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77B1 -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77B1
KR0153377B1 KR1019950021322A KR19950021322A KR0153377B1 KR 0153377 B1 KR0153377 B1 KR 0153377B1 KR 1019950021322 A KR1019950021322 A KR 1019950021322A KR 19950021322 A KR19950021322 A KR 19950021322A KR 0153377 B1 KR0153377 B1 KR 015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a
developing
developer
toner
mai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1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533A (ko
Inventor
임영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21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77B1/ko
Publication of KR970007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supplying means, e.g. structure of developer supply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the developer handling means after the developing zone and before the supply, e.g. developer recovering 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방식을 이용한 제품(COPIER, LASER BEAM PRINTER, LED PRINTER 및 PLANE PAPER FACIMILE 등) 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DEBELOPING UNIT)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2성분법의 장점인 토나대전 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성을 유지하면서 1성분법의 장점인 구조의 단순성 및 토나유무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생산비용의 절감 및 고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현상장치본체의 일측에 별도의 현상제 용기를 설치하고 본체의 하측에 착탈가능하고 감지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는 토나유무 감지기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본체와 감광드럼사이에 장착하여 현상제 농도영역의 토나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2성분현상방식의 장점인 토나의 대전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존의 센서를 이용한 농도감지기를 대체하여 자성의 원리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의 토나유무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1성분 현상법의 장점인 구조의 단순성을 해결하여 생산비용의 절감 및 고기능성의 효과를 달성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구성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현상장치의 토너유무 감지기의 착탈상태를 나타낸 구성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토너유무 감지기 32 : 마그네트
42 : 현상장치본체 43 : 현상제 반송부재
45 : 현상제 반송로울러 46 : 토너공급로울러
47 : 현상제 층 규제부제 51 : 현상제 용기
52 : 현상제 53 : 실부재
61 : 토나
본 발명은 전자사진 기록방식을 이용한 제품(COPIER, LASER BEAM PRINTER, LED PRINTER 및 PLANE PAPER FACIMILE 등) 에서 화상을 형성하는 현상장치(DEBELOPING UNIT)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로 건식현상방식이 주류를 이루는 전자사진 프로세서에서의 현상장치는 감광드럼의 표면에 상을 형성하여주는 장치로서, 화질형성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현상장치로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치가 사용되었다.
동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현상장치(1)의 일측에 토너적재부(11)을 구비하고 타측에는 현상로울러(2)의 샤프트(3)가 하우징 프레임(10) 양단에 베어링에 지지되게 설치하며 상측에 규제블레이드(4)를 설치하고 상기 토너적재부(11)와 현상로울러(2) 사이에는 토너 이송과 교반을 위한 교반기(12)를 토너센터가 설치된 하우징 프레임(10)에 설치하여 상기 현상로울러(2)는 감광드럼(13)으로 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지고, 직전에 현상제 농도감지기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현상장치(1)는 토너적재부(11)에 적재된 토너가 공급되어지며 교반기(12)에 의해 교반되어져 마찰에 의한 정전기를 발생하게 되어 일정전하를 띠게 된다.
상기 과정에 의해 대전된 토너는 교반기(12)에 의해 하우징 프레임(10)의 통공(14)을 통하여 표면에 붙어 감광드럼(13)측으로 이송되어지는데 이때 현상로울러(2)의 표면이 토너가 감광드럼(13)과 접촉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하여 현상로울러(2) 상측에 설치된 규제블레이드(4)가 토너의 높이를 규제하게 되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작용을 하는 블레이드(4)는 현상로울러(2) 상측이 중심선 상에 접선에 수직으로 유지하면서 평행하게 하우징 프레임(10)에 고정스크류(19)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정간격을 유지한 채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규제 블레이드(4)는 각형으로 만들어져 회전하는 마그롤러와 슬리브를 이룬 현상로울러(2)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같은 상태에서 감광드럼(13)상에는 대전기(15)로 부터 대전된 상태에서 노광부(16)를 통해 감광드럼(13)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점정 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회전되는 현상로울러(2) 상측의 블레이드(4)에 의해 토너의 높이가 규제된 상태에서 토너가 감광드럼(13)의 점정 잠상에 현상하게 되며 급지되는 용지에 전산부(17)의 고압을 통해 토너가 전사되고 전사된 용지가 정착기를 통하여 인쇄된 용지가 배출되고 감광드럼(13)상의 잔류토너는 청소기(18)에 의해 제거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현상장치에서, 주로 사용하는 토나는 입경10㎛의 착색된 수지분말이며 그것을 100㎛의 페라이트(ferrite) 또는 아이론 캐리어(iron carrier)와 혼합시킨 2성분 현상법과 현상제로서 자성체 또는 비자성체 토나를 사용하는 1성분 현상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2성분 현상법 현상장치는 토나충진영역과 현상제 충진영역을 분리구분 되어야 했으며 따라서 씰링(sealing)이 어려웠고 또한 현상제 충진영역 즉 현상제 반송로울러의 외주부근에 토나농도조절 감지기(압전센서)를 부착하여 토나의 일정한 농도를 유지해야 함으로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했고, 또한 1성분 현상법 현상장치에서는 토나만을 사용함으로서 농도 조절 감지기 대신 토나유무만을 감지하는 토나유무감지기가 교반기에 대응되는 하우징 프레임상에 장착되어 구조가 단순해지는 구조적 잇점이 있으나 마찰대전제로 캐리어가 없어 토나대전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2성분법 현상장치에서는 토나대전 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측면에서 유리하나 구조적인 면에서 복잡하고, 1성분 현상법에서는 농도조절 및 캐리어가 필요없어 구조적으로 단순해지나 토나대전 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성을 유지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2성분법의 장점인 토나대전 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성을 유지하면서 1성분법의 장점인 구조의 단순성 및 토나유무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생산비용의 절감 및 고기능을 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나를 교반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교반기가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프레임의 일측에 토나를 이송하도록 토나공급로울러가 설치되고 상기 토나공급 로울러의 일측에 현상제 반송로울러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제 반송로울러의 부근에 현상제 농도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반송로울러의 일측에 현상제 층을 규제하여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규제블레이드와 표면에 점정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하우징 프레임과 감광드럼 사이에 하부개구를 실부재로 밀폐한 별도의 현상제 용기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실부재는 현상제용기의 하부개구 및 현상제반송로울러의 하부에 부착하여 상방향으로 일정힘으로 잡아당길 때 분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한다.
더욱이,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장치 본체의 하측에 상부는 마그네틱 재질이고 그위 하부는 기판의 단자와 접속가능하게 전도성의 재질로 구성된 토너유무 감지기가 감지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하고, 상기 토너유무 감지기가 토너가 비워졌을시 양단자와 이중으로 접속가능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토나유무감지기의 착탈상태를 나타낸 구성상태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여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현상장치는 본체(42)와 현상장치 상부(42a)프레임으로 조립되어지는 바, 상기 현상장치 본체(42)의 내부는 토나를 교반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교반기(43)가 구비되고 그의 일단에는 현상기본체(42)와의 밀착을 위해 플렉시블(43a)이 부착되고 상기 교반된 토나(61)는 전하를 띠게되고 따라서 본체(42) 일측에 개방된 통로를 통하여 토너공급 로울러(46)의 외주표면에 부착되어 이송되어 진다.
또한, 현상장치본체(42)의 일측과 감광드럼(44)사이에 현상제용기(51)가 장착되고 이는 현상제를 기충진한 후 부착되는 구조로 하여 추가적인 현상제(52)공급이 용이하도록 하며, 그의 하부개구 및 현상제 반송로울러(43)의 하부에 실부재(53)를 설치하여 운송중의 토나 및 현상제의 누출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실부재를 상방향(A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실부재(53)가 현상장치(41)에서 제거되어 현상제가 현상제 반송로울러(43)의 상에 먼저 부착되고 감광드럼(44)과 현상제 반송로울러(43)와의 기어링에 의해 동력전달을 받은 토나공급로울러(46)가 회전되며 토나공급이 시작되게 한다. 따라서 현상장치상부(42a)에 설치된 용지가이드 부재(49)에 의해 기록지를 감광드럼(44)으로 이송시킴으로 정전장상을 기록지로 전사시킨다.
상기 토나공급 로울러(46)의 주변에는 현상제 농도영역(45)이 형성되어지는데, 입경 9㎛의 토나와 입경 45㎛의 캐리어를 토나와 캐리어의 총합중량비 대비 토나중량이 25% 내지 35%가 되도록 유지시키고, 상기한 바와 같이 토나공급 로울러(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토나를 공급하여 상호 마찰대전시켜 이어서 현상제 반송로울러(43)에 부착시킨 후, 200 내지 300㎛의 간극을 가진 현상제 층 규제부재(47)로 토나(61)의 일정층두께와 추가마찰대전을 시키고 현상제 반송로울러(43)와 400㎛의 갭을 가진 정전장상이 형성된 감광드럼(44)의 위로 현상시킨다.
이때, 현상장치본체(42)의 현상제 농도영역(45)의 토나농도는 토나중량/현상제 중량 ×100%으로 표시되며 이를 밀도환산하면 필요체적이 환산된다.
상기 현상제농도영역(45)에는 캐리어가 항상 유지되며 현상에 의해 소모되어진 토나만을 추가공급에 기 설정된 체적의 크기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토나량은 일정하게 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었듯이, 현상장치본체(42)의 하부에 상부는 마그네트(32)이 설치되고 일체로 그의 하부는 기판(35)의 단자(34)와 접속가능하게 전도성의 재질로 구성된 토나유무감지기(31)가 장착된다.
상기 토나유무감지기(31)는 감지기가이드(36)에 의해 안내되어 착탈가능한 구조이고, 미연에 접속불량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판(35)의 양단자(34)와 이중으로 접속가능하도록 그의 하부가 양방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현상장치(41)내의 토나가 일정수준이하로 떨어지면, 토나(61)와 토나유무감지기(31)의 마그네트와의 자력에 의한 흡입력이 떨어져 토나유무감지기(31)의 자중에 의해 중력방향으로 감지기가이드(36)를 따라 이동하며 감지기접점(33)과 시스템접점(34 : 단자)과의 접촉에 의해 토나량이 없거나 현상장치의 교환이 필요하다는 신호를 표시창에 표시하여 작동자에게 알린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현상제용기를 본체와 감광드럼사이에 장착하여 현상제 농도영역의 토나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2성분 현상방식의 장점인 토나의 대전안정성 및 고밀도 현상을 유지하는 동시에 기존의 센서를 이용한 농도감지기를 대체하여 자성의 원리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의 토나유무 감지기를 사용함으로서 1성분 현상법의 장점인 구조의 단순성을 해결하여 생산비용의 절감 및 고기능성의 효과를 달성한다.

Claims (5)

  1.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토나(61)를 교반하기 위하여 회전하는 교반기(43)가 내부에 설치된 현상장치본체(42)의 일측에 토나를 이송하도록 토나공급로울러(46)가 설치되고, 상기 토나공급 로울러(46)의 일측에 현상제 반송로울러(43)가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현상제 반송로울러(43)의 부근에 현상제 농도영역(45)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제 반송로울러(43)의 일측에 현상제 층을 규제하여 일정한 갭을 유지하는 규제블레이드(47)와 표면에 점정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44)이 설치되고, 상기 현상장치본체(42)과 감광드럼(44) 사이에 하부개구를 실부재(53)로 밀폐한 별도의 현상제 용기(51)가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부재(53)는 현상제용기(51)의 하부개구 및 현상제반송로울러(43)의 하부에 부착하여 상방향으로 일정힘으로 잡아당길 때 분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농도영역(45)은 캐리어 총합중량비대 토나총합중량비가 25% 내지 35% 사이에서 유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4.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에 있어서, 현상장치 본체(42)의 하측에 상부는 마그네틱(32) 재질이고 그의 하부는 기판(35)의 단자(34)와 접속가능하게 전도성의 재질로 구성된 토너유무감지기(31)가 감지기 가이드(36)에 의해 안내되어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토너유무 감지기(31)가 토너(61)가 비워졌을시 양단자(34)와 이중으로 접속가능한 구조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KR1019950021322A 1995-07-20 1995-07-20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KR015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322A KR0153377B1 (ko) 1995-07-20 1995-07-20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1322A KR0153377B1 (ko) 1995-07-20 1995-07-20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33A KR970007533A (ko) 1997-02-21
KR0153377B1 true KR0153377B1 (ko) 1998-12-15

Family

ID=19420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1322A KR0153377B1 (ko) 1995-07-20 1995-07-20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533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6800B2 (en) Developer supply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the container thereon
GB2139921A (en) Image development apparatus
JP2003122118A (ja) 画像形成装置
JPS62293267A (ja) 現像装置
US5666618A (en) Developing device with agitation member and elastic member
KR0153377B1 (ko) 전자사진 형상방식을 이용한 기기의 현상장치
JP357673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1145362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4867100A (en) Developing apparatus
US5755358A (en) Toner level detection system
JP2843643B2 (ja) 現像装置
JP2018036538A (ja) 現像装置
JP3565540B2 (ja) 画像形成装置
JP3674281B2 (ja) 現像装置
JPH0618373Y2 (ja) 現像装置
JPH0633486Y2 (ja) 現像装置
JP3024811B2 (ja) 現像装置
JPS62280879A (ja) 現像装置
KR100193866B1 (ko)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현상장치
JPH09281787A (ja) 粉体残量検出機構及び現像剤残量検出機構
KR0174682B1 (ko) 현상기 내의 토너 공급장치
JPH1031969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14890A (ja) 現像装置
JP2003287950A (ja)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H1134485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