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331B1 -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331B1
KR0153331B1 KR1019950034018A KR19950034018A KR0153331B1 KR 0153331 B1 KR0153331 B1 KR 0153331B1 KR 1019950034018 A KR1019950034018 A KR 1019950034018A KR 19950034018 A KR19950034018 A KR 19950034018A KR 0153331 B1 KR0153331 B1 KR 015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treatment
wastewater
weight
composition
treatm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0969A (ko
Inventor
정무웅
Original Assignee
정무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웅 filed Critical 정무웅
Priority to KR1019950034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331B1/ko
Publication of KR970020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0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3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금속이나 염료공장에서 배출되는 유색의 폐수를 효과적으로 탈색 및 응결시킬 수 잇는 새로운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르말린 50~60중량%와, DCDA 23~30중량%와, 염화암모늄 10~20중량%를 상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얻어지는 폐수처리제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제의 총중량의 0.5~4중량/5의 DETA 또는 TETA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본 발명은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염색 공장에서 배출되는 다량의 염료를 포함한 폐수나 종금속을 포함하는 유색의 폐수를 효과적으로 탈색 및 응결시킬 수 있는 새로운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색이나 염료공장, 피혁공장, 또는 도금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에는 각종 염료나 중금속에 의해 나타나는 색을 지니게 되어 이들 공장의 폐수의 색도를 소정치, 예를들면 색도 400 이하로 낮추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 이러한 폐수의 색도를 낮추기 위해 폐수에 투입하는 탈색 및 응결제로서, 포르말린과 DCDA(Dicyandia
mide) 및 염화암모늄을 중량비 약 2 : 1 : 0.6 의 비율로 혼합한 폐수처리제 조성물이 표준적인 탈색 및 응결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이들 성분들의 배합비율은 피처리폐수에 따라 10%의 범위 내에서 가감될 수 있다. 이러한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의 성분들을 소정비율로 혼합하여 30분정도 교반시키면 온도가 100℃ 이상으로 상승되고, 이 온도에서 2시간 내지 3시간 반응시킨 후, 냉각시키면 투명한 겔상태의 액상 조성물이 된다. 이를 폐수에 투입하면, 색소분자와 응결반응을 일으켜서 생성된 슬러지가 침전 또는 부유되고, 처리조에서 유출되는 방류수의 색도는 색소성분이 대부분 제거된 맑은 물이 된다.
그런데, 종래의 전술한 폐수처리제 조성물은 폐수의 응결반응속도 및 반응효율이 낮아서 일정량의 폐수처리에 투입되는 처리제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조성물의 매질을 이루는 포르말린 내에 분말상의 디시안디 아미드와 염화암모늄이 미세하고 충분하게 분산되지 않아서 소망하는 반응속도와 효율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폐수처리제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폐수처리제의 반응속도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찾아내기 위한 오랜 노력 끝에, 전술한 조성의 폐수처리제에 반응성이 풍부한 에틸렌아민, 구체적으로는 DETA(Diethylenetriamine) 또는 TETA(Triethylenetetramine)를 미량 첨가 함으로써 반응속도와 폐수처리효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처리제 조성물을 제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르말린 50~60중량%와, DCDA 23~30중량%와,염화암모늄 10~20중량% 상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얻어지는 폐수처리제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제의 총중량의 0.5~4중량%의 DETA 또는 TETA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DETA 또는 TETA를 전술한 포르말린, DCDA, 및 염화암모늄의 혼합교반에 의해 얻어지는 투명한 액상의 1차생성물에 추가로 투입하여 2시간 내지 3시간 교반하면 적황색의 색조를 띤 액상조성물이 된다. 이때, 첨가된 DETA 또는 TETA는 포르말린 매질 내에 분산되는 DCDA와 염화암모늄 입자를 더욱 미세하게 쪼개어서 매질 속에서 분산을 촉진시킴으로써 폐수에 함유된 염료분자와의 반응이 촉진되게 된다.
이하에서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색 및 응결제와 종래의 것과의 처리효과를 비교, 측정한 결과를 설명한다.
[실시예 1]
처리조 내에 염색공장에서 배출되는 색도 1000이상의 원폐수 1ton를 저류하고 이를 색도 10 이하로 낮추기 위해 필요한 처리제의 양을 측정하였다. 비교례로서, 포르말린 56중량%, DCDA 27중량%, 및 염화암모늄 17중량%의 처리제조성 물을 투입하여 탈색 및 응결처리한 것과,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것과 동일한 조성물에 1.5중량%의 DETA를 첨가한 처리제 조성물을 원폐수에 투입하여 각각의 경우에 투입된 처리제의 양을 비교하였다. 그결과 비교례의 경우에는 총중량 1.24kg을 투입하여 수분간 적절히 교반을 행할 때, 폐수가 색도 10 이하로 낮아지면서 탈색 및 응결처리되었으나,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조성물 총중량 0.65kg을 투입하여 수분간 교반을 행함으로써 폐수의 색도가 10이하로 떨어져서 맑은 물이 되었다. 따러서 본 발명에 따른 탈색 및 응결제는 종래의 것에 비해 대략 1/3의 투입량을 절감하면서 동등한 폐수처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서는 전술한 것과 동일한 조성에 더하여, 첨가제로서 DETA 대신에 TETA 1.2중량%를 첨가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색도 1000의 폐수 1ton을 색도 10 이하로 낮추는데 소요되는 폐수처리제의 투여량을 측정한 결과, 본실시예에 따른 조성물 총중량 0.62kg을 투입하여 수분간 교반함으로써 폐수의 색도가 10이하로 낮아지게 되었더. 이와같이, 첨가제로서 TETA를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실시예 1에 비해 다소 나은 처리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대체로 실시에 1과 동등하고, 종래의 것에 비하여는 현저히 개선된 폐수처리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포르말린, DCDA, 및 염화암모늄의 세가지 성분이 소정비율로 혼합된 폐수처리제 조성물에 미량의 DETA 또는 TETA를 첨가함으로써 이들을 첨가하지 않은 폐수처리제 조성물에 비해 훨씬 개선된 반응속도와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께 되고, 이에따라 처리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포르말린 50~60중량%와, DCDA 23~30중량%와, 염화암모늄 10~20중량%를 상온에서 혼합, 교반하여 얻어지는 폐수처리제에 있어서, 상기 폐수처리제의 총중량의 0.5~4중량%의 DETA 또는 TETA를 추가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KR1019950034018A 1995-10-05 1995-10-05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KR015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018A KR0153331B1 (ko) 1995-10-05 1995-10-05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4018A KR0153331B1 (ko) 1995-10-05 1995-10-05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69A KR970020969A (ko) 1997-05-28
KR0153331B1 true KR0153331B1 (ko) 1998-10-15

Family

ID=19429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018A KR0153331B1 (ko) 1995-10-05 1995-10-05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78B1 (ko) * 2007-06-02 2008-09-30 조동현 폐수 처리용 응결 및 탈색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178B1 (ko) * 2007-06-02 2008-09-30 조동현 폐수 처리용 응결 및 탈색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0969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2448220A1 (de) Wasserloesliches mischpolymeris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ausflockungsmittel
US3957904A (en) Polymeric flocculant composition
US4096061A (en) Recovery and reuse of paint solids from waste water
US4043904A (en) Waste water treatment method
KR900004701B1 (ko) 표면 개량 안료 조성물
KR0153331B1 (ko) 폐수처리용 탈색 및 응결제 조성물
US4125466A (en) Treatment of sludge comprising biological aggregate
US2393269A (en) Coagulant composition for removal of suspended or dissolved materials from liquids
DE2321509C3 (de) Koagulierungsmittel und Verfahren zur Klärung von gefärbten Abwässern
CN110282715A (zh) 一种聚季铵盐原位复合改性聚合硫酸铁的制备和应用
US1604125A (en) Process of clarifying water
JPH06165993A (ja) 染料及び染色工業廃水用脱色薬剤並びにその脱色方法
US3357979A (en) Process improvement for preparing cyanuric acid
CN106277477A (zh) 一种2,4‑二氨基苯磺酸及其盐生产过程中含酸废水的处理方法
CN105036209A (zh) 服装加工厂污水处理剂
JPH09271787A (ja) 染料含有水溶液の脱色方法
US2866759A (en) Composition for treating water
US3822205A (en) Method of clearing waste colored aqueous liquid
CN111592082A (zh) 一种水性漆漆雾凝聚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355380A (zh) 一种处理染料废水的絮凝剂及其制备方法
US3843643A (e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formaldehyde and phenol contained in waste waters
US4201668A (en) Treatment of sludge comprising biological aggregate
KR940018325A (ko) 탄닌산을 이용한 폐수처리제 제조방법
CN103483550A (zh) 一种聚环氧氯丙烷-乙二胺脱色剂的制备方法
JPS62294496A (ja) 活性汚泥法による排水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