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85B1 -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85B1
KR0156785B1 KR1019950024807A KR19950024807A KR0156785B1 KR 0156785 B1 KR0156785 B1 KR 0156785B1 KR 1019950024807 A KR1019950024807 A KR 1019950024807A KR 19950024807 A KR19950024807 A KR 19950024807A KR 0156785 B1 KR0156785 B1 KR 015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tation
queue
unit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3925A (ko
Inventor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5002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785B1/ko
Publication of KR97001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3Bus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시간 서비스가 요구되는 버스 네트워크에 적당하도록 큐 메모리에 인입 되는 메시지의 순서에 따라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한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네트워크의 정합 기능을 가지고 버스 네트워크에 대한 메시지 송신 요청을 요구하는 다수의 스테이션들과, 상기 다수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송신 요구를 인가 받아 요청 순서대로 버스 네트워크의 서비스를 제어하는 써버로 구성되어, 각 스테이션으로 인입 되는 메시지의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선입선출(FIFO)방식을 근간으로 한 서비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전송 지연과 균등한 지연을 보장하여, 실시간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시간 서비스가 요구되는 버스 네트워크에 적당하도록 큐 메모리에 메시지가 저장되는 순서에 따라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한 싱글 써버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가장 일반적인 싱글 써버 및 멀티스테이션 장치와 큐 서비스 제어 방법으로는 싱글-써버에 의한 폴링(Polling) 또는 토큰(Token)에 의한 라운드-로빈(Round-Robin)방식으로 순차적인 큐 서비스를 수행하는데, 그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써버(10)와 네트워크의 정합기능을 갖고 서비스를 요구하는 다수의 스테이션(11, 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써버(10)는 네트워크의 연결된 여러 스테이션들(11, 12)중 서비스를 수행할 스테이션을 찾는 체크부(1)와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하여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부(2)로 구성되며, 버스 네트워크로 연결된 상기 각 스테이션들(11, 12)은 스테이션들을 구별하기 위한 고유 ID(IDentification) 지정부(3), 써버(10)의 체크부(1)로부터 발생되는 ID와 자신의 고유 ID를 비교하여 선택 여부를 결정하는 선택 비교부(4), 네트워크의 메시지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의 큐(5)와 큐(5)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무를 판정하고 선택 비교부(4)로부터 선택신호를 인가 받아 메세지 송신 서비스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부(6)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큐 서비스 동작 과정은 먼저, 각 스테이션(11, 12)에 인가되는 메시지는 스테이션(11, 12)의 큐(5)에 저장되고, 저장이 완료되면 서비스요청부(6)로 신호를 인가하여 큐(5)에 데이터가 있음을 알려주고, 또한 써버(10)의 체크부(1)는 각 스테이션들(11, 12)을 지정하는 각 스테이션들(11, 12)의 ID를 순차적으로 발생하고, 각 스테이션들(11, 12)은 상기에서 발생된 ID가 고유 ID 지정부(3)에 의해 발생된 자신의 고유 ID와 일치하는가를 선택 비교부(4)에서 비교하고, 자신의 ID와 일치되면 서비스 요청부(6)로 신호를 인가한다.
서비스 요청부(6)는 상기 선택 비교부(4)로 부터 선택신호를, 큐(5)로부터 데이터 인입신호를 둘 다 수신하고 써버(10)의 체크부(1)로 서비스 요구신호를 송부하며, 이 사실을 인지한 체크부(1)는 또 다시 스테이션의 ID를 바꾸어 가면서 다른 스테이션(11, 12)으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폴링(Polling)을 계속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스테이션의 ID를 순차적으로 바꾸어 가면서 각 스테이션들을 폴링하는 방법으로, 그 제어방식이 단순한 반면, 각 스테이션들의 큐에 인입되는 메시지의 순서에 관계없이 써버의 체크부에서 선택되는 순서에 따라 큐에 대한 서비스가 수행되기 때문에 실시간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대하여 부적절한 제어 방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가튼 종래 기술이 문제점을 개선하여 큐에 저장되는 메시지의 순서에 따라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실시간 응답이 요구되는 네트워크에 적절한 싱글 써버 장치 및 싱글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한 블록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에 대한 블록도이고,
제3도는 싱글-써버의 서비스 순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크부 2,23 : 서비스부
3,24 : 고유 ID 지정부 4,25 : 선택 비교부
5,26 : 큐 6 : 서비스 요청부
10,30 : 써버 11,12 : 스테이션1, N
21 : 서비스 큐 22 : 선택부
31, 32 : 스테이션 1, 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큐 서비스를 제어하는 것으로, 여러 스테이션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받고 요청 순서별로 서비스 요청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서비스 큐와, 상기 서비스 큐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있을 때 상기 서비스 큐로부터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읽고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선택부와,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하여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부로 구성되는 써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각 스테이션들의 메세지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큐 중 버스 네트워크 상의 큐에 메시지가 인가 되면 서비스 요청부에 써버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서비스를 요청 받은 써버의 서비스 큐에 의해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을 인지하여 스테이션의 ID를 서비스 큐에 저장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접수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스테이션의 서비스 요청부로 통부하여 다음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준비하는 단계와, 서비스 큐에 1개 이상의 서비스 요구신호가 인가되고 서비스 요청을 알려주는 서비스 인입 신호가 선택부에 접수되면 서비스 큐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의 ID를 읽어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스테이션으로 해당 스테이션 ID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션 ID를 접수한 각 스테이션들의 선택 비교부에 의해 자신의 고유 ID와 비교하여 선택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선택되었으면 이 사실을 써버의 선택부에 통보하는 단계와, 서비스부로 현재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한 서비스의 수행을 선택부가 명령하는 단계와, 서비스 수행을 지시 받은 서비스부에 의해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선택부로 인가하고 다음 번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스테이션의 선택을 준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을 아울러 제공한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네트워크의 정합 기능을 가지고 버스 네트워크에 대한 메시지 송신 요청을 요구하는 스테이션들(31, 32)과, 상기 여러 스테이션(31, 32)으로부터의 서비스 요청신호에 의해 버스 네트워크를 서비스하는 써버(30)로 구성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 구성과는 달리 써버(30)의 구성은 여러 스테이션(31, 32)으로부터 서비스 요구 신호를 인가받아 순서대로 서비스 요청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서비스 큐(21)와, 상기 서비스 큐(21)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있을 때 서비스큐(21)로부터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읽고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선택부(22)와,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하여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부(23)로 구성된다.
또한, 각 스테이션들(31, 32)의 내부 구성은 스테이션들(31, 32)을 구분하기 위한 고유 ID 지정부(24)와, 써버(30)의 선택부(22)로부터 발생되는 ID와 자신의 고유 ID를 비교하여 선택 여부를 판단한 후 서비스의 시작을 인지하는 선택비교부(25)와, 네트워크로 메시지 송·수신할 때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큐(26)와, 큐(26)에 메시지가 기록될 때마다 써버(30)의 서비스 큐(21)도 서비스를 요청하는 서비스 요청부(27)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각 스테이션들(31, 32)의 메시지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큐(26)에 메시지가 기록되면, 서비스요청부(27)는 써버(30)에 서비스 요청을 한다.
상기 서비스 요청을 받은 써버(30)의 서비스 큐(21)는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을 파악하여 그 스테이션의 ID를 서비스 큐(21)에 저장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접수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스테이션의 서비스 요청부(27)로 통보하여 다음 서비스 요청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써버(30)의 선택부(22)는 서비스 큐(21)가 1개 이상의 서비스 요청신호를 인가 받은 경우, 서비스 인입 신호를 검출하고 서비스 큐(21)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의 ID를 읽어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스테이션(31, 32)으로 해당 ID를 전송한다.
그리고, 각 스테이션들(31, 32)의 선택 비교부(25)는 ID를 접수하고 자신의 고유ID와 비교하여 선택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만일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인지하면 이 스테이션은 자신이 선택되었음을 써버(30)의 선택부(22)에 통보한다. 써버(30)의 선택부(22)는 여러 스테이션들(31, 32) 중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감지하고 현재의 스테이션 ID를 유지하면서 써버의 여러 스테이션들 중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써버(30)의 서비스부(23)로 통보하므로써, 선택된 스테이션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명령한다.
스테이션 선택 및 서비스 수행 명령을 지시 받은 서비스부(23)는 서비스의 시작과 함께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음을 선택부(22)로 통보하여 다음 번 서비스 수행이 필요한 스테이션을 선택하도록 한다.
종래의 방식과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큐 서비스의 순서를 제3도를 참조하여 비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에는 서비스 요청 순서와는 관계없이 3(S #1)→1(S #2)→4(S #N)→5(S #1)→2(S #2)→6(S #N)→8(S #1)→7(S #2)→9(S #1)의 순서로 각 스테이션을 기준하여 서비스가 진행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1(S #2)→2(S #2)→3(S #1)→4(S #N)→5(S #1)→6(S #N)→7(S #2)→8(S #1)→9(S #1)의 순서로 큐 메모리에 인입되어 기록된 순서대로 서비스가 진행된다. 따라서 실시간 서비스가 요구되는 버스 네트워크에 적당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스테이션으로 메세지가 인입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선입선출(FIFO)방식으로 메세지 송신이 가능한 서비스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비교적 짧은 전송 지연과 균등한 지연을 보장하여, 실시간 네트워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큐 서비스를 제공하는 써버에 있어서, 여러 스테이션(31, 32)으로부터 서비스 요청을 인가받아 요청 순서별로 서비스 요청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저장하는 서비스큐(21)와, 상기 서비스 큐(21)의 서비스 요청 신호가 있을 때 상기 서비스큐(21)로부터 스테이션의 고유 ID를 읽고 버스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 스테이션이 선택되었음을 알려주는 선택부(22)와,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하여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서비스부(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써버 장치.
  2. 각 스테이션들(31, 32)의 메시지 송·수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큐(26) 중 버스 네트워크 상의 큐(26)에 메시지가 인가되면 서비스 요청부(27)에 써버(30)의 서비스를 요청하는 단계와, 서비스를 요청 받은 써버(30)의 서비스 큐(21)에 의해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을 인지하여 스테이션의 ID를 서비스 큐(21)에 저장하고 서비스 요청에 대한 접수가 완료되었음을 해당 스테이션의 서비스 요청부로 통보하여 다음 서비스 요청에 대한 응답을 준비하는 단계와, 서비스 큐(21)에 1개 이상의 서비스 요구 신호가 인가되면 서비스 요청을 알려주는 서비스 인입 신호가 선택부(22)에 접수되면 서비스 큐(21)로부터 서비스를 요청한 스테이션의 ID를 읽어 버스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스테이션(31, 32)으로 해당 스테이션 ID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스테이션 ID를 접수한 각 스테이션들(31, 32)의 선택 비교부(25)에 의해 자신의 고유 ID와 비교하여 선택 여부를 판단하여 만일 선택 되었으면 이 사실을 써버(30)의 선택부(22)에 통보하는 단계와, 서비스부(23)로 현재 선택된 스테이션에 대한 서비스의 수행을 선택부(22)가 명령하는 단계와, 서비스 수행을 지시 받은 서비스부(23)에 의해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를 선택부(22)로 인가하고 다음 번 서비스 수행에 필요한 스테이션의 선택을 준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 스테이션의 큐 서비스 제어 방법.
KR1019950024807A 1995-08-11 1995-08-11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KR015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807A KR0156785B1 (ko) 1995-08-11 1995-08-11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4807A KR0156785B1 (ko) 1995-08-11 1995-08-11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25A KR970013925A (ko) 1997-03-29
KR0156785B1 true KR0156785B1 (ko) 1998-11-16

Family

ID=19423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4807A KR0156785B1 (ko) 1995-08-11 1995-08-11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7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3925A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3414A (en) System and method for name-lookup in a local area network data communication system
EP0073698A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ariable-length messages in a local area network data communication system
EP0074865A2 (en) Expandable and contractible local area network system
EP0307962B1 (en)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communication system
CA1172719A (en) Distributed-structure message switching system on random-access channel for message dialogue among processing units
JPS5826863B2 (ja) 通信システム用制御装置
EP0661644A2 (en) Message control in a multi-node data processing system
KR0156785B1 (ko) 싱글 써버 장치와 싱글 써버에 의한 멀티스테이션의 큐서비스 제어방법
US6064647A (en) Method and system for sending frames around a head of line blocked frame in a connection fabric environment
CN112714181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CA1213016A (en) Expandable and contractible local area network system
JPH0523658B2 (ko)
JPH0316343A (ja) フレーム選択受信方法
JPS63155249A (ja) 装置間通信方式
JP2534866B2 (ja) ファクシミリ蓄積交換装置の制御方式
JP2639368B2 (ja) ファクシミリメール装置
KR100503418B1 (ko) 복합 연결방식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JPH11282771A (ja) 回線接続制御装置
CN117014960A (zh) 一种业务优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H04345244A (ja) パケット交換機の輻輳制御システム
JPS5857942B2 (ja) 通信制御装置の伝送制御手順選択方式
JPH0319535A (ja) 通信チャンネル選択方式
JPH07297882A (ja) 通信制御方法
JPH06132956A (ja) Isdnパケット端末選択装置
JPH04362828A (ja) 優先着信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