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339B1 -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 Google Patents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339B1
KR0156339B1 KR1019950014499A KR19950014499A KR0156339B1 KR 0156339 B1 KR0156339 B1 KR 0156339B1 KR 1019950014499 A KR1019950014499 A KR 1019950014499A KR 19950014499 A KR19950014499 A KR 19950014499A KR 0156339 B1 KR0156339 B1 KR 0156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brake
rudder
pair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42A (ko
Inventor
강규섭
전찬원
이기두
Original Assignee
배문한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문한,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배문한
Priority to KR10199500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339B1/ko
Priority to US08/656,092 priority patent/US5725184A/en
Publication of KR97000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64C13/06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adjustable to suit individual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24Transmitting means
    • B64C13/26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 B64C13/28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mechanical
    • B64C13/30Transmitting means without power amplification or where power amplification is irrelevant mechanical using cable, chain, or ro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3/00Control systems or transmitting systems for actuating flying-control surfaces, lift-increasing flaps, air brakes, or spoilers
    • B64C13/02Initiating means
    • B64C13/0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 B64C13/044Initiating means actuated personally operated by feet, e.g. ped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5/42Arrangement or adaptation of brak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012Multiple controlled elements
    • Y10T74/20189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향타 및 스티어링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브레이크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조작수단이 집결되는 페달 조립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립체는, 상단이 양측 동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와; 이 페달 몸체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페달 몸체와 연동되며 상측 제1암부는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에 연결됨과 아울러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고 하측 제2암부는 스티어링 기구에 스티어링 로드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연동암을 가지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상기 페달 몸체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이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되어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를 가지는 브레이크 조작수단 및; 계기판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핸들과 이 조절핸들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페달 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조절용 너트편과, 상기 연동암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제자리에서 헛돌게 지지되며 상기 너트편에 나사결합과 아울러 그 상단이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에 고정 연결되는 조절용 나사봉을 가지는 페달 위치 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조절핸들을 좌우로 좌우로 돌리는 것만으로서 페달 위치를 신속,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서 경비행기에 적합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종사가 언제라도 접근하기 쉬운 계기판에 조절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별도의 로킹장치를 해제 및 로킹조작이 필요치 않으므로 지상에서는 물론 비행중에도 페달의 위치를 조종사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신속,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된 경비행기의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장착된 경비행기의 개략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부분 확대도.
제4도는 제2도의 부분 확대도.
제5도는 꼬리날개 부분의 확대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페달 조립체를 경비행기 동체에 장착한 상태에서 조종석쪽에서 본 배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페달 위치조절장치의 조절핸들과 조절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연동관계를 보인 것으로,
(a)는 외관 사시도.
(b)는 황단면도.
(c)는 (b)의 B-B선 단면도.
(d)는 전동축과 조절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연결부위로 보인 확대단면도.
제10도는 페달 위치 조절장치의 조절용 나사봉과 연동암 및 페달 몸체와의 결합관계를 보인 것으로,
(a)는 제7도의 C-C선 단면도.
(b)는 (a)의 D-D선 단면도.
(c)는 (a)의 E-E선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페달 조립체의 방향타 작동 및 스티어링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장치가 적용된 페달 조립체의 브레이크 작동 상태를 보인 측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여 페달 조립체의 위치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것으로,
(a)는 페달 조립체가 조종석으로부터 멀어지게 조절된 상태의 측면도.
(b)는 페달 조립체가 조종석에 가깝게 조절된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비행기 동체 1b : 동체 프레임
5 : 방향타 10 : 스티어링 기구
20 : 페달 조립체 21 : 페달 몸체
24 : 계기판 커버 24a : 반원홈
25,26 : 고정핀 25a,26a : 반원홈
30 :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절수단
31 : 연동암 32 : 제1암부
33 : 제2암부 34 :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
36 :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
37 : 스티어링 로드 38 : 전후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
40 : 브레이크 조작수단 41 : 브레이크 레버
42 : 제1암부 43 : 제2암부
45 : 브레이크 페달 46 : 연결암
47 : 커넥팅 로드
50 : 페달 위치 조절수단 51 : 조절핸들
52 :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 53 : 지지블럭
54 : 조절용 나사봉 55 : 조절용 너트편
56 : 구동기어 57 : 전동축
58 : 전동기어 59 : 연결로드
60 : 연결관체 61 : 캡너트
62 : 볼트 63 : 연결로드
64 : 연결관체 65 : 캡너트
66 : 볼트
본 발명의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Brake Rudder Pedal)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레이크 라더 페달의 위치를 지상에서는 물론 비행중에도 매우 신속, 간편하고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비행기에는 비행중 방향을 좌, 우로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직 꼬리날개(Vertical Stabilizer Fin)의 후방에 좌,우로 회동가능한 방향타(Rudder Surface)와 이 방향타를 좌, 우로 선회시키는 라더 페달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지상에서의 방향 전환을 위하여 랜딩기어(Landing Gear)중 전륜 랜딩기어(前輪;Nose Landing Gear)를 좌우로 선회시키는 랜딩기어 스티어링 기구(Steering Mechanism)가 구비되어 있고, 또 지상의 주행 중 제동을 걸기 위한 브레이크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라더 페달과 랜딩기어 스티어링 기구와 브레이크 페달은 조종사의 양발로 밟고 떼는 것에 의하여 조종하게 되는 것으로 조종사의 신체 조건에 따라 전후로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라더 페달 위치 조절장치로서는 Leroy R. byers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4,192,476호가 알려지고 있다.
이 Leroy의 특허에서는 다수개의 시부(Shieve)와 이 시브들에 권회되는 로프 및 이 로프에 의하여 연동되는 링키기구를 이용하여 라더 페달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킨 다음 원하는 위치로 조절하고 다시 로킹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며, 이륙전에 지상에서만 조절이 가능할 뿐 비행 중에는 라더 페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없어 일단 이륙 후에는 라더 페달의 위치가 정확히 조절되지 않았더라도 이를 보정할 수 없으므로 쾌적한 비행을 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Seiya Sakurai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5,055,742호가 알려지고 있다.
이 Seiya의 특허에서는 2개의 잭 샤프트 어셈블리(Jack Shaft Assembly)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 잭 샤프트 어셈블리 자체의 무게가 무거워서 경비행기용으로는 부적합한 것이다.
또 Gerald T. Farrell등에 의한 미국특허 제4,848,708호가 알려지고 있다.
이 Farrel등의 특허에서는 라더 페달을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라더 및 브레이크 콘트롤 어셈블리(rudder and brake control assembly) 전체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라더 페달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나 별도의 센터링 유닛(Centering Ubit)가 필요하며 라더 및 브레이크 콘트롤 어셈블리 자체가 두껍고 무겁게 제작되어야 하므로 경비행기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조종사 시트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라더 페달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George W. Larson등의 미국특허 제4,484,722호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시트의 조절량만큼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시트를 조절하기 위하여는 조종사가 손을 시트 밑으로 넣어 노브를 조작해야 하므로 비행중에는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브레이크 라더 페달의 위치 조절이 매우 신속, 간편하게 되며, 자체의 중량이 가벼워서 경비행기에 적합하게 되도록 한 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상에서는 물론 비행중에도 브레이크 라더 페달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정) 방향타 및 스티어링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브레이크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조작수단이 집결되는 페달 조립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립체는, 상단이 양측 동체 프레임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와; 상기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페달 몸체와 연동되며 상측 제1암부는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에 연결됨과 아울러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고 하측 제2암부는 스티어링 기구에 스티어링 로드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연동암을 가지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상기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이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되어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를 가지는 브레이크 조작수단 및; 계기판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핸들과 이 조절핸들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정동용 플레시블 케이블과, 상기 페달 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조절용 너트편과, 상기 연동암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제자리에서 헛돌게 지지되며 상기 너트편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그 상단이 정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조절용 나사봉과, 상기 조절핸드의 핸들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맞물리는 전동기어와, 상기 전동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타단에 고정된 전동축을 가지는 페달 위치 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블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하의 설명에서 도면 부호의 첨자 fr는 전방, rr은 후방, lh은 좌측, rh은 우측을 나타내는 것이고, 이들을 공통적으로 설명할 경우에는 첨자를 생략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2인승 경비행기를 보인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날개(2)와 수평 꼬리날개(3) 및 수직 꼬리날개(4)를 가지는 동체(1)와, 비행시 좌,우로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방향타(5) 및, 이륙 및 착륙을 위한 랜딩기어(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방향타(5)의 전방측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꼬리날개(4)의 하부에 브래키트(6)로 그 중간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벨크랭크(Bellcrank)(7)가 설치되고, 이 벨크랭크(7)의 회전중심에서 편위된 위치에 방향타 로드(8)가 핀으로 연결되며, 이 방향타 로드(8)는 방향타(5)의 하단에 고정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방향타 암(9)의 단부에 핀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랜딩기어는 전륜 랜딩기어와 후륜 랜딩기어(도시되지 않음)으로 구분되며 전륜 랜딩기어는 지상에서 주행시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기구(10)에 의하여 좌,우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브레이크 기구(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방향타(5)와 전륜 랜딩기어는 통상적인 비행기에서와 같이 지상에서 주행시에는 같은 방향으로 연동되며, 전륜 랜딩기어를 접어 넣은 비행시에는 전륜 랜딩기어는 작동되지 않고 방향타(5)만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들 방향타(5)와 전륜 랜딩기어 및 브레이크 기구는 조종사가 페달을 족답(足踏)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실의 조종석 전방에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페달 조립체(20)가 설치된다.
도시예에서는 2인승의 경우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전,후 각 조종석의 전방에 페달 조립체(20)가 서로 연동되도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페달 조립체(20)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비행기의 동체(1)를 구성하는 스킨 패널(Skin Pannel)(1a)을 지지하는 양측 동체 프레임( 1b)의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21lh,21rh)와, 이 페달 몸체(21lh,21rh)에 연동하여 방향타 (5)와 스티어링 기구(10)를 작동시키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301h,30rh)과, 상기 페달 몸체(21lh,21rh)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조작수단((40lh,40rh) 및, 상기 페달 몸체(21lh,21rh)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50lh,50rh)으로 구성된다.
상기 페달 몸체(21lh,21rh)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수직부(21alh,21arh)의 상부가 연결부(21blh,21brh)에 의하여 연결되고 하단이 개방된 П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21blh, 21brh)가 상기 동체 프레임(1b)에 브래키트[22]로 고정되어 횡단하는 지지축(23)에 지지되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축(23)은 그 중간부가 플로어(1c)에 세워져 설치된 한쌍의 계기판 커버(24) 상단에 지지된다. 도시예에서는 지지축(23)을 양측 동체 프레임(1b)에 외측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두개의 축부재(23a,23b)와 이들 축부재(23a,23b)의 내측단부를 연결 고정하는 연결구(23c)로 구성되어 있다.
역기서 제8도에 되시한 바와 같이 계기판 커버(24)의 상단에는 U자형 지지홈(24a)을 형성하고 그 측부에 각각 반원홈(25a,26a)을 가지는 상,하부 고정편(25,26)을 설치하여 이들 고정편(25,26)의 반원홈(25a,25b)에 의하여 형성되는 원형공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고정편(25,26)은 계기판 커버(24)의 상단에 고정나사(27a,27b)에 의하여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조립시에는 하부 고정편(26)을 계기판 커버(24)에 고정한 다음 이 하부 고정편(26)의 반원홈(26a)에 지지축(23)의 하반부를 끼우고 그 위에 상부 고정편(25)을 고정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지지축(23)의 상반부가 상부 고정편(25)의 반원홈(25a)에 밀착되면서 지지되도록 하며, 보수를 위하여 분해할 경우에는 상부 고정편(26)만 분리하여 분해한 후 보수하여 제조립함으로써 페달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30lh,30rh)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측 페달 몸체(21lh,21rh)의 바깥쪽에서 그 중간부가 상기 지지축(2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1암부(32lh,32rh)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암부(33lh,33rh)가 일체로 형성된 좌,우 한쌍의 연동암(31lh,31rh)과, 이 연동암(31lh,31rh)의 제1암부(32lh,32rh)와 상기 벨크랭크(7)의 양측단에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34rh)과, 상기 양측 제1암부(32lh,32rh)에 연결되어 조종실 전방 양측에 굴대설치된 가이드 시브(35h,35rh)에 의해 반전 안내되는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6)과, 상기 양측 제2암부(33lh,33rh)에 연결되는 스티어링 기구(10)의 스티어링 로드(37lh,37rh)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예와 같이 2인승인 경우에는 전,후의 양측 제1암부(32lh/fr,32rh/fr)(32lh/rr,32rh/rr)를 전후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8lh,38rh)로 연결하고, 전방측 제1암부(32lh/fr,32rh/fr)에는 상기 연동용 케이블(36)을 연결하고, 후방측 제1암부(32lh/rr,32rh/rr)는 벨크랭크(7)와의 사이에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34rh)로 연결하여 전,후방 어느 쪽에서 조작하더라도 동일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며, 1인승의 경우에는 연동암(31lh,31rh)의 제1암부(32lh,32rh)와 벨크랭크(7)가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34rh)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2인승의 경우 스티어링 로드(37lh,37rh)는 전방측 제1암부(32lh/fr,32rh.fr)에만 연결설치하는 바, 이때 전,후의 양측 제1암부(32lh/fr,32rh/fr)(32lh/rr,32rh/rr)가 전후측 연동용 플레시블 케이블(38lh,38rh)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후방측 연동암(31lh/rr,31rh/rr)을 작동되며 전방측 연동암(311h/fr,31rh/fr)이 연동되어 스티어링 로드(37lh,37rh)가 작동되어 스티어링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페달 몸체(21lh,21rh)와 연동암(31lh,31rh)은 후술하는 페달 위치 조절수단(50)을 구성하는 조절용 나사봉(54lh,54rh)에 의하여 연동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브레이크 조작수단(40)은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축(23)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측 제1암부(42lh,42rh)와 하측 제2암부(43lh,43rh)를 가지며 브레이크 기구에 연결되는 브레이크 레버((41lh,41rh)와, 상기 페달 몸체(21lh,21rh)의 하단 개방부사이에 굴대설치되는 회전축(44lh,44rh)과, 이 회전축(44lh,44rh)에 하단이 고정된 한쌍의 브레이크 페달(45lh,45rh)과, 상기 회전축(44lh,44rh)의 바깥쪽 연장단에 고정된 연결암(46lh,46rh)과, 이 연결암(46lh,46rh)의 선단과 상기 제2암부(43lh,43rh)선단 사이에 피봇 연결되는 케넥팅 로드(47lh,47rh)로 구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페달(45lh,45rh)의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축(44lh,44rh)에 겉으로 끼워져 고정결합되는 원통부(45alh,45arh)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바, 방향타(5)를 조작함에 있어서는 조종사가 이 원통부(45alh,45arh)부분을 밟는 것에 의하여 페달 몸체(21alh,21arh)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방향타(5)를 좌,우로 회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전,후측 브레이크 레버(41lh,41rh)의 제1암부(42lh,42rh)를 연동로드(48lh,48rh)로 연결하는 것에 의하여 어느 한쪽의 브레이크 페달을 밟았을 경우 다른 쪽 브레이크 페달도 함께 연동되면서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상기 페달 위치 조절수단(50)은 제6도 내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계기판 커버(24)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조절핸들(51)과, 이 조절핸드(51)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과, 상기 연동암(31lh,31rh)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블럭(53lh,53rh)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그 상단이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의 끝단에 연결되며 하단부에는 나사부(54alh,54arh)가 형성된 조절용 나사봉(54lh,54rh)과, 상기 페달 몸체(21lh,21rh)에 그 회전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기축(機軸)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이 나사결합되는 조절용 너트편(55lh,55rh)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조절핸들(51)의 핸들축(51a)에 구동기어(56)를 설치하고 그 양측에 전동축(57lh,57rh)을 굴대설치하여 이 각 전동축(57lh,57rh)에 상기 구동기어(56)와 맞물리는 전동기어(58lh,58rh)를 설치하고 상기 전동축(57lh,57rh)에 상기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1lh,52rh)을 연결하여 하나의 조절핸드(51)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양측 페달 몸체(21lh,21rh)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동축(57lh,57rh)과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을 연결함에 있어서는 제9도(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심선(52alh,52arh)의 끝단부에 사각연결홈(59alh,59arh)을 가지는 연결로드(59lh,59rh)를 용접고정하고, 전동축(57lh,57rh)의 끝단에는 상기 사각연결홈(59alh,59arh)에 삽입되는 사각연결돌기(57alh,57arh)를 형성하여 이들 사각연결홈(59alh,59arh)에 사각연결돌기(57alh,57arh)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전동축(57lh,57rh)과 연결로드(59lh,59rh)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케이블 외피(52blh,52brh)의 단부에 플랜지부(60alh,60arh)를 가지는 연결관체(60lh,60rh)를 결합하고, 이 연결관체(60lh,60rh)의 플랜지부(60alh,60arh)가 내측에 걸리는 캡너트(61lh,61rh)를 구비함과 아울러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이 관통되는 볼트(62lh,62rh)를 구비하여 캡너트(61lh,61rh)를 볼트(62lh,62rh)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블 외피(52blh,52brh)를 고정시켜 케이블 외피(52blh,52brh)는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심선(52alh,52arh)이 전동축(57lh,57rh)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동축(57lh,57rh)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57blh,57brh)가 형성되어 볼트(62lh,62rh)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캡너트(66lh,66rh)의 나사부 길이가 볼트(62lh,62rh)의 나사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캡너트(61lh,61rh)를 볼트(62lh,62rh)에 완전히 조이더라도 상기 연결관체(60lh,60rh)의 플랜지부(60alh,60arh)와 전동축(57lh,57rh)의 플랜지부(57blh,57brh)사이에는 일정한 유격이 생기도록 구성한다.
상기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은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은 지지블럭(53lh,53rh)에 대하여 제자리에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블럭(53lh,53rh)은 그 일측에 축돌기(53alh,53arh)가 형성되어 이 축돌기(53alh,53arh)를 연동암(31lh,31rh)에 형성된 축홈(31alh,31arh)에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의 끝단부와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상단을 연결고정함에 있어서는 제10도(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심선(52alh,52arh)의 끝단부에는 사각연결홈(63alh,63arh)을 가지는 연결로드(63lh,63rh)를 용접고정하고,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상단에는 상기 사각연결홈(63alh,63arh)에 삽입되는 사각연결돌기(54blh,54brh)를 형성하여 이들 사각연결홈(63alh,63arh)에 사각연결돌기(54blh,54brh)를 끼우는 것에 의하여 연결로드(63lh,63rh)와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을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하며, 케이블 외피(52blh,52brh)의 끝단부에는 플랜지부(64alh,64arh)를 가지는 연결관체(64lh,64rh)를 결합하고, 이 연결관체(64lh,64rh)의 플랜지부(64alh,64arh)가 내측에 걸리는 캡너트(65lh,65rh)를 구비함과 아울러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이 관통되는 볼트(66lh,66rh)를 구비하여 캡너트(65lh,65rh)를 볼트(66lh,66rh)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블 외피(52blh,52brh)를 고정시켜 케이블 외피(52blh,52brh)는 고정된 상태에서 케이블 심선(52alh,52arh)이 조절용 나사봉(54lh,54rh)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용 나사봉(54lh,54rh)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상단부에는 프랜지부(54clh,54crh)가 형성되어 볼트(66lh,66rh)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캡너트(65lh,65rh)의 나사부 길이가 볼트(66lh,66rh)의 나사부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캡너트(65lh,65rh)를 볼트(66lh,66rh)에 완전히 조이더라도 상기 연결관체(64lh,64rh)의 플랜지부(64alh,64arh)와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플랜지부(54clh,54crh)사이에는 일정한 유격이 생기도록 구성한다.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봉상체(棒狀體)인 전동축(57lh,57rh) 및 조절용 나사봉(54lh,54rh)과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4rh)을 직접 용접 연결하는 등 플렉시블 케이블과 봉상체를 연결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은 그 양측에 축돌기(55alh,55arh)를 형성하여 이들 축돌기(55alh,55arh)를 페달 몸체(21lh,21rh)에 고정된 좌,우 각 한쌍의 브래키트(67lh,67rh)의 축공(67alh,67arh)에 끼워 지지하는 것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서 플렉시블 케이블이라고 불리우는 것은 가요성 외피관과 그 내부에 스틸 와이어가 삽입된 것으로서 외피관은 작동에 관계하지 않으며 내부의 스틸 와이어만 작동하는 구조의 케이블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경비행기의 방향타 작동과, 스티어링 작동 및 브레이크 작동을 성명한다.
제11도의 가상선 표시상태는 양측 페달 몸체(21lh,21rh)를 밟지 않은 중립상태로 이 상태에서는 방향타(5)가 기축과 일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기체는 전방으로 직선 비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비행중 우측으로 선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우측 페달 몸체(21rh)에 설치된 브레이크 페달(45rh) 하단 부분인 원통부(45arh)를 밟으면 제11도의 실선 표시와 같이 페달 몸체(21rh)가 지지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페달 위치 조절수단(50)의 조절용 나사봉(54rh)에 의하여 페달 몸체(21rh)에 연결되어 있는 연동암(31rh)이 회동하여 상단의 제1암부(32rh)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이 제1암부(32rh)에 연결된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6)을 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6)이 반대측(좌측) 연동암(31lh)의 제1암부(32lh)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좌측 연동암(31lh)의 제1암부(32lh)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1인승의 경우에는 좌측 연동암(31lh)의 제1암부(32lh)와 벨크랭크(7)가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34rh)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어 있으므로 곧바로 벨크랭크(7)의 좌측 부분이 당겨지고 우측 부분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2인승의 경우에는 전방의 좌측 연동암(31lh/fr)의 제1암부(32lh/fr)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전후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8lh,38rh)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후방의 좌측 연동암(31lh/rr)의 제1암부(32lh/rr)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후방의 좌측 연동암(31lh/rr)의 제1암부(32lh/rr)에 연결된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를 통해 벨크랭크(7)의 좌측 부분이 전방으로 당겨지고 우측 부분이 후방으로 밀리게 되어 이에 연결된 방향타 로드(8)를 밀게 된다.
방향타 로드(8)는 방향타 암(9)을 후방으로 밀게 되는 바, 방향타 암(9)은 방향타(5)의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방향타(5)는 우측으로 회동하여 비행기를 우측으로 선회시키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한편, 좌측으로 선회하고자 하는 경우는 좌측 페달 몸체(21lh)를 밟으면 되고, 그 작동은 상술한 우측으로 선회하는 경우와 역방향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은 전륜 랜딩기어가 접혀 들어간 상태에서 비행하는 과정에서의 작동을 설명한것인 바, 경비행기가 지상에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연동암(31lh,31rh)의 제2암부(31lh,31rh)에 스티어링 로드(37lh,37rh)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페달 몸체(21lh,21rh)를 조작면 상술한 방향타(5)의 좌,우 회동과 동시에 전륜 랜딩기어의 방향이 전환되어 주행방향을 전환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지상에서 주행중인 브레이크 페달(45lh,45rh)을 밟으면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되어 전,후륜 랜딩기어에 제동을 걸게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페달 위치조절과정을 설명한다.
제13도(a)는 페달이 중립 위치로 조절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이 경우에는 페달 몸체(21lh,21rh)의 수직부((21alh,21arh)가 수직을 유지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페달의 위치를 조종석으로부터 멀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절핸들(51)을 왼쪽으로 돌리면 핸들축(51a)에 설치된 구동기어(56)가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맞물려 있는 좌,우측의 전동기어(58lh,58rh)는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동축(57lh,57rh)에 연결된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이 오른쪽으로 회전하면서 그 끝단에 연결고정되어 있는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을 오른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나사부(54alh,54brh)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끌려올라오게 된다.
이때,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은 지지축(23)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페달 몸체(21lh,21rh)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지지축(23)으로부터의 거리와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의 돌출높이에 의하여 제13도(a)에서 시계방향으로 모멘트가 발생하게 되고 이 모멘트에 의하여 제13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 몸체(21lh,21rh)가 지지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조종석으로부터 브레이크 페달(45lh,45rh) 및 그 하단의 원통부(45alh,45arh)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반대로 페달의 위치를 조정석에 가깝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3도(a)의 상태에서 상기 조절핸들(51)을 오른쪽으로 돌리면 핸들축(51a)에 설치된 구동기어(56)가 오른쪼긍로 회전하고 이에 맞물려 있는 좌,우측의 전동기어(58lh,58rh)는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동축(57lh,57rh)에 연결된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52lh,52rh)이 왼쪽으로 회전하면서 그 끝단에 연결고정되어 있는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을 왼쪽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의 나사부(54alh,54arh)에 나사결함되어 있는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이 나사작용에 의하여 밀려내려 가게된다.
이에 따라 페달 몸체(21lh,21rh)에는 제13도(a)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제13도(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종석으로부터 브레이크 페달(45lh,45rh) 및 그 하단의 원통부(45alh,45arh)까지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상술한 페달 위치 조절과정에서 연동암(31lh,31rh)은 조절용 나사봉(54lh,54rh)에의하여 페달 몸체(21lh,21rh)와 연결되어 있어 페달 몸체(21lh,21rh)에 작용하는 모멘트가 연동암(31lh,31rh)에도 전달되지만 이 연동암(31lh,31rh)의 제1암부(32lh,32rh)에는 좌우측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36)과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34lh,34rh)이 연결되어 이들 플렉시블 케이블들이 루프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연동암(31lh,31rh)은 플렉시블 케이블들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되지 않고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페달 몸체(21lh,21rh)만 회동하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상기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은 연동암(31lh,31rh)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블럭(53lh,53rh)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나사부(54alh,54arh)에 나사 결합된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이 페달 몸체(22lh,22rh)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페달 몸체(21lh,21rh)의 회동량에 따라 조절용 나사봉(54lh,54rh)이 기울어져야 할 각도만큼 이들 지지블럭(53lh,53rh)과 조절용 너트편(55lh,55rh)이 전후로 회동하게 되어 페달 위치 조절이 지장을 받는 일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페달 위치를 조절함에 있어서 조절핸들을 좌우로 돌리는 것만으로서 페달 위치를 신속, 정확히 조절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중량이 가벼워서 경비행기에 적합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종사가 언제라도 접근하기 쉬운 계기판에 조절핸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별도의 로킹장치를 해제 및 로킹조작이 필요치 않으므로 지상에서는 물론 비행중에도 페달의 위치를 조종사의 신체조건에 따라서 신속,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방향타 및 스티어링 기구를 작동시키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브레이크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조작수단이 집결되는 페달 조립체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페달 조립체는, 상단이 양측 동체 플레임에 직접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와; 상기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의 외측에 독립적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페달 몸체와 연동되며 상측 제1암부는 방향타 조작용 플렉시블 케이블에 연결됨과 아울러 좌우측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로 서로 연결되고 하측 제2암부는 스티어링 기구에 스티어링 로드로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연동암을 가지는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과; 상기 좌우 한쌍의 페달 몸체에 하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브레이크 페달과 이 브레이크 페달에 연동되어 브레이크 기구를 작동시키는 브레이크 레버를 가지는 브레이크 조작수단 및; 계기판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핸들과 이 조절핸들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좌우 한쌍의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과, 상기 페달 몸체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조절용 너트편과, 상기 연동암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좌우 한쌍의 지지블럭과, 상기 지지블럭에 제자리에서 헛돌게 지지되며 상기 너트편에 나사결합됨과 아울러 그 상단이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일단에 고정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조절용 나사봉과, 상기 조절핸드의 핸들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양측에 맞물리는 전동기어와, 상기 전동기어에 고정되어 상기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타단에 고정된 전동축을 가지는 페달 위치 조절수단을 구비하여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의 연동암은 전후 양측에 각한쌍씩 설치되며 이들 전후 양측의 연동암의 제1암부는 전후 연동용 플렉시블 케이블로 연결되어 전후측 어느 방향타 및 스티어링 조작수단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방향타 및 스티어링 기구가 작동되도록 하면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조작수단의 브레이크 레버는 전후 양측에 각 한 쌍씩 설치되며 전후 양측의 브레이크 레버는 연동 로드로 연결되어 전후측 어느 브레이크 조작수단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 기구가 작동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 심선의 양단부에 사각연결홈을 가지는 연결로드를 용접고정하고, 전동축의 끝단에는 상기 일측 사각연결홈에 삽입되는 사각연결돌기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조절용 나사봉의 상단에는 상기 타측 사각연결홈에 끼워지는 사각연결돌기를 형성하여 전동축의 회전력이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을 통하여 조절용 나사봉에 전달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 외피의 양단부에는 플랜지부를 가지는 연결관체를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부가 내측에 걸리는 캡너트와 이 캡너트에 나사체결되며 상기 전동축과 조절용 나사봉이 관통되는 볼트를 구비하여 상기 캡너트와 볼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전동용 플렉시블 케이블의 외피는 고정된 상태에서 심선만 회전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비행기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KR1019950014499A 1995-06-01 1995-06-01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KR0156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499A KR0156339B1 (ko) 1995-06-01 1995-06-01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US08/656,092 US5725184A (en) 1995-06-01 1996-05-31 Brake rudder pedal system for light air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499A KR0156339B1 (ko) 1995-06-01 1995-06-01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42A KR970001142A (ko) 1997-01-21
KR0156339B1 true KR0156339B1 (ko) 1999-02-18

Family

ID=19416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499A KR0156339B1 (ko) 1995-06-01 1995-06-01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725184A (ko)
KR (1) KR01563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19B1 (ko) * 2000-04-04 2003-01-24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의 러더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KR100530183B1 (ko) * 1998-12-31 2006-01-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방향타 페달조절장치
CN105643175A (zh) * 2015-09-14 2016-06-08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平尾转轴焊接托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9155B2 (en) * 2000-05-15 2003-09-16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Adjustable pedal apparatus
US6564672B2 (en) 2000-05-15 2003-05-20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Adjustable pedal apparatus
US7726611B2 (en) * 2006-06-30 2010-06-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ctive rudder pedal mechanism with foreign object strike tolerance and articulating brake
EP2076435A2 (en) * 2006-10-24 2009-07-08 Goodrich Corporation Aircraft brake actuation measurement unit
EP2081816B1 (en) * 2006-11-14 2014-03-12 Bell Helicopter Textron Inc. Customizable pedal system for an aviation control system
ES2394761T3 (es) * 2008-03-31 2013-02-05 Honda Patents & Technologies North America, Llc Aparato accionado por pedal para controlar un sistema de dirección de rueda de morro de avión
US8353484B2 (en) * 2009-11-10 2013-01-15 Textron Innovations, Inc. Cockpit rudder control mechanism for an aircraft
US9764830B2 (en) * 2012-02-10 2017-09-19 Bell Helicopter Textron Inc. Pilot control system with adjustable pedals
RU2592967C1 (ru) * 2012-11-09 2016-07-27 Мейсн Электрик Ко. Напольная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ормозами и рулем направления
US10180699B1 (en) 2013-08-08 2019-01-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edal control
US11396362B2 (en) 2019-11-01 2022-07-26 Woodward, Inc. Rudder and brake pedal assembly
US11467617B1 (en) 2021-10-28 2022-10-11 Woodward, Inc. Cable-linked brake pedal assemblies
US11761851B1 (en) * 2022-05-31 2023-09-19 Safran Landing Systems Canada Inc. Backlash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ctromechanical actuato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8546A (en) * 1946-10-11 1949-08-09 Cons Vultee Aircraft Corp Rudder pedal adjusting mechanism
US2516397A (en) * 1946-12-07 1950-07-25 Curtiss Wright Corp Control pedal assembly
US2585688A (en) * 1947-12-16 1952-02-12 Saulnier Raymond Aircraft rudder control column
US2610006A (en) * 1950-11-18 1952-09-09 United Aircraft Corp Rudder pedal installation
US4192476A (en) * 1978-07-14 1980-03-11 Northrop Corporation Rudder pedal adjustment system
US4484722A (en) * 1982-06-30 1984-11-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Translating rudder pedal system
US4848708A (en) * 1987-11-13 1989-07-18 The Boeing Company Adjustable assembly for aircraft rudder, brake and nose landing gear steering control
US5056742A (en) * 1987-11-13 1991-10-15 The Boeing Company Modular rudder pedal and brake control assembly for aircraf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183B1 (ko) * 1998-12-31 2006-01-2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의 방향타 페달조절장치
KR100369119B1 (ko) * 2000-04-04 2003-01-24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의 러더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CN105643175A (zh) * 2015-09-14 2016-06-08 江西洪都航空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飞机平尾转轴焊接托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42A (ko) 1997-01-21
US5725184A (en) 1998-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6339B1 (ko) 경비행기의 브레이크 라더 페달 장치
EP0200375B1 (en) Unit for supporting handle of watercraft
US3693997A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motor vehicles
DE102006026240B4 (de) Hinterradschwingenarmeinbaustruktur
US20130031997A1 (en) Four-bar vehicle controller providing up to three independent or combined axes of control and improved cockpit and control input ergonomics
DE102019116944B4 (de) Fahrzeug mit Vorderradantrieb
US4192476A (en) Rudder pedal adjustment system
JPH0741877B2 (ja) 船外機の操舵装置
US4603752A (en) Speed and direction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KR100369119B1 (ko) 항공기의 러더 및 브레이크 페달 장치
CN110723277B (zh) 一种基于蚊子载人直升机的无人化数字电传操纵机构
US5056450A (en) Personal watercraft with extendable handlebar
JP2617448B2 (ja) 航空機の人力式操向装置
US8523116B2 (en) Panel-mounted aircraft control stick
CN216002965U (zh) 一种三轮车制动装置和三轮车
US4588200A (en) Braking arrangement for wheeled vehicle
US2542946A (en) Airplane control system
US2457884A (en) Roadable airplane
JPH04231287A (ja) 船外機
US2066375A (en) Aircraft and the control thereof
FR2555128A1 (fr) Dispositif mecanique pour le pilotage des aeronefs a aile souple de type delta par gauchissement de la voilure
WO2019063749A1 (de) Wasserfahrzeug zum befördern wenigstens einer person auf einer wasseroberfläche
CN112672944A (zh) 形状可变的方向盘
JPH0159958B2 (ko)
US5868352A (en) Straight ground-run mechanism of tail wheel-type airpl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