연결된 스크류식 핸들을 회전시키므로써, 부동전을 개폐시켜야 하기 때문에 부동전 개폐시 힘이 들며 장시간이 요구됨은 물론, 나사선의 마모로 인해 관내의 물이 누출될 수 있다.
둘째, 밸브의 하단과 밸브시트가 면접촉을 이루면서 급수구를 개폐시키기 때문에 밸브 하단 및 벨브시트의 접촉면에 지하수에 의한 압력이 많이 걸리며 부동전을 통한 배수시 배수량의 미량 조절이 불가능하였다.
셋째, 변측 또는 밸브로드가 일체식이므로 부동전의 개폐시 수압에 의한 충격이 크므로 고장이 자주 발생하였다.
넷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분해조립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없었다.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94-12465호는, 역시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93-9102호 동파 방지용 밸브가 지닌 문제점, 즉, 밸브로드로서 강체 로드(rigid rod)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동전의 개폐시 밸브로드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 밸브로드가 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과 로드캡과 밸브로드를 나합시켜 연결하였기 때문에 부동전을 개폐시키기 위한 누름판의 반복동작에 의해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으나, 플런저 자체에 여러개의 작은 유입공을 형성한 것이서, 부동전을 통하여 배수되는 유량이 너무 적기 때문에 대용량의 부동전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새로운 문제점이 제기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단시간에 적은 힘을 사용하여 부동전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배수량의 미량조절이 가능하며 벨브로드에 걸리는 압력을 줄이고 밸브스탬 및 연결부위가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많은 유량을 배수할 수 있는 부동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동전은 핸들(1)과 밸브 스탬(2)으로 구성되어 유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입구 개폐조절부;
상단부은 밸브 스탬(2)과 연결되고 하단부는 스탬 파이프(stempipe)(4)와 연결되는 상부 스위블 로드(swivel rode)(3), 양단부가 각각 스위블 커플링(21)에 의해 상부 스위블 로드(3)와 하부 스위블 로드(5)에 연결되는 스탬 파이프(4), 상단부가 스탬 파이프(4)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플런저(plunger)(6)에 연결되는 하부 스위블 로드(5) 및 상부의 중앙이 하부 스위블 로드(5)와 나합된 플런저(6)로 구성되며 전기 유입구 개폐 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유입구 개폐수단;
하단부가 T형 이음관(9)과 연결되는 밸브덮개(8), 상부는 밸브덮개(8)와 연결되며 하부는 파이프(pipe)(10)와 연결되고 측면에는 배수구(15)가 형성된 T형 이음관(9), 상부는 T형 이음관(9)과 연결되며 하부는 밸브몸체(11)와 연결되는 파이프(10) 및 상부는 파이프(10)와 연결되며 측면에 퇴수 엘보우(L-bow)(15)를 나합할 수 있는 퇴수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12))와 C형 유입관(13)이 내부에 형성된 밸브몸체(11)로 구성되며 물의 유입 및 배수시에 물의 통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관부; 및 플런저의 하면에 부착된 가스킷(gasket)(7), 밸브덮개(8)의 내부에 설치된 오링(O-ring)(17), 밸브덮개(8)와 T형 이음관(9) 사이에 설치된 오링(19) 및 플런저(6)의 상하부에 설치된 오링(24)으로 구성되며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 방지 수단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부동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부동전의 일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부동전은, 핸들(1)과 밸브스탬(2)으로 구성되어 유입구 개폐수단을 조절하는 유입구 개폐 조절부와 상부 스위블 로드(3), 스탬파이프(4), 하부스위블 로드(5) 및 플런저(6)로 구성되어 상승운동과 하강운동에 의해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유입구 개폐 수단과 밸브덮개(8), T형 이음관(9), 파이프(10) 및 밸브몸체(11)로 구성되어 본 발명의 외부 형태를 이루는 외관부 및 플런저(6)의 밑면에 부착된 가스킷(7)과 각 부품의 연결부에 사용된 오링으로 구성된 누수 방지수단의 네 부분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위 각 부분의 구성을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유입구 개폐 조절부는 핸들(1)이 너트(18)에 의해서 밸브 스탬(2)에 체결되어 있으며, 밸브 스탬(2)의 하단부는 나사선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스탬(2)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선은 밸브덮개(8)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합되어 핸들(1)의 회전운동을 밸브 스탬(2)의 상하왕복운동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유입구 개폐 수단은 상부 스위블 로드(3)의 상부가 너트(20)에 의해 밸브 스탬(2)의 하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부 스위블 로드(3)의 하부는 스위블 커플링(21)과 잠금 너트(22)에 의해 스탬 파이프(4)에 연결되며, 스탬 파이프(4)의 하부는 스위블 커플링(21)과 잠금 너트(22)에 의해 하부 스위블 로드(5)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스위블 커플링(21)에 의해 유입구 개폐 수단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스탬 파이프(4)는 유입구의 개폐시에 걸리는 압력에 의해서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체 로드 대신에 경량이면서도 내압력이 큰 스태인레스 스틸 재질의 파이프를 사용한다. 플런저(6)는 물의 유입시에 퇴수공(14)으로 물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0링(24)을 상하부에 하나씩 갖추고 있으며, 플런저(6)의 하면에는 나사등의 체결 수단을 이용하여 가스킷(7)이 부착되어 유입구와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플런저(6)의 상부의 중앙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하부 스위블 로드(5)와 연결되어 있고 너트(23)에 의해 연결부위를 고정시켜 준다.
외관부는, 밸브덮개(8)는 누수의 방지를 위하여 0링(17)을 끼워서 T형 이음관(9)의 상부에 나합되며, T형 이음관(9)의 하부에는 파이프(10)의 상부가 나합된다. T형 이음관(9)의 측면부에 형성된 배수구(16)는 내부에 나선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수시에 용도에 맞게 다른 관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밸브몸체(11)에는 파이프(10)의 하부가 나합되며, 나선이 형성된 퇴수공(14)에 퇴수 엘보우(15)가 나합되어 있다. 또한, 밸브몸체(11)의 내부에는 많은 유량이 지날 수 있도록 C형 유입관(13)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몸체(11)를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로 하여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제1도의 밸브몸체(11)의 부분 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A부분의 단면도로 플런저가 삽입되는 구멍의 외부로 물의 유입을 위한 C형 유입관(13)이 형성되어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창안하였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부분 단면도로 실시예 1과는 다른 플런저를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도에 도시한 플런저(6)의 하부에 고무 가스킷(7)이 부설된 고무 시트형(rubber seat type)의 플런저(6) 디신에 가스킷을 부착하지 않은 반구형 또는 콘(corn)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금속접촉형(metal touch type)의 플런저(41)가 사용되며 실시예 1에서와는 달리 L형 밸브몸체(11) 대신에 1자형 밸브몸체(43)가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제1도에서 제시된 플런저(6)와 마찬가지로 플런저(41)와 유입구(42)는 선접촉을 이루어 플런저(41) 및 유입구(42)의 접촉면의 급수원에 의한 압력을 줄일 수 있으며 부동전을 통한 배수시 배수량의 미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외부 급수원이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 본 발명의 부동전을 외부 급수원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부동전은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고 모든 구성부품을 상부에서 뽑아 울릴 수 있으므로, 부품이 파손 또는 마모된 경우 용이하게 보수 및 교체를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핸들(1) 및 나사선이 구비된 밸브 스탬(2)으로 구성된 유입구 개폐 조절부를 제5도와 같은 캠식 누름판(51), 밸브 스탬(52) 및 탄성부재(53)로 구성된 유입구 개폐 조절부로 교체하므로서 누름식 부동전으로 간단히 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부동전의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6도의 (a)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부동전에 물이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핸들(1)을 선회시키면 핸들(1)과 연결된 밸브 스탬(2)에 형성된 나사선에 의해 핸들(1)의 회전운동이 밸브 스탬(2)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게 한다. 이에 따라 상부 스위블 로드(3), 스탬 파이프(4) 및 하부 스위블 로드(5)를 통하여 연결된 플런저(6)가 상승하여 유입구(12)가 개방되고 급수원으로부터 물이 유입구(12)를 거쳐 유입된다. 유입구(12)를 거쳐 유입된 물은 C형 유입관(13)으로 유입된 다음, 파이프(10)의 공간내로 유입된다. 이때, 플런저(6) 외면의 상하부에 부설된 0링(24)에 의해 부동전에 유입된 물이 퇴수공(14)을 통해 누수되지 않도록 퇴수공(14)이 차단되게 된다. 파이프(10)내의 공간으로 유입된 물은 T형 이음관(9)를 통하여 T형 이음관(9)의 측면에 형성된 배수구(16)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물의 T형 이음관(9)을 통하여 배수가 이루어 지면서, T형 이음관(9)과 밸브덮개(8)의 사이에 끼워진 오링(19)과 밸브덮개(8)의 상측 내부에 끼워진 두 개의 오링(17)에 의해 물이 T형 이음관(9)과 밸브덮개(8)의 틈새나 밸브덮개(8)의 상단부를 통하여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6도의 (b)도는 제1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부동전 내부에 잔류하는 물이 퇴수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부동전의 사용을 중지하기 위하여 핸들(1)을 물의 유입시와는 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키면, 핸들(1)과 연결된 밸브 스탬(2)이 하강하게 된다. 밸브 스탬(2)이 하강하게 되면 상부 스위블 로드(3)와 스탬 파이프(4) 및 하부 스위블 로드(5)가 같이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부 스위블 로드(5)에 연결된 플런저(6)가 하강하여 플런저(6)의 하면에 부착된 가스킷(7)이 유입구(12)를 봉하여 유입구(12)를 통한 물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때, 플런저(6)에 의한 유입구(12)의 차단후에 부동전의 내부에 잔류하는 물은 중력에 의하여 부동전의 하부로 하강하여 파이프(10)를 지나 밸브몸체(11)에 설치된 퇴수공(14)을 거쳐 퇴수 엘보우(15)를 통하여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므로써 부동전의 내부에는 물이 잔류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동절기의 혹한에 의한 수도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부동전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적은 힘을 사용하여 부동전의 개폐를 이룰 수 있고 배수량의 미량조절이 가능하고 단시간에 많은 양의 물을 배수할 수 있으며, 로드에 걸리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스탬 파이프 및 연결부위가 휘거나 파손되는 등의 고장을 배제할 수 있음은 물론, 분해조립 및 보수가 간편하며 누수에 의한 물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스프링쿨러, 분수대 및 수도설비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화학공장, 실험실, 수처리설비 및 발전소 등의 비상샤워기 및 세안기에 적용하거나, 단시간에 많은 유량의 배수가 가능하므로 많은 유량을 필요로 하는 소화전등에 적용하면 효과적이다.
Claims (3)
- 핸들(1)과 밸브 스탬(2)으로 구성되어 유입구의 개폐를 조절하는 유입구 개폐 조절부; 전기 유입구 개폐 조절부의 작동에 의해 유입구를 개폐시키기 위한 유입구 개폐 수단; 하단부가 T형 이음관(9)과 연결되는 밸브덮개(8), 상부는 밸브덮개(8)와 연결되며 하부는 파이프(10)와 연결되고 측면에는 배수구(16)가 형성된 T형 이음관, 상부는 T형 이음관(9)과 연결되며 하부는 밸브몸체(11)와 연결되는 파이프(10) 및 상부는 파이프(10)와 연결되며 측면에 퇴수 엘보우(15)를 나합할 수 있는 퇴수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유입구(12)와 밸브몸체(11)로 구성되며 물의 유입 및 배수시에 물의 통로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외관부; 및, 플런저의 하면에 부착된 가스킷(7), 밸브덮개(8)의 내부에 설치된 오링(17), 밸브덮개(8)와 T형 이음관(9) 사이에 설치된 오링(19) 및 플런저(6)의 상하부에 설치된 오링(24)으로 구성되어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누수방지 수단으로 구성된 부동전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 개폐 수단은, 상단부는 너트(20)에 의해 밸브 스탬(2) 하단부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스탬 파이프(4)와 연결되는 상부 스위블로드(3), 양단부가 각각 스위블 커플링(21)에 의해 상부 스위블 로드(3)와 하부 스위블 로드(5)에 연결되는 스탬파이프(4), 상단부가 스탬파이프(4)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플런저(6)에 연결되는 하부 스위블 로드(5) 및 상부의 중앙이 하부 스위블 로드(5)와 나합된 플런저(6)로 구성되며, 외관부는 밸브몸체(11) 내부에 C형 유입관(13)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 제1항에 있어서, 캠식 누름판(51), 밸브 스탬(52) 및 탄성 부재(53)로 구성되어 신속한 물의 배수작동을 수행하기 위한 유입구 개폐 조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 제1항에 있어서, 외부 급수원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1자형 밸브몸체(4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동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39757A KR0158427B1 (ko) | 1994-12-30 | 1994-12-30 | 부동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40039757A KR0158427B1 (ko) | 1994-12-30 | 1994-12-30 | 부동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3951A KR960023951A (ko) | 1996-07-20 |
KR0158427B1 true KR0158427B1 (ko) | 1998-12-01 |
Family
ID=19405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39757A KR0158427B1 (ko) | 1994-12-30 | 1994-12-30 | 부동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8427B1 (ko) |
-
1994
- 1994-12-30 KR KR1019940039757A patent/KR015842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3951A (ko) | 199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98138Y1 (ko) | 동파방지용 수도전 | |
KR200310438Y1 (ko) | 상수도용 부동전 | |
CA2690252C (en) | Automatic draining freezeless wall faucet | |
US7530122B2 (en) | Apparatus for waste line cleanout | |
KR0158427B1 (ko) | 부동전 | |
US5842499A (en) | Draining device for a freeze-resistant faucet | |
US5246200A (en) | Quick shut-off valve for in-line installation with a defective valve | |
RU183987U1 (ru) | Узел управления дренчерный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 |
KR0126228B1 (ko) | 부동전 | |
KR102393706B1 (ko) | 파손 및 누수방지가 가능한 퇴수밸브를 가진 부동전 | |
KR200151567Y1 (ko) | 수도전용 자폐식 밸브장치 | |
JP3125444U (ja) | 自動排出弁 | |
JP4916196B2 (ja) | 水栓柱 | |
KR200327504Y1 (ko) | 부동전 | |
KR100311078B1 (ko) | 부동전 | |
CN221374481U (zh) | 一种户外用水龙头防冻装置 | |
CN208900926U (zh) | 一种龙头弯接 | |
CN210770294U (zh) | 一种室内供热管道安全阀门 | |
KR0124148Y1 (ko) | 보조출수관을 구비한 동파방지용 수도전 | |
RU73037U1 (ru) | Кран смывной | |
JPH0756374Y2 (ja) | 吸気弁付屋内止水栓 | |
KR200332761Y1 (ko) | 부동전 | |
JPS5914542Y2 (ja) | 屋内止水栓 | |
RU2016320C1 (ru) | Затвор дл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 |
JP2519171Y2 (ja) | 高架水槽の給、排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