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589B1 - 텔레비젼 수상기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상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589B1
KR0150589B1 KR1019950006162A KR19950006162A KR0150589B1 KR 0150589 B1 KR0150589 B1 KR 0150589B1 KR 1019950006162 A KR1019950006162 A KR 1019950006162A KR 19950006162 A KR19950006162 A KR 19950006162A KR 0150589 B1 KR0150589 B1 KR 015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ideo
video signal
signal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463A (ko
Inventor
고이치 야마구치
데츠로 온다
Original Assignee
사또오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오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오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028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복수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양으로 변화한 경우에, 평균 영상레벨의 변호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성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및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1, 22)가 각각 제1 및 제2APL신호(r1, s1)가 나타내는 평균 영상레벨에 기초해서 모화면 및 자화면의 복합영상신호(h1, k1)에 대하여 독립하여 콘트라스트·휘도의 이득을 조정한 다음, 중첩회로(30)가 이러한 조정이 행해진 영상신호(v1)와 영상신호(w1)를 중첩하므로, 복수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제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양으로 변화된 경우에, 평균 영상레벨의 변화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텔레비젼 수상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TV수상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제3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TV수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는 블록도.
제5도는 종래의 TV수상기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종래의 TV수상기의 APL과 CRT의 애노드전류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14 : 제1 및 제2 튜너 15 : 제어회로
16, 17 : 제1 및 제2 영상증폭 검파회로 20 : 2계통 영상신호 처리회로
21, 22 : 제1 및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 23 : 제어회로
28 : ABL검출회로 30 : 중첩회로
31 : 자화면 처리회로 41 : 음극선관(CRT)
본 발명은 복수의 화면을 하나의 음극선관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화면의 콘트라스트나 휘도의 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이하 TV수상기라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수상기에 있어서 모화면 속에 자화면을 표시하여 동시에 두 개의 프로그램을 볼 수 있도록 한 픽쳐인픽쳐 방식인 것이 보급되고 있다.
제5도는 이러한 종래의 TV수상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부호 71은 제1튜너가 선국한 모화면용의 영상신호가(a5)가 유도되는 입력단자로서, 이 입력단자(71)에 유도된 영상신호(a5)는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72)에 유도된다.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72)는 모화면용의 영상신호(a5)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여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b5)로 변화하여 중첩회로(73)에 공급한다.
한편, 입력단자(81)에 제2튜너가 선국한 자화면용의 영상신호(c5)가 유도되고 있고, 이 입력단자(81)에 유도된 영상신호(c5)는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82)에 유도된다.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82)는 자화면용의 영상신호(c5)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 및 화면의 압축을 행하여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d5)로 변화하여 중첩회로(73)에 공급한다.
중첩회로(73)는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72)로부터의 영상신호(b5)의 자화면 표시영역을 제2 영상신호 처리회6로(82)로부터의 영상신호(d5)로 절환하여 중첩하고, 영상신호(e5)로서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에 유도한다.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는 그 제어전압 입력단자에 유도되는 후술하는 콘트라스트 조정전압(Vc5)에 의해 중첩회로(73)로부터의 영상신호(e5)의 콘트라스트의 조정을 행하여 영상신호(f5)로서 휘도조정회로(75)에 유도한다. 휘도조정회로(75)는 후술하는 휘도조정전압(Vb5)에 의해 콘트라스트 조정회로로부터(74)로부터의 영상신호(f5)의 휘도조정을 행하여 표시용 영상신호(g5)로서 음극선관(이하 CRT)라 한다)(76)의 캐소드에 공급하고 있다.
한편, 전원전압 입력단자(77)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직류전압(V51)이 유도되게 되어 있다. 이 전원전압 입력단자(77)는 저항(R51, R52), 플라이백트랜스(78)의 2차권선(L52) 및 다이오드(D51)의 애노드·캐소드경로의 직렬접속을 통하여 CRT(76)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저항(R52)과 2차권선(L52)의 접속점은 평활콘덴서(c51)를 통하여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이와 같은 접속에 의해 플라이백 트랜스(80)의 2차권선(L52)이 발생하는 펄스전압은 다이오드(D51)와, CRT(77)의 애노드에 의해 발생하는 부유용량으로 구성된 정류 평활회로에 정류 펼활되어 CRT(76)의 애노드에 공급된다.
한편,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의 제어전압 입력단자는 저항(R54)을 통하여 다이오드(D53)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가변저항(VR52)의 접동접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53)의 저항(R51, R52)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단자(78)에는 기준전압(V52)이 유도외어 있다. 이 입력단자(78)는 가변저항(Vr51)을 통하여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 저항(R53), 다이오드(D52) 및 가변저항(VR51)은 자동 콘트라스트 제한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5)의 제어전압 입력단자는 저항(R53)을 통하여 다이오드(D52)의 애노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콘트라스트 조정볼륨이 되는 가변저항(VR51)의 접동접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D52)의 캐소드는 저항(R51, R52)의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단자(79)에는 기준전압(V53)이 유도되어 있다. 이 입력단자(79)는 가변저항(VR52)을 통하여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휘도조정회로(75), 저항(R54), 다이오드(D53) 및 가변저항(VR52)은 자동휘도제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CRT(76)의 애노드는, 단자(77)로부터 저항(R51, R52), 플라이백트랜스(80), 다이오드(D5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지만, 이 애노드전류가 증가한 경우, 저항 R51과 R52의 접속점의 전압이 그것에 따라서 저하한다. 그리고 저항 R51과 R52의 접속점의 전압이 어느 값 이하로 저하하면, 다이오드(D52, D53)가 도통괴고, 전압(Vc5, Vb5)은 애노드전류의 증가에 따라서 저하하게 되며,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 및 휘도조정회로(75)를 제어하여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와 휘도를 제어한다.
이 때문에 전압(Vc5)은 가변저항(VR51)의 접동접점의 위치를 기준전위점측으로 움직인 경우에 저하되고, 가변저항(VR51)의 접동접점의 위치를 전원전압 입력단자(77)측으로 움직인 경우에 증대하는 동시에,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가변저항(VR51)의 접동접점의 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치(C51)이상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는,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한 경우에 저하되고,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저하된 경우에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휘도조정회로(75)의 제어전압 입력단장 가해지는 전압(Vb5)은 가변저항(VR52)의 접동접점의 위치를 기준전위점측으로 움직인 경우에 저하되고, 가변저항(VR52)의 접동접점의 위치를 전원전압 입력단자(78)측으로 움직인 경우에 증대하는 동시에,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가변저항(VR52)의 접동접점의 위치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치(B51) 이상으로 된 경우에 있어서는,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증대한 경우에 저하되고, CRT(76)의 애노드애 흐르는 전류가 저하된 경우에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TV수상기에 의하면, 입력단자(71, 81)에 유도된 영상신호(a5, c5)는 각각 제1 및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72, 82)에 의해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b5, d5)로 변환되고, 중첩회로(73)에 의해 중첩되어, 중첩된 영상신호(e5)로 변환된다, 이 영상신호(e5)는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에 의해 전압(Vc5)에 기초해서 콘트라스트 조정이 행해지고, 휘도조정회로(75)에 의해 전압(Vb5)에 따라 휘도조정이 행해지며, CRT(76)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제6도는 이러한 종래의 TV수상기의 중첩회로(73)로부터의 영상신호(e5)의 평균영상레벨(이하 APL이라 한다)과 CRT(76)의 애노드전류와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종축에 CRT(76)의 애노드전류를 도시하고 있고, 횡축에 영상신호(e5)의 APL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RT(76)의 애노드 전류는 소정치(C51)보다 작은 경우 (예를 들면 D1점)에는 APL의 상승에 의해 소정의 기울기로 상승하며, APL의 저하에 의해 상기 소정의 기울기로 저하한다.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 및 휘도조정회로(75)에 가해지는 전압(Vc5, Vb5)은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치(C51)이상이 되려고 했을 경우, 이 전류의 증대에 대응하여 저하되며,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 및 휘도조정회로(75)는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를 저하시켜서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킨다. 이 때문에 APL이 D2 점에서 D3점으로 상승한 경우에는 콘트라스트 조정회로(74) 및 휘도조정회로(75)는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를 저하시켜서 CRT(76)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가 소정치(C51)가 되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종래의 TV수상기에 의하면, CRT(76)에 동시에 복수의 화상(예를 들면 모·자 2화면)을 표시했을 경우, CRT(76)에 공급되는 영상신호는 2개의 영상신호가 합쳐진 것이므로, 애노드전류는 모와 자의 영상신호에 의해서 변화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한쪽의 영상신호의 APL이 크게 변화한 경우, 전술한 자동 콘트라스트 제한회로나 자동 휘도제한회로의 동작에 의해 다른 쪽의 영상신호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컨대, 모영상 신호의 APL이 증가하여 자영상 신호의 APL이 낮은 경우를 고려하면, 애노드전류는 모화면의 APL의 증가에 수반하여 상승하며, 자동 콘트라스트 제한회로나 자동 휘도제한회로의 작용에 의해 자동 콘트라스트와 휘도가 제한된다. 그렇지만 자화면의 APL은 낮은 것이므로, 자화면의 콘트라스트와 휘도가 제한되면 필요이상으로 어두운 화면이 된다.
특히, 모·자화면을 동일 면적으로 표시하는 경우, 한쪽의 APL의 변화가 다른쪽에 미치는 영향은 커진다.
상술한 종래의 TV수상기는 음극선관의 애노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는 경우에, 복수의 화면의 영상신호를 중첩하고나서 콘트라스트나 휘도의 제한을 행하기 때문에, 복수 화면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 레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양으로 변화된 경우에는 평균 영상레벨의 변화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해 버려서 매우 보기 흉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복수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양으로 변화한 경우에, 평균 영상레벨의 변화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TV수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TV수상기는 적어도 제1, 제2 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을 음극선관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TV수상기로서, 제1, 제2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제2영상신호를 절환하여 상기 음극선관과 공급하기 위한 중첩회로와, 상기 제1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제1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상신호가 입력되어 제2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2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APL검출회로와, 상기 음극선관의 애노드 전류의 변화에 대응한 검출전압을 발생하는 ABL검출회로와, 상기 ABL검출회로보부터의 검출전압에 따라 상기 제1, 제2영상신호에 공통으로 작용하며, 제1,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족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 제2 검출신호에 각각 응답하고 상기 제1,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독립하여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수단이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제1, 제2영상신호에 공통으로 작용하여 제1,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족을 제어하는 동시에 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 제2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독립하여 제어한 다음 중첩회로가 상기 제1, 제2영상신호를 절환하여 상기 음극선과닝 공급하므로, 복수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다른 양으로 변화된 경우에 평균 영상레벨의 변화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TV수상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1)은 TV수상기의 안테나이고, 이 안테나에 유기된 고주파신호(이하, RF 신호라 한다)(a1)는 분배기(12)에 의해 분배되어 제1 및 제2튜너(13, 14)에 공급된다.
한편, 제어회로(15)는 TV수상기의 캐비닛에 설치된 조작키나 리모트 콘트롤 송신기의 조작키에 의한 키 입력에 근거하여 주화면 및 부화면의 선국 제어를 각각 행하는 선국컨트롤 신호(b1, c1)를 작성하여 제1 및 제2튜너(13, 14)에 공급하는 동시에 부화면에 TV방송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것인지 외부입력단자로부터의 영상신호를 표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입력선택신호(d1)를 신호선택회로(19)에 공급한다.
제1 및 제2튜너(13, 14)는 각각 선국제어신호(b1, c1)에 기초해서 RF신호(a1)의 선국을 행하며 각각 중간 주파신호(f1, g1)로서 각각 제1 및 제2 영상증폭 검파회로(16, 17)에 공급한다. 제1 영상증촉 검파회로(16)는 제1 튜너(13)로부터의 중간주파신호(f1)에 대하여 영상증폭 및 검파를 행하며 복합영상신호(h1)로서 2계통 영상신호 처리회로(20)의 제1영상신호처리회로(21)에 공급하는 동시에 제1 동기분리회로(24)에 공급한다. 제2영상증폭 검파회로(17)는 제2튜너(14)로부터의 중간주파신호(g1)에 대하여 영상증폭 및 검파를 행하며 복합영상신호(i1)로서 신호선택회로(19)의 제1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신호선택회로(19)의 제2입력단자는 외부입력단자(18)에 접속된 비디오 테이프 레코드등으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j1)가 유도되게 되어 있다. 신호선택회로(19)는 제어회로(15)로부터의 입력선택신호(d1)에 기초해서 제1 및 제2 입력단자에 유도죄는 복합영상신호(i1, j1)중 한쪽을 선택하여 2계통 영상신호 처리회로(20)의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22)에 공급하는 동시에, 제2동기분리회로(25)에 공급한다.
제1동기분리회로(24)는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h1)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시신호(m1)를 분리하여 편향회로(26)에 공급하는 자화면처리회로(31)에 공급한다.
편향회로(26)는 공급되는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m1)에 기초해서 편향 전류를 CRT(캐소드 선관)(41)의 도시하지 않은 편향 요크에 흘리는 동시에 상기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에 흐르는 톱니파전류의 귀선기간에 발생하는 플라이백펄스(n1)를 고압회로(27)에 공급한다. 고압회로(27)는 공급되는 플라이백펄스(n1)를 플라이백 트랜스를 사용하여 승압하며 CRT(41)의 애노드에 공급한다. 또한 이 고압회로(27)에는 ABL검출회로(28)가 접속되고, 이 ABL검출회로(28)로부터 CRT(41)의 애노드전류의 변화를 도시하는 ABL검출전압을 발생한다(이하의 설명에서는 단지 검출전압이라 한다). 이 ABL검출회로(28)로부터의 검출전압(q1)은 영상신호 처리회로(20)의 제어회로(23)에 공급된다.
영상신호 처리회로(20)는 제어회로(23)외에 제1, 제2영상신호처리회로(21, 22)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 회로(21, 22)에는 APL검출회로(후술)가 포함되어 있다. 제어회로(23)는 상기 검출전압(q1) 및 (APL)을 검출한 신호(r1, s1)를 받고, 제1,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1, 22)에 콘트라스트·휘도제어 신호(t1, u1)를 공급한다.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21)는 제1영상증폭 검파회로(16)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h1)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고, 모화면의 영상신호를 작성하여 이 모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APL의 검출은 행하며, 이 검출결과의 APL신호(r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모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1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t1)에 기초해서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여 수상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v1)를 작성하여 중첩회로(30)에 공급한다.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2)는 신호선택회로(19)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k1)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고, 자화면의 영상신호를 작성하여 이 자화면의 영상신호애 대하여 APL의 검출을 행하며, 이 검출겨로가의 APL신호(s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자화면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제1 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u1)에 기초해서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여 수상과넹 표시가능한 영상신호(w1)를 작성하여 자화면처리회로(31)에 공급한다. 제2 동기 분리회로(25)는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k1)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x1)를 분리하여 자화면처리회로(31)에 공급한다.
자화면처리회로(31)는 제2동기분리회로(25)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동기 신호(x1)에 기초하여,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2로부터의 영상신호(w1)를 1프레임 판독하고 제1동기분리회로(24)로부터의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m1)에 기초하여 기억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수평 및 수직방향을 줄여서 독출함으로써,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21)로부터의 영상신호(v1)에 동기한자화면 표시용의 영상신호(y1)를 작성하여 중첩회로(30)에 공급한다.
중첩회로(30)는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21)로부터의 영상신호(v1)의 자화면 표시영역을 자화면 처리회로(31)로부터의 영상신호(y1)로 절환하여 중첩하며, 이 중첩된 영상신호(z1)를 CRT(41)의 캐소드에 공급하고 있다. CRT(41)는 편향회로(26)에 의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m1)에 기초한 편향전류가 편향요크에 흐르고, 중첩회로(30)로부터의 영상신호(z1)가 화면에 표시된다.
이러한 실시예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제1채널의 TV방송을 모화면에 표시하고 제2채널의 TV방송을 자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회로(15)는 제 1 및 제2채널의 선국 제어를 각각 행하는 선국컨트롤신호(b1, c1)를 작성하여 제1 및 제2튜너(13, 14)에 공급하는 동시에 부화면에 TV방송의 영상신호를 표시하는 입력선택신호(d1)를 신호선택회로(19)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안테나에 우기된 RF신호(a1)는 제1 및 제2튜너(13, 14)에 의해 제1 및 제2채널에서 선국되고, 제1 및 제2영상증폭 검파회로(16, 17)에 의해 복합영상신호(h1, I1)로 변화되어, 제1 및 제2 영상신호처리회로(21, 22)에 공급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동기분리회로(24, 25)에 공급된다.
제1동기 분리회로(24)는 공급되는 복합영상신호(h1)로부터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m1)를 분리하여 편향회로(26)에 공급하며, 편향회로(26)는 이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m1)에 기초해서 수평편향코일에 톱니파 전류의 귀선기간에 발생하는 플라이백펄스(n1)를 고압회로(27)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고압회로(27)는 CRT(41)의 애노드에 전류를 공급한다. ABL검출회로(28)는 CRT(41)의 애노드전류에 따라 변화하는 전압을 검출하며, 그 검출전압(q1)을 제어회로(23)에 공급한다.
한편,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21)는 제1영상증폭 검파회로(16)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h1)에 대하여 APL의 검출을 행하며, 이 검출결과의 APl신호(r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에 공급한다.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22)는 신호선택회로(19)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k1)에 대하여 APL의 검출을 행하며, 이 검출결과의 APL신호(s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에 공급한다.
제어회로(23)는 ABL검출회로(28)로부터의 검출신호(q1) 및 제1 APL신호(r1)에 응답하는 제1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t1)를 발생하여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21)에 공급한다. 동시에 상기 검출신호(q1) 및 제2 APL신호(s1)에 응답하는 제2 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u1)를 발생하여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22)에 공급한다. 이 경우, 제어신호(t1, u1)는 애노드전류가 증가 또는 APL이 증가했을 대, 콘트라스트·휘도를 억제하는 신호이다.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21)는 이렇게하여 설정된 콘트라스트·휘도 제어신호(t1)에 근거하여 영상신호처리가 행해진 복합영상신호(h1)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여 영상신호(v1)를 작성하여 중첩회로(30)에 공급한다. 또한,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22)는 이렇게하여 설정된 콘트라스트·휘도 제어신호(u1)에 근거하여 영상신호처리가 행해진 복합영상신호(k1)의 영상신호에 대하여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며 영상신호(w1)를 작성하여 자화면처리회로(31)를 통하여 자화면 표시용의 영상신호(y1)로 변화시켜 중첩회로(30)에 공급한다.
중첩회로(30)는 영상신호(v1, y1)를 중첩하여 영상신호(z1)로서 CRT(41)에 나타낸다.
다음에 제1채널의 TV방송을 모화면에 표시하고 외부입력단자(18)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j1)를 자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제어회로(15)는 부화면에 외부입력단자(18)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j1)를 표시하는 입력선택신호(d1)를 신호선택회로(19)에 공급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입력단자(18)로부터의 복합영성신호(j1)가 신호선택회로(19)를 통하여 복합영상신호(k1)로서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22)에 공급된다. 이 이외의 동작은 제2 채널의 TV방송을 자화면에 표시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1, 22)가 각각 제1 및 제2 APL신호(r1, s1)가 나타내는 APL에 근거하여 모화면 및 자화면의 복합영상신호(h1, k1)에 대하여 독립하여 콘트라스트·휘도의 이득을 조정한 후, 중첩회로(30)가 이러한 조정이 행해진 영상신호(v1)와 영상신호(w1)를 중첩하므로, 모화면 및 자화면의 복합영상신호(h1, k1)의 한쪽의 APL이 다른쪽과 다른 양으로 변하된 경우에 APL의 변화가 적은 쪽의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화질화가 가능하게 되어 유저에게 매우 높은 인상을 줄 수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21)는 제1도에 도시한 제1 영상증폭 검파회로(16)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h1)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고, 모화면의 영상신호(h11)를 작성하여 이 모화면의 영상신호(h11)에 대하여 APL검출회로(212)에 의해 APL의 검출을 행하며, 이 검출결과의 APL신호(r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의 합성회로(231)의 제1입력단자에 공급하는 동시에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211)가 모화면의 영상신호(h11)에 대하여 제1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t1)에 기초해서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여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v1)를 작성하여 중첩회로(30)에 공급한다.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22)는 제1도에 도시한 신호선택회로(19)로부터의 복합영상신호(k1)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고, 자화면의 영상신호(k11)룰 작성하여 이 자화면의 영상신호(k11)에 대하여 APL검출회로(222)에 의해 APL의 검출을 행하며, 이 검출결과의 APL신호(s1)를 작성하여 제어회로(23)의 합성회로(232)의 제1 입력단자에 공급하는 동시에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221)가 자화면의 영상신호(k11)에 대하여 제1 콘트라스트·휘도제어신호(u1)에 근거하여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조정을 행하면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w1)를 작성하여 자화면처리회로(31)에 공급한다.
또한,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211, 221)는 제5도와 같이 콘트라스트 조정회로와 휘도조정회로가 직렬로 결합된 것으로서, 이들 각각 조정회로에 대하여 각각 수동제어에 의한 콘트라스트 조정전압 및 휘도 조정전압이 공급되는 것이다. 또한 제어신호(t1, u1)는 콘트라스트 조정회로 및 휘도조정회로가 적어도 한족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제2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조정회로를 1개의 블록 211, 221에서 도시하고 있다.)
다음에 고압발생회로(27) 및 ABL검출회로(28)에 대해 설명한다.
고압발생회로(27)의 전원전압입력단자(281)에는 전원선으로부터의 직류전압(v11)이 유도되게 되었 있다. 이 전원전압입력단자(281)는 ABL검출회로(28)의 저항(R11, R12), 플라이백트랜스(271)의 2차권선(L12) 및 다이오드(D11)의 애노드·캐소드경로의 직렬접속을 통하여 CRT(41)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저항(R12)과 2차권선(L12)의 접속점은 평할콘덴서(C11)를 통하여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저항(R11, R12)의 접속점에는 ABL검출회로(28)의 다이오드(D12)의 애노드·캐소드경로를 통하여 기준전압(v12)이 유도되는 전원전압입력단자(282)에 접속되어 있다.
ABL검출회로(28)는 CRT의 애노드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전압을 발생하는 것이지만, 애노드전류(ib로 한다)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전원단자(281)로부터 저항(R11, R12)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적기 때문에 저항(R11)에 의한 전압강하도 적다. 이 때문에 저항(R11, R12)의 접속점의 전압(V11-R11·ib)은 높고, 다이오드(D12)의 애노드전위가 캐소드전압(V12)hek 높기 때문에 도통되고 있다. 따라서 저항(R11, R12)의 접속점의 전압은 전압(v12)에서 클램프되고, ABL검출전압(q1)은 일정한 값이 되며 콘트라스트나 휘도를 억제하는 작용은 생기지 않는다.
한편, CRT의 애노드 전류가 소정치를 넘은 경우, 저항(R11, R12)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기 때문에, 저항(R11)에 의한 전압강하가 증가하고, 저항(R11, R12)의 접속점의 전압(V11-R11·ib)이 저하되며, 다이오드(D12)의 애노드 전위가 캐소드 전압(V12)보다도 낮아져서 비도통이 된다. 이 때문에 저항(R11, R12)의 접속점의 전압(ABL검출전압 ; q1)은 CRT의 애노드전류의 증가에 수반하여 저하하게 된다.
또한, ABL검출회로(28)는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것 등, 여러 가지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다음에 제어회로(23)에 관해서 설명한다.
ABL검출회로(28)의 검출전압(q1)은 합성회로(231, 232)의 제2입력단자에 유도된다. 합성회로(231, 232)의 제 2입력단자는 저항(R13)을 통해 콘트라스트·휘도조정볼륨이 되는 가변저항(VR11)의 접동접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입력단자(233)에는 기준전압(v13)이 유도되어 있다. 이 입력단자(233)는 가변저항(VR11)을 통해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합성회로(231, 232)는 가변저항(VR11)우로 설정된 콘트라스트나 휘도의 설정 전압 이외에, ABL검출회로(28)로부터의 검출전압(q1) 및 APL검출회로(212, 222)로부터의 APL신호(r1, s1)를 받고, 그들 검출전압(q1)이나 APL신호(r1, s1)에 응답하여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211, 221)를 제어하며 모화면, 자화면의 각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나 휘도를 조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도의 실시예의 요부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제3도는 제1도이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요부의 블록도로서, 제1도 및 제2도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제3도에 있어서 제어회로(120)의 입력단자(129)에는 ABL검출회로(28)로 부터의 ABL검출전압(q1)이 유도된다.
제어회로(120)의 제1 및 제2 레벨쉬프트회로(121, 122)는 각각 APL검출회로(212, 222)로부터의 APL검출전압(r1, s1)의 레벨쉬프트를 행하며, 각각 레벨시프트된 APL검출전압(r31, s31)으로서 각각 차동 증폭기(123)의 NPN트랜지스터(Tr1, Tr1)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이하, 차동증폭기(123)에 관해서 설명한다.
직류전압(V31)이 유도디는 전원선은 저항(R31)과 트랜지스터의 NPN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에미터로의 직렬접속을 통하여 전류원회로(124)의 일단에 접속되는 동시에 저항(R32)와 00트랜지스터(Tr2)의 톨렉터·에미터로의 직렬접속을 통하여 전류원회로(124)의 일단에 접속된다. 전류원회로(124)의 타단은 기준전위에 접속된다. 전유원회로(124)는 입력단다(129)로부터의 ABL검출전압(q1)의 레벨에 의해 전류 조정이 행해진다.
제1 및 제2합성회로(125, 126)는 각각 제1입력단자가 다이오드(D31, D32)를 통하여 NPN트랜지스터(Tr1, Tr2)의 콜렉터에 접속되며, 각각 제2 입력단자가 입력단자(129)에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차동증폭기(123)는 APL검출전압(r31)으로부터 APL검출전압(s31)의 차를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ABL검출전압(q1)에 기초해서 감쇠하며, 제1 합성회로(125)의 제1 입력단자에 공급하는 동시에 APL검출전압(s31)으로부터 APL검출전압(r31)의 차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를 ABL검출전압(q1)에 근거하여 감쇠하며, 제2합성회로(126)의 제1 입력단자에 공급한다.
합성회로(125, 126)는 이 경우에 제2입력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을 제1입력단자에 가해지는 전압에서 이득 제어함으로써 콘트라스트·휘도 제어신호(t1, u1)를 작성하여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211, 221)에 공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합성회로(125, 126)의 제 1입력단자에는 주화면과 부화면의 APL의 차를 ABL에서 제산한 값에 따른 차전압이 얻어지고, 합성회로(125, 126)는 이 차전압에 근거하여 ABL검출전압(q1)을 조정하므로, 제1도의 실시예보다도 콘트라스트와 휘도의 밸런스가 얻어진 주화면과 부화면을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TV수상기의 다른 실시예를 동시하는 블록도이다.
제4도에 있어서, 부호 471은 제1튜너가 선국한 모화면용의 영상신호(a4)가 유도되는 입력단자로서, 이 입력단자(471)에 유도된 영상신호(a4)는 제1영상신호 처리회로(472)에 유도되는 동시에 제1 APL검출회로(491)에 유도된다. 제1 APL검출회로(491)는 모화면용의 영상신호(a4)에 대하여 APL검출을 행하여 APL검출신호(r4)를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472)에 공급한다.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472)는 모화면용의 영상신호(a4)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고, APL검출신고(r4)에 기초해서 이득제어를 행하며,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b4)로 변화하여 중첩회로(473)에 공급한다.
한편, 입력단자(481)에는 제2튜너가 선국한 자화면용의 영상신호(c4)가 유도되어 잇고, 이 입력단자(481)에 유도된 영상신호(c4)는 제2영상신호처리회로(481)에 유도되는 동시에 제2 APL검출회로(492)에 유도된다. 제2 APL검출회로(492)는 자화면용의 영상신호(c4)에 대하여 APL검출을 행하며 APL검출신호(s4)를 제2영상신호 처리회소(482)에 공급한다. 제2 영상신호 처리회로(482)는 자화면용의 영상신호(c4)에 대하여 영상증폭 등의 영상신호처리를 행하며, APL검출신호(s4)에 기초하여 이득제어를 행하여 수상관에 표시가능한 영신호(d4)로 변환하여 중첩회로(473)에 공급한다.
중첩회로(473)는 제1 영상신호 처리회로(472)로부터의 영상신호(b4)의 자화면 표시영역을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482)로부터의 영상신호(d4)로 절환하여 중첩하며, 이 중첩된 영상신호(e4)를 콘트라스트·휘어조정회로(474)로 유도한다.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474)는 그 제어전압 입력단자에 유도되는 후술하는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Vc4)에 의해 중첩회로 처리회로(473)로부터의 영상신호(e4)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조정을 행하여, 영상신호(f4)로서 CRT(476)의 캐소드에 공급하고 있다.
한편, 직류전압(V41)이 유도되는 전원선은 저항(R41, R42, R43), 플라이백트랜스(478)의 2차권선(L42) 및 다이오드(D41)의 애노드·캐소드경로의 직렬접속으 통하여 CRT(476)의 애노드에 접속된다. 저항(R43)과 2차권선(L42)의 접속점은 평활콘덴서(C41)를 통하여 기준전위점에 접속된다. 저항(R42, R43)의 접속점은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474)의 그 제어전압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이러한 접속에 의해,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474)의 그 제어전압입력단자는 브라운관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작성된 콘트라스트·휘도 조정전압(Vc4)이 유도되게 한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단자(471, 481)에 유도된 영상신호(a4, c4)는 각각 제1 및 제2영상신호처리회로(472, 482)에 의해 각각 APL에 기초한 이득에서 독립하여 이득제어되며, 음극선관에 표시가능한 영상신호(b4, d4)로 변환되고, 중첩회로(473)에 의해 중첩되어 영상신호(e4)로 변환된다. 이 영상신호(e4)는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회로(474)에 의해 콘트라스트·휘도조정전압(Vc4)에 기초하여 콘트라스트·휘도조정이 행해져 CRT(476)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 경우, 주화면과 부화면의 영상신호(a4, c4)가 제한치를 넘어서 증대한 경우, 제1 및 제2영상신호 처리회로(472, 482)는 APL의 증대가 큰 쪽에 대하여 보다 크게 감쇠시키고, 이후 중첩회로(473)에 의해 중첩되어 영상신호(e4)가 콘트라스트·휘도조정회로(474)에 의해 콘트라스트나 휘도를 제어받으므로,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지는 동시에 제5도의 종래예와 회로구성이 비슷하므로, 제조공정을 그다지 바꾸지 않고 생산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모화면과 자화면을 하나의 CRT에 표시하는 TV수상기에 적용하였지만, 다른 복수의 화면을 하나의 CRT에 표시하는 TV수상기, 예컨대, 4개의 화면을 CRT화면의 상하좌우로 표시하는 등, 별도의 TV수상기에 적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것과 다른 양으로 변화한 경우에, 평균 영상레벨의 변화가 적은 쪽의 영상신호 화면의 영상에 있어서 필요 이상으로 콘트라스트나 휘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고화질화가 가능하게 되어 유저에게 매우 높은 인상을 줄 수 있다.

Claims (4)

  1. 적어도 제1, 제2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을 음극선관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제1, 제2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제2영상신호를 절환하여 상기 음극선관에 공급하기 위한 중첩회로와, 상기 제1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1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동시에 상기 제2영상신호가 입력디고 제2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2검출신호를 발생하는 APL검출회로와, 상기 음극선관의 애노드 전류의 변화에 대응하여 검출전압을 발생시키는 ABL검출회로와, 상기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제2영상신호에 공통으로 작용하며, 제1,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오도 한쪽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 제2검출 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제1,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2. 적어도 제1, 제2영상신호에 의한 화상을 음극선과넹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제1, 제2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1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 APL검출회로와, 제1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1영상신호처리 수단과, 제2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영상신호철 수단과, 상기 제1, 제2영상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절환하여 상기 음극선관에 공급하기 위한 중첩회로와 상기 음극선관의 애노드전류의 변화에 대응하여 검출전압을 발생하는 ABL검출회로와, 상기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 및 상기 제1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검출신호애 응답하는 제1제어신호를 상기 제1영상신호 처리수단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 및 상기 제2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2검출신호에 응답하는 제2제어신호를 상기 제2영상신호 처리수단에 공급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에미터가 공통으로 접속된 제1, 제2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차등증폭기와, 상기 제1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검출신호를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배이스에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2APL검출회로부터의 제2검출신호를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제2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공통으로 접속되고 상기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애 따라 그 전류량이 제어되는 전류원 회로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콜렉터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영상신호처리 수단에 상기 제1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2트랜지스터의 콜렛터출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2영상신호처리 수단에 상기 제2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상기.
  4. 적어도 제1, 제2영상신호에 의한 음극선과에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텔레비젼 수상기에 있어서, 제1, 제2영상신호를 발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1 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1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1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1APL검출회로와, 상기 제2영상신호가 입력되고 제2 영상신호의 평균 영상레벨을 검출하여 제2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제2APL검출회로와, 상기 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1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1영상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1영상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APL검출회로로부터의 제2검출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제2영상신호의 이득을 제어하여 출력하는 제2영상신호 처리수단과, 상기 제1, 제2영상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의 영상신호를 절환하여 상기 음극선관에 공급하기 위한 중첩회로와, 상기 음극선과느이 애노드전류의 변화에 대응하여 검출전압을 발생하는 ABL검출회로와, 상기 ABL검출회로로부터의 검출전압에 응답하여 상기 중첩회로로부터의 출력 영상신호의 콘트라스트 및 휘도의 적어도 한쪽을 제어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KR1019950006162A 1994-03-23 1995-03-23 텔레비젼 수상기 KR0150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051992 1994-03-23
JP6051992A JPH07264503A (ja) 1994-03-23 1994-03-23 テレビジョン受像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463A KR950028463A (ko) 1995-10-18
KR0150589B1 true KR0150589B1 (ko) 1998-10-15

Family

ID=1290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6162A KR0150589B1 (ko) 1994-03-23 1995-03-23 텔레비젼 수상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75391A (ko)
EP (1) EP0675644B1 (ko)
JP (1) JPH07264503A (ko)
KR (1) KR0150589B1 (ko)
DE (1) DE6951371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8041A (en) * 1994-10-24 1999-11-02 Hitachi, Ltd. Image display system
US6791623B1 (en) * 1994-10-24 2004-09-14 Hitachi, Ltd. Image display system
TW301101B (ko) * 1994-11-17 1997-03-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N1135140A (zh) * 1995-02-27 1996-11-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用于多重图像显示的补偿电压发生装置及其视频显示装置
US6389177B1 (en) * 1996-07-02 2002-05-14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using edge processing to remove blocking artifacts from decompressed images
EP0978197B1 (en) * 1997-04-23 2004-10-06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ontrol of video level by region and content of information displayed
US6809776B1 (en) 1997-04-23 2004-10-26 Thomson Licensing S.A. Control of video level by region and content of information displayed
WO1999005666A1 (en) 1997-07-25 1999-02-04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igh-luminance windows on a computer display device
US6313823B1 (en) 1998-01-20 2001-11-06 Apple Computer, In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color output of a computer monitor
DE29816069U1 (de) * 1998-09-07 1998-11-05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s Arbeitspunktes einer Kathodenstrahlröhre
US7412654B1 (en) * 1998-09-24 2008-08-12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ling special windows in a display
US6631995B2 (en) 1999-09-02 2003-10-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of and device for generating an image having a desired brightness
US6556253B1 (en) * 1999-10-26 2003-04-29 Thomson Licensing S.A. Multi-window picture adjustment arrangement for a video display
JP4978760B2 (ja) 2000-08-23 2012-07-1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装置
WO2004051990A1 (ja) * 2002-11-29 2004-06-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2004194311A (ja) * 2002-11-29 2004-07-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再生装置及び映像再生方法
JP3720813B2 (ja) * 2003-02-26 2005-11-30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KR100497395B1 (ko) * 2003-06-30 2005-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질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방법
TR201008574T1 (tr) * 2008-04-28 2011-06-21 Arçeli̇k Anoni̇m Şi̇rketi̇ Bir görüntüleme cihazı.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3373A1 (en) * 1983-08-08 1985-02-2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igh softening point aromatic resin
JPS60171875A (ja) * 1984-02-16 1985-09-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画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0172891A (ja) * 1984-02-17 1985-09-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多画面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3121366A (ja) * 1986-11-10 1988-05-25 Sony Corp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965669A (en) * 1989-04-12 1990-10-23 Rca Licens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digitally controlling the D.C. value of a processed signal
US4947253A (en) * 1989-04-18 1990-08-07 Rca Licensing Corporation Brightness modulator for closed loop compensation of black level
ES2064504T3 (es) * 1990-02-19 1995-02-01 Siemens Ag Instalacion para mezclar una primera imagen en una segunda imagen en una pantalla.
JPH03263984A (ja) * 1990-03-14 1991-1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処理装置
JPH0530442A (ja) * 1991-07-22 1993-02-05 Fujitsu General Ltd デイジタル映像処理回路
US5204748A (en) * 1991-12-11 1993-04-20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Beam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for a television system with picture-in-picture provisions
JPH05167946A (ja) * 1991-12-13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blまたはacl回路
JPH0622238A (ja) * 1992-07-03 1994-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ョン受像機子画面用ピーク補正回路
EP0621729B1 (de) * 1993-04-22 1998-02-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m Darstellen eines ersten Bildes und eines zweiten Bildes auf einem Bilschi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75644A2 (en) 1995-10-04
DE69513716D1 (de) 2000-01-13
DE69513716T2 (de) 2000-04-06
KR950028463A (ko) 1995-10-18
JPH07264503A (ja) 1995-10-13
EP0675644B1 (en) 1999-12-08
EP0675644A3 (ko) 1995-11-15
US5675391A (en) 1997-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0589B1 (ko) 텔레비젼 수상기
US62635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udio and video control settings for television programs
US6249322B1 (en) TV receiver, method of setting reception channel, and picture display method
US6317168B1 (en) Digital TV receiver for performing channel selection using stored channel information and method performing the same
US4361850A (en) Color television receiver with character display function
EP0199542A2 (en) Multiple scanning type television receivers
US4028726A (en) TV receiver raster expansion system
KR920006172B1 (ko) 전류 수정장치
US3249695A (en) Control apparatus for a television receiver
US3612756A (en) Beam current limiting circuit for a cathode-ray tube
KR100213483B1 (ko) 영상 수신기기의 휘도 조절회로
JPH0119495Y2 (ko)
KR100190975B1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화면밝기 자동조절방법
US2799799A (en) Cathode ray deflection systems
US3258532A (en) Automatic-picture-control circuit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9990043032A (ko) 텔레비전 수상기의 주화면 밝기에 따른 부화면 밝기 자동조정장치
KR920008264Y1 (ko) 위성방송튜너의 자동이득제어레벨 표시회로
US6208093B1 (en) Selectable clampers for an S-shaping voltage of a video display
JPH084786Y2 (ja) Bsチューナ出力端子付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3824232B2 (ja) テレビジョン
KR19990000492A (ko) 텔레비전의 포커스 자동조절 장치.
KR19980078788A (ko) 2화면 텔레비전의 주/부화면 영상레벨제어장치
KR100251969B1 (ko) 화상 확대 기능을 갖춘 텔레비젼 수상기
KR19980014550A (ko) 부화면 밝기보정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JPH08279968A (ja) 複数の準動画pip/pop画面発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