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864B1 -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864B1
KR0150864B1 KR1019950062553A KR19950062553A KR0150864B1 KR 0150864 B1 KR0150864 B1 KR 0150864B1 KR 1019950062553 A KR1019950062553 A KR 1019950062553A KR 19950062553 A KR19950062553 A KR 19950062553A KR 0150864 B1 KR0150864 B1 KR 0150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handle
hood opening
opening
hoo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639A (ko
Inventor
윤석홍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864B1/ko
Publication of KR970041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E05B83/243Hood clamps, i.e. individually actuated, usually yield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장착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구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소정 갯수의 지지구를 형성하고, 이 지지구에 결합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U자형의 스프링 클램프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클램프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후드 개폐 손잡이를 삽입하여 구성함에 따라 후드 개폐 손잡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의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후드 개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인스트러먼트 패널 110 : 손잡이의 장착홈
111,123,135 : 케이블 관통구 112 : 지지구
120 : 스프링 클램프 121 : 지지편
122 : 돌출부 130 : 후드 개폐 손잡이
131 : 지지판 132 : 구동판
133 : 연결핀 134 : 삽입구
본 발명은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후드 개폐 손잡이의 조립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보닛(bonnet)이라 불리는 후드(hood)를 개폐하는 경우에 운전자는 인스트러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소정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후드개폐 손잡이를 잡아 당긴다. 이에 따라 손잡이에 연결된 케이블이 후드록(hood lock) 장치를 언록(unlock) 시켜 후드를 개방한다.
제1도는 종래의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인스트러먼트 패널(10)의 소정위치에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홈(11)의 중앙부에는 후드 케이블(34)이 관통하는 관통구(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통구(12)의 양측에는 스프링 클램프(12)를 장착하기 위한 클램프 장착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클램프 장착홈(13)의 중앙부에는 스크류(40)가 관통하는 결합구(1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프링 클램프(20)는 ⊃ 형상과 ⊂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부에는 클램프 장착홈(11)에 형성된 결합구(14)에 대응하는 결합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개폐 손잡이(30)는 지지판(31)과 구동판(32)이 연결핀(33)으로 결합된 ∧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판(31)의 중앙부에는 후드 케이블(34)이 관통하는 관통구(36)가 형성되어 있어, 후드 케이블(34)은 이 관통구(36)를 통해 구동판(32)의 내측에 고정된다.
한편, 지지판(31)에는 클램프 장착홈(1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4)에 대응하는 결합구(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후드 개폐 손잡이(30)는 먼저 인스트러먼트 패널(10)의 클램프 장착홈(13)에 스프링 클램프(20)를 삽입하고, 그 위에 후드개폐 손잡이(30)의 지지판(31)을 위치시킨 후, 이 지지판(3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35)와 스프링 클램프(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21) 및 클램프 장착홈(13)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4)를 관통하도록 스크류(4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후드 개폐 손잡이는 조립시 작업자가 한손으로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스크류를 결합구에 삽입한 후, 소정의 결합도구로 스크류를 죄어 결합함에 따라 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후드 개폐 손잡이의 조립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후드 개폐 손잡이가 장착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구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소정 갯수의 지지구를 형성하고, 이 지지구에 결합되는 지지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U자형의 스프링 클램프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클램프의 돌출부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후드 개폐 손잡이를 삽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셜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후드 개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인스트러먼트 패널(100)의 소정위치에 후드 개폐 손잡이(13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1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착홈(110)의 중앙부에는 후드 케이블을 위한 관통구(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111)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는 상하로 2개의 지지구(112), 총 4개의 지지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U자형으로 형성된 스프링 클램프(120)는 그 양측의 단부가 각각 외측으로 굴절되어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후드 케이블을 위한 관통구(1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123)의 양측에는 상기 인스트러먼트 패널(100)의 지지구(112)에 끼워져 지지되는 지지편(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드 개폐 손잡이(130)는 지지판(131)과 구동판(132)이 연결핀(13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지지판(131)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양측벽에는 스프링 클램프(120) 단부의 굴절된 돌출부(122)가 끼워져 결합되는 삽입구(1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131)에는 후드 케이블이 관통되기 위한 관통구(135)가 형성되어 있어, 후드 케이블이 이 관통구(135)를 통해 구동판(132)의 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인스트러먼트 패널(100)에 형성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장착홈(110)중 지지구(112) 및 관통구(111)가 형성된 하단부에 U자형 스프링 클램프(120)를 끼워 넣으면 스프링 클램프(120)의 일측벽은 상기 장착홈(110) 하단부의 전면에 위치되고 타측벽은 하단부의 배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상기 스프링 클램프(120)의 양측벽에 형성된 지지편(121)이 장착홈(110)의 지지구(112)에 각각 끼워지면서 스프링 클램프(120)가 장착홈(110)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 후, 상기 스프링 클램프(120)의 저면으로 후드 개폐 손잡이(130)의 U자형 지지판(131)을 끼워 넣으면 스프링 클램프(12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돌출부(122)가 지지판(131)의 양측벽에 형성된 삽입구(134)에 끼워짐에 따라 지지판(131)이 스프링 클램프(120)에 고정되면서 후드 개폐 손잡이(130)가 손잡이 장착홈(110)에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후드 개폐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후드 개폐 손잡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후드 개폐 손잡이(130)가 장착되는 인스트러먼트 패널(100)에 형성된 케이블 관통구(111)의 양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소정 갯수의 지지구(112)를 형성하고, 이 지지구(112)에 결합되는 지지편(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단부에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U자형의 스프링 클램프(120)를 삽입하고, 상기 스프링 클램프(120)의 돌출부(122)가 삽입 고정되는 삽입구(134)가 형성된 후드 개폐 손잡이(130)를 삽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112)가 상기 케이블 관통구(111)의 양측에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KR1019950062553A 1995-12-29 1995-12-29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KR0150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553A KR0150864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553A KR0150864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639A KR970041639A (ko) 1997-07-24
KR0150864B1 true KR0150864B1 (ko) 1998-09-15

Family

ID=1944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553A KR0150864B1 (ko) 1995-12-29 1995-12-29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08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63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064672A (ja) ドア用の乗物ドア開放ノブ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
KR0150864B1 (ko) 개선된 후드 개폐 손잡이의 취부구조
CN212562945U (zh) 连接装置及具有其的联动门
KR960005092Y1 (ko) 자동차의 도어 내부 장식판 고정구
KR0138688B1 (ko) 자동차용 연료 주입구 도어의 힌지 구조
KR100403416B1 (ko) 자동차용 일체형 도어 모듈의 위치 설정 핀 구조
KR0137278Y1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0135614Y1 (ko) 필러도어 개방장치
KR0119191Y1 (ko) 차량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고정 클립
KR20000014795U (ko) 전자렌지의 컨트롤 패널 조립구조
KR100321609B1 (ko) 차량의 리어 시트 마운팅 구조
KR930003884Y1 (ko) 도어로크의 개폐랫치
KR960003751Y1 (ko) 차량용 범퍼의 결합구조
KR200249505Y1 (ko) 자동차 트렁크 및 풀 필러의 리드 스위치 고정용 브라켓
JPS5916446Y2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の取付装置
KR940008367Y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결합장치
KR100277175B1 (ko) 차량의 후드레버
KR0139513Y1 (ko) 도어트림 고정용 클립
KR20010092845A (ko) 자동차의 배터리 고정장치
KR200154224Y1 (ko) 자동차의 헤드램프 하우징 결합장치
JP2000287328A5 (ko)
KR970006041Y1 (ko) 자동차용 도어 안전 록 구조
KR19980049168A (ko) 패널고정수단
JPH055603Y2 (ko)
KR19980068170U (ko) 자동차의 후드레버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