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779B1 - 자동차용 백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백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779B1
KR0156779B1 KR1019950034244A KR19950034244A KR0156779B1 KR 0156779 B1 KR0156779 B1 KR 0156779B1 KR 1019950034244 A KR1019950034244 A KR 1019950034244A KR 19950034244 A KR19950034244 A KR 19950034244A KR 0156779 B1 KR0156779 B1 KR 0156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wire spring
hemispherical
cen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오 요시다
오사무 츠야마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시게오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2933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37923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01254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7737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시게오,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시게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자동차용 백미러는 그 위에 형성된 반구형 볼록표면과 리프 또는 와이어스프링을 후자의 중심에서 수용하기 위하여 반구형 볼록표면에 반대쪽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된 중심지지부를 가진 미러유니트, 및 그 위에 형성된 반구형 오목표면과 후자의 양끝에서 스프링을 각각 유지하기 위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된 2개의 지지부로 이루어진 미러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러유니트의 반구형 볼록표면은 미러유니트가 미러하우징에 대해 피벗될 수 있는 방식으로 미러하우징의 반구형 볼록표면에 끼워진다.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하여, 스프링은 구부러져 있고 그 중심에서 중심지지부를 지지하고 그 양끝에서 2개의 끝지지부를 지지한다. 실제로, 자동차용 백미러는 감소된 부품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미러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용 백미러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리프스프링이 미러유니트를 미러하우징상에서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미러유니트의 베이스, 파워유니트 및 리프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리프스프링이 변화하는 것을 크게 확대한 부분 단면도.
제5도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된 리프스프링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의 제2실시에에서의 미러유니트의 베이스, 파워유니트 및 와이어스프링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와이어스프링과 중심지지부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8도는 와이어스프링과 중심지지부의 변화의 부분확대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Ⅸ-Ⅸ의 단면도.
제10도는 와이어스프링이 미러유니트를 미러하우징상에서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의 제3실시예의 부분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XI-XI에 따라 취해진 제3실시예의 부분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선 XII-XII의 부분확대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화살표 XIII에서 본 도면.
제14도는 제13도는 XIV-XIV의 단면도.
제15a도는 와이어스프링의 평면도.
제15b는 와이어스프링의 측면도.
제16도는 제2끝 지지부의 확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미러 유니트 2 : 미러하우징
4 : 리프스프링 5 : 중심지지부
6 : 끝지지부 10 : 미러몸체
11 : 뒤판 12 : 홀더
13 : 베이스 21 : 파워유니트
42 : 리프스프링 400 : 와이어스프링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 외측에 장착되고 미러유니트가 미러하우징상에 피벗가능하게 지지된 백미러유니트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개수가 감소된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러한 타입의 많은 자동차용 백미러는 이제까지 제안되어 왔다. 전형적인 자동차용 백미러는 미합중국 특허 제 4,764,004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종래기술의 자동차용 백미러는 미러하우징(D)에 직접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거나 또는 미러하우징에 경사가능하게 장착된 미러유니트(A)(전방측상에 반사면을 가진 미러몸체(B)와 미러몸체(B)의 후방측에 배치된 뒤판(C)으로 이루어졌음)를 구비하고 있으며 파워유니트(도시안됨)에 의해서 미러유니트(A)를 (수평축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미러유니트의 수직축에 대해) 수평으로 경사 또는 회전되게 원격제어된다. 특히, 미러유니트(A)는 뒤판(C)의 중심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반구형고정구(E)를 가지고 있다. 반구형고정구(E)는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F)를 가지고 있다.
한편, 반구형 오목표면(G)은 미러하우징(D) 상에 직접 또는 미러하우징 내측에 고정된 파워유니트상에 형성되어 있고 보스(H)는 반구형 오목표면(G)의 중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잇다. 이러한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하여 그 중심에 형성된 관통구멍(I)을 가진 반구형와셔(J)는 고정구(E)의 반구형의 오목표면상에 놓여 있으며 미러하우징(D)의 보스(H)는 고정구(E)와 반구형와셔(J) 내의 관통구멍(F, I)를 통과하며 이에 따라 미러 유니트(A)의 고정구(E)의 반구형 볼록표면을 미러하우징(D)의 반구형의 오목표면(G)에 꼭들어 맞게 된다. 그 다음에 코일스프링(M)은 보스(H)상에 끼워지며 플레인와셔(K)는 코일스프링(M)의 상부끝상에 놓여지며 나사(L)는 코일스프링으 자유단으로 부터 보스(H)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플레인와셔(K)를 고정시키고 반구형와셔(J)와 플레인와셔(K) 사이에서 압축됨에 따라 코일스프링(M)을 유지한다. 실제로 반구형와셔(J)와 플레인 와셔(K) 사이에 압축된 코일스프링(M)은 차례로 외부반구형 볼록표면을 반구형 오목표면(G)에 가압하는 반구형와셔(J) 상에 작용한다. 따라서 미러유니트(A)는 미러하우징(D) 상에서 피벗가능하게 유지된다. 미러유니트(A)는 손 또는 파워유니트 (도시안됨)에 의해서 미러하우징(D)에 대하여 경사지게 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백미러는 미러유니트(A)와 미러하우징(D)에 부가하여 반구형와셔(J) 플레인와셔(K), 나사(L) 및 코일스프링(M)을 포함하는 많은 부품을 가지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개수가 감소되고 리프 또는 와이어스프링이 미러유니트를 미러 하우징상에서 확실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자동차용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러유니트를 미러하우징상에서 유지하도록된 와이어스프링이 쉽게 설치될 수 있는 자동차용 백미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는 반구형 볼록표면을 가진 미러유니트, 및 미러유니트의 반구형 볼록표면유니트가 피벗가능하게 지지된 반구형 오목표면을 가진 미러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러유니트는 리프 또는 와이어스프링용 중심지지부를 가지고 있는 한편 미러하우징은 스프링용 2개의 끝지지부를 가지고 있다. 리프 또는 와이어스프링은 그 중심에서 미러유니트의 중심지지부상에 수용되며 그 반대끝에서 미러하우징의 끝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스프링은 중심지지부에 의해서 외측으로 가압되는 동안에 끝지지부에 의해서 내측으로 가압되어 미러유니트가 미러하우징에 피벗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는 미러유니트와 미러하우징에 부가하여 단지 스프링만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는 종래의 백미러 보다 더 적은 개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와이어스프링은 그 중심에서 수직으로 중심지지부의 상부에서 고정된 핀상에서 접촉하는 실질적인 지점내에 수용될 수 있으며 작은 루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나사를 구비한 2개의 끝지지부중 하나에 고정된 제1끝 및 루프형 끝을 통하여 중심축과 통상 평행하게 뻗어 있는 벤드와 이 벤드에 인접하고 제1끝으로 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는 제2끝으로 이루어졌다. 다른 끝지지부는 하나의 끝에서 상기 나사의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2개의 맞닿음부와 그 나머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다. 관통구멍은 2개의 맞닿음부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바닥에 따라 뻗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하여 와이어스프링의 선단부는 다른 끝지지부내의 관통구멍내로 삽입되며, 밴드는 다른 끝의 2개의 맞닿음부 사이에 고정되어 벤드의 양측면이 2개의 맞닿음부 사이에서 유지된다. 와이어스프링의 제2끝에서의 선단부는 다른 끝지지부내의 관통구멍의 벽면상에서 유지되며 와이어스프링은 그 중심에서 중심 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핀에 접촉하는 실질적인 지점내에서 지지된다. 그후에, 와이어스프링의 제1끝은 나사로서 하나의 끝지지부에 고정된다. 와이어스프링은 그 축 둘레에 회전되지 않으므로 쉽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은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며 다음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의 다양한 실시예중의 3개의 실시예는 제2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백미러는 미러유니트(1)와 미러하우징(2)을 포함하고 있다. 미러유니트(1)는 그 전방측상의 반사표면을 가진 미러몸체(10)와 미러몸체(10) 뒤에 배치된 뒤판(11)으로 이루어져 있다. 미러몸체(10)는 전방으로 약간 돌출한 볼록판이다. 하지만, 이 미러몸체(10)의 전방표면은 평편하게 될 수 있다.
뒤판(11)은 홀더(12)와 베이스(13)의 조립체이다. 홀더(12)는 미러몸체(10)의 원주를 수용한다. 홀더(12) 및 베이스(13)는 일체적인 조립체 (뒤판(11))을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진 분리피스이다. 이러한 끼움은 베이스(13)가 미러하우징(2)에 설치된 후에 실행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미러하우징(2)은 참조번호(20)로 표시되고 그 전방에서 개구될 중공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미러하우징내에는 미러유니트(1)를 (미러유니트(1) 자체의 회전축에 대해) 수직으로 또한 (미러유니트(1) 자체의 수직축에 대해) 수평으로 경사 또는 회전시키기 위하여 원격제어되는 파워유니트(21)가 배치되어 있다.
파워유니트(21)는 상부절반과 하부절반으로 이루어지고 분하될 수 있는 케이싱, 케이싱 내측에 배치되고 미러유니트를 수평으로 경사지게하는 모터와 케이싱내측에 배치되고 미러유니트를 수직으로 경사지게하는 모터, 관통구멍(22)을 통하여 미러하우징 전방으로 뻗어 있고 미러유니트(1)의 수평회전을 위하여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런저 및 플런저(23)과 유사하고 미러유니트(1)의 수직회전을 위한 플런저로 구성되어 있다.
플런저(23)만이 도면의 간략성 위하여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플런저(23)는 모터에 연결된 베이스끝을 가지고 있고 그 전방끝에 형성된 피벗(24)을 가지고 있다.
피벗(24)은 미러유니트(1)의 수평회전을 위하여 미러유니트(1)의 베이스에 형성된 피벗수용기(14)내에 피벗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따라서, 미러유니트(1)는 수직 및 수평으로 경사질 수 있는 방식으로 파워유니트(21)에 의해서 설치되며 그 반사표면은 개구부(20)내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미러유니트(1)는 그 베이스(13)상에 형성된 반구형 블록표면(31)을 가지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13)에는 아래쪽(뒤쪽)으로 돌출한 통상 반구형 볼록부(15)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의 후방 또는 바닥표면은 볼록표면(31)이다. 한편, 파워유니트(21)에는 반구형 오목표면(32)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파워 유니트(21)는 미러하우징(2)의 전방에 면한 케이싱의 상부상에 일체로 형성된 환형의 돌출부(25)를 가지고 있다.
환형의 돌출부(25)는 반구형 오목표면(32)를 제공하기 위하여 그 내부원주에지를 따라 넓혀져 있다. 미러유니트(1)의 베이스(13)는 그 반구형 볼록표면(31)에서 파워유니트(21)상에 환형의 돌출부(25)의 반구형 볼록표면(32)에 끼워져 있다.
반구형 볼록부(31)와 반구형 오목부(32)는 함께 만곡에 있어서 동일한 반경을 가지고 있고 (P점에서) 서로 집중되어 있다. 볼록부(31)와 오목부(32)의 중심(P)은 미러몸체(10)에 통상 수직인 선 0-0상에 놓여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제1실시예는 미러유니트(1)를 미러하우징(2) 상에서 지지하기 위하여 얇은 탄성스틸쉬트로 이루어지고 가늘고긴 장방형스프링(여기에서는 리프스프링이라함)을 채용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러유니트(1)의 베이스(13)의 반구형 오목부(15)는 참조번호 5로 표시된 바와같이 미러유니트(1)의 전방을 향하여 그 중심에서 돌출되어 있다. 이 중심돌출부(5)는 여기에서 중심지지부라 한다. 이 중심돌출부(5)는 반구형 볼록부(31)와 오목부(32)의 중심(P) 근처의 위치에서 후자의 중심에서 리프스프링(4)을 수용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중심지지부(5)는 참조번호 50으로 도시된 상부에서 거의 반구형으로 둥글게 되어 있고 원추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중심지지부(5)의 상부(50)는 반구형 볼록부(31)와 오목부(32)의 중심에 거의 놓여 있다. 또한, 중심지지부(5)의 축선은 통상 상술된 선 0-0와 일치한다. 파워유니트(21)는 미러하우징(2)에 면한 쪽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직립블록(6)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2개의 직립 블록(6)은 장방형 평면육면체 형상이며 리프스프링(4)의 양쪽 끝을 유지하거나 또는 지지한다. 이 블록은 여기에서 끝지지부라 한다. 이 끝지지부는 환형의 돌출부(25)를 가로질러 배치되어 있다.
미러유니트(1)의 베이스(13)는 반구형 볼록부(15)를 가로지르는 끝지지부(6)에 대응하게 형성된 2개의 장방형 윈도우(16)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끝지지부(6)의 끝부분은 각각 2개의 장방형 윈도우(16)내에 끼워진다. 각각의 끝부분(6)은 그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60)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60)는 리프스프링(4)의 편향방향에 거의 수직이다. 제2지지부내의 오목부(60)는 파워유니트(21)가 중심지지부(15)의 상부 보다 낮아지도록 제위치에 설치될 때 중심지지부(5)의 상부(50)와 기하학적 관계로 있는 전방 벽표면(60A)을 가지고 있다.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하여, 리프스프링(4)은 구부러져 있고 그 양쪽끝에서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2개의 끝지지부(6) 내의 각각의 오목부(60)내로 삽입된다. 리프스프링(4)은 각각의 상부벽표면(60A)에 고정된 양끝을 유지하는 동안에 위쪽으로 편향되어 그 중심에서 중심지지부(5)의 상부(50)에 놓여지도록 한다. 상술된 바와같이, 리프스프링(4)은 그 중심 및 양끝에서 중심지지부(5)와 2개의 끝지지부(6)에 의해서 각각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스프링(4)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중심에서 한쪽방향으로 편향되고 양끝에서는 다른쪽 방향으로 편향된다. 제2도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같이,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은 리프스프링(4)의 탄성하에서 서로 가압되어 미러유니트(1)가 미러하우징(2)에 대해 피벗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조립은 미러유니트(1)를 미러하우징(2)에 피벗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달성된다. 상술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는 미러유니트(1)와 미러하우징(2)에 부가하여 리프스프링(4)만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백미러 보다 적은 개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반구형 표면을 고정밀도로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반구형 표면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미러유니트(1)의 베이스(13)의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미러하우징(2) 내의 반구형 오목표면(32)만을 포함하고 있다(실예의 방식으로 인용된 파워유니트(21)의 상술된 종래 백미러에 있어서, 반구형표면 2개의 위치에서 서로 접촉한 상태로 있다. 실제로 고정구(E)의 외부반구형 볼록표면은 반구형 오목표면(G)과 접촉하고 있으며 반구형와셔(J)는 고정구(E)의 내부반구형 오목표면과 접촉하고 있다). 그러므로, 미러유니트(1)는 미러하우징(2) 상에서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라, 2개의 끝지지부(6)의 폭(W1)은 끝지지부(6)가 각각 윈도우(16)내로 삽입될 수 있는 베이스(13)내의 윈도우(16) 폭(W2) 보다 적거나 거의 동일하다. 그러므로, 미러유니트(1)가 자동차가 주행하는 동안에 미러에 대해 선 0-0(중심지지부의 축선) 둘레에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가능하다.
더욱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 리프스프링(4)은 그 중심에서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의 거의 중심에서 중심지지부(5)의 상부상에서 접촉하는 실질적인 지점내에 수용된다. 그러므로, 리프스프링(4)은 미러유니트(1)가 경사졌을 때라도 중심지지부(5)로부터 편향될 수 없다. 따라서, 리프스프링(4)은 후자의 전체표면에 걸쳐서 균일하게 반구형 볼록표면(31)을 반구형 오목표면(32)으로 가압하며, 이에 따라 미러유니트(1)의 원활한 경사작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백미러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미러유니트(1)를 수평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한 플런저(23)는 미러유니트(1)를 미러하우징(2)(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의 중심(P)을 통과하는 수직선에 대하여)에 대해 수평으로 경사지도록 모터유니트(21) 내에 제공된 모터에 의해서 구동됨에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또한 미러유니트(1)를 수직으로 경사지게 하기 위한 플런저는 미러유니트(1)를 미러하우징(2)(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의 중심(P)을 통과하는 수평선에 대하여)에 대해 수직으로 경사지게 하도록 파워유니트(21)내에 제공된 모터에 의해서 구동됨에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제4도는 리프스프링(4)의 제위치에서 사용된 리프스프링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이 리프스프링(40)은 그 바닥중심에 형성된 작은 오목부(41)이다. 중심지지부(5)의 상부(50)는 이 오목부(41)안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이 경우에, 리프스프링(40)이 중심 지지부(5)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실제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도는 상술된 스프링이 안에 설치된 것으로부터 다른 방식으로 끝지지부(6)에 고정된 리프스프링(42)의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리프스프링(42)은 나사(43)로 솔리드 끝지지부(61)의 상부에 고정된 하나의 끝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 리프스프링(42)이 중심지지부(5)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더 실제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와이어스프링이 상술된 리프스프링 대신에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백미러의 제2실시예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5도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는 제2도 내지 제5도에서와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시되었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제1실시예는 제9실시예에서의 리프스프링 대신에, 예를 들어 원형부위를 가지고 있는 탄성스틸와이어로 만들어진 와이어스프링(400)을 사용한다.
중심지지부(5)의 상부(50)는 와이어스프링(400)이 중심지지부(5)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재번호 51로 나타낸 중심에 오목부가 있다. 오목부(51)는 넓고 깊으며 와이어스프링(400)의 외경과 일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더 크다.
한편, 각각의 끝지지부(6)에는 오목부(60)의 개구부에서 오목부(60)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와이어스프링(400)의 끝을 수용하는 스토퍼(6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해서 와이어스프링(400)은 제1실시예에서의 리프스프링(4)과 유사하게 스토퍼(62)를 지나서 2개의 끝지지부(6)에서의 각각의 오목부(60)내로 양 끝에 구부려서 삽입되어진다. 와이어스프링(400)의 양끝이 끝지지부(6)에서의 오목부(60)의 상부(전방) 벽표면 각각에 적용되는 상태에서 와이어스프링(400)은 중심지지부(5)의 상부(50)에서의 오목부(51)의 바닥상에 그 중심이 놓여 있게 된다. 따라서,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은 와이어스프링(400)의 탄성하에서 서로 가압되므로 미러유니트(1)와 미러하우징(2)은 서로에 대하여 피벗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제2실시예는 상술된 제1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중심지지부(5)의 오목부(5)에서의 와이어스프링(400)의 끼워맞춤과 끝지지부(6)의 스토퍼(62)에 의한 와이어스프링(400)의 대향끝의 유지는 와이어스프링(400)이 소정의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실제적으로 한정하도록 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제2실시예에서의 중심지지부(5)의 상부(50)안에 상술된 오목부(51) 대신에 형성된 스프링수용오목부(52)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중심지지부(5)에서의 오목부(52)는 와이어스프링(400)의 외경보다 폭과 깊이가 더 크다. 오목부(52)는 표면이 반경 R을 가지고 있는 원형부분과 같이 구부러져 있는 바닥(53)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스프링(400)은 오목부(52)의 구부러진 바닥(53)과 접촉하는 실질적인 지점을 가지고 있다. 이 접촉지점은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의 중심(P)과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이들 표면(31과 32)의 중심(P)은 오목부(52)의 바닥에 수용된 와이어스프링(400)의 중심(P')과 일치하도록 만들어질 수도 있다.
스프링수용오목부(52)의 이런 변형은 와이어스프링(400)이 요동하게 하고 미러유니트(1)를 대응하여 더 용이한 경사작용을 하는데 기여한다.
제10도 내지 제16도는 와이어스프링이 또한 사용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백미러의 제3실시예를 함께 도시하고 있다. 이들 표면에 있어서, 제2도 내지 제9도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는 제2도 내지 제9도에서와 동일한 부재번호로 나타나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이 실시예는 부재번호 402로 나타낸 루프에 의한 제1끝에서, 그리고 루프형끝(402)을 통하여 중심축선과 일반적으로 평행하게 뻗어 있는 벤드(403)와 벤드(403)에 연속적이고 제1끝으로부터 떨어져서 일정한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는 선단부(404)로 이루어진 크랭크에 의한 제2끝에서 끝이난 와이어스프링(401)을 사용하고 있다.
도면에서 역시 예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는 뒤판(1)과 일체로 형성된 짧은 원통형처럼 형성되고 뒤판(11)의 반구형 볼록부(15)의 수평방향바닥(17)의 중심에서 솟아오른 중심지지부(500), 제1솔리드 끝지지부(61) 및 제2끝지지부(600)를 채택하고 있다.
중심지지부(500)는 서로에 대하여 끝지지부(61과 600)를 연결하고 있는 같은 높이에서 뻗어 있는 오목부(501)를 그 상부안에 형성하고 있다. 오목부(501)는 제10도를 위에서 관찰할 때 명백해지는 바와같이 그 양끝에서 넓어져 있다. 오목부(501)의 바닥은 다른 하나의 끝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져 있다. 중심지지부(500)는 오목부(201)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핀(502)을 상부 중심에서 고정하고 있다.
반구형 볼록부(15)는 와이어스프링(401)이 통과하는 오목부(18)를 서로에 대해 2개의 끝지지부(61과 600)를 연결하는 같은 높이에서 그 안에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스프링(401)이 유지된 제2끝지지부(600)는 제1솔리드 지지부(61)내로 구동된 나사(43)의 축선방향으로 솟아오른 2개의 맞닿음부(601)를 가지고 있고 제14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방향의 상부벽 또는 세일링(605)과 기울어져 있는 바닥(604)을 가지고 있는 관통구멍(603)을 2개의 맞닿음부(601) 사이에서 부분(602) 안에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른 백미러를 조립하기 위해서 와이어스프링(401)의 크랭크된 끝의 선단부(404)는 맞닿음부(601) 사이에 놓여지고 와이어스프링(401)의 벤드(403)가 제2지지부(600)의 부분(602)의 표면에 맞닿을 때까지 제14도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관통구멍(603)의 기울어진 바닥(604)을 따라 제2지지부(600)에서 관통구멍(603) 내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벤드(403)는 맞닿음부(601) 사이에서 양쪽의 측면에서 고정되므로 와이어스프링(401)은 그 축선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대비하여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와이어스프링(401)은 중심지지부(500)의 상부에서 핀(502) 상에 중심에서 적용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스프링(401)의 선단부(404)는 세일링(605)에 탄성적으로 적용되어 있고 와이어스프링(401)의 중심은 핀(502)과 접촉한 실질적인 지점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와이어스프링(401)의 제1끝 또는 루프형끝(402)은 나사(43)로 제1끝지지부(61)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스프링(401)은 맞닿음부(601)가 축선을 중심으로한 와이어스프링(401)의 회전에 대비하여 와이어스프링(401)의 벤드(403)를 차단할 것이기 때문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중심지지부(500)의 상부에 고정된 핀(502)과 와이어스프링(401)의 중심의 접촉지점은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반구형 오목표면(32)의 중심(P)과 일반적으로 일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백미러의 제3실시예는 상술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3실시예에 따라, 와이어스프링(401)의 제2끝은 와이어스프링(401)의 선단부(404)가 관통구멍(603)의 세일링(605)에 탄성적으로 가압되어서 차례로 와이어스프링(401)의 제1끝으로부터 떨어져서 더 구부러진 벤드(403)를 형성하는 방향(S)으로 반대로 크랭크된다. 와이어스프링(401)의 이전 형태로 인하여 제2끝지지부(600)는 스프링와이어(401)의 선단부(404)가 유지되는 관통구멍(603)의 세일링(605) 상의 부분에서 더 두껍게 (T로 표시됨) 될 수 있으므로 제2끝지지부(600)는 더 견고하게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제2끝지지부(600)는 와이어스프링(401)의 벤드(403)가 맞닿는 부분(602)을 가져서 루프형끝(402)은 제1끝지지부(61)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와이어스프링(401)은 제1끝지지부(61)에 더 쉽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예는 파워유니트(21)가 수평방향으로 그리고 수직방향으로 미러유니트(1)를 기울이는데 사용되는 원격제어 가능한 백미러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미러유니트(1)가 파워유니트(21) 없이 수동으로 전환되는 수동제어 백미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경우에, 미러유니트(1)는 미러하우징(2)에 직접 피벗가능하게 설치되어져야 한다.
더구나, 본 발명의 상술된 실시에에서, 반구형 볼록표면(31)은 미러유니트(1) 상에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반구형 오목표면(32)은 미러하우징(2) 상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반대로 미러유니트(1)와 미러하우징(2)은 각각 그 위에 형성된 반구형 오목표면(32)과 반구형 볼록표면(31)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상술된 실시예는 미러유니트(1) 상에 형성된 반구형 볼록표면(31)과 미러하우징(2) 상에 형성된 반구형 오목표면(32)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반구형 오목표면은 미러유니트(1) 상에 형성될 수도 있는 반면에 반구형 볼록표면은 미러하우징(2)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에서, 미러유니트(1)의 뒤판(11)은 베이스(13)의 분리홀더(12)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13)가 미러하우징(20) 안에서 파워유니트(21)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이것은 홀더(12)내로 끼워맞춤되어서 뒤판(11)을 함께 형성한다.
그러나, 뒤판(11)은 단일판으로 만들어지며 2개의 피스 (12와 13)로 이루어져서는 않된다. 이 경우에, 뒤판은 미러하우징(2)에 피벗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미러본체(10)는 뒤판에 설치되어져서 미러유니트(1)를 형성한다.

Claims (14)

  1. 그 전방상에 반사표면과 후방상에 반구형 볼록표면을 가진 미러유니트, 반구형 오목부표면을 가진 미러하우징, 및 상기 미러유니트가 상기 미러하우징에 대해 피벗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미러유니트를 상기 미러하우징에 끼워지도록 상기 반구형 볼록표면을 상기 반구형 오목표면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단은 가늘고 긴 리프스프링, 중심지지부 및 구부러진 상태로 중심 및 양끝에서 상기 리프스프링을 유지하도록 제공된 2개의 끝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중심지지부는 상기 미러유니트상에 제공되어 있는 한편 상기 끝지지부는 상기 미러하우징상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유니트는 그 전방상에 형성된 상기 반사표면을 가진 미러몸체 및 상기 미러몸체의 뒤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러몸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미러몸체를 유지하는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반구형 볼록표면과 상기 중심 지지부를 가진 베이스로 이루어진 뒤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홀더와 베이스는 분리피스이고 상기 뒤판을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은 그 전방끝에서 개구되어 있고 중공의 구조이며, 이 미러하우징에는 상기 미러유니트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원격제어되는 파워유니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유니트에는 상기 반구형 오목표면과 상기 2개의 끝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유니트는 상기 파워유니트에 의해서 상기 미러하우징에 설치되어 피벗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표면은 상기 미러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스프링은 나사에 의해서 상기 끝지지부의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지부는 원추형 형상이며 상기 리프스프링은 그 중심에 형성된 작은 오목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심지지부의 상부는 상기 오목부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끝지지부는 상기 미러유니트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유니트내에 형성된 윈도우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7. 그 전방상의 반사표면과 후방상의 반구형 볼록표면을 가진 미러유니트 반구형 오목표면을 가진 미러하우징, 및 상기 미러유니트가 상기 미러하우징에 대하여 피벗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미러유니트를 상기 미러하우징에 설치하도록 상기 반구형 볼록표면을 상기 반구형 오목표면으로 가압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단은 원형부위를 가진 와이어스프링 및 구부려진 상태로 상기 와이어스프링을 중심 및 양끝에서 유지하도록 제공된 중심지지부와 2개의 끝지지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중심지지부는 상기 미러유니트상에 제공되어 있는 한편 상기 끝지지부는 상기 미러하우징상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유니트는 그 전방상에 형성된 상기 반사표면을 가진 미러몸체 및 상기 미러몸체의 뒤에 배치되어 있으며 미러몸체의 원주를 따라 상기 미러몸체를 유지하는 홀더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반구형 볼록표면과 상기중심 지지부를 가진 베이스로 이루어진 뒤판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홀더와 베이스는 분리피스이고 상기 뒤판을 형성하도록 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하우징은 그 전방끝에서 개구되어 있고 중공의 구조이며, 이 미러하우징에는 상기 미러유니트를 수직 및 수평으로 회전하도록 원격제어되는 파워유니트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파워유니트에는 상기 반구형 오목표면과 상기 2개의 끝지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유니트는 상기 파워유니트에 의해서 상기 미러하우징에 설치되어 피벗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표면은 상기 미러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내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지부는 원추형 형상이고 상기 중심지지부에는 폭과 깊이가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외경 보다 약간 더 크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그 중심부에서 끼워짐에 따라 수용되는 오목부가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지부는 원추형 형상이고 상기 중심지지부에는 폭과 깊이가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거나 또는 거의 동일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그 중심에서 실질적인 접촉지점내에서 지지되는 원형부위를 가지는 바닥을 구비한 오목부가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끝지지부의 각각에는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편향방향에 수직으로 뻗어 있는 오목부가 있으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오목부의 벽표면상에서 유지되고 상기 오목부에는 그 개구부 에지에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끝이 맞닿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상기 오목부내측에서 맞물림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끝지지부는 미러유니트가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미러유니트내에 형성된 윈도우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그 중심에서 상기 와이어스프링에 수직으로 상기 중심지지부의 상부에 고정된 핀상에 접촉하는 지점에서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의 하나의 끝은 루프형상이고 나사에 의해서 상기 2개의 끝지지부중의 하나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끝지지부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나사의 축방향으로 뻗어있고 관통구멍이 형성된 2개의 맞닿음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스프링은 상기 루프형 끝을 통하여 중심축선과 통상 평행하게 뻗어 있고 상기 와이어스프링이 그 축선둘레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맞닿음부 사이에 고정되는 벤드와 벤드에 인접하고 상기 제1끝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직선으로 뻗어 있는 선단부로 이루어진 크랭크에 의해서 제2끝에서 종결되어 있으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관통구멍내로 삽입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벽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
KR1019950034244A 1994-10-06 1995-10-06 자동차용 백미러 KR0156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242933 1994-10-06
JP24293394A JP3379239B2 (ja) 1994-10-06 1994-10-06 車両用後写鏡
JP00125495A JP3277737B2 (ja) 1995-01-09 1995-01-09 車両用後写鏡
JP95-1254 1995-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779B1 true KR0156779B1 (ko) 1998-11-16

Family

ID=2633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244A KR0156779B1 (ko) 1994-10-06 1995-10-06 자동차용 백미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68326A (ko)
EP (1) EP0705733B1 (ko)
KR (1) KR0156779B1 (ko)
DE (1) DE695007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9017A1 (de) * 1996-03-08 1997-09-11 Reitter & Schefenacker Gmbh Außenrückblickspiegel für Fahrzeuge, vorzugsweise für Kraftfahrzeuge
DE29606417U1 (de) 1996-04-06 1996-06-27 Mekra Rangau Plastics GmbH & Co KG, 90765 Fürth Verstellbare Rückspiegel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DE19644824C1 (de) * 1996-10-29 1997-12-18 Buehler Gmbh Nachf Geb Kupplungseinrichtung zur gelenkigen Verbindung des Spiegelglasträgers eines Kraftfahrzeug-Rückblickspiegels mit dem Gehäuse des Spiegelantriebs
BR9702665A (pt) * 1997-07-28 1999-10-05 Metagal Ind Stria E Comercio L Articulação multiuso para espelhos retrovisores externos
US6168279B1 (en) * 1998-03-25 2001-01-02 Donnelly Corporation Pivot support for adjustable rearview mirror
DE19840004A1 (de) 1998-09-02 2000-03-09 Mekra Lang Gmbh & Co Kg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DE19904778C2 (de) 1999-02-05 2001-04-12 Mekra Lang Gmbh & Co Kg System zur automatischen Aussenspiegelverstellung bei Kurvenfahrten von Fahrzeugen
DE19913072B4 (de) * 1999-03-23 2005-10-13 Mekra Lang Gmbh & Co. Kg Außenspiegel für Kraftfahrzeuge
US6302549B1 (en) 1999-09-07 2001-10-16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biaxial adjustability
US6491402B1 (en) 1999-09-07 2002-12-10 Lang-Mekra North America, Llc Mirror mounting assembly with modular components
DE10064647A1 (de) 2000-12-22 2002-07-11 Mekra Lang Gmbh & Co Kg Rückblickspiegel,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US7357522B2 (en) * 2001-03-06 2008-04-15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Rearview mirror assembly for motor vehicles
CN1212946C (zh) 2001-10-02 2005-08-03 市光工业株式会社 车辆用镜装置
CN1279420C (zh) * 2001-12-24 2006-10-11 Lg电子株式会社 用于平板显示器设备的铰接组件
US6793357B2 (en) 2001-12-26 2004-09-21 Lang Mekra North America, Llc Vehicle mirror mou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7370985B2 (en) * 2002-12-30 2008-05-13 Ian Boddy Vehicular mirror with slip clutch for jack screw actuator
DE102008032400A1 (de) * 2007-07-10 2009-06-2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Fahrzeugsensoren
GB2468719B (en) 2009-03-21 2012-05-02 Dyson Technology Ltd A rechargeable battery pack
JP5619403B2 (ja) * 2009-09-30 2014-11-05 株式会社ミツバ 車両用ドアミラー
EP2433838B1 (de) * 2010-09-28 2014-04-23 SMR Patents S.à.r.l. Außenspiegel
NL2009160C2 (nl) * 2012-07-09 2014-01-13 Mci Mirror Controls Int Nl Bv Verstelinstrument.
NL2012333B1 (en) 2014-02-28 2015-10-19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 V Mirror adjustment mechanism, in particular for a wing mirror for a motor vehicle.
DE102016225293A1 (de) * 2016-12-16 2018-06-21 Mekra Lang Gmbh & Co. Kg Kugelgelenkvorrichtun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indirektes Sichtsystem für Fahrzeuge
WO2018148747A1 (en) * 2017-02-13 2018-08-16 Mks Technology, Inc. (D/B/A Snowy Range Instruments) Self-homing optical device
DE102017106408A1 (de) * 2017-03-24 2018-09-27 SMR Patents S.à.r.l. Informationseinrichtung und Fahrzeug damit
DE202019100579U1 (de) * 2019-01-31 2019-02-25 Mci (Mirror Controls International) Netherlands B.V. Sichteinstellmechanismu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548065A (en) * 1957-10-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Mirror
US2146859A (en) * 1935-12-10 1939-02-14 Ludwie August Wilczek Suction supporting device
US2112656A (en) * 1936-06-30 1938-03-29 Liberty Mirror Works Universal mounting
US2710734A (en) * 1951-12-04 1955-06-14 George C Knight Company Rea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US3339877A (en) * 1963-12-12 1967-09-05 Frank Owen Iii Rear vision mirror construction
US3347513A (en) * 1965-10-23 1967-10-17 Hall C M Lamp Co Pivotable mirror
GB1196267A (en) * 1967-11-15 1970-06-24 Desm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ear-View Vehicle Driving Mirrors
US4158483A (en) * 1975-07-09 1979-06-19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Remote controlled rearview mirror
GB1596761A (en) * 1977-01-07 1981-08-26 Britax Wingard Ltd Electrically operable and remotely adjustable mirror assembly
US4776231A (en) * 1983-05-12 1988-10-11 Ni Industries, Inc. Adjustable automobile mirror system
US4640142A (en) * 1983-05-12 1987-02-03 Ni Industries, Inc. Adjustable automobile mirror system
KR910003533B1 (ko) * 1986-08-04 1991-06-04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기 세이사쿠쇼 자동차의 외부미라(mirror) 조립체
DE3811448A1 (de) * 1987-09-09 1989-03-23 Mekra Rangau Plastics Motorisch verstellbarer rueckspiegel
US4988179A (en) * 1989-04-19 1991-01-29 Navistar International Transportation Corp. Electromagnetically locking mirror glass adjusting system
US5363246A (en) * 1993-05-12 1994-11-08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Power pack for an automotive exterior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5733A1 (en) 1996-04-10
US5568326A (en) 1996-10-22
DE69500728D1 (de) 1997-10-23
DE69500728T2 (de) 1998-01-08
EP0705733B1 (en) 1997-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779B1 (ko) 자동차용 백미러
US4877214A (en) Holding device of mirror element for rearview mirror
US4629296A (en) Adjustable convex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mirror
US3467465A (en) Rearview mirror actuator
US4116538A (en) Motor-car mirror adjustable about two perpendicular axes
JPH07228182A (ja) 飲料容器等を保持する装置
US20090261226A1 (en) Pivoting detent joint
JPH08225044A (ja) 戻り止め装置
US4319806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US4867409A (en) Breakaway mirrors
JPS63116950A (ja) 自動車用バツクミラー
KR20030040102A (ko) 차량용 인사이드 리어뷰 미러장치
EP0276677B1 (en) Holding device of a mirror element for a rearview mirror
JPH09204803A (ja) 前照灯のエイミング装置
US4527861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US4870544A (en) Optical-axis adjusting apparatus for automotive lights
US4705368A (en) Anti-vibration device for vehicle rearview mirror
US4359264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assembly
US3253510A (en) Two position non-glare mirror
US6427605B1 (en) Storage compartment for a container,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JPH06249232A (ja) 鏡支持装置
US3933058A (en) Universal support for vehicle mirror
JP2012501902A (ja) 特に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の取り付け台用の保持ヒンジ部品、及びこの保持ヒンジ部品を備える実用車用外装バックミラー
JP3379239B2 (ja) 車両用後写鏡
US4359263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