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561B1 -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561B1
KR0156561B1 KR1019880007579A KR880007579A KR0156561B1 KR 0156561 B1 KR0156561 B1 KR 0156561B1 KR 1019880007579 A KR1019880007579 A KR 1019880007579A KR 880007579 A KR880007579 A KR 880007579A KR 0156561 B1 KR0156561 B1 KR 0156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luminance signal
band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393A (ko
Inventor
다다시 에자끼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5606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8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229128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90966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9000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totally overlapp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e.g. frequency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08Suppression of interfering signals at the reproducing side, e.g. noise

Abstract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을 함유하는 주파수 대역의 재생 휘도 신호 및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로부터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는, 재생 휘도 신호용 전송 경로를 규정하는 수단과, 전송 경로의 출력을 색도 신호에 가산하여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가산 수단과, 전송 경로에 배치되어 전송 경로의 출력이 색도 신호에 가산될 때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는 재생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부분 및 색도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터 수단과, 필터 수단 이전의 전송 경로에서 재생 휘도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수단 및 전송 경로의 출력에 색도 신호를 가산하기 전에반송파 색도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제1도의 VTR에 사용될 수 있는 종래의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광 대역 휘도 신호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의 주요 부분의 블럭도.
제5a도 내지 제5e도는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블럭도.
제7a도 및 제7b도는 제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8도는 제6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블럭도.
제10a도 내지 10d도는 제9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4도와 유사한 블럭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시스템의 블럭도.
제14a도 내지 14e도는 제13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며하기 위한 흐름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럭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5도와 유사한 블럭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시스템의 주요부분의 블럭도.
제18a도 내지 18c도는 제17도에 도시된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7도와 유사한 블럭도.
제20a도 내지 20c도는 제19도에 도시된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주파수 스펙트럼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재생 시스템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휘도 신호 처리 회로 15 : 색도 신호 처리 회로
18,32,41 : 트랩 회로 30 : S[슈퍼]출력 단자 장치.
17,33 39 : 지연 라인 37,37S : 콤 필터
35,42,56,57,64 : 감산기 60,60' : 전환 스위치
61 : 라인 상관 검출기 70 : 전위차계
72 : 색도 신호 레벨 검출기
본 발명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선명도의 화상을 재생하기 위한 칼라 비디오 신호 처리 회로를 가진 칼라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대한 기술]
종래의 VTR로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기록 매체에 칼리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재생할 때 VTR의 기록 시스템에서는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가 분리되어 자기 테이프 상에 기록되고, VTR의 재생 시스템에서는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가 서로 혼합되거나 가산되어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칼라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는 칼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모니터 또는 수상기에 있어서는, VTR로부터의 칼라 비디오 신호는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로 재차 분리되어야만 하고 그래서 신호 처리가 복잡해진다. 또한,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가 반복적으로 분리 및 혼합되어 칼라 비디오 신호의 질이 저하될 문제점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하여,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를 모니터 수상기에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이른바 S(슈퍼)출력 단자 장치를 VTR에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제1도에는 재생된 휘도 신호 및 반송파 색도 신호를 모니터 수상기에 개별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종래 제안된 VTR의 재생 시스템(10)이 도시되어 있고, 이 시스템은 테이프 상의 연속적인 경사 트랙에 기록된 칼라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자기 테이프 T를 교대로 주사하는 한상의 회전식 자기 헤드 HA 및 HB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 HA 및 HB의 출력은 재생 증폭기(11)를 통하여 고역 통과 필터(12) 및 저역 통과 필터(13)에 공급되며, 여기에서 재생된 칼라 비디오 신호는 각각 FM 휘도 신호 YFM및 하강 변환된 색도 신호 CL로 각각 분리된다. 이들 YFM및 CL은 각각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 및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에 공급된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는 휘도 신호 Y를 공급하기 위해 16으로 개략적으로 표시된 복조기를 포함하며,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는 주파수 변환기(도시 안됨)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하강 변환된 색도 신호 CL을 표준 방송 주파수 fSC를 가진 반송파 색도 신호 C로 재변환시킨다. 또한,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는 17도 개략 도시된 지연 라인을 포함하여 하나의 수평 기간(1H)을 지연시키고 콤 필터의 일부를 형성하며 이에 의해 인접 트랙간의 크로스토크가 제거된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의 재생 휘도 신호 Y는 중심 주파수가 fSC인 대역 제거 필터 또는 트랩 회로(18)를 통해 가산기(19)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트랩 회로(18)의 목적은 색도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반송파 주파수 부근의 잡음 성분을 재생 휘도 신호 Y로부터 제거시키는 것이다.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이러한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가산기(19)의 다른 쪽 입력에 공급되며 이 가산기에서, 잡음 성분이 제거된 휘도 신호 Y에 가산되거나 또는 이것과 혼합된다. 이와 같은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는 가산기(19)이 출력으로부터 증폭기(20)를 통해 출력 단자(21)로 공급된다. 트랩 회로(18)에서 잡음 성분이 제거된 재생 휘도 신호 Y는 또한 증폭기(22)를 통해 출력 단자(23)에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출력 단자(25)에 개별적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출력 단자(23) 및 (25)가 상기 언급한 재생 시스템의 S(슈퍼)출력이 된다. 출력 단자(21)나 또는 출력 단자(23 및 25)중 어느 하나로부터 모니터 수상기(도시 안됨)에 접속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모니터 수상기에는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나 또는 분리된 휘도 신호 Y중 하나와 반송파 색도 신호 C가 공급됨을 알 수 있다.
종래의 VTR에서는, 재생 휘도 신호 Y 및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주파수 대역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되어 그 신호 성분은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신호 Y 및 C가 서로 혼합되어 합성 신호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재생 화상의 수평 해상도는 예를 들면, 약 240 수평 라인이 된다.
최근 들어, 비디오 기술의 개발에 따라, VTR에 의해 재생된 비디오 신호로부터 고선명도의 화상을 제공할 필요가 생기게 되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FM 변조기의 반송파 주파수는 종래 기술에 사용된 것보다 높게 되어야 하고, 그 결과, 휘도 신호 Y의 주파수 대역은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 내지 6.0MHz가 되도록 팽창되고 이에 의해 예를 들면, 400 내지 500수평 라인을 갖는 화상의 증가된 수평 해상도가 공급된다.
그러나, 휘도 신호 Y가 많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있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주파수 대역을 포함하거나 또는 함유한다면 종래의 VTR에서는 신호 Y 및 C가 가산기(19)에서 혼합될 때 반송파 색도 신호 및 대응하는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서로 간섭하는 문제점이 생긴다. 예를 들면, 종래의 VTR의 재생 시스템에 포함된 Y/C 분리기 회로가 라인 상관을 이용하여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면, 반송파 색도 신호는 휘도 신호와 혼합되고, 따라서,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휘도 신호 시스템 및 색도 신호 시스템 양쪽에서 재생된다. 그러나, 자동 위상 제어(APC)는 색도 신호 재생 시스템에서만 가능하며 각각 휘도 및 색도 신호 시스템에 의해 재생된 캐리어 색도 신호의 위상은 일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휘도 신호 Y 및 반송파 색도 신호 C가 예를 들면, 제1도의 가산기(19)에서 가산될 때 이른바 0비트 간섭이 생긴다. 또한, 제3도의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대역과 상응하는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구 부분은 색도 신호 처리 시스템에서의 반송파 색도 신호와 혼합되어 부정확한 칼라를 생성하고 특히, 협 경사 스트라이프 패턴(NARROW SLANT-STRIPE PATTERN)을 가진 재생 화상 부분의 칼라가 부정확하여 이른바 크로스 칼라 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에서 생기는 상기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한 칼라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대역 휘도 신호를 처리하기 적합한 칼라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랄 부반송파 주파수 부근의 잡음 발생을 억제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카랄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 선명도의 재생 화상을 그 수직 방향으로의 전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칼라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칼라 화상의 수직 비상관 성분으로 인한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상술한 바와 같은 칼라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을 함유하는 주파수 대역의 재생 휘도 신호 및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로부터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한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는, 재생 휘도 신호용 전송 경로를 규정하는 수단과, 전송 경로의 출력을 색도 신호에 가산하여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가산 수단과, 전송 경로에 배치되어 전송 경로의 출력이 색도 신호에 가산될 때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는 재생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 부분 및 색도 신호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터 수단과, 필터 수단 이전의 전송 경로에서 재생 휘도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수단 및 전송 경로의 출력에 색도 신호를 가산하기 전에 반송파 색도 신호를 분리하여 추출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 등을 첨부 도면에 예시된 적합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에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된다.
우선, 제4도를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장치는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 C 및 재생 광 대역 휘도 신호 Y 즉,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대역을 함유하는 주파수 대역의 휘도 신호로부터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얻는다. 이러한 재생 휘도 신호 Y 및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예를 들면 각각 제5a도 및 5b도에 도시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며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된 이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 및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로부터 단자(26) 및 (27)에 공급된다. 색도 신호 C는 단자(27)로부터 직접 가산기(28)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며, 이 가산기의 출력은 출력 단자(29)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 단자(29)외에 이른바 S 출력 단자 장치(30)가 제공되며 이 장치의 출력 단자 COUT은 입력 단자(27)에 접속되어 가산기(28)의 색도 신호 C를 미리 분리하여 추출하며, 출력 단자 YOUT은 단자(26)에 직접 접속되어 광 대역 휘도 신호 Y를 분리하여 추출해 낸다.
본 발명에 따라, 필터 회로(31)는 단자(26) 및 가산기(28)의 제2입력 사이의 휘도 신호 Y용 전송 경로에 배치되어 이러한 전송 경로의 출력 Y'가 가산기(28)에서 색도 신호 C에 가산될 때 반송파 색도 신호 C(제5b도)의 대역에 상응하는 재생 휘도 신호(제5a도)의 주파수 대역의 부분과 색도 신호 C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출력 단자(29)에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를 공급하게 된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필터 회로(31)는 광 대역 휘도 신호(제5a도)로부터 색도 신호 C(제5b도)의 주파수 대역에 상응하는 부분을 제거 또는 감쇄시키는 대역 제거 필터 또는 트랩(32)을 포함하고 있고 제5c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을 가진 출력을 제공한다. 트랩(32)에는 단자(26)로부터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공급되는 지연 라인(33)과 대역 통과 필터(34) 및 감산기(35)가 포함되어 있고, 이 감산기는 지연 라인(33)의 출력으로부터 대역 통과 필터(34)의 출력을 감산한다. 대역 통과 필터(34)의 통과 대역은 색도 신호 C의 주파수 대역과 사실상 동일하고, 지연 라인(33)의 지연 시간은 대역 통과 필터(34)의 것과 동일하게 되어 잇다. 감산기(35)이 출력 즉, 트랩(32)의 출력은 가산기(36)의 제1입력에 공급된다.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필터 회로(31)는 또한 가산형 콤필터(37)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필터는 가산기(38)를 구비하고 있고, 이 가산기의 제1입력은 대역 통과 필터(34)의 출력을 직접 수신하고, 제2입력은 지연 라인(39)을 거쳐 대역 통과 필터(34)이 출력을 수신하며, 상기 지연 라인의 지연 시간은 비디오 신호의 1 수평 기간(1H)과 동일하다. 가산기(38)DLM 출력은 계수 회로 또는 감쇄기(40)를 통해 가산기(36)의 제2입력에 공급되며, 상기 계수 회로 또는 감쇄기에서 가산기(38)의 출력 레벨 또는 진폭이 반으로 감소 또는 감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a도 및 5b도에 도시된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보다 사실상 더 높은 예를 들면 5.0MHz의 고 주파수 fW로 확장된 광 대역을 가진 휘도 신호 Y가 단자(26)에 공급되면, 대역 통과 필터(34)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부근의 예를 들면 ±0.5MHz의 대역폭을 가진 반송파 색도 신호 C(제5b도)와 같은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신호 성분을 분리한다. 감산기(35)에서, 이렇게 분리된 신호 성분은 광 대역 입력 휘도 신호(제5a도)로부터 감산되어 감산기(35)로부터의 출력은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스펙트럼에 대응하게 되고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스펙트럼의 그 부분이 하강된다.
제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산형 콤 필터(37)에서는, 주파수 fSC±n.fH각각에서 감쇄되고, 주파수(2n-1).fH/2에서 통과 대역이 제공되며 여기에서 n은 정수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NTSC 시스템에서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는 수평 주사 주파수 fH의 1/2의 홀수 배이고 휘도 신호 Y의 에너지는 수평 주사 주파수 fH의 정수 배의 주파수 부근에 집중되어 있으며,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주파수 인터리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NTSC 시스템에 의해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가 선택되므로 반송파 색도 신호는 1 수평 기간(1H)만큼 지연되어 비지연된 반송파 색도 신호에 대해 위상이 반전되어 있고 그 결과 지연 및 비지연 반송파 색도 신호가 서로 상쇄될 수 있다.
상술한 필터 특성을 가진 콤 필터(37)가 대역 통과 필터(34) 출력에서 이어지는 광 대역 휘도 신호의 부분에 공급되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제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콤 스펙트럼을 가지며, 주파수 축은 단지 예시를 위해 확대되어 있다.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 포락선의 주파수 대역은 제5b도에 도시된 것으로 제한된다.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을 가진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과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된 스펙트럼을 가진 감산기(35)로부터의 출력은 가산기(36)에서 서로 가산되거나 또는 혼합되어 가산기(36)로부터의 출력 Y'는 제5e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을 가지며, 제5c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의 하강 부분이 감쇄기(40)로부터의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에 의해 교체되거나 또는 보충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필터 회로(31)로 인해, 라인 상관 성분이 없는 색도 신호가 입력 단자(26)에 공급된 휘도 신호 Y와 혼합되더라도, 이러한 색도 신호는 트랩(32)에 의해 휘도 신호로부터 분리되고 또한, 상술된 필터 특성을 가진 콤 필터(37)에 의해 출력 휘도 신호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색도 신호 처리 시스템의 비상관 성분에 대한 0비트 간섭이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콤 필터(37)는 색도 신호와 같은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휘도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의 팽창을 제한하므로 휘도 신호의 고 대역 부분이 고레벨일지라도 크로스 칼라 간섭이 억제될 수 있다.
더욱이, 콤 필터(37)는 휘도 신호 Y의 전체 스펙트럼을 통해 통과시키므로, 재생 화상의 수평 해상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제4도에 설명된 것과 상응하는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단자(26)에 공급된 재생 휘도 신호 Y는 대역 제한 필터 또는 트랩(41) 및 감산기(42)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며 감산기의 다른 입력은 트랩(41)의 출력을 수신한다. 감산기(42)는 입력 또는 재생 휘도 신호 Y로부터 트랩(41)의 출력을 감산한다. 트랩(41)의 중심 주파수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7a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을 가진 트랩(41)의 출력은 가산기(36)의 한쪽 입력에 직접 공급되고, 트랩(41)에 의해 제거되거나 또는 하강된 스펙트럼의 부분과 실제로 동일한 감산기(42)의 출력은 콤 필터(37)에 공급된다. 특히, 감산기(42)의 출력은 가산기(38)의 한쪽 입력에 직접 공급되고, 지연 라인(39)을 통해 가산기(38)의 다른 쪽 입력에 공급되며 가산기(38)부터의 콤 여파된 출력은 감쇄기(40)를 거쳐 가산기(36)의 다른 쪽 입력에 공급되어 가산기(36)는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휘도 신호 출력 Y를 제공하게 된다.
제6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동작시에, 트랩(41)은 단자(26)에 공급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로부터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주변의 신호 성분을 감쇄 또는 제거시켜 트랩(41)의 출력이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에서 V형으로 하강된 부분이 있는 스펙트럼을 가지게 한다. 감산기(42)는 단자(26)에 공급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로부터 트랩(41)의 출력을 감산하고, 그 결과 감산기(42)의 출력(도시 안됨)은 일반적으로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에 대해 중심된 반전 V형 스펙트럼을 가진다. 감산기(42)로부터의 출력은 제5d도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을 가진 콤 필터(37)에 공급되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반전 V형 포락선을 가진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이다. 가산기(36)는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을 제7a도에 도시된 하강 스펙트럼을 가진 트랩(41)의 출력과 가산 또는 혼합시켜 가산기(36)의 출력 Y가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출력 Y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에 대해 일반적으로 V형 하강이 있는 광 대역 휘도 신호이고, 이것은 콤 필터(37)로부터 얻어진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에 의해 교체 또는 보충된다.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제4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이룰 수 있다. 더욱이, 제6도의 실시예는 제4도의 실시예의 지연 라인(33)이 생략되어 있어 제6도의 실시예는 회로 구성이 더 간단해지는 장점이 있다.
트랩(41)의 감쇄 대역이 좁지만, 색도 신호의 에너지 스펙트럼은 거시적 관점에서 보면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부근에 집중되어 있어 이러한 협 대역의 감쇄가 불리하기는 하다.
제8도를 참조하면, 제6도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고, 제6도의 실시예의 휘도 신호의 전송 경로에 대한 실질적인 회로 구성에 있어, 트랩(41)은 단잔(26)로부터 직렬 접속되어 있는 입력 저항(41c), 캐패시터(41c) 및 코일(411)을 포함하고 있다. 저항(41r) 및 캐패시터(41c)간의 결합점은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그 에미터는 저항(44)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입력 단자(26)에 공급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는 저항(41r)을 거쳐 트랜지스터(43)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또한, 캐패시터(41c) 및 코일(411)을 거쳐 트랜지스터(45)의 에미터에 공급되며, 이 에미터 및 베이스는 각각 저항(46) 및 (47)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5)의 콜렉터 출력은 트랜지스터(48)의 베이스에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48)의 에미터는 저항(49)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3)로부터의 에미터 출력은 저항(50)을 통해 트랜지스터(51)의 에미터에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51)의 베이스는 저항(52)을 통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48)로부터의 에미터 출력은 저항(53)을 통해 트랜지스터(51)의 에미터에 공급되고 또한, 저항(54)을 통해 트랜지스터(51)의 에미터에 접속된 출력을 가진 전하 결합 소자(CCD)를 이루는 콤 필터(37)의 1H 지연 라인(39)을 통해 공급되기로 한다. 트랜지스터(51)의 콜렉터 출력은 출력 단자(55)에 접속되고 제6도에서 가산기(36)의 출력에 대응하게 된다. 제8도의 회로에서, 동작 전압 VCC을 공급하는 전원은 단자(56)에 접속되어 트랜지스터(43),(45),(48) 및 (51)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8도의 회로에 있어서, 캐패시터(41c) 및 코일(41L)로 구성된 직렬 회로의 직렬 공진 주파수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와 동일하게 되어 있고, 트랜지스터(45)의 입력 저항성은 작으며 트랜지스터(43)에 대한 입력과 그로부터의 출력은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에 대해 하강된 부분을 가진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반면에, 트랜지스터(45)에 대한 에미터 입력은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에서 집중된 반전 V형 스펙트럼을 가지며, 이 스펙트럼은 적절히 증폭되어 트랜지스터(48)의 에미터로부터 공급되며, 그 레벨은 트랜지스터(43)의 에미터 출력의 레벨과 동일하다.
저항(50),(53) 및 (54)의 저항치 R50, R53, R54는 각각 다음의 식 2R50=R52=R54'을 만족시키도록 선택되며, 1H 지연 라인(39)의 입출력측으로부터 트랜지스터(51)의 에미터에 공급된 전류합은 트랜지스터(43)로부터 트랜지스터(51)의 에미터를 공급된 전류와 동일하다. 따라서, 트랜지스터(51)에 대한 에미터 입력은 제7b도의 것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지며 제7a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의 하강 부분은 콤 필터(37)의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에 의해 교체되거나 또는 보충된다.
제9도를 참조하면, 제4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으며, 가산형 콤 필터(37) 대신 감산형 콤 필터(37S)를 채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휘도 신호 Y는 입력 단자(26)로부터 지연 라인(33) 및 대역 통과 필터(34)에 공급되고, 지연 라인(33)으로부터의 출력은 감산기(56)의 한쪽 입력에 공급된다. 다시, 대역 통과 필터(34)의 통과 대역은 색도 신호 C(제10도 b)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고, 지연 라인(33)의 지연 시간 τ는 대역 통과 필터(34)와 동일하다.
감산형 콤 필터(37S)는 1 수평 기간(1H)에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가진 지연 라인(39)과 감산기(57)로 형성된다. 대역 통과 필터(34)의 출력은 감산기(57)의 한쪽 입력에 직접 공급되고, 감산기의 다른 쪽 입력은 지연 라인(39)을 통해 대역 통과 필터(34)의 출력을 수신한다. 감산기(57)로부터의 출력은 계수 회로 또는 감쇄기(40)를 거쳐 감산기(56)의 다른 쪽 입력에 공급되며 그에 의해 감산기(57)로부터의 출력 레벨 또는 진폭은 1/2로 감쇄되거나 또는 감소된다. 마지막으로 감산기(56)의 출력 Y는 가산기(28)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고, 가산기(28)의 다른 쪽 입력은 입력 단자(27)로부터의 재생 색도 신호 C를 수신한다. 가산기(28)의 출력은 출력 단자에 접속되어 있고, 이 출력 단자에서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가 발생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10a도 내지 10d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보다 사실상 높은 예를 들면, 5.0MHz의 주파수 fW로 확장된 수파수 스펙트럼을 가진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입력 단자(26)에 공급되면, 대역 통과 필터(34)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에 대하여 예를 들면, ±0.5MHz으로 확장된 반송파 색도 신호 C(제10b도)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휘도 신호 성분만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분리해 낸다.
제5d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가산형 콤 필터(37)와는 반대로, 감산형 콘 필터(37S)는 주파수 fSC±n.fH에서 통과 대역을 가지며 주파수 fSC±(2n-1).fH/2에서 감쇄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n은 정수이다. 제10c도에 도시된 상술한 특성을 가진 콤 필터(37S)가 제10b도에 도시된 색도 신호 C의 주파수 대역을 가진 휘도 신호 성분이 대역 통과 필터(34)를 통해 공급되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제10c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콤 스펙트럼을 가진다. 주파수 축은 단지 예시 목적으로 확대되어 있다. 더욱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제10b도에 표시된 주파수 대역에 제한된 포락선을 가진다.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을 가진 감쇄기(40)의 출력은 지연 라인(30)에 의해 지연된 만큼 광 대역 휘도 신호 Y로부터 감산기(56)에서 감산되고, 제10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산기(56)로부터의 출력은 일반적으로 일부 콤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반송파 색도 신호 C(제10b도)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광 대역 신호(제10a도)의 부분은 제10c도의 극성이 반전된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에 의해 교체된다. 감산기(56)의 출력 Y'는 가산기(28)에서 반송파 색도 신호 C에 가산되어 종래 기술의 다른 단점 및 간섭이 배제된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를 가산기(28)로부터 출력시킨다. 상술로부터, 제9도의 실시예는 상술한 제4도 및 6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장점을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콤 필터는 궤환형 콤 필터로 콤 필터(37S)를 대체시켜 콤 필터에 DLM해 제공되는 개별적인 통과 대역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제11도를 참조하면, 감산형 콤 필터(37S)를 채용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며, 입력 단자(26)에 공급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는 대역 제한 필터 또는 트랩(41)과 감산기(42)의 한족 입력에 공급되며, 이 감산기(42)의 다른 쪽 입력에서는 트랩(41)의 출력을 수신한다. 따라서, 감산기(42)는 광 대역 휘도 신호 Y로부터 트랩(41)의 출력을 감산한다. 다시, 트랩(41)의 중심 주파수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와 동일하게 되고, 트랩(41)의 출력은 감산기(56)의 한쪽 입력에 직접 공급된다. 감산기(42)의 출력은 콤 필터(37S) 및 감쇄기(40)를 거쳐 감산기(56)의 다른 쪽 입력에 공급되고, 감산기(56)의 출력은 가산기(28)에 공급되어 색도 신호 C와 혼합되어 출력 단자(29)에서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제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 시에,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주변에 있는 단자(26)에 공급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성분은 트랩(41)에 의해 감쇄되거나 또는 제거되고, 트랩으로부터의 출력은 제12a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을 나타내며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부근의 V형 강하되어 있다. 트랩(41)으로부터의 출력은 감산기(42)에서 광 대역 휘도 신호 Y로부터 감산되어 감산기의 출력이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에 집중된 반전된 V형 스펙트럼(도시 안됨)을 나타내게 한다. 감산기(42)으로부터의 출력은 제10c도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을 가진 콤 필터(37S)에 공급되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을 가지며 반전된 V형 포락선(도시 안됨)이 있다.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감산기(56)에 공급되어 제12a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을 가진 트랩(41)의 출력으로부터 감산된다. 그 결과, 감산기(56)로부터의 출력은 제7b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제12b도에 도시된 일부 콤 스펙트럼을 가지며, 제12a도에 도시된 스펙트럼의 하강 부분은 극성이 반전된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의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에 의해 교체되거나 또는 보충된다.
제11도의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가 있다. 제9도의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1도의 콤 필터(37S)는 궤환형 콤 필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서, 광 대역 휘도 신호 Y용 전송 경로에는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스펙트럼으로부터 색도 신호의 스펙트럼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하기 위한 트랩이나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가 있으며, 또한 재생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와 혼합될 수도 있는 어떠한 색도 신호의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도 제거하며, 이러한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이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강하 부분을 보충하거나 또는 교체할 수 있게 하는 콤 필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광 대역 휘도 신호 Y 및 색도 신호와의 간섭은, 예를 들면,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로 서로 가산될 때, 휘도 신호의 어떠한 주파수 대역도 사실상 손실되지 않거나 또는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고, 따라서, 재생 화상의 질을 개량한다. 더욱이, 휘도 신호는 필터 회로(31),(31A),(31B) 또는 (31C)의 앞에서 전송 경로로부터 S출력 단자 장치(30)에서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반송파 색도 신호는 가산기(28) 이전으로부터 S 출력 단자 장치(30)에서 분리하여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리하여 추출된 광 대역 휘도 신호 Y 및 색도 신호가 이러한 신호 처리를 통해 저하됨이 없이 모니터 수상기로 전송될 수 있다.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형태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10')에 대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VTR(10')에서,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의 재생 휘도 신호 Y는 제4도의 것과 유사한 필터 회로에 대응하는 필터 회로(31)에 공급되고, 이 필터 회로(31)로부터의 출력 휘도 신호 Y'는 가산기(28)에 가동 접점 M이 접속되어 있는 전환 스위치(60)의 고정 접점 W에 공급된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의 재생 휘도 신호 Y는 또한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반송파 주파수 부근의 잡음 성분을 재생 휘도 신호 Y로부터 제거하도록 제조된 제1도의 트랩 회로와 대응하는 트랩 회로(18)를 통해 전환 스위치(60)의 고정 접점 N에 공급된다.
제1도의 VTR에서와 같이, VTR(10')에서, 처리 회로(14)로부터의 재생 휘도 신호 Y는 증폭기(22)를 거쳐 출력 단자(23)에 직접 공급되고, 반송파 색도 신호 C는 신호 처리 회로(15)로부터 증폭기(24)를 거쳐 출력 단자(25)에 공급된다. 따라서, 단자(23) 및 (25)는 제4도의 S 출력 단자 장치(30)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재생 휘도 신호 Y는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게이트(62)의 제1입력에 그 검출 출력을 공급하는 라인 상관 검출기(61)에 공급되며 게이트(62)의 제2입력은 단자(63)에 접속되어 있고 이 단자는 재생 모드의 제어 신호 Sm을 수신한다. OR 게이트(62)의 출력은 스위치(60)에 접속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고, 그 가동 접점 M이 제13도에 도시된 위치가 되도록 한다. 즉, 게이트(62)의 출력이 하이 또는 1 레벨일 때는 고정 접점 N측에 결합되고 게이트(62)의 출력이 로우이거나 0 레벨일 때는 스위치(60)의 가동 접점 M은 고정 접점에 결합되도록 전환된다. 재생될 휘도 신호가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 대역폭일 때는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은 하이 또는 1 레벨이고 스위치(60)는 제13도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되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은 로우 또는 0레벨이 된다.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검출될 때는 라인 상관 검출기(61)의 검출 출력은 로우 또는 0 레벨이고, 반면에, 재생 휘도 신호가 반송파 색도 신호의 비상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검출되면, 검출기(61)의 출력은 하이 또는 1레벨이 된다.
제13도의 VTR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표준 또는 협대역폭(제2도)의 휘도 신호가 재생되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를 하이 레벨 또는 1이고 OR 게이트(62)를 거쳐 스위치(60)에 공급되어 스위치를 도시된 상태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재생 휘도 신호 Y는 트랩 회로(18) 및 스위치(60)를 거쳐 가산기(28)로 통과된다. 트랩 회로(18)는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부근의 잡음 성분을 표준 대역폭의 휘도 신호로부터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위치(6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되면, 트랩 회로(18)에 의해 잡음 성분이 제거된 표준 대역폭의 휘도 신호는 가산기(28)에서 반송파 색도 신호 C와 혼합되어 출력 단자(21)에서 합성 비디오 신호를 제공한다.
광 대역 휘도 신호 Y(제3도)가 재생되어, 이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고 있으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은 로우 레벨 또는 0이고, 라인 상관 검출기(61)로부터의 검출 출력은 로우 레벨 또는 0이다. 따라서, OR 게이트(62)로부터의 출력은 로우이고, 그 결과, 스위치(60)는 전환되어 가동 접점 M과 고정 접점 W가 연결된다. 스위치(60)의 이러한 상태시에, 광 대역 휘도 신호 Y(제3도)는 제4도와 같은 방법은 필터 회로(31)에서 작용하고, 휘도 신호는 스위치(60)를 거쳐 가산기(28)의 각 입력에공급되고 반송파 색도 신호 C와 가산 또는 혼합되어 출력 단자(21)에서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를 공급하게 된다. 필터 회로(31)의 상술 작용으로 인해, 색도 신호 C와 색도 신호의 대역폭을 가진 휘도 신호의 부분간의 0비트 간섭, 크로스 칼라 간섭 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되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이 로우 또는 0레벨이더라도,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 라인 상관 검출기(61)에 공급된 재생 휘도 신호가 N+1 라인에서 제14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 색도 신호의 비상관 성분 CMS를 함유하고 있으면, 검출기(61)로부터의 검출 출력은 N+1 라인 및 N+2 라인에서 하이 또는 1레벨로 되며, 스위치(60)는 이러한 라인에 대해 도시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휘도 신호로부터의 나머지 비상관 성분은 트랩 회로(18)에 의해 제거되고 스위치(60)를 통해 가산기(28)에 이송되어 0비트 간섭에 의한 재생 화상의 질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더욱이,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될 때, 스위치(60)는 비상관 부분의 검출에 따라 제13도에 도시된 위치로 유지되면,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고역 성분은 필터 회로(31)에 포함된 지연 라인(39)에 의해 지연되지 않으며, 비상관 부분으로 인한 고 선명도의 재생 화상이 그 수직 방향으로 변위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VTR이 제4도의 필터 회로(31)를 채용한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구체화한 다른 필터 회로 특히 제6도에 참조된 것도 제13도에 채용할 수가 있다.
제15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필터 회로(31D)는 제4도의 필터 회로(31)와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필터 회로(31D)에서는, 스위치(60')가 감쇄기(40) 및 가산기(36) 사이의 접속점에 삽입되어 있다. 이 경우, 스위치(60')의 가동 접점 M은 감쇄기(40)의 출력에 접속되어 있고, 고정 접점 W는 가산기(36)의 입력에 접속되어 있으며, 스위치(60')의 고정 접점 W은 개방 또는 비접속된 접점이다.
제13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모드 제어 신호 Sm은 OR 게이트(62)의 한쪽 입력에접속된 단자(63)에 공급되고 이 게이트의 다른 쪽 입력은 라인 상관 검출기(61)의 검출 출력을 수신하며, OR 게이트(62)의 출력은 스위치(60')를 동작 또는 제어시키도록 채용되어 있다. 제15도의 구성에 있어서, 트랩 회로(32)에 포함된 대역 통과 필터(34)의 출력은 감산기(64) 및 콤 필터(37)의 지연 라인(39)의 입력에 공급된다. 또한, 지연 라인(39)의 출력은 감산기(64)의 다른 입력에 공급되며, 감산기의 출력은 검출기(61)에 접속되어 있다. 제13도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1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모드 제어 신호 Sm은 표준 대역 휘도 신호가 재생되면 하이 레벨을 가지며, 이러한 하이 레벨 신호는 OR 게이트(62)를 통과하여 스위치(60')가 제15도에 도시된 위치가 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되면 신호 Sm의 레벨은 로우 레벨이 되고, 이러한 로우 레벨에 따라, OR 게이트(62)의 출력에서 스위치(60')가 전환하여 고정 접점 W와 연결된다. 더욱이, 라인 상관 검출기(61)의 출력은 라인 상관이 검출되면 로우 레벨이 되고 라인 상관이 없거나 비상관으로 검출되면 하이로 된다.
제15도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 시에, 모드 제어 신호 Sm이 표준 대역 휘도 신호의 재생을 가리키는 하이 레벨인 경우나 또는 검출기(61)의 출력이 비상관을 나타내는 하이 레벨일 경우, OR 게이트(62)로부터의 하이 출력은 스위치(60')를 도시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필터 회로(41D)의 감쇄기(40)는 가산기(36)로부터 개방된다. 그 경우, 지연 라인(33), 대역 통과 필터(34) 및 감산기(35)로 구성되는 트랩 회로(32)로부터의 출력만이 가산기(36)를 거쳐 출력 단자(29)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트랩 회로(32)는 제15도에서는 생략된 제13도의 트랩 회로(18)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제15도의 실시예에서, 감산기(64)는 1H 지연 라인(39)의 출력에서의 신호를 이러한 지연 라인에서의 신호로부터 감산하고, 감산기(64)로부터의 차이나 또는 출력은 라인 상관 성분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기(61)에 의한 검출에 의거하게 된다. 라인 상관 성분이 없으면, 감산기(64)로부터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고, 검출기(61)로부터의 대응하는 고출력은 스위치(60')를 도시된 상태로 유지시키거나 또는 개방 상태로 하고, 감산기(35)의 출력 즉 트랩 회로(32) 출력만이 가산기(36)를 거쳐 출력 단자(29)에 공급된다.
한편, 필터 회로(31D)의 입력에 공급된 재생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며 감산기(64)로부터의 출력 즉, 검출기(61)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로 되거나 또는,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되어 모드 제어 신호 Sm이 로우 레벨일 때는, 스위치(60')의 가동 접점 M은 고정 접점 W와 연결되도록 전환되고 그 결과, 필터 회로(31D)는 제4도의 설명된 필터 회로(31)와 동등해지고 같은 기능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제16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제15도와 유사하지만 필터 회로(31E)를 채용하고 있으며, 스위치(60')가 접점 W와 결합하도록 전환되어 감쇄기(40)의 출력을 감산기(56)의 압력과 접속하면 제11도의 필터 회로(31C)의 구성과 유사해진다. 특히, 제16도의 실시예에서, 감산형 콤 필터(37S)의 감산기(57)의 출력은 라인 상관 검출기(61) 및 감쇄기(40)에 접속된다. 제16도에 도시된 구성의 동작시에, 라인 상관이 없으면, 감산기(57)로부터의 출력 즉, 콤 필터(37S)의 출력은 하이 레벨이고, 이에 따라, 검출기(61)는 OR 게이트(62)를 통해 고 출력을 공급하여 스위치(60')가 도시된 위치로 유지되게 한다. 이와 같이, 재생 휘도 신호가 표준 대역폭을 가져 모드 제어 신호 이 해이이면, 스위치(60')는 도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스위치(60')가 그러한 상태이면, 트랩 회로(41)로부터의 출력만이 감산기(56)를 통해 출력 단자(29)로 이송된다. 따라서, 잡음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13도의 구성에 사용된 트랩(18)이 제16도의 실시예에는 생략될 수가 있다.
한편, 필터 회로(31E)의 입력에 공급된 재생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을 가지며, 감산기(57)로부터의 출력이 로우 레벨이면, 이에 따라, 검출기(61)로부터의 출력이 로우이고, 모드 제어 신호 SM이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는 로우일 때, OR 게이트(62)로부터의 저 출력은 스위치(60')가 그 고정 접점 W로 연결되도록 전환시키고 그 결과, 감쇄기(40)의 출력은 스위치(60')를 통해 감산기(56)로 공급되고, 필터 회로(31E)는 제11도에 설명된 필터 회로(31C)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 된다. 그러므로, 제16도의 회로 구성은 제13도 및 15도의 실시예의 기능적 장점을 얻을 수 있으며 회로 구성이 비교적 간단해진다.
제17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실시한 필터 회로(31F)가 제13도의 (10')에서 트랩 회로(18) 및 필터 회로(31) 대신 사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휘도 신호 처리 회로(14)로부터의 재생 휘도 신호 Y는 제4도의 부분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는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 양쪽에 공급된다. 필터 회로(31F)에서,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의 출력은 저항 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위차계(70)에 의해 가변 혼합 비율로 혼합된다. 저항 소자의 단부(70a) 및 (70b)는 각각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의 출력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슬라이드 접점 또는 가동 탭(70C)은 이 슬라이드 접점(70C)에서 얻어지는 각각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로부터의 출력 신호의 혼합 비율을 결정하기 위해 저항 소자에 연결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휘도 신호는 슬라이드 접점(70C)으로부터 가산기(28)의 한쪽 입력에 공급되며, 가산기(28)의 다른쪽 입력은 색도 신호 C를 수신하여 출력단자(29)에서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Y'+C)를 공급한다.
슬라이드 접점(70C)의 위치 즉,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로부터의 출력의 혼합 비율은 가산기(71)의 출력에서 추출된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고, 이 신호는 전위차계(70)의 저항 소자와 함께 슬라이드 접점(70C)을 적절하게 변위 동작시킨다. 상세히 설명하면, 전위차계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가산기(71)로부터의 제어 신호 레벨의 증가에 따라 저항 소자의 단부(70a)를 통해 이동되며, 이에 의해, 슬라이드 접점(70C)으로부터 가산기(28)로 공급되는 혼합 신호에 포함된 콤 필터(37)의 출력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와 반대로, 가산기(71)의 출력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레벨 감소에 응답하여, 슬라이드 접점(70C)은 전위차계의 저항 소자의 단부(70b)를 향해 이동되며, 이에 의해,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의 출력으로 구성된 혼합 신호에서의 콤 필터(37)의 출력 비율이 증가한다.
전위차계(70)에 대한 가산기(71)로부터의 제어 신호의 레벨은 색도 신호 레벨 검출기(72)에 의해 일부 결정되고, 상기 검출기(72)는 예를 들면, 제13도의 색도 신호 처리 회로(15)로부터의 색도 신호 C를 수신하고 그 레벨에 응답하여 가산기(71)의 한쪽 입력에 대응 검출 출력을 공급한다. 가산기(71)는 그 각각의 입력에서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와 예를 들면, 제13도의 라인 상관 검출기(61)로부터 단자(73)에 공급된 라인 상관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제1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 시에, 색도 신호 C의 레벨이 하이이면, 가산기(71)에 공급된 색도 레벨 검출기(72)로부터의 출력은 전위차계(70)의 슬라이드 접점(70C)이 단부(70a)를 향해 이동되도록 하고, 필터 회로(31F)는 예를 들면, 제1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 회로(32)의 전송 특성을 가진다. 한편,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레벨이 로우이면, 색도 레벨 검출기(72)로부터의 출력은 슬라이드 접점(70C)이 전위차계(70)의 다른 단부(70b)를 향해 이동하게 하고, 필터 회로(31F)가 제18c도에 도시된 콤 여파 특성을 공급하게 한다. 또한, 반송파 색도 신호의 레벨이 그 하이 및 로우 레벨이 중간이면, 전위차계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저항 소자의 중간 위치에 배치되어, 트랩 회로(32) 및 콤 필터(37)의 특성이 예를 들면, 제1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전송 특성이 되도록 한다.
또한, 단자(73)에 공급된 라인 상관 검출 신호가 크면, 가산기(71)로부터 전위차계(70)에 공급되는 제어 신호는 슬라이드 접점(70C)이 단부(70b)를 향해 이동하게 하여 필터 회로(31F)는 제18c도에 도시된 특성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휘도 신호 Y의 라인 상관 성분이 작으면, 즉, 비상관인 경우에, 전위차계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저항 소자의 단부(70a)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필터 회로(31F)는 트랩 회로(32)의 특성이 제1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휘도 신호의 라인 상관 성분이 중간치를 가지면, 전위차계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중앙에 위치하며, 필터 회로(31F)의 전송 특성은 제18b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사하게,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이 로우 레벨이고 광 대역 휘도 신호 Y의 재생을 나타내고 있으면, 전위차계(70)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단부(70b)로 이동되고, 필터 회로(31F)는 콤 필터(37)의 전송 특성이 제18c도에 도시된 바와 같게 한다. 재생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이 예를 들면, 제2도와 같이 정상이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의 Sm레벨은 하이로 되고, 가산기(71)의 출력에서, 슬라이드 접점(70C)이 전위차계(70)의 단부(70a)를 향해 이동하도록 하고, 필터 회로(31F)는 트랩 회로(32)의 전송 특성이 예를 들면, 제18a도에 도시된 바와 같게 하고, 색도 반송파 주파수 fSC부근의 잡음을 휘도 신호로부터 제거하게 한다. 이와 반대로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의 레벨이 휘도 신호가 정상 또는 표준 대역폭을 재생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면, 슬라이드 접점(70C)은 전위차계(70)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필터 회로(31F)의 변형예인 필터 회로(31G)가 도시된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대응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필터 회로(31G)에서, 필터 회로(31F)의 콤 필터가 생략되어 있고 간단한 바이패스 라인(74)을 대체되어 있다.
반송파 색도 신호의 레벨이 검출기(72)에 의해 검출된 바와 같이, 하이이면, 가산기)71)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전위차계(70)의 슬라이드 접점(70C)이 단부(70a) 쪽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따라, 필터 회로(31G)는 트랩 회로(32)의 전송 특성이 제20a도에 도시된 바와 같게 한다. 한편, 반송파 색도 신호 C의 레벨이 로우이면, 슬라이드 접점(70C)은 전위차계(70)의 다른 쪽 단부(70b)쪽으로 이동되고, 재생 휘도 신호는 주로 바이패스 라인(74)을 거쳐 가산기(28)로 전송된다. 이 경우, 필터 회로는 제20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편평한 전송 특성을 가진다. 색도 신호가 중간 레벨이면, 전위차계(70)의 슬라이드 접점(70C)은 중간에 위치하고 그 결과, 필터 회로(31G)는 예를 들면, 제20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송 특성인 제20a도 및 20c도에 도시된 것의 중간 전송 특성을 가지게 된다.
제19도에서 단자(73)에 공급된 라인 상관 검출 출력이 휘도 신호 Y가 큰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는 것으로 표시하면, 슬라이드 접점(70C)은 전위차계의 단부(70b)쪽으로 이동되고, 휘도 신호의 대부분은 바이패스 라인)74)을 거쳐 전송되며, 필터 회로(31G)는 제20c도에 도시된 편평한 전송 특성을 가진다. 휘도 신호 Y가 비상관일 경우, 슬라이드 접점(70C)는 전위차계(70)의 단부(70a)쪽으로 이동되고, 필터 회로(31G)는 트랩 회로(32)가 제2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송 특성을 가지게 한다. 휘도 신호 Y가 중간의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면, 전위차계는 유사하게 조정되고 필터 회로(31G)는 제2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전송 특성을 가지게 된다.
재생 휘도 신호 Y가 제3도와 같이 광 대역을 가지면 단자(63)에 공급된 모드 제어 신호 Sm은 슬라이드 접점(70C)을 전위차계(70)의 단부(70b)쪽으로 이동되게 하고, 그 결과 제20c도의 편평한 전송 특성이 제공됨을 알 수 있다. 휘도 신호 Y가 정상이거나 또는 표준 주파수 대역을 가지면, 슬라이드 접점(70C)은 전위차계의 단부(70a)쪽으로 이동되고, 그에 의해, 필터 회로(31G)는 트랩 회로(32)가 제20a도에 도시된 전송 특성을 가지게 한다.
제21도를 참조하면,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의 변형예에 의한 필터 회로(31H)에서, 대응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특히, 제21도의 필터 회로(31H)는 고정 감쇄기(40) 및 가산기(36)의 대응 입력 사이의 경로에 가변 감쇄기(75)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제4도의 필터 회로(31)와 다르다. 이러한 가변 감쇄기(75)는 가산기(71)의 출력으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며, 제17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자(73)에 공급된 휘도 신호의 라인 상관 검출 성분과, 재생 휘도 신호가 광 대역인지 또는 정상 대역인지에 따라 좌우되는 모드 제어 신호 Sm과, 색도 신호 검출 레벨에 대응하는 가산기(71)에 대한 입력에 따라 결정된다.
제4도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대역 통과 필터(34)로부터의 출력은 제5b도에 도시된 대역폭을 가지며, 감산기(35)로부터의 출력은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강 부분이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진다. 또한, 대역 통과 필터(34)로부터의 출력은 콤 필터(37)에 의해 여과되어, 주파수 방향으로 확대된 제5d도에 도시된 대역 제한된 콤 필터 스펙트럼을 나타내게 된다. 가변 감쇄기(75)가 감쇄 작용을 하지 않도록 조정되어 이에 의해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이 가산기(36)에서 사실상 감산기(35)로부터의 출력에 직접 가산되면, 가산기(36)에서의 이러한 가산은 감쇄기(40)의 대역 제한된 콤 필터 스펙트럼(제5d도)이 감산기(35)의 출력에서의 주파수 스펙트럼 즉, 하강 부분이 있는 주파수 스펙트럼에 대해 보상하는 형태가 되며 이에 의해, 제5e도에 도시된 것과 상응하는 전체 특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가변 감쇄기(75)에 의해 감쇄가 많이 생길 경우, 감쇄기(40)로부터의 출력은 가산기(36)로부터 배제되고, 그 결과, 가산기(36)로부터의 출력은 제5c도의 대역 제거 신호인 감산기(35)의 출력과 같게 된다.다시 말하면, 가변감쇄기(75)가 조정되어 다량이 감쇄 작용을 하면, 필터 회로(31H)는 트랩 회로(32)의 것에 사실상 대응하는 전송 특성을 가진다. 가변 감쇄기(75)가 조정되어 중간 정도의 감쇄 작용을 하면, 감쇄기(40)의 출력은 레벨 감소되어 가산기(36)에 공급되고, 트랩 회로(32)의 감산기(35)로부터의 출력과 혼합된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대역 제한된 콤 스펙트럼(제5e도)은 부분적으로 주파수 스펙트럼의 하강 부분(제5c도)을 보상하여 전체의 전송 특성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재생 휘도 신호에 대한 전송 경로에 배치된 필터 회로는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의 대역폭을 제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대역 제거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또한, 주파수 fSC±n.fH에서 휘도 신호를 감쇄시키고, 주파수 fSC±(2n-1).fH/2에서는 휘도 신호를 통과시키는 콤 필터 특성을 가질 수도 있다. 더욱이, 필터 회로는 그 전송 특성을 변경시키기 위해 조정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제5c도의 대여 R제거 특성은 재생 휘도 신호가 협대역 또는 표준 대역폭을 가질 때나 재생 휘도 신호가 라인 상관 성분을 가지지 않을 때 나타날 수 있다. 반면에, 콤 필터 특성은 광 대역 휘도 신호 Y가 재생될 때 제5e도와 같은 대역 제거 특성을 보충하기 위해 채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칼라 부반송파 주파수 fSC부근의 재생 휘도 신호에서 생기는 잡음과 고 선명도 화상의 그 수직 방향으로의 변위가 방지될 수 있고, 칼라 화상의 수직 상관 성분이 없어져 간섭이 방지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상 숙련된 자에 의해서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Claims (1)

  1. 재생 반송파 색도 신호와 적어도 이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을 포함하고 있는 넓은 주파수 대역의 재생 휘도 신호로부터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얻기 위한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휘도 신호를 위한 전송 경로를 정하는 수단과, 합성 칼라 비디오 신호를 제1출력 신호로서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전송 경로의 출력을 색도 신호에 가산하는 가산 수단과, 상기 전송 경로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송 경로의 출력이 상기 반송파 색도 신호에 가산될 때, 반송파 색도 신호와 이 반송파 색도 신호의 대역에 대응하는 재생 휘도 신호의 상기 주파수 대역 부분간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터 수단과, 상기 필터 수단의 상기 전송 경로의 한 지점으로부터 상기 필터 수단에 앞서 재생 휘도 신호를 제2출력 신호로서 분리하여 유도하는 수단 및, 상기 전송 경로의 출력에 색도 신호를 가산하기 전에 상기 반송파 색도 신호를 제3출력 신호로서 분리하여 유도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비디오 신호 재생 장치.
KR1019880007579A 1987-06-23 1988-06-23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KR0156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56060A JPH0828886B2 (ja) 1987-06-23 1987-06-23 カラ−映像信号形成回路
JP62-156060 1987-06-23
JP156060 1987-06-23
JP291284 1987-11-18
JP62291284A JP2590966B2 (ja) 1987-11-18 1987-11-18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62-291284 1987-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393A KR890001393A (ko) 1989-03-20
KR0156561B1 true KR0156561B1 (ko) 1998-11-16

Family

ID=26483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7579A KR0156561B1 (ko) 1987-06-23 1988-06-23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22331A (ko)
EP (1) EP0296827B1 (ko)
KR (1) KR0156561B1 (ko)
AT (1) ATE138775T1 (ko)
AU (1) AU615201B2 (ko)
CA (1) CA1320762C (ko)
DE (1) DE3855319T2 (ko)
ES (1) ES208785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98385A (ja) * 1987-10-09 1989-04-17 Sony Corp 相関検出方式
US5025311A (en) * 1987-12-28 1991-06-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deo signal separating apparatus
JPH0777453B2 (ja) * 1989-09-19 1995-08-16 株式会社東芝 映像信号処理回路
JP2522433B2 (ja) * 1990-03-27 1996-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US5113262A (en) * 1990-08-17 1992-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enabling limited bandwidth recording and playback
US5249064A (en) * 1990-07-02 1993-09-28 Akai Electric Co., Ltd. Noise canceller for use in a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US5257109A (en) * 1990-07-02 1993-10-26 Akai Electric Co.,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GB9027598D0 (en) * 1990-12-20 1991-02-13 Indep Broadcasting Authority Compatible non linear pre-emphasis for composite video signals
KR930011680A (ko) * 1991-11-29 1993-06-24 강진구 영상재생장치의 화질제어회로
JPH10117361A (ja) * 1996-10-08 1998-05-06 Toshiba Corp ビデオ信号処理回路
TWM299985U (en) * 2006-02-09 2006-10-21 Yuan High Tech Dev Co Ltd Audiovisual signal processor with dual antenna
EP2008472B1 (en) * 2006-04-07 2015-06-03 ATI Technologies Inc. Video luminance chrominance separ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154A (en) * 1972-08-25 1974-06-25 Int Video Corp Phased color under video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US3924266A (en) * 1974-08-30 1975-12-02 Rca Corp Automatic luminance channel bandwidth control apparatus responsive to the amplitude of color image information
JPS5927515B2 (ja) * 1976-07-14 1984-07-06 ソニー株式会社 カラ−映像信号の記録再生方法及び記録装置
JPS5443326A (en) * 1977-09-12 1979-04-05 Takashi Nosaka Valve
US4179705A (en) * 1978-03-13 1979-12-18 Faroudja Y C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on of chrominance and luminance with adaptive comb filtering in a quadrature modulated color television system
JPS58141088A (ja) * 1982-02-15 1983-08-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増幅回路
JPS5989096A (ja) * 1982-11-12 1984-05-23 Olympus Optical Co Ltd 録画再生装置
DE3343261A1 (de) * 1983-11-30 1985-06-05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Schaltung zur verminderung des farbnebensprechens in einem farbfernsehcoder
KR900009063B1 (ko) * 1985-09-09 1990-12-17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반송 색 신호 처리 회로
US4748498A (en) * 1985-11-19 1988-05-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uminance signal processing circuit with recursive filter for reducing noise while retaining a high vertical resolu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855319D1 (de) 1996-07-04
US4922331A (en) 1990-05-01
AU615201B2 (en) 1991-09-26
DE3855319T2 (de) 1996-11-28
AU1825688A (en) 1989-01-05
EP0296827A3 (en) 1991-11-06
EP0296827B1 (en) 1996-05-29
KR890001393A (ko) 1989-03-20
CA1320762C (en) 1993-07-27
ES2087853T3 (es) 1996-08-01
ATE138775T1 (de) 1996-06-15
EP0296827A2 (en) 198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8531A (en) Video signal recording apparatus
KR860000458B1 (ko) 영상신호 기록재생장치
KR0156561B1 (ko) 비디오 신호 재생장치
US5587802A (en) Extended definition video signal converter for use with a video recorder
US4731674A (en) Color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crosstalk elimination
JPS6119198B2 (ko)
KR910001472B1 (ko) 컬러텔레비젼 신호의 기록재생장치
US5067009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 component video signal having a luminance signal of a wide frequency band and a chroma signal in a band below the high end of the luminance signal band and within the latter
KR930010359B1 (ko) 영상기록장치
US5060056A (en) Luminance signal/color signal separating circuit and noise reduction circuit using a comb filter
KR920010167B1 (ko)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US4807049A (en) C-type comb filter with negative feedback
EP0076047B1 (en) Color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75587B1 (ko) 비디오 레코더
GB2099658A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a PAL VTR system
US5151792A (en) Video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means for producing a crosstalk eliminated luminance output signal
Hirota et al. Recent technical developments in the S-VHS VCR for broadcasting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KR930008717B1 (ko) 동적응재생을 위한 회로 및 그 방법
JP2642379B2 (ja) 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H034159B2 (ko)
JPS63308492A (ja) 記録再生装置の信号処理回路
JPH01141493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S60216680A (ja) ビデオテ−プレコ−ダ
GB2252005A (en) Video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nd playback systems
JPH069394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