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182B1 -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182B1
KR0156182B1 KR1019950013031A KR19950013031A KR0156182B1 KR 0156182 B1 KR0156182 B1 KR 0156182B1 KR 1019950013031 A KR1019950013031 A KR 1019950013031A KR 19950013031 A KR19950013031 A KR 19950013031A KR 0156182 B1 KR0156182 B1 KR 015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washing tank
slit
upright
optica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182B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센서 ASM의 슬릿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조(Tub) 각도제어의 오차를 줄이고, 초기의 전원 ON시에는 세탁조가 항상 직립(90˚)상태가 되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을 각각의 구성블럭의 정격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변환 장치와, ON-OFF 동작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선택하는 자동차단 스위치(Auto Off SW)와, 상기 자동차단 스위치를 통해 전원변환 장치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세탁기를 초기상태로 유지하는 부하제어부와, 세탁조를 수평(0˚) 또는 수직(90˚)으로 회전시키는 Tub 회전용 모터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에 위치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홀(Hole)에 광투과 제한막이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홀을 통해 통과되는 광량에 따라 세탁조의 상태를 검출해내는 광센서 어셈블리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광센서 어셈블리의 출력값이 직립(90˚)이 아닌 상태에서 세탁기가 OFF에서 ON되거나 초기상태가 되면 상기 Tub 회전용 모터를 제어하여 세탁조가 직립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수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제1도 (a)(b)는 종래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 의 구성 및 로직상태도.
제2도 (a)(b)는 종래의 복합세탁기의 직립누핌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3도 (a)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구성도.
(b)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동작파형도.
(c)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슬릿오차 보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d)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슬릿오차 보상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4도 (a)는 본 발명의 세탁조 초기상태 제어장치의 구성도.
(b)는 본 발명의 세탁조 초기상태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세탁조의 상태에 따른 광센서 ASM의 로직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마이컴 31 : 자동차단 스위치
32 : 인터럽트 발생부 33 : 부하제어부
34 : 슬릿 35 : 광투과 제한막
본 발명은 복합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센서 ASM의 슬릿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조(Tub) 각도제어의 오차를 줄이고, 초기의 전원 ON시에는 세탁조가 항상 직립(90˚)상태가 되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복합세탁기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a)(b)는 종래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구성 및 로직상태도이다.
그리고 제2도 (a)(b)는 종래의 복합세탁기의 직립누핌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종래의 펄세이터 드럼일체형 복합세탁기에 있어서는 펄세이터 방식에서 드럼방식으로 세탁하기 위하여 세탁조(Tub)의 회전(직립, 누핌)제어를 해야 한다.
아웃케이스(13)내의 하부에 ECM 모터(16)가 구성된 세탁조(15)의 회전각도 제어를 위해 광센서 ASM(20)을 이용하게 되는데, 광센서 ASM(20)은 두 개의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슬릿(Slit)(11)으로 구성되어 마이컴(10)에서 상기 광센서 ASM(20)과 슬릿(11)에 의한 신호의 조합에 따라 세탁조(15)의 상태를 감지하여 회전축(17)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Tub 회전용 모터(14)를 제어구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직립누핌 감지장치는 제2도(b)에서와 같이 회전축(17)에 슬릿(11)이 붙어 있어서 회전장치의 Tub 회전용 모터(14)가 구동되어 세탁조(15)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움직이도록 구성되었으며 광센서 ASM(20)은 회전축 고정용 새프트(Shaft)(18)에 연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직립누핌 감지장치는 세탁조(15)가 회전하면 슬릿(11)이 광센서 ASM(20)의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를 반복 이동하면서 광센서 ASM(20)의 수광부에 신호를 입력하게 된다.
즉, 슬릿(11)의 홀(Hole)(19)의 수에 따른 펄스의 수를 읽어들이고 그때의 광량을 읽을수 있도록 증폭기를 통하여 증폭된 값을 읽어서 세탁조(15)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광센서(ASM20)은 항상 ON 상태를 유지하고 세탁조(15)의 회전에 따라 슬릿(11) 2개가 동시에 움직이면서 광센서에 입력되는 광을 차단하여 로직을 나타내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직립누핌 감지장치를 갖는 복합세탁기에 있어서는 광센서 ASM의 슬릿이 오픈형 구조로 되어 있어 광의 산란에 의해 로직에러(Logic Error)가 발생하기 쉽고, 4개의 로직을 나타낼 때 슬릿의 크기에 의해서 과도한 광량에 의해 세탁조(Tub)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초기 전원 ON시에 세탁조의 상태를 감지하여 누핌상태이면 세탁조가 직립상태가 되도록 제어해야만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세탁조의 상태를 확인하지 않아 직립이 아닌 상태에서 세탁물을 넣었을 경우 세탁물이 오염, 손상되거나 세탁물이 아웃케이스(Out Case)내로 들어가서 끄집어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복합세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광센서 ASM의 슬릿구조를 개선하여 세탁조(Tub) 각도제어의 오차를 줄이고, 초기의 전원 ON시에는 세탁조가 항상 직립(90˚)상태가 되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인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는 입력되는 전원을 각각의 구성블럭의 정격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변환 장치와, ON-OFF 동작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선택하는 자동차단 스위치(Auto Off SW)와, 상기 자동차단 스위치를 통해 전원변환장치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세탁기를 초기상태로 유지하는 부하제어부와, 세탁조를 수평(0˚) 또는 수직(90˚)으로 회전시키는 Tub 회전용 모터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에 위치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홀(Hole)에 광투과 제한막이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홀을 통해 통과되는 광량에 따라 세탁조의 상태를 검출해내는 광센서 어셈블리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광센서 어셈블리의 출력값이 직립(90˚)이 아닌 상태에서 세탁기가 OFF에서 ON되거나 초기상태가 되면 상기 Tub 회전용 모터를 제어하여 세탁조가 직립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a)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구성도이고, (b)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동작파형도이고, (c)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슬릿오차 보상방법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d)는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광센서 ASM의 슬릿오차 보상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본 발명의 광센서 ASM은 제3도 (a)에서와 같이, 발광부와 광량의 정도를 읽어들이는 수광부로 구성된 광센서와, 상기 광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서 움직여(Tub 회전축에 연동하여) 세탁조의 회전각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빛을 통과시키는 복수개의 홀(Hole)을 갖는 슬릿(Slit)(34)과, 상기 슬릿(34)과 광센서에 의해 출력되는 세탁조 상태에 관한 신호를 일정레벨로 증폭하여 마이컴(30)으로 출력하는 증폭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릿(34)의 홀에는 투과되는 빛의 산란을 막아 세탁조 회전각도 제어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광투과 제한막(35)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광센서 ASM은 제3도 (b)(c)에서와 같이, 슬릿(34)의 크기에 의해서 발생하는 각도오차를 보상하기 위해서 광센서 ASM의 수광부와 슬릿(34)의 홀과 겹치는 정도를 읽어서 초기에 광센서 ASM과 슬릿(34)이 약간 겹치기 시작한 부분(a)과 점점 겹쳐서 최대가 된 부분이 지나간 상태(D)에 있어서, (a)상태와 (b)상태에서의 전압의 차는 V2-V1>0가 되고 V3-V2>0가 되어 나중값-처음값≤0이 되는 부분이 되면 광센서 ASM과 슬릿(34)의 홀이 정확히 겹친상태가 되므로 이때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켜 슬릿(34)에 의한 각도오차를 줄이게 되는 것이다.
즉, 제3도(d)에서와 같이, 광투과 제한막(35)이 구성된 슬릿(34)의 홀과 광센서의 수광부가 처음 겹치기 시작한 상태(a)에서의 광량(V1)을 읽어낸다(301).
이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302) 다시 광량(V2)을 읽어(303) V1-V2값이 0보다 클 때까지 이미 읽어낸 V1, V2의 광량값을 초기화하여 상기 스텝을 반복하게 된다(304).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V1-V2값이 0보다 크게 되면 Tub 회전용 모터를 정지시킨다(305).
상기와 같은 광센서 ASM에 의한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의 전체구성을 본 발명의 세탁조 초기상태 제어장치의 구성도인 제4도 (a)와 본 발명의 세탁조 초기상태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인 제4도 (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4도 (a)에서와 같이, 입력되는 전원을 각각의 구성블럭의 정격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변환 장치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ON-OFF 동작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선택하는 자동차단 스위치(Auto Off Switch)(31)와, 상기 자동차단 스위치(31)를 통해 전원변환 장치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32),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세탁기를 초기상태로 유지하는 부하제어부(33)와, 세탁조를 수평(0˚) 또는 수직(90˚)으로 회전시키는 Tub회전용 모터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본 발명의 광투과 제한막(35)이 형성된 슬릿(34)으로 이루어진 광센서 ASM의 출력값이 직립(90˚)이 아닌 상태에서 세탁기가 OFF에서 ON되거나 초기상태가 되면 상기 Tub 회전용 모터를 제어하여 세탁조가 직립 상태가 되도록 하는 마이컴(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는 초기에 마이컴(30)으로 입력되는 광센서 ASM의 감지신호가 누핌상태이면 직립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세탁조를 직립상태로 오게 하는 시점은 다음과 같다.
파워플러그가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면 전원변환 장치(5V)에 전원이 인가되고 마이컴(30)은 리셋(Reset)상태로 들어가게 된다.
만약, 자동차단 스위치(31)가 ON되지 않으면 인터럽트 발생부(32)는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이컴(30)은 메인루틴을 실행하지 않고 리셋루틴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 리셋루틴에서는 리셋서브 루틴과 세탁조를 항상 직립상태로 오게 하는 루틴이 있어 세탁조를 초기에는 항상 직립상태로 유지시켜 주게 된다.
그리고 자동차단 스위치(31)가 ON되어 있다면 인터럽트 발생부(32)에서의 인터럽트 발생이후에도 세탁조 상태를 감지하여 직립상태로 만든후에 메인루틴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4도 (b)에서와 같이, 전원변환 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30)은 리셋 루틴을 수행하게 된다(401).
이어, 인터럽트 발생부(32)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었는가를 판단한다(402)(즉, 자동차단 스위치(31)의 ON-OFF에 따른).
그리고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마이컴(30)에서 광센서 ASM으로 부터의 P1, P2신호를 감지하여 세탁조가 직립인가를 판단하여(403) 그렇지 않으면 Tub 회전용 모터를 구동하여 세탁조를 세우게 된다(404).
상기 402 스텝에서 인터럽트 신호가 발생되면 세탁기 디스플레이부를 초기상태로 셋팅하고(405) 세탁조가 직립인가를 판단하여(406) 세탁조가 직립상태가 아니면 Tub회전용 모터를 구동하여 세탁조를 직립으로 세우게 된다(407), 그리고 메인루틴을 실행하게 된다(408).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는 파워플러그가 전원단자에 접속되어 있으면 어떤 상황이라도 세탁기의 세탁조는 직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초기상태에서 광센서 ASM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제5도의 (a)(b)와 같은 상태이면 마이컴(30)은 제5도 (c)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Tub 회전용 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 장치는 광센서 ASM의 슬릿의 홀에 광투과 제한막을 형성하여, 세탁조 회전각도 제어의 오차를 줄이고, 초기상태에서는 세탁조가 항상 직립이 되도록하여 세탁기의 신뢰도를 높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전원을 각각의 구성블럭의 정격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변환 장치와, ON-OFF 동작에 의해 인터럽트 신호의 발생을 선택하는 자동차단 스위치(Auto Off SW)와, 상기 자동차단 스위치를 통해 전원변환 장치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하는 인터럽트 발생부, 상기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세탁기를 초기상태로 유지하는 부하제어부와, 세탁조를 수평(0˚) 또는 수직(90˚)으로 회전시키는 Tub 회전용 모터와, 상기 세탁조의 회전축에 위치하여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홀(Hole)에 광투과 제한막이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의 홀을 통해 통과되는 광량에 따라 세탁조의 상태를 검출해내는 광센서 어셈블리와,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고 상기 광센서 어셈블리의 출력값이 직립(90˚)이 아닌 상태에서 세탁기가 OFF에서 ON되거나 초기상태가 되면 상기 Tub 회전용 모터를 제어하여 세탁조가 직립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어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KR1019950013031A 1995-05-24 1995-05-24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KR015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031A KR0156182B1 (ko) 1995-05-24 1995-05-24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031A KR0156182B1 (ko) 1995-05-24 1995-05-24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6182B1 true KR0156182B1 (ko) 1998-12-15

Family

ID=19415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031A KR0156182B1 (ko) 1995-05-24 1995-05-24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18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292B2 (en)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US20080222819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56182B1 (ko) 복합세탁기의 회전제어장치
KR960003380B1 (ko) 세탁기의 제어장치
KR100519325B1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KR0128427B1 (ko) 세탁기의 세탁수위 설정장치
KR0126881B1 (ko) 세탁기의 부하감지방법
KR100297051B1 (ko) 세탁기의포량재설정방법
KR100266767B1 (ko) 세탁기의 세탁조 언발란스감지방법
KR950007064B1 (ko) 세탁기의 포질판정방법
KR0139610B1 (ko) 세탁기의 휴지시간제어방법
KR950007056B1 (ko) 브러쉬레스 직류(bldc) 모터 적용 세탁기의 포량감지 방법 및 그 장치
KR0163518B1 (ko) 세탁기의 수위결정방법
KR960012896B1 (ko) 세탁기의 탈수모터 정지방법
KR100284269B1 (ko) 텐터 가이더 제어장치
KR100257577B1 (ko) 세탁기의 수위센서 보정방법
KR0120552B1 (ko) 세탁기의 세탁 및 헹굼방법
KR100451654B1 (ko) 모터의역기전력을이용한세탁기의포량감지방법
KR0139609B1 (ko) 세탁기의 세탁운전방법
KR100198269B1 (ko) 세탁기의 부하감지방법
KR100539511B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KR900000791Y1 (ko) 세탁기의 탈수조운전 제어장치
JP3053973B2 (ja) 洗濯機
KR970006590B1 (ko) 세탁기의 수위감지방법
JP3133111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