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315B1 -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315B1
KR0152315B1 KR1019940022647A KR19940022647A KR0152315B1 KR 0152315 B1 KR0152315 B1 KR 0152315B1 KR 1019940022647 A KR1019940022647 A KR 1019940022647A KR 19940022647 A KR19940022647 A KR 19940022647A KR 0152315 B1 KR0152315 B1 KR 0152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inorganic
resin
producing
exce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735A (ko
Inventor
최수영
황찬승
서성원
Original Assignee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배, 동양나이론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영배
Priority to KR1019940022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2315B1/ko
Publication of KR96001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3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5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0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44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rcon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은, 구리, 주석, 비소 이온중 1성분을 함유하고 지르코늄과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무기 세라믹계 금속 이온 담지체를 합성수지에 첨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한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항균효과가 크고 열안정성 및 외관이 미려한 프라스틱병등을 제조가능하다.

Description

항균성 수지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미생물에 대하여 저항성을 지니는 합성 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 아마이드(나이론),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등의 플라스틱 소재에 무기 약제를 첨가 사용하여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등의 병원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나타내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 재료는 이용의 편리성과 경제성, 우수한 가공성 및 기능성으로 용도 및 이용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수지재료의 이용분야 중에는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같은 병원균 및 곰팡이 등이 접촉하거나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주게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실례로 자동차의 공기 순환기에서 하절기에 심한 곰팡이 냄새가 나거나 가정용 가습기에 녹조류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며 에어컨디셔너의 필터부위에 서식하는 병원균으로 인해 질병을 일으키는 사례가 흔히 있다. 또한 음용수로 사용되는 시판 생수용 플라스틱 병 안에서 대장균등이 번식하여 보관중 음용수로써 부적합해지는 문제가 발생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현실이다. 종래에 무기 항균 소재로 제오라이트계은 담지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제오라이트 자체가 지니는 함수성으로 인하여 고온 가공시 전체 무게의 15중량%에 달하는 수분을 방출하여 수지물성의 저하를 가져오고 사용할 때 변색등 수지에 적합치 못한 특성을 보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그 같은 폐해를 방지하고 우수한 항균성수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은, 구리, 주석, 비소이온중 1성분을 함유하고 지르코늄과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무기 세라믹계 금속이온 담지체를 합성수지에 첨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항균성수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항균성을 부여하기 위한 항균 첨가제로서 은, 구리, 주석, 비소등의 이온을 지니고 있는 무기 소재가 이용되며, 이중 특히 은이 포함된 항균 소재의 이용시 항균력이 탁월하다.
본 발명에서 지르코늄과 나트륨의 사용 비율은 8:2로하는 것이 좋고, 여기에 무기소재 특히 은이온을 분말 중량에 대하여 80내지 120ppm이 되게 담지하도록 고온 소성하여 항균 소재로 사용한다. 수지에 적용시 분산성 및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무기세라믹재 분말의 입도는 0.5내지 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고 수지에 대해 무기항균제를 0.1내지 1.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합성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마이드,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공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기 항균 약제를 수지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풀리 프로필렌 수지의 경우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245내지 255℃ 사이로 하고 혼합 압출전에 수지와 약제를 2∼5분간 예비 혼합을 한다. 약제는 수지의 총 질량에 대하여 0.1내지 1.0중량% 사용하며 보다 적당하게는 0.3내지 0.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다. 0.1중량%이하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항균 효과를 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1.0중량%이상으로 사용하게 되면 수지 물성에 영향을 줄수 있고 비용의 증가가 커서 불리해 진다. 압출된 수지는 수중에서 급냉 고화시키고 고속 기류로 수분 제거 후 절단기를 통과시켜 펠렛을 만들어 후가공에 이용한다.
항균 약제를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고자 할 경우 항균 약제를 마스터 배치화하여 사용하는데 항균 약제함량을 1.0중량%에서 15.0중량%사이로 하여 위와 동일한 가공을 통하여 마스터배치로 만들며 가공시 이 마스터배치를 1:10에서 1:20의 비율로 희석 혼합하여 사용한다.
무기항균 약제를 폴리에스터 수지와 혼합함에 있어서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275℃에서 285℃로 하고 기타 약제의 함량이나 가공방법, 마스터 배치의 이용은 상술한 풀리프로필렌의 경우와 동일하다.
무기 항균 약제를 폴리아마이드(나이론) 수지와 혼합함에 있어서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250℃에서 280℃로 하고 기타 약제의 함량이나 가공방법, 마스터배치의 이용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와 동일하다.
무기항균 약제를 폴리카보네이트수지와 혼합함에 있어서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295℃에서 305℃로 하고 약제의 함량이나 가공방법, 마스터배치의 이용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와 동일하다.
무기항균 약제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화 혼합함에 있어서는 2축 압출기를 이용하며 이때 압출기의 온도는 190℃에서 210℃로 하고 약제의 함량이나 가공방법, 마스터배치의 이용은 상술한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준비된 예를 들면 항균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병을 성형할때에는 마스터배치와 수지를 1:10에서 1:2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보다 적절하게는 1:14에서 1:16의 비율로 혼합한다. 성형은 중공 성형의 방법에 따른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항균 플라스틱은 정량적 항균성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 수지의 종류에 상관없이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장염비브리오균 등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냈으며 제조된 마스터배치를 이용하여 성형한 플라스틱 용기(병)에서도 마찬가지의 우수한 향균성을 보여주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항균성 수지를 이용하여 병을 제조하는 경우 음용수에 대장균등 수인성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균의 서식을 억제, 저지하여 위생상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일반식기, 가정용품에서도 활용 분야가 크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에 무기 항균 약제를 0.1중량%의 질량 비율로 혼합 압출하여 항균 수지를 만든다. 이때 무기 항균제로는 은이온을 100ppm 포함하며 지르코늄과 나트륨이 8:2의 비로 포함된 무기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였다. 가압 멸균기에서 125℃, 1.4기압하에서 25분간 멸균하여 준비한 0.7중량% 멸균 식염수에 대장균을 5,000마리/㎖의 농도로 풀어 100㎖를 삼각 플라스크에 담는다. 준비된 균수에 항균 수지를 10g넣어 시험균수를 만들고 이를 진탕기에 넣어 24시간 진탕시킨후 한천 평판 배지에 0.1㎖ 도포하여 배양한 후 균수를 확인 비교하였다.
[실시예 2]
항균 무기 약제를 0.3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항균 무기 약제를 0.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대장균 대신 황색포도상구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항균 무기 약제를 0.3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항균 무기 약제를 0.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대장균 대신 장염 비브리오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항균 무기 약제를 0.3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9]
항균 무기 약제를 0.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폴리에스터에 실시예 1에서 조성한 것과 같은 무기향균 약제를 1.5중량%의 질량 비율로 혼합 압출하여 항균수지 마스터배치를 만든다음 항균 마스터배치와 일반 폴리에서터를 1:15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 후 중공성형을 실시하여 무기 항균제 0.1중량%함유 항균성 플라스틱 병을 성형한다. 가압 멸균기에서 125℃, 1.4기압하에서 25분간 멸균하여 준비한 0.7중량% 멸균 식염수에 대장균을 5,000마리/㎖의 농도로 푼후 100㎖를 성형한 항균 플라스틱병에 담어 시험균수를 만든후 이를 진탕기에 넣어 24시간 진탕시킨후 한천 평판 배지에 0.1㎖ 도포하여 배양한 후 균수를 확인 비교하였다.
[실시예 11]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대장균 대신 장염 비브리오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5]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6]
대장균 대신 장염 비브리오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8]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9]
폴리에스터 대신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0]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1]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대장균 대신 황색포도상구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4]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2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5]
대장균 대신 장염 비브리오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6]
항균 무기 약제를 4.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27]
항균 무기 약제를 7.5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5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무기항균약제를 사용하지 않은 일반 폴리에스터병을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10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황색포도상구균을 사용한 것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장염 비브리오 균을 사용한 것외에는 비교예 1과 통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들 시험평가 결과는 하기표에 정리되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항균효과가 뛰어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8]
실시예 1 내지 27에서 항균 약제로 사용한 무기 세라믹계 은 담지체의 가열시의 중량 감소를 열 중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500℃ 까지 승온하며 시험하였다.
[실시예 29]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항균 수지를 제조하고 평판 시편을 사출하여 외관 관찰을 실시하였다.
[비교예 4]
무기 세라믹계 은 담지체 대신 제오라이트계 은 담지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8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무기 세라믹계 은 담지체 대신 제오라이트계 은 담지체를 사용한 것외에는 실시예 29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이들 시험평가는 하기표와 같으며 본 발명의 무기 세라믹계 은 담지체가 종래의 제오라이트계 은 담지체에 비하여 열안정성이 뛰어나고 그의 성형물 외관도 안정감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7)

  1. 은, 구리, 주석, 비소이온중 1성분을 함유하고 지르코늄과 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는 무기 세라믹계 금속이온 담지체를 합성수지에 첨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세라믹계 금속이온 담지체는 음이온을 80 내지 120ppm담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지르코늄과 나트륨의 비는 8:2의 비율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무기 세라믹재의 입도가 0.5 내지 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무기항균제를 0.1 내지 1.0중량%까지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향균제는 합성수지에 1.0 내지 15중량%로 함유시켜 마스터배치로 하고, 여기에 상기 합성수지를 1:10 내지 1:20의 비율의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합성수지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아마이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KR1019940022647A 1994-09-08 1994-09-08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KR0152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47A KR0152315B1 (ko) 1994-09-08 1994-09-08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47A KR0152315B1 (ko) 1994-09-08 1994-09-08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735A KR960010735A (ko) 1996-04-20
KR0152315B1 true KR0152315B1 (ko) 1998-10-15

Family

ID=19392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647A KR0152315B1 (ko) 1994-09-08 1994-09-08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23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735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53273B (zh) 一种基于胍盐聚合物的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
EP0116865A1 (en) Polymer article having an antibacterial property containing zeolite particles therein and the processes for producing same
CN111909454A (zh) 一种抗菌母粒及其应用
CN104592629B (zh) 一种Cu/ZnO 复合抗菌PP母粒的制备方法
CN102037988B (zh) 一种复合抗菌剂及其制备方法
CN107312228A (zh) 一种用于聚乙烯塑料的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
JPS62241939A (ja) 抗菌ならびに防カビ能を有するポリオレフイン系樹脂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7465B1 (ko) 은 담지 무기계 항균제 및 이를 함유한 열가소성 수지 마스터배치
CN1140402C (zh) 抗菌无规共聚聚丙烯管的制备方法
CN102399419B (zh) 一种抗菌聚对苯二甲酸乙二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039043B1 (ko) 나노 미립자 조성물, 이를 함유하는 항 박테리아 및 항 진균 활성 고분자 수지 마스타배치 및 그 제조방법
JPS62195037A (ja) 抗菌性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系成形体
KR0152315B1 (ko) 항균성 수지의 제조방법
CN102051020A (zh) 一种抗菌聚甲醛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3624354B2 (ja) 抗菌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11206295A (zh) 一种灭菌口罩专用材料、灭菌网、灭菌口罩及其制备方法
CN109467894A (zh) 一种用于Tritan共聚聚酯的抗菌母粒及其制备方法
KR20220055637A (ko) 소취성 항균 플라스틱 제조방법
CN102453317A (zh) 一种抗菌聚乳酸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2321899B (zh) 一种抗菌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8199002A (ja) 抗菌性樹脂組成物
JPH08169981A (ja) 抗菌性樹脂組成物
JPH0753770A (ja) 抗菌性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JP3571373B2 (ja) ステーショナリー用抗菌性樹脂組成物及び抗菌性ステーショナリー
KR20050079261A (ko) 나노 은 입자가 함유된 항균기능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