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4966B1 -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 Google Patents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4966B1
KR0154966B1 KR1019950034574A KR19950034574A KR0154966B1 KR 0154966 B1 KR0154966 B1 KR 0154966B1 KR 1019950034574 A KR1019950034574 A KR 1019950034574A KR 19950034574 A KR19950034574 A KR 19950034574A KR 0154966 B1 KR0154966 B1 KR 015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light
sensor array
optical fibe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1598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이정훈
정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훈, 정찬수 filed Critical 이정훈
Priority to KR1019950034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4966B1/ko
Publication of KR97002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49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발산하여 열쇠의 형태를 판독하므로 키홀더의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열쇠(5)가 삽입공(1')에 삽입되면 스위치(S/W)가 온되어 일측에 구비된 전구(8)에 전류가 도통되므로 빛을 발하게 하고, 타측에는 전구(8)의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7)(7')의 일단이 지정위치에 고정된 홀더(1)와; 광섬유(7)(7')의 타단이 고정되고 빛을 감지하는 센서인 포토다이오드(13)(13')를 가지는 광센서어레이(6)(6')가 구비되고 광센서어레이(6)(6')와 연결되어 지정된 논리값에 의하여 열쇠(5)에 삽입된 차단체(5)가 정위치인가를 판독하는 판독부(2)와; 상기 판독부(2)의 결과에 의하여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일 때에는 구동회로(9)를 통해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0)를 작동부(3)와; 상기 판독부(2)의 결과에 의하여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가 아닐때 경보기 구동회로(11)를 통해서 경보음이 스피커(12)에서 발생되는 음향발생부(4)로 이루어져 열쇠에 입력된 고유번호를 광섬유를 통해서 센서인 포토다이오드가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빛을 판독부에서 순차적으로 판독하도록 하여 열쇠에 입력된 고유번호가 동일하면 솔레노이드가 해정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경고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홀더를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해정할 수 없도록 하여 분실 및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제1도는 본 발명 자물쇠 구성을 나타낸 배치도.
제2도는 본 발명 자물쇠의 판독부를 나타낸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키홀더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쇠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의 키홀더를 나타낸 정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부분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판독부를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홀더 1' : 삽입공
2 : 판독부 3 : 작동부
4 : 음향발생부 5 : 열쇠
5' : 본체 6,6' : 광센서어레이
7,7' : 광섬유 8 : 발광체
9,11 : 구동회로 10 : 솔레노이드
12 : 스피커 13,13' : 포토다이오드
14 : 엔드게이트 15,15' : 낸드게이트
16 : 구역 17 : 지정위치
18 : 근접위치
본 발명은 빛을 발산하여 열쇠의 형태를 판독하므로 키홀더의 해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홀더의 일측에 광원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빛을 전달하는 광섬유를 구비하여 광섬유가 빛을 수임하는 부분의 위치를 판독하여 홀더의 해정여부를 결정하므로서 타인에 의한 열쇠복사 및 자물쇠 해정을 방지하도록 한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중한 물건을 보관하는 금고나 일반가정의 출입문 및 자동차와 같이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고유의 형상이 표현된 열쇠와 열쇠에 표현된 고유의 형상에 의하여 해정되는 자물쇠를 사용하여 왔던바, 이러한 열쇠와 자물쇠는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물쇠를 해정하는 열쇠 고유의 형상이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열쇠의 모방이 용이하고 열쇠를 모방하지 않드라도 가느다란 철사를 자물쇠의 열쇠 삽입구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자물쇠가 해정되므로 자물쇠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열쇠를 이용하지 않고 자물쇠에 전자식 또는 기계식으로 고유의 숫자를 부여한 후 고유의 숫자에 의하여 자물쇠가 해정되도록 한 자물쇠와 열쇠에 마그네트를 내장하여 그 마그네트에 의하여 자물쇠가 해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안출된바 있으나, 상기 전자의 경우에는 열쇠를 일일이 소지하고 다니지 아니하여도 자물쇠를 용이하게 해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자물쇠가 숫자의 조합(보통 네자리 수)으로 이루어지고 자물쇠에 표현된 숫자가 눈으로 식별이 가능하므로 숫자를 여러번 반복적으로 조합하게되면 자물쇠를 해정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자물쇠는 자물쇠마다 고유의 숫자가 부여되므로 그 고유의 숫자를 암기하고 다녀야 하므로 사용자가 잠기 기억하지 못할때에는 불편한 폐단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와 같이 마그네트를 이용한 방법은 자물쇠에서 열쇠의 마그네트를 판독하는 부분에 일반 자석으로 문질르게 되면 자물쇠에서 열쇠의 마그네트를 판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종래의 열쇠 및 홀더는 사용자가 열쇠를 분실하면 홀더를 교체하여 새로운 열쇠를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은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된 빛의 투과 및 차단에 의하여 작동되는 열쇠에 한벌로서 사용하기 위한 자물쇠를 제공하므로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열쇠나 자물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열쇠가 키홀더에 삽입되면 스위치가 온되어 전구에서 빛이 발산되어 투명체로된 열쇠를 투과하고 광섬유를 거쳐 판독부에서 판독하여 키홀더를 잠그고 있는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자물쇠를 해정시키거나 잠긴 상태에서 경보음을 스피커에서 발하도록 한 것으로서, 차단체에 의하여 형성된 숫자나 형상의 고유번호를 갖는 열쇠가 자물쇠와 일치하지 않으면 해정이 이루어 지지않아 사용자 이외에는 타인이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금고에 넣어둔 귀중품이나 타인의 집안 침입 및 자동차의 도난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적 구성을 나타낸 배치도로서, 일측에는 열쇠(5)가 삽입공(1')에 삽입됨에 따라 스위치(S/W)가 온되어 전류의 도통에 의해 빛을 발하는 전구(8)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전구나 레이저와 같은 발광체(8)의 빛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광섬유(7)(7')의 일단이 지정위치(17)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1)와; 상기 광섬유(7)(7')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빛을 감지하는 센서인 포토다이오드(13)(13')를 가지는 광센서어레이(6)(6')와 연결되고 지정된 논리값에 의하여 열쇠(5)에 삽입된 차단체(5)가 정위치인가를 판독하는 판독부(2)와; 상기 판독부(2)의 판독 결과에 의하여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일 때에는 구동회로(9)를 통해서 자물쇠가 해정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0)를 가진 작동부(3)와; 상기 판독부(2)의 판독 결과에 의하여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가 아닐 때는 경보기 구동회로(11)를 통해서 자물쇠가 잠긴 상태로 경보음을 스피커(12)에서 발생하는 음향발생부(4)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열쇠(5)에 삽입된 차단체(5)가 정위치인가를 판독하는 판독부(2)의 구성회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어레이(6')에서 수신된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13')가 낸드게이크(NAND gate)(15)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낸드게이트(15)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광센서어레이(6)에서 수신된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13)가 접속된 앤드게이트(AND gate)(14)의 입력단에 접속되며 앤드게이트(14)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광센서어레이(6)의 다른 포토다이오드(13)가 접속된 앤드게이트(14)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상태로 광센서어레이(6)의 포토다이오드(13)의 수와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끝단의 앤드게이트(14)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작동부(3)의 구동회로(9') 입력단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홀더(1)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열쇠(5)가 삽입되는 삽입공(1')의 일측면은 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5도에 도시된 열쇠(5)의 본체(5')에 형성된 구역(16)과 동일한 숫자나 형상으로 구성되어 열쇠의 숫자나 형상과 같이 차단체(5)를 가지지 않는 지정위치(17)와 그 근접위치(18)에 광섬유(7)(7')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의 타단은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되고 상기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의 타단은 다른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몸체(5')에 차단체(5)가 삽입되어 사용자가 지정한 고유 숫자나 형상(이하 고유번호라고함)을 갖는 열쇠(5)를 홀더(1)의 삽입공(1')에 삽입하면 홀더(1)에 구비된 스위치(S/W)가 접점되어 홀더(1)의 일측에 구비된 전구(8)가 빛을 발하게 되고 전구(8)에서 발하는 빛이 투명체로된 열쇠(5)를 투과한 다음 홀더(1)의 타측에 구비된 광섬유(7)(7')에 수임되면 광섬유(7)(7')는 이를 광섬유어레이(6)(6')에 전달하여 광센서어레이(6)(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13')가 빛을 감지하여 판독부(2)에 구비된 논리회로에 의하여 열쇠(5)에 지정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독한 다음 열쇠(5)에 지정된 고유숫자나 형상과 일치하면 작동부(3)의 구동회로에 의하여 자물쇠가 해정되도록 솔레노이드(10)를 작동시키게 하며, 열쇠(5)에 지정된 고유번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자물쇠가 잠긴채로 음향발생부(4)에서 스피커(12)를 통해서 경고음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판독부(2)에서 열쇠(5)에 지정된 고유번호를 판독하는 것은 광센서어레이(6)(6')에 고정된 광섬유(7)(7')들을 통해서 빛이 수임되면 광센서어레이(6)(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13')가 감지하여 논리회로인 낸드게이트(15)와 앤즈게이트(14)에 의하여 판독하는바, 이를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열쇠(5)에 고유번호로 지정되어 차단체(5)를 가지지 않은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에는 빛이 수임되고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에는 빛이 수임되지 않을 때에는 광섬유(7')에 빛이 수임되지 않은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가 빛을 감지하지 않아 논리기호 '0'을 낸드게이트(15)에 입력시키므로 낸드게이트(15)는 전원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1'과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0'이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되는 논리기호는 '1'이 출력되어 앤드게이트(14)에 입력하게 되고, 빛을 수임하는 광섬유(7)가 고정된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는 빛을 감지하여 앤드게이트(14)에 논리기호 '1'을 입력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14)는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된 논리기호와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가 '1'인 상태로 입력되므로 다음의 앤드게이트(14)와 음향발생부(4)를 작동하는 낸드게이트(15')로 출력시의 논리기호는 '1'이 출력이되며 순차적으로 다음의 포토다이오드(13)가 감지되는 빛에 의하여 낸드게이트(15')에는 논리기호 '1'이 입력되며 작동부(3)의 구동회로(9)에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의 출력시 논리기호가 '0'이 되어 음향발생부(4)가 작동되지 않게 되고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는 작동하여 홀더(1)의 해정이 이루어진다.
[실시예 2]
열쇠(5)에 고유번호로 지정되어 차단체(5)를 가지지 않은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중의 어떤 하나가 빛을 수임하지 않고 다른 모든것은 빛을 수임하며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에는 빛이 수임되지 않을 때에는 상기와 같이 광섬유(7')에 빛이 수임되지 않은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가 빛을 감지하지 않아 논리기호 '0'을 낸드게이트(15)에 입력시키므로 낸드게이트(15)는 전원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1'과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0'이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되는 논리기호는 '1'이 출력되어 앤드게이트(14)에 입력하게 되고, 빛을 수임하는 광섬유(7)가 고정된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는 빛을 감지하여 앤드게이트(14)에 논리기호 '1'을 입력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14)는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된 논리기호와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가 '1'인 상태로 입력되므로 다음의 앤드게이트(14)와 음향발생부(4)를 작동하는 낸드게이트(15')로 출력시의 논리기호는 '1'이 출력이 되며 순차적으로 다음의 포토다이오드(13)가 감지되는 빛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낸드게이트(15')에는 논리기호 '1'을 입력하되 빛을 수임하지 않는 어느 하나의 광섬유(7)의 위치에 있는 포토다이오드(13)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앤드게이트(14)에 입력되는 논리기호 '0'이 입력되어 앤드게이트(14)에 논리기호 '0'이 출력되고 다음의 앤드게이트(14)에도 논리기호 '0'이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에는 논리기호는 '0'이 입력되어 낸드게이트(15')의 출력시 논리기호가 '1'이 되어 음향발생부(4)가 작동하여 스피커(12)에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고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는 작동하지 않아 홀더(1)의 해정이 이루어 지지않게 된다.
[실시예 3]
열쇠(5)에 고유번호로 지정되어 차단체(5)를 가지지 않은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와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에 빛이 수임되면 근접위치(18)의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가 빛을 감지하여 논리기호 '1'을 낸드게이트(15)에 입력시키므로 낸드게이트(15)는 전원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1'과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 '1'이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되는 논리기호는 '0'이 출력되어 앤드게이트(14)에 입력하게 되고, 빛을 수임하는 광섬유(7)가 고정된 광센서어레이(6)에 구비된 포토다이오드(13)는 빛을 감지하여 앤드게이트(14)에 논리기호 '1'을 입력하게 되므로 앤드게이트(14)는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된 논리기호와 포토다이오드(13)에서 입력되는 논리기호가 '0'과 '1'인 상태로 입력되므로 다음의 앤드게이트(14)와 음향발생부(4)를 작동하는 낸드게이트(15')로 출력시의 논리기호는 '0'이 출력 되며 순차적으로 다음의 포토다이오드(13)가 감지되는 빛에 의하여 낸드게이트(15')의 출력시 논리기호가 '0'이 출력되며 순차적으로 다음의 포토다이오드(13)가 감지되는 빛에 의하여 낸드게이트(15')에는 논리기호 '0'이 입력되며 작동부(3)의 구동회로(9)에 입력되므로 낸드게이트(15')의 출력시 논리기호가 '1'이 되어 음향발생부(4)가 작동하여 스피커(12)에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고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는 작동하지 않아 홀더(1)의 해정이 이루어 지지않게 된다.
[실시예 4]
열쇠(5)에 고유번호로 지정되어 차단체(5)를 가지지 않은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가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에 빛이 수임되지 않으면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다이오드(13')가 빛을 감지하지 않아 논리기호 '0'을 낸드게이트(15)에 입력시키므로 낸드게이트(15)에서 출력되는 논리기호는 '0'이 출력되어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이 음향발생부(4)가 작동하여 스피커(12)에서 경고음을 발생하게 되고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는 작동하지 않아 홀더(1)의 해정이 이루어 지지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6도 내지 제8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홀더(1)의 타측에 고정되는 광섬유(7)의 고정위치를 변경시켜서 열쇠(5)의 본체(5')에 고유숫자로 지정하지 않고 본체(5')의 주변에 형상모양을 가지도록 한 열쇠를 판독할 수 있도록 홀더(1)의 타측면 주변으로 동일크기를 가지는 다수의 구역(16)을 형성하고 상기 구역(16)을 다시 소구역(16')으로 분리하여 열쇠(5)의 형상을 이루는 지정위치(17')와 근접위치(18')에 광섬유(7)(7')의 일단을 고정하여 지정위치(17')에 고정된 타단은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하고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의 타단은 다른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하여서 열쇠(5)의 형상을 판독부(2)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8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는 판독부(2)의 회로를 I.C화 시켜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비교하여 작동부(3) 및 음향발생부(4)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비교기(19)의 입력단은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설정 값이 입력되어 비교기(19)에서 비교된 후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 설정 값이 동일하면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를 작동시키고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 설정 값이 서로 다르면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를 통해서 스피커(12)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열쇠에 입력된 고유번호를 광섬유를 통해서 센서인 포토다이오드가 감지하도록 하고 감지된 빛을 판독부에서 순차적으로 판독하도록 하여 열쇠에 입력된 고유번호가 동일하면 솔레노이드가 해정할 수 있도록 하고 동일하지 않으면 경고음이 발생하게 하므로 홀더를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임의로 해정할 수 없어서 분실 및 무단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일측에는 열쇠(5)가 삽입공(1')에 삽입됨에 따라 스위치(S/W)가 온되어 전류의 도통에 의해 빛을 발하는 전구나 레이저와 같은 발광체(8)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발광체(8)의 빛을 전달하는 다수개의 광섬유(7)(7')의 일단이 지정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홀더(1)와; 상기 광섬유(7)(7')의 타단이 고정되면서 빛을 감지하는 센서인 포토다이오드(13)(13')를 가지는 광센서어레이(6)(6')와 연결되고 지정된 논리값에 의하여 열쇠(5)에 삽입된 차단체(5)가 정위치인가를 판독하는 판독부(2)와; 상기 판독부(2)의 판독 결과에 의하여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일 때에는 구동회로(9)를 통해서 자물쇠가 해정되도록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0)를 가진 작동부3와; 열쇠(5)의 차단체(5)의 위치가 정위치가 아닐때는 경보기 구동회로(11)를 통해서 자물쇠가 잠긴 상태로 경보음을 스피커(12)를 통하여 발생하는 음향발생부(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2. 제1항에 있어서, 홀더(10)의 열쇠(5)가 삽입되는 삽입공(1')의 일측면은 투명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타측면은 열쇠(5)의 본체(5')에 형성된 구역(16)의 것과 동일한 숫자나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3. 제1항에 있어서, 광섬유(7)(7')의 일단은 열쇠(1)의 숫자나 형상과 같이 차단체(5)를 가지지 않는 지정위치(17)와 그 근접위치(18)에 고정되고 상기 지정위치(17)에 고정된 광섬유(7)의 타단은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되고 상기 근접위치(18)에 고정된 광섬유(7')의 타단은 다른 광센서어레이(6')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4. 제1항에 있어서, 판독부(2)의 구성회로는 광센서어레이(6')에서 수신된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13')가 낸드게이트(15)의 입력단에 접속되고 낸드게이트(15)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광센서어레이(6)에서 수신된 빛을 감지하는 포토다이오드(13)가 접속된 앤드게이트(14)의 압력단에 접속되며 앤드게이트(14)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광센서어레이(6)의 다른 포토다이오드(13)가 접속된 앤드게이트(14)의 입력단에 접속되는 상태로 광센서어레이(6)의 포토다이오드(13)의 수와 동일하게 순차적으로 연결되며 끝단의 앤드게이트(14)의 출력단은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인 낸드게이트(15)와 작동부(3)의 구동회로(9') 입력단에 접속되어 솔레노이드(10)가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5. 제1항에 있어서, 판독부(2)의 회로를 I,C화시켜, 비교기(19)의 입력단에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 설정값이 입력되어 비교기(19)에서 비교된 후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 설정값이 동일하면 작동부(3)의 솔레노이드(10)를 작동시키고 센서어레이(6)에서 입력된 값과 딥스위치(20)에 입력된 Id 설정값이 서로 다르면 음향발생부(4)의 경보기 구동회로(11)를 통해서 스피커(12)에서 경고음이 발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KR1019950034574A 1995-10-09 1995-10-09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KR015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574A KR0154966B1 (ko) 1995-10-09 1995-10-09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574A KR0154966B1 (ko) 1995-10-09 1995-10-09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98A KR970021598A (ko) 1997-05-28
KR0154966B1 true KR0154966B1 (ko) 1998-12-15

Family

ID=19429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574A KR0154966B1 (ko) 1995-10-09 1995-10-09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4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39449B1 (en) * 2000-07-25 2005-01-04 The Hillman Group, Inc. Key identification system
KR100413090B1 (ko) * 2001-07-28 2003-12-31 주식회사 뉴웰 순차적 형상인식을 이용한 보안키
KR100413098B1 (ko) * 2001-07-28 2003-12-31 주식회사 뉴웰 형상인식을 이용한 보안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1598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5532B2 (ja)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センサ・システム
CA1337610C (en) Optical theft deterrent system
US5543665A (en) Optical key and lock code authentication
US4292541A (en) Safeguard or lock device
US20060226953A1 (en) Passive entry sensor system
US4686912A (en) Electrically controlled locking apparatus and safe utilizing same
US5079411A (en) Electronic lock and key mechanism
US5774060A (en) Motor-vehicle central lock system with transponder in key
KR0154966B1 (ko) 광원을 이용한 자물쇠
KR0150840B1 (ko) 빛의 투과 및 차단에 의해 작동되는 열쇠
CA1057377A (en) Lock opening system activated by light matching code
EP1272721B1 (en) Security system
JP2902632B1 (ja) 鍵と錠とのロック設定装置及び鍵と錠とのロック設定方法
KR100332264B1 (ko) 광학식 잠금장치
JPS5814545B2 (ja) 金庫用電子符号錠
JPS62174478A (ja) 車両用電子キ−システム
KR200171564Y1 (ko) 광학식 잠금장치
JP2520719B2 (ja) 光学式操作制御装置
JPH0587416B2 (ko)
CA1109135A (en) Optical key reader for door locks
JPH05272262A (ja) ピッキング防止錠
KR19980045758A (ko) 광센서를 이용한 로킹장치
JPS62268482A (ja) 錠開閉装置
KR920700341A (ko) 열쇠 또는 카드를 이용하는 안전장치
JPH032479A (ja) 操作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