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5683B1 -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5683B1
KR0155683B1 KR1019910001880A KR910001880A KR0155683B1 KR 0155683 B1 KR0155683 B1 KR 0155683B1 KR 1019910001880 A KR1019910001880 A KR 1019910001880A KR 910001880 A KR910001880 A KR 910001880A KR 0155683 B1 KR0155683 B1 KR 0155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assette tape
information
forced
confi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5317A (ko
Inventor
조웅락
Original Assignee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진구,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진구
Priority to KR101991000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5683B1/ko
Publication of KR920015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5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5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5683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은 카세트테이프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적용되어 사용자가 정보의 기록을 요구할 시 기록요구를 다시 확인하여 재생용 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기록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은 기록작동요구시 현재 장착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가 검사하는 카세트 판별 과정과, 카세트 판별과정에서 현재 삽입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 카세트테이프인 경우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가 검사하는 확인정보유무 검사과정과,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없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설정케하는 확인정보설정과정과, 상기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 경우나 확인정보설정과정수행후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강제로 기록할 것을 지정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과,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에서 사용자가 강제로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요구한 경우 정보를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재생용카세트의 기록제어방법의 흐름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콤 20 : 매트릭스
30 : 데크 40 : 기록재생처리부
50 : OSD부 60 : 비디오스위치
SW1 : 소거방지안전편검출스위치
본 발명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정보를 기록매체(카세트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작동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요시 재생용 기록 매체에 정보를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재생장치는 영상 및 음향기록재생장치로 대별될 수 있고, 여기서 음향기록재생장치는 음향신호만을 카세트테이프상에 기록하거나 카세트테이프상에 기록음향신호를 재생한다. 그리고 영상기록 재생장치는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카세트테이프상에 기록하거나 카세트테이프상에 기록된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를 재생한다. 이런 영상기록 재생장치는 크게 캡코오더 및 VCR(Video Cassette Recorder)가 있다.
카세트테이프는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노멀카세트와 재생만이 가능하도록 된 재생용카세트테이프가 있다. 노멀카세트테이프와 재생용 카세 테이프의 차이는 소거안전편의 유무에 있다.
그리고 기존의 VCR은 소거안전편이 제거된 재생용카세트테이프가 데크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기록키를 입력했을 시 재생용카세트테이프를 인출하고 기록작동을 수행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카세트테이프의 소거안전편이 제거된 부분을 이물질로 채춰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은 음향기록재생장치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세트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필요시 재생용테이프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카세트테이프를 기록매체로 하는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기록작동요구시 현재 장착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가 검사하는 카세트판별과정과, 카세트판별과정에서 현재 삽입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 경우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가 검사하는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과,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없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설정케하는 확인정보설정과정과, 상기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 경우나 확인정보설정과정수행후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강제로 기록할 것을 지정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과,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에서 사용자가 강제로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요구한 경우 정보를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셍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제101단계는 카세트판별과정에 해당하고, 제102과정은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 해당하며, 제103단계에서 제110단계는 확인정보설정과정에 해당하고, 제111단계에서 제113단계는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에 해당하며, 제114단계는 기록과정에 해당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도로서, VCR의 블럭도이다. 제2도를 간격하게 설명한다.
키매트릭스(20)는 사용자가 지정하는 각종 작동명령을 2진정보 형태의 키데이터로 바꾸어 마이콤(10)에 전달한다.
마이콤(10)은 키매트릭스(20)로부터 유입되는 키데이터에 따라 데크(30), 기록재생처리부(40) 및 비디오스위치(60)를 비롯하여 주변회로(도시하지 않음)을 제어처리한다. 그리고 마이콤(10)은 자체내에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에 대한 프로그램 및 각종 파라메터와 멧세지들이 저장된 롬, 램, 작업용 버퍼, 각종 타이머, 상태표시용 레지스터 및 입출력버퍼 등을 포함하고 있다.
데크(30)는 마이콤(10)의 제어하에 카세트테이프를 구동하고, 그리고 카세트테이프에 기록재생처리부(40)로 부터 유입되는 여상신호를 기록하거나 카세트테이프상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취하여 기록재생처리부(40)에 공급한다.
기록재생처리부(40)는 입력단자(5)를 통해 유입되는 영상신호를 카세트테이프에 기록될 수 있도록 변조된 영상신호를 데크(30)에 공급하거나 데크(30)로부터 유입되는 변조된 영상신호를 복조하여 비디오 스위치(60)의 제1입력단자에 공급한다.
OSD(On Screen Display)부(50)는 마이콤(10)으로부터 유입되는 자막정보를 영상신호형태로 변환하여 비디오스위치(60)의 제2입력단자에 공급한다.
비디오스위치(60)는 마이콤(10)의 제어하에 기록재생처리부(40)로 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에 OSD부(50)로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를 삽입하여 출력단자(15)를 통해 표시장치(도시하지 않음) 쪽으로 송출한다.
그리고 데크(30)에 포함되어 있는 소거안전편검출스위치(SW1)는 재생용카세트테이프가 삽입된 경우에 로우논리상태의 카세트판별신호를 마이콤(10)에 공급하고, 노멀 카세트테이프가 삽입된 경우에는 하이논리상태의 카세트판별신호를 마이콤(10)에 공급한다.
이어서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제2도에 도시된 시스템도와 결부시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는 제2도에 도시된 회로중 마이콤(10)에 대해 수행된다.
마이콤(10)은 일정주기마다 키매트릭스(20)를 스캔닝하여 기록키가 눌려졌을 때 제1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수행하게 된다.
기록키가 유입되었을 때 마이콤(10)은 데크(30)에 포함된 소거안전편검출스위치(SW1)로 부터 유입되는 카세트판별신호의 논리상태를 검사하여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가 판단한다(제101단계).
제101단계에서 카세트판별신호의 논리상태가 로우논리상태인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확인정보설정모드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 있는가 검사하여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자체내의 램에 저장되어 있는가 판단한다(제102단계).
제102단계에서 확인정보설정모드플래그가 0으로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 즉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자체내의 램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롬상에 저장된 현재 삽입된 카세트는 재생용카세트테이프임과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설정할 것을 요구하는 멧세지를 독출하여 OSD부(50) 및 비디오스위치(60) 및 출력단자(15)를 통해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그리고 마이콤(10)은 자체내에 내장된 타이머를 세트한다(제103단계).
제103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키매트릭스(20)를 스캔닝하여 확인정보설정키가 유입되는가 검사한다(제104단계).
제104단계에서 확인정보설정키가 유입되지 않았을 경우 마이콤(10)은 세트한 타이머가 리세트되어 있는가를 검사하여 소정시간이 경과되었는가 판단한다. 그리고 소정기간이 경과되지 않았을 시 즉 타이머가 리세트되어 있지 않았을 시 제104단계로 되돌아간다(제105단계).
제104단계에서 확인정보설정키가 유입된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에 내장된 틈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입력하라는 멧세지를 독출하여 OSD부(50), 비디오스위치(60) 및 출력단자(15)을 통해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키매트릭스(20)을 이용하여 입력한다(제106단계).
제106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키매트릭스(20)를 스캔닝하여 확인정보설정키가 다시 유입될 때까지 사용자가 입력하는 숫자정보를 작업용 버퍼에 저장하면서 OSD부(50), 비디오스위치(60) 및 출력단자(15)를 통해 표시장치에 표시한다(제107, 108단계).
제108단계에서 확인정보설정키가 다시 유입된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숫자정보를 자체내의 램에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로서 저장한 다음, 자체내의 레지스터중에 할당한 확인정보설정 모드플래그를 1로 세트하여 확인정보가 설정되었음을 표시한다(제109단계).
제109단계 수행후나 제102단계에서 확인정보설정모드플래그가 1로 세트되어 있는 경우 즉 확인정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자체내에 내장된 롬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유입하라는 멧세지를 독출하여 OSD부(50), 비디오스위치(60) 및 출력단자(15)를 통해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알고 있는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키매트릭스(20)를 이용하여 입력하게 된다(제111단계).
제111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키매트릭스(20)를 스캔닝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순차적으로 유입하여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한다(제112단계).
제112단계 수행후 마이콤(10)은 자체내의 롬에 저장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와 자체내의 작업용버퍼에 저장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일치하는가 검사한다(제113단계).
제113단계에서 작업용버퍼의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와 램의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나 제105단계에서 타이머가 리세트되어 있는 경우 마이콤(10)은 데크(30)을 제어하여 삽입되어 있는 카세트테이프를 인출하도록 한다(제110단계).
제113단계에서 작업용버퍼의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와 램의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일치할 경우 마이콤(10)은 데크(30) 및 기록재생처리부(40)를 제어하여 입력단자(5) 상에 유입되는 영상정보가 기록재생처리부(40) 및 데크(30)를 통해 데크(30)에 삽입된 카세트테이프에 기록되도록 한다(제114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생용카세트테이프가 삽입된 경우 기록키가 유입되었을 시 강제기록요구인가를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의 확인를 통해 판단하여 영상신호를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기록하게 함으로 사용자에게 좀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카세트테이프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기록재생장치의 기록제어방법에 있어서, 기록작동요구시 현재 장착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가 검사하는 카세트판별 과정과, 카세트판별과정에서 현재 삽입된 카세트테이프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인 경우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가 검사하는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과,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없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를 설정케하는 확인정보설정과정과, 상기 확인정보유무검사과정에서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가 있는 경우나 확인정보설정과정수행후 강제기록요구확인정보에 의해 사용자가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강제로 기록할 것을 지정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과, 강제기록요구확인과정에서 사용자가 강제로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정보를 요구한 경우 정보를 재생용카세트테이프에 기록하는 기록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KR1019910001880A 1991-01-31 1991-01-31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KR0155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880A KR0155683B1 (ko) 1991-01-31 1991-01-31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01880A KR0155683B1 (ko) 1991-01-31 1991-01-31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17A KR920015317A (ko) 1992-08-26
KR0155683B1 true KR0155683B1 (ko) 1998-12-15

Family

ID=1931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880A KR0155683B1 (ko) 1991-01-31 1991-01-31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56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5317A (ko) 199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121A (en) Editing apparatus and editing method
KR0155683B1 (ko) 재생용카세트테이프의 기록제어방법
KR920008937B1 (ko) 기록 매체 구동장치의 무녹화 지대 재생 방법
JP3663149B2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0205399B1 (ko) 광 디스크의 기록 가능한 잔량을 표시하는 방법
KR0144375B1 (ko) 재생시간 예약기능을 구비한 비데오테이프레코더
JP3538846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H0326078A (ja) ディジタル画像記録再生システム
KR970005022B1 (ko) 복합 영상기록재생기의 작동제어방법
KR950013834B1 (ko) 프로그램 기록시 기록정보 삽입방법
KR100220589B1 (ko) 브이씨알의 녹화모드 안내방법
KR960001755B1 (ko) 고속 영상기록방법
KR930006890Y1 (ko) 오녹화 방지기능을 갖는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KR100188283B1 (ko) 복합 영상 기기의 조정 데이터 자동 설정 방법
KR960006679B1 (ko) 비디오 테이프의 녹화 및 재생방법
KR0166240B1 (ko) 복합제품의 오디오 더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255B1 (ko) Vcr의 오기록 방지방법
KR0150946B1 (ko) 녹화편집시스템에 있어서 모드변환방지를 위한 로크방법
JPS5862881A (ja) 調理オ−ブン
KR1998001642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에서의 암호화 방법
KR19980075502A (ko) 브이씨알의 비디오 카세트 탭 유/무 표시방법
JP2001268492A (ja) 記録再生装置
JP200330346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4062931A (ja) 記録装置
JPH04241244A (ja) 時間予約記録機能付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