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7961B1 -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961B1
KR0157961B1 KR1019960006383A KR19960006383A KR0157961B1 KR 0157961 B1 KR0157961 B1 KR 0157961B1 KR 1019960006383 A KR1019960006383 A KR 1019960006383A KR 19960006383 A KR19960006383 A KR 19960006383A KR 0157961 B1 KR0157961 B1 KR 0157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data
time
elevator
data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391A (ko
Inventor
김두언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0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7961B1/ko
Publication of KR970065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9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53Procedure or protocol for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시에 해당 고장에 관련되는 데이타를 수집할 때 단말감시장치를 통하지 않고 고장 분석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엘리베이터에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하였다면 발생한 고장에 대한 고장판정상태가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일수 없게되어 발생가능한 모든 종류의 고장에 대해 고장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에는 불충분하였고, 고장분석 데이타를 수집하기 위한 장치는 단말감시장치에 설치되어 있게되나 건물주가 별도의 비용을 들여 구입해야 하는 물건이므로 모든 엘리베이터에 단말감시장치가 접속되어있지 못하게 되어 단말감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고장분석 데이타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장판정상태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지 않아도 발생가능한 모든 고장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 데이타 수집장치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의 특정시간 이전부터 고장이 발생한 시점까지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인 다음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통신장치에 접속하여 직접 감시센터에 고장관련 데이타를 송신하도록 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종래의 단말감시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고장분석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중 승객의 갇힘 고장상태를 일예를 들어 나타낸 타임챠트.
제3도는 제1도 설정치 기억부에 격납된 특정데이타의 고장상태 발생시점에서 거두어 들이는 갇힘고장에 관련된 데이타의 타임챠트를 일예를 들어 나타낸 도.
제4도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장치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고장분석장치를 나타낸 도.
제5도는 제4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운행중 승객의 갇힘 고장상태를 일예를 들어 나타낸 타임챠트.
제6도는 제4도 데이타 채취 관리부에 격납된 특정데이타의 고장상태 발생시점에서 거두어 들이는 갇힘고장에 관련된 데이타의 타임챠트를 일예를 들어 나타낸 도.
제7도는 제1도 단말감시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제8도는 제4도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엘리베이터 110 : 엘리베이터 제어장치
120 : 단말감시부 121,250 : 입출력부
122,220 : 데이타 채취부 123 : 데이타 채취 트리거부
124,240 : 고장 판단부 125,270 : 동작 데이타 기억부
126,260 : 롬 127 : 설정치 기억부
130 : 통신장치 140 : 감시센터
200 :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부 210 : 데이타 통신부
230 : 데이타 채취 관리부 280 : 씨피유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고장 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시에 해당 고장에 관련되는 데이타를 수집할 때 단말감시장치를 통하지 않고 고장 분석 데이타를 수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고장 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그 건물의 거주자나 출입하는 사람들에 있어서 필수적인 이동수단이다.
만약 엘리베이터가 고장나면 이 사람들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동시에 사람의 신체를 손상시킬 염려도 있으므로, 이와같은 엘리베이터의 고장발생을 방지하고, 고장이 발생하였을때는 신속하게 고장을 복구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건물에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와 접속된 단말감시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말감시장치는 전화회선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보수회사의 감시센터에 접속되어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가 고장나면 단말감시장치는 고장발생장소, 엘리베이터 번호, 고장의 종류, 고장에 관련되는 데이타를 감시센터에 송신하고, 감시센터에서는 다수의 단말감시장치중의 하나 또는 복수로부터 이와같은 고장발생통보를 수신하면 필요에 따라 보수원을 현장에 파견하여 고장복구를 담당케 하는 동시에, 수신한 고장관련 데이타에 의거하여 고장의 원인을 해석하고, 금후의 고장발생 방지를 위한 보수작업의 참고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고장분석장치의 단말감시부(12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엘리베이터의 동작데이타를 격납하는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와,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에 수집된 특정데이타에 의거하여 해당 엘리베이터의 고장을 확인하여 판정하는 고장판단부(124)와, 상기 고장판단부(124)에서 고장으로 판정되었을때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로부터 동작에 관련되는 데이타를 수집하는 데이타 채취부(122)와,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에 수집된 특정데이타의 적어도 하나에 고장판정상태를 정하여 이것을 기억하는 설정치 기억부(127)와, 상기 설정치 기억부(127)에 설정된 고장판정상태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에 격납된 데이타가 해당 고장판정상태에 일치한 시점에서 상기 데이타 채취부(122)를 작동시켜 그 시점에 있어서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에 격납된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이는 데이타채취 트리거부(1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동작 데이타 기억부(125)는 RAM을 의미하고, 데이타 채취부(122), 데이타 채취 트리거부(123), 고장판정부(124)는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한 결과 수행되는 기능 또는 수단을 알기쉽게 나타내는 것이고, 구조 그 자체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장을 판단하는 특정데이타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설정치 기억부(127)에 고장판정상태가 설정되고, 특정데이타의 적어도 하나에 해당 고장판정상태가 발생하면, 데이타채취 트리거부(123)가 작동하여 이에 의해 데이타 채취부(122)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데이타 채취부(122)에 의하여 엘리베이터의 동작데이타를 격납하는 동작데이타 기억부(125)로부터 고장판단부(124)의 고장판정에 앞서 해당고장에 관련된 데이타가 수집된다.
이상상태로 인하여 사람이 엘리베이터내에 갇히는 갇힘고장의 발생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단말감시부(120)의 동작데이타 기억부(125)로부터 갇힘고장을 판단하는 데이타로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객], [주행중 급정지], [시간] 데이타가 도입되고, 이들의 데이타가 [승객]있음, [주행중 급정지]했음, 주행중 급정지후 [시간]이 30초 경과했음을 나타내면, (d)에 도시한 바와같이 [갇힘발생정보]를 발생하여 갇힘고장으로 판단한다.
한편, 설정치 기억부(127)에 [주행중 급정지] 있음의 조건을 설정 격납하여 두고, 상기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에 격납된 데이타중의 [주행중 급정지] 데이타와 설정치 기억부(127)에 설정된 [주행중 급정지] 있음의 조건과 항상 비교한다.
제2도에서 시간 t1의 상태를 보면 [승객]은 없고, [주행중 급정지]도 하고 있지 않으므로 [갇힘발생정보]는 발생하지 않았다.
시간 t1으로부터 어느정도 경과한 시간 t2에서 [주행중 급정지] 있음 상태가 되어 설정치 기억부(127)에 설정된 조건과 일치하므로, 데이타 채취 트리거부(123)가 기동되어 데이타 채취부(122)를 작동시키고, 이 데이타 채취부(122)는 시간 t2에서 [갇힘발생정보] 발생시에 채취되는 관련데이타를 수집하여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의 다른 영역에 격납한다.
제3도는 제2도의 시간 t2에 있어서의 관련데이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시간 t2에서는 [주행확인] 데이타는 주행, [브레이크 개방] 데이타는 개방, [오픈존 검출] 데이타는 비오픈존, [도어개방검출] 데이타는 개방, [안전장치 동작] 데이타는 작동으로 되어있으며, 또한 시간 t2에서 [타이머]가 작동을 개시한다.
그리고, 이 시점에서부터 [타이머]에 의한 30초 경과가 생겨 시간 t3가 되면, [승객] 있고, [주행중 급정지] 있고, 시간 30초 경과의 상태가 되어 [갇힘발생정보]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또 고장이 소정시간 계속되지 아니했을 경우, 시간 t2에서 채취된 데이타는 버려지게 된다.
이와같이, 시간 t2에서 채취된 관련데이타는 고장발생장소, 고장발생 엘리베이터 번호, 고장종류와 함께, 고장의 판단이 행해진 시점 t2에 있어서 감시센터(140)에 통신장치(130)를 통해 송신된다.
감시센터(140)에서는 이 고장발생 데이타를 고장진단장치(141)에서 해석 진단하고, 감시센터(140)의 관리자는 진단결과에 의거하여 갇힘 이상고장의 발생과 사고발생 현장을 알아, 즉시 해당현장에 보수원을 파견하여 갇힘사고 복구에 임하게 된다.
이 경우,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시간 t2에서의 관련데이타가 송신되기 때문에 도어의 오픈존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도어개방 릴레이가 작동하였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급정지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될 수 있다.
종래기술의 동작을 제7도의 흐름도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가장 큰 특징은 설정치 기억부(127)의 데이타 [주행중 급정지]와 동작데이타 기억부(125)의 데이타 [주행중 급정지]가 서로일치하는가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서 데이타 채취 트리거부(123)를 작동하여 갇힘고장발생시에 채취되는 관련 데이타(즉, [주행확인], [브레이크개방], [오픈존 검출], [도어개방검출], [안전장치동작])를 수집하여 감시센터(140)에 송신되고, 감시센터(140)에서는 이 고장 발생 데이타를 갇힘 이상고장의 발생과 사고현장을 알아 즉시 해당현장에 보수원을 파견하여 갇힘사고 복구에 임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고장판정상태를 정의하여 설정치 기억부에 격납된 데이타와 동작데이타 기억부에 격납된 데이타가 서로 일치한 고장에 대해서만 데이타 채취 트리거 수단이 작동하여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일수 있다.
만약, 엘리베이터에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하였다면 설정치 기억부는 발생한 고장에 대한 고장판정상태가 존재하지 않기때문에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일수 없게 되어 발생가능한 모든 종류의 고장에 대해 고장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기에는 불충분하였다.
또한, 고장분석 데이타 수집장치는 단말감시장치에 설치되어 있으나, 단말감시장치는 건물주가 별도의 비용을 들여 구입해야 하는 물건이므로 모든 엘리베이터에 단말감시장치가 접속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단말감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는 고장분석 데이타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장판정상태를 기 설정하여 저장하지 않아도 발생가능한 모든 고장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 데이타 수집장치를 엘리베이터 제어장치에 설치하고,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의 특정시간 이전부터 고장이 발생한 시점까지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인 다음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통신장치에 접속하여 직접 감시센터에 고장관련 데이타를 송신함으로써 단말감시장치를 통하지 않아도 감시센터에서 고장관련 데이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은,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 의하여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현재까지 채취된 엘리베이터의 고장관련 데이타를 소정의 기억영역에 저장한 다음 상기 제1 과정부터 재차 수행하며, 반면에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크다면 그 시간(Δ)동안 고장관련 데이타를 관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 수행후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 의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과정부터 재차 수행하며, 반면에 고장이 발생하였으면 고장관련 데이타를 통신장치에 의해 직접 감시센터로 전송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각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의 고장 분석용 데이타 수집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씨피유(280)와, 통신장치(130)에 접속되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데이타 통신부(210)와, 상기 씨피유(280)의 처리프로그램이 격납된 롬(260)과, 상기 씨피유(280)에 의한 연산시나 제어시의 데이타를 읽어오고 저장할 수 있는 동작 데이타 기억부(270)와, 데이타 채취 기능을 가지는 데이타 채취부(220)와,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판단부(240)와, 고장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의 특정시간 이전부터 고장이 발생한 시점까지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이고 관리하는 데이터 채취 관리부(230)로 구성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장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내에 설치되어 통신장치와 직접 접속되어 있으며 통신장치는 단말감시장치를 통하지 않고, 전화회선을 거쳐 엘리베이터 보수회사의 감시센터에 접속된 감시센터측의 통신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동작을 고장으로 인하여 엘리베이터내에 갇히는 갇힘고장발생의 경우를 예를들어 제4도 내지 제8도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 개념은 가장 최근의 시간(Δ)을 참조하는데 있다.
여기서 시간(Δ)은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과거 가장 최근의 특정시간까지를 나타내며, 시간(Δ)의 크기는 감시센터에서 근무하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들어 시간(Δ)이 10이라하면 데이타 채취관리부(230)에서는 고장이 발생한 시점에서 가장 최근의 10초전까지 고장관련 데이타를 채취하며, 만약 고장발생시점으로부터 1분전까지 고장관련 데이타를 원한다면 시간(Δ)을 60(sec)로 하면 된다.
엘리베이터 제어장치(200)에 입력된 엘리베이터의 동작 데이타는 램(270)에 순차 격납되어 있으며, 데이타 채취부(220)는 롬(260)의 프로그램에 따라 램(270)에 격납되어 있는 동작 데이타로부터 [승객], [주행중 급정지], [시간 30초 경과] 데이타를 거두어들이고, 이들 데이타의 조건이 갇힘 고장 발생조건과 일치하는가를 계속 비교한다.
한편, 데이타 채취관리부(230)는 시간(Δ)의 크기에 따라 갇힘 고장 발생과 관련된 데이타를 관리한다.
즉,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주행확인], [브레이크 개방], [오픈존 검출], [도어개방 검출], [안전장치 동작] 데이타를 시간(Δ)의 크기만큼을 데이타 채취관리부(230)에서 저장한다.
만약 시간(Δ)이 20이고, 고장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은 계속 흐르는 상황이라면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최근 20초동안의 고장관련 데이타만 관리하고 그 이전 시간의 데이타는 버린다.
이와같이, 항상 Δ시간동안의 데이타를 데이타 채취 관리부(230)에서 관리하며, 이때 고장이 발생하면 데이타 채취 관리부(230)에 저장되어 있던 데이타를 고장발생 장소, 고장발생 엘리베이터 번호, 고장종류와 함께 전화회선을 거쳐 감시센터(140)에 송신된다.
감시센터(140)에서는 이 고장발생 관련데이타를 고장진단장치(141)에서 분석하고, 이 진단결과를 표시장치(142) 및 인쇄장치(143)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리고 감시센터(140)의 조작자는 진단결과에 의거하여 갇힘 이상고장의 발생과 사고 발생 현장을 알아 즉시 해당 현장에 보수원을 파견하여 갇힘사고의 복구에 임하게 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종래장치에서는 갇힘고장의 사고에 관한 데이타가 제1도의 설정치 기억부(127)에 정의되지 않았다면 갇힘고장에 관련된 어떤 데이타도 존재하지 않아 고장의 원인을 규명할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장발생시점(t3)에서 20초동안의 고장관련 데이타가 송신됨으로써 도어의 오픈존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도어 개방 릴레이가 작동하였기 때문에 안전장치가 작동하여 [주행중 급정지]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실시에 의하면 종래의 설정치 기억부에 고장판정상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예상하지 못한 어떤 종류의 고장에 대해서도 그 고장의 해석 및 원인의 해명을 정확하게 행하는 일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갇힘고장에 대하여 설정치 기억부(127)에 고장판정상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 한번도 발생하지 않은 다른 종류의 고장이 엘리베이터에 얼마든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다른 고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Δ시간동안의 고장관련 데이타에 의거하여 고장분석과 원인의 해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시간(Δ)을 변경함으로써 발생한 고장의 분석을 더욱 고정밀도로 행할수가 있어 고장원인의 해명이 정확하게 행해지고, 이에 의하여 정확한 보수작업의 실시 및 향후 고장발생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들면, 제6도에 나타낸 것처럼 시간(Δ)이 30이고, 현재 엘리베이터가 1층에서 승객을 싣고 정지해 있는 상태이고, 10층에 이 승객을 서비스하려 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엘리베이터가 9층까지 주행한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하였고, 지금까지 경과한 시간이 30초라면 데이타 채취관리부(230)는 엘리베이터가 1층에 정지한 시점에서 부터 9층에서 고장이 발생한 시점까지 고장관련 데이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장의 분석을 더욱 고정밀도로 행할수가 있다.
본 발명의 동작설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8도와 같이 흐름도로 나타냈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단말감시장치가 접속되지 않은 엘리베이터에 대해서도 고장 분석 데이타를 수집함과 아울러 그 수집된 데이타를 직접 감시센터에 전송하며, 엘리베이터의 발생가능한 모든 고장에 대해서도 정확한 원인의 규명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 의하여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현재까지 채취된 엘리베이터의 고장관련 데이타를 소정의 기억영역에 저장한 다음 상기 제1 과정부터 재차 수행하며, 반면에 현재의 시간이 임의의 시간(Δ)보다 크다면 그 시간(Δ)동안 고장관련 데이타를 관리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 수행 후 엘리베이터에 고장이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 의하여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2 과정부터 재차 수행하며, 반면에 고장이 발생하였으면 고장관련 데이타를 통신장치에 의해 직접 감시 센터로 전송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시간(Δ)을 변경함으로써 발생한 고장의 분석을 더욱 고정밀도로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3.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씨피유(280)와, 통신장치(130)에 접속되어 데이타의 송수신을 행하는 데이타 통신부(210)와, 상기 씨피유(280)의 처리프로그램이 격납된 롬(260)과, 상기 씨피유(280)에 의한 연산시나 제어시의 데이타를 읽어오고 저장할 수 있는 동작 데이타 기억부(270)와, 데이타 채취 기능을 가지는 데이타 채취부(220)와, 고장을 판정하는 고장판단부(240)와, 고장이 발생한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의 특정시간 이전부터 고장이 발생한 시점까지 소정의 데이타를 거두어 들이고 관리하는 데이타 채취 관리부(230)로 구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장치.
KR1019960006383A 1996-03-11 1996-03-11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KR0157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83A KR0157961B1 (ko) 1996-03-11 1996-03-11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6383A KR0157961B1 (ko) 1996-03-11 1996-03-11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91A KR970065391A (ko) 1997-10-13
KR0157961B1 true KR0157961B1 (ko) 1999-02-18

Family

ID=19452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383A KR0157961B1 (ko) 1996-03-11 1996-03-11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79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1377B1 (ko) * 1998-09-22 2006-09-20 오티스엘지엘리베이터 유한회사 엘리베이터의보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391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7546A (en) Data acquisition system for the analysis of elevator trouble
US4622538A (en) Remote monitoring system state machine and method
US4418795A (en) Elevator servicing methods and apparatus
US20170349398A1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elevator system
KR20070049213A (ko) 엘리베이터 제어기의 파워-온-리셋
JPH02138081A (ja) 昇降装置システム
KR102118669B1 (ko) 엘리베이터 예방 보전 시스템
JP2922045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故障診断装置
JP2872072B2 (ja) エレベーターの診断運転装置
KR0157961B1 (ko) 엘리베이터의 고장분석용 데이타 수집방법 및 장치
JPH0737186A (ja) エレベータ故障予兆システム
WO1996008437A1 (en) Procedure for safeguarding the operation of an elevator
CN112408140A (zh) 一种应用于电梯控制提醒及故障诊断系统及其方法
JP2747071B2 (ja) 昇降機遠隔監視装置
KR100186374B1 (ko) 엘리베이터 진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H05132256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とそ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645454B2 (ja) マンコンベア点検装置
WO2021214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intenance of the door mechanism of an elevator system
CN111094163B (zh) 电梯系统
WO2021213880A1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maintenance of the door mechanism of an elevator system
KR0179886B1 (ko) 승강기 고장 검출장치
KR102269815B1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KR20190102033A (ko) 엘리베이터 고장의 원격 복구 시스템
JP3383750B2 (ja) エレベータの遠隔監視システム
KR19990074721A (ko) 엘리베이터의 원격 감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