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71B1 -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71B1
KR0153371B1 KR1019950046124A KR19950046124A KR0153371B1 KR 0153371 B1 KR0153371 B1 KR 0153371B1 KR 1019950046124 A KR1019950046124 A KR 1019950046124A KR 19950046124 A KR19950046124 A KR 19950046124A KR 0153371 B1 KR0153371 B1 KR 0153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ing composition
temporary hair
polyquaternium
weight
hair col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812A (ko
Inventor
차진기
신성연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능희, 주식회사태평양 filed Critical 이능희
Priority to KR101995004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71B1/ko
Publication of KR97003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61K8/893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modified by an alkoxy or aryloxy group, e.g. behenoxy dimethicone or stearoxy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색운모를 착색제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점토류와 베헤녹시디메치콘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와 혼용함으로써,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며, 보관중 용기내에서의 내용물의 케이킹 현상이 감소하여 일정시간 정치후의 재분산성이 양호하며, 모발의 윤기와 유연성을 양호하게하는 모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본 발명은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색운모를 착색제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무기 점토류와 베헤녹시 디메치콘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과의 혼합물을,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와 혼용함으로써,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며, 보관중 용기내에서의 내용물의 케이킹 현상이 감소하여 일정시간 정치후의 재분산성이 양호하며, 모발의 윤기와 유연성을 양호하게하는 모발 착색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 착색 제제로는 일반적으로 모발에 착색된 색의 지속성에 따라 영구적, 반영구적, 일시적 착색 제제로 구분된다. 그 중 일시적 착색 제제는 모발 전체 또는 일부를 특정 색상으로 착색하여 외양을 변화시키는 미용 수단으로서 1회의 세발에 의해 원 모발의 색으로 되돌아 가능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용도의 일시적 착색 제제는 운모, 산화티탄으로 처리된 운모(이하, 유색운모라 한다), 산화티탄 등과 같은 무기 혹은 유기 안료에 음이온성 또는 양쪽성 고분자 결합제를 혼합하여 함유하며, 그외 에탄올등의 용제와 액화 석유가스등의 분사제로 구성되어 모발의 정돈과 동시에 착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일시적 모발 착색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유색운모를 실리콘오일과 혼합하여 함유하는 모발 착색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리콘 오일만으로는 안료의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낮아 손이나 옷 등에 쉽게 묻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사용되는 유색운모등의 안료는 비중이 높기 때문에 분사용기내에서 쉽게 케이크를 형성하게 되며, 따라서 교반 보올(ball)을 넣어 사용하더라도 안료 성분을 재분산시키기 위해서는 수십회 이상 반복하여 흔들어야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 결합제, 착색제 및 용제와 혼합하여 브러쉬등에 위해 모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일시적 착색제로도 이용될 수 있으나, 이들 제품도 에어로졸 착색제와 동일한 정도의 문제점을 갖고 있으며, 건조후 모발에 충분한 컨디셔닝 효과를 부여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모발에 대한 부착력이 개선되고, 보관중 용기내의 케이크 현상이 없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유색운모등의 착색 안료를,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크등의 무기 점토류와 베헤녹시디메치콘 및 폴리쿼터늄등의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과의 혼합물과 혼용함으로써 물과 폴리올 등의 혼합 용매계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며, 따라서 목적하는 효과 및 모발에 대한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발에 대한 부착성이 우수하여 손이나 옷등에 묻어나는 일이 없으며, 내용물의 케이크 현상이 감소되어 재분산이 용이한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은,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를, 무기 점토류 0.05∼10중량부와, 베헤녹시디메치콘 0.05∼10중량부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 0.01∼1중량부와의 혼합물과 혼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유색운모를 베헤녹시디메치콘과 같은 고분자 결합제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과 혼용함으로써 모발에의 부착성을 향상시킬수 있으며, 따라서 손이나 의복에 묻어나는 일이 없고 모발 세팅효과 및 컨디셔닝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무기 점토류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 화합물과 혼용함으로써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와 용기내에서의 내용물의 케이킹을 억제할 수 있어 사용시 재분산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서,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의 용기내에서의 케이킹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무기 점토류의 구체적인 예로는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소디움마그네슘실리케이트, 천연 스멕타이트, 합성 스멕타이트, 세리사이트 등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효과를 위해 0.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서, 착색제로서의 육색운모의 모발에의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베헤녹시디메치콘은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이며, 목적하는 효과를 위해 0.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예로는, 시판품중에서 Goldschimidt사의 Abil Wax 2440(상품명)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서, 착색제의 모발에의 부착성 및 컨디셔닝 효과 상승을 위하여 베헤녹시디메치콘과 혼용되며, 분사용기내에서의 분산성 상승을 위하여 무기 점토류와 혼용되는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쿼터늄 -4, 포리쿼터늄 -6, 폴리쿼터늄 -7, 폴리쿼터늄 -10, 폴리쿼터늄 -11, 폴리쿼터늄 -16, 폴리쿼터늄 -22, 폴리쿼터늄 -24등을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하는 효과를 위해 0.01∼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0.5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 보다 상승된 효과를 위해서 무기 점토류에 대한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의 중량비(무기 점토류: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는 1:1 ∼ 10:1 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베헤녹시디메치콘에 대한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의 중량비(베헤녹시디메치콘: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는 중량비로 1:1 ∼ 10:1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색운모에 의한 모발의 착색 효과 이외에 정발과 바람직한 형태로의 세팅 효과를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레진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레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옥틸아크릴아미드/아크릴레이트/부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알콜/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비닐알콜/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콜, 비닐피롤리돈/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비닐아세테이트/크로톤산 공중합체를 포함하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레진은 목적하는 효과를 위해 통상적으로 0.1 ∼ 1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기 점토류, 베헤녹시디메치콘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을 바람직하게 균일 혼합된 전처리물로서 이용하기 위해서 폴리올과 용제를 함유한다. 폴리올은 2.5 ∼ 25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좋으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이소프렌글리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용제는 1 ∼ 10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좋으며, 사용가능한 용제로서는 에탄올, 이소프로탄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t-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서 내용물을 용기로부터 방출시키는 무스형태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티메틸에테르 및 석유액화가스를 추진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1 ∼ 20중량부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들 및 그외 다른 목적들, 특징, 측면 및 장점들은, 하기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고자 제시되는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비교예 1∼5]
표1과 같은 조성으로 분사제를 제외한 전 원료를 혼합, 용해하여 원액을 제조하고, 내압 유리용기에 넣어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여 모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원액 대 분사제의 비는 92:8).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5의 각 샘플 50㎖를 100㎖의 내압 유리병에 넣고, 15일간 실온(25℃)에서 방치한 후, 조성물의 외관을 관찰하고, 유색운모의 침강량을 측정한 후 재분산을 위하여 흔들어 주면서 균일한 분산을 위하여 필요한 진동횟수를 계수하였다. 또한 각 샘플의 내용물을 약 2g씩 분사시켜 사람의 검정색 모발 가발(약 80g의 양)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 모발을 약 30번 빗질하여 착색운모의 제거 상태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8, 비교예 6∼9]
표3과 같은 조성으로 분사제를 제외한 전 원료를 혼합, 용해하여 원액을 제조하고, 내압 유리용기에 넣어 액화석유가스를 충전하여 모발 착색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원액 대 분사제의 비는 92:8).
실시예 5∼8 및 비교예 6∼9의 각 샘플을 상기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하여 그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표2와 표4로 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색운모의 외견상의 침강량은 실시예 1∼8이 비교예 1∼9에 비해 훨씬 많아 침강이 덜 조밀하게 일어남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균일 분산을 위한 진동횟수도 훨씬 적어 바람직한 분산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무기 점토류, 베헤녹시디메치콘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을 혼용함으로써, 내용물의 용기내에서의 케이킹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며, 따라서 착색제의 재분산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8의 조성물은 비교예 1∼9에 비해 빗질에 의한 유색운모의 제거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 양호한 부착력을 제공하며, 모발의 윤기와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6)

  1.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에 있어서, 착색제로서의 유색운모를, 무기 점토류 0.05∼10중량부와, 베헤녹시디메치콘 0.05∼10중량부 및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 0.01∼1중량부와의 혼합물과 혼용하여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착색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점토류는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소디움마그네슘실리케이트, 천연 스멕타이트, 합성 스멕타이트 및 세리사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베헤녹시디메치콘은 그의 평균 분자량이 5,000∼500,000의 범위에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은 폴리쿼터늄 -4, 폴리쿼터늄 -6, 폴리쿼터늄 -7, 폴리쿼터늄 -10, 폴리쿼터늄 -11, 폴리쿼터늄 -16, 폴리쿼터늄 -22 및 폴리쿼터늄 -24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점토류에 대한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의 중량비 (무기 점토류: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는 1:1 ∼ 10:1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베헤녹시디메치콘에 대한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의 중량비(베헤녹시디메치콘 : 4급 양이온성 고분자화합물)는 중량비로 1:1 ∼ 10:1의 범위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KR1019950046124A 1995-12-01 1995-12-01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KR015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124A KR0153371B1 (ko) 1995-12-01 1995-12-01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124A KR0153371B1 (ko) 1995-12-01 1995-12-01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12A KR970032812A (ko) 1997-07-22
KR0153371B1 true KR0153371B1 (ko) 1998-11-16

Family

ID=19437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124A KR0153371B1 (ko) 1995-12-01 1995-12-01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100777948B1 (ko) * 2003-05-19 2007-11-2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A (ko) *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100777948B1 (ko) * 2003-05-19 2007-11-28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US7837742B2 (en) 2003-05-19 2010-1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mer and a colo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812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0155A (en) Two phase cosmetic composition
US5830440A (en) Aqueous aerosol hair spray
EP0431218B1 (en) Silicone hairspray compositions
US4205997A (en) Powdery pearlescent pigment compositions
US5458681A (en) Organosilicon-treated pigment,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cosmetic made therewith
DE69732464T2 (de) Äusserliches gelförmiges Hautpflegemittel
JPH01275518A (ja) 炭化水素耐性髪固定組成物
CA1109763A (en) Gel composition and nail enamel
JPH0745379B2 (ja) 化粧品組成物
US3609102A (en) Multicolored transparent polymer gel emollient bases, with oil-miscible dyes, for oil-soluble cosmetics, perfume and pharmaceuticals
JP2791093B2 (ja) 固形化粧料
WO1998050471A1 (en) Blended nacreous pigments, colorants and adjuvants
EP0445714A2 (en) Alginate hair setting compositions
KR100389665B1 (ko) 안료 함유 화장품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050037339A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0153371B1 (ko) 일시적 모발 착색 조성물
US4001392A (en) Hairdressings
JP2004269540A (ja) エアゾールヘアラッカー
US4197212A (en) Gelled nail polish remover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2561447B2 (ja) 化粧品もしくは医薬品用天然ポリマー組成物
EP0172713A2 (en) Process for applying reflective particles to hair
JP3950615B2 (ja) コポリマー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化粧料
JP2002513395A (ja) バック射出成形方法
AU707383B2 (en) Aqueous nail lacquer
JP3628770B2 (ja) 擬似増毛用スプレー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