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0021B1 -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0021B1
KR0150021B1 KR1019940022870A KR19940022870A KR0150021B1 KR 0150021 B1 KR0150021 B1 KR 0150021B1 KR 1019940022870 A KR1019940022870 A KR 1019940022870A KR 19940022870 A KR19940022870 A KR 19940022870A KR 0150021 B1 KR0150021 B1 KR 0150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address
input
optic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종덕
전민용
이일항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4002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0021B1/ko
Priority to AU80326/94A priority patent/AU672147B2/en
Priority to US08/354,867 priority patent/US5450507A/en
Priority to GB9425194A priority patent/GB2293035B/en
Priority to DE4444161A priority patent/DE4444161C2/de
Priority to JP6307901A priority patent/JP257167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0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00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8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 G02B6/2804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 G02B6/2861Optical coupling means having data bus means, i.e. plural waveguides interconnected and providing an inherently bidirectional system by mixing and splitting signals forming multipart couplers without wavelength selective elements, e.g. "T" couplers, star couplers using fibre optic delay lines and optical elements associated with them, e.g. for use in signal processing, e.g.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001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using optical switching
    • H04Q11/0003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박막이 증착된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를 이용한 반사형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섬유의 한쪽 단면에 금속박막을 증착시킨 시간지연선로를 광섬유 결합기에 융착접속시켜 구성한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고속 광대역 신호 처리할 수 있는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는 투과형 구조로써, 입력광 어드레스 신호를 입력결합기로 분리한 후, 각각의 어드레스비트 '1'을 해당 지연선로로 보내어 출력결합기로 제결합하는 상관과정의 결과로 어드레스를 검출한다.
즉, 입력어드레스 신호가 검출기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자기상관 펄스가 서로 어드레스가 다르면 교차상관 펄스가 결합기 출력에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는 한쪽단면에 금속박막이 증착된 광섬유 지연선로들을 광섬유 결합기에 접속시켜 구성함으로써, 입력어드레스 광신호가 입력광섬유 결합기에 의해 분리되어 광섬유 지연선로의 끝에 있는 박막에서 반사된 후 입력광섬유 결합기에 의해 재결합되므로 종래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구성에 필요한 광섬유 결합기의 갯수를 1/2로 줄이고도 동일한 어드레스 검출특성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작방법
제1도는 종래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f : 광섬유 결합기 2a∼2d :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
3a∼31 : 광섬유 4a∼4d : 금속박막
본 발명은 광 패킷 교환기(Photonic Packet Switching Device)의 광 섬유 어드레스 검출기(Fiber-Optic Address Detector)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통신망에서, 신호전송의 매체로서 오랜동안 이용되어 왔던 동선(Copper Wire)이 점진적으로 광섬유(Optical Fiber)에 의해 대체됨으로써, 전송대역폭(Transmission Bandwidth)의 획기적인 확장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이를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서는 광교환기술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광 유선 통신 기술로는, 각각의 데이터 비트를 목적지 어드레스의 정보를 갖는 시퀀스로 부호화 하여 전송하고, 목적지에서는 어드레스를 검출하여 송신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광통신 부호 분할 다중 엑세스 방법과, 사용자 정보인 페이로드(Payload) 데이터에 어드레스 헤더를 붙여서 전송하는 광 패킷 교환 방법이 있다.
단일 모드 광섬유의 막대한 대역폭을 이용하여 다자간에 아무때나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전자의 방법은 통신망에 수용할 수 있는 노드의 수가 제한되는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특히 기밀을 요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채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나, 패킷의 페이로드 정보가 교환 처리시 광의 형태로 계속 유지되는 후자의 방법은 대용량 신호의 처리 능력과 고속의 교환 속도를 갖는 특성으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광 패킷 교환기는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입력된 광 패킷 신호의 약 10% 정도를 분리(Tapping)하는 광섬유 결합기(Optical Fiber Coupler)와, 레이저 다이오드 광 증폭기(Laser Diode Optical Amplifier)로 이루어져 상기 광섬유 결합기에 의해 분리된 입력 광 패킷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와,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를 이용하여 분리되어 증폭된 입력 광 패킷 신호의 어드레스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두 어드레스가 일치하면 자기 상관 펄스(Auto-correlation Pulse)를 출력하고, 두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으면 교차 상관 펄스(Cross-correlation Pulse)를 출력하는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와, 이 검출기로부터 입력된 상관 펄스들이 소정의 문턱값들보다 각각 크면 입력 광 패킷 신호를 수신기로 보내고, 작으면 다음 지국으로 바이패스(Bypass)시키도록 광 스위치를 제어하는 어드레스 일치 판정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초고속 광대역 신호 처리용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는 투과형(Transmission Type)구조로서, 어드레스 처리를 하기 위해 광 케이블 선로를 통해 입력되는 패킷 신호광의 일부를 광섬유 결합기로 분리한다.
이렇게 분리된 광 어드레스 신호의 비트들은 검출기의 입력 결합기에 의해 분리되어서 해당 지연선로를 통해 시간 지연된 후, 검출기의 출력 결합기에 의해 재결합되는데, 이때 결합되는 비트신호들의 상관(Correlation)과정의 결과에 따라서 입력 어드레스 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즉,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는 입력 어드레스 신호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자기 상관 펄스(Auto-correlation Pulse)를 출력하고, 입력 어드레스 신호가 자신의 어드레스와 일치하지 않으면 교차 상관 펄스(Cross-correlation Pulse)를 출력한다.
제1도는 종래의 광섬유 검출기의 예시도로서, 3dB의 2×2 광섬유 결합기와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이하, 광섬유 지연선로라 칭함)를 이용하여 구성한 어드레스 비트 '1'의 수가 4인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 1a∼1f는 2×2 광섬유 결합기를 각각 나타내고, 참조번호 2a-2d는 광섬유 지연선로를 각각 나타내며, 참조번호 3a~31은 광섬유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광섬유 중 참조번호 3g∼31은 사용되지 않는 것들이다.
제1도를 참조하여, 상기 광섬유(3a)를 통해 입력되는 광 어드레스 신호는 한쪽으로 입력된 광의 파워를 두개의 출력으로 각각 1/2씩 나누는 기능을 갖는 제 1 내지 제 3 입력 광섬유 결합기(1a∼1c)에 의해 각각 분리된 후 각각의 어드레스 비트 '1'을 해당 제 1 내지 제 4 광섬유 지연선로(2a∼2d)로 각각 보내져 제 1 내지 제 3 출력 광섬유 결합기(1d∼1f)에 의해 재결합되는 상관과정의 결과로 어드레스를 광학적으로 검출한다.
즉, 입력 어드레스 신호가 검출기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자기상관 펄스가, 서로 어드레스가 다르면 교차상관 펄스가 제 3 출력 광섬유 결합기의 출력 광섬유(31)에 나타나게 된다.
자기상관 펄스의 중앙펄스는 교차상관 펄스의 중앙펄스보다 진폭이 크기 때문에 문턱값 감지기(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해당 어드레스의 일치 여부를 쉽게 구별해 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한쪽 단면에 금속박막이 증착된 광섬유 지연선로들을 광섬유 결합기에 접속시켜 구성함으로써, 입력어드레스 광신호가 입력광섬유 결합기에 의해 분리되어 광섬유 지연선로의 끝에 있는 금속박막에서 반사된 후 입력광섬유 결합기에 의해 재결합되므로 종래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구성에 필요한 광섬유 결합기의 개수를 1/2로 줄이고도 동일한 어드레스 검출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반사형 패킷 어드레스 검출기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서, 종래의 검출기를 나타낸 제1도의 참조번호들과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제1도에서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각각 나타내며, 참조번호 4a∼4d는 금속박막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제 1 입력광섬유 결합기(1a)의 사용되지 않는 입력단의 광섬유(3g)가 출력단으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정 길이(예 : 1cm 이상)의 광섬유의 한쪽 면을 클리빙(cleaving)하여 일정한(예 : 1mm 이상) 깊이와 폭을 갖는 홈을 중앙에 형성된 알루미늄 케이스에 배열시키되, 광섬유의 클리빙된 단면이 알루미늄 케이스의 끝으로부터 일정길이(예 : 2mm 이상)가 나오도록 정렬한다.
상기 알루미늄 케이스의 뚜껑을 덮은 후 나사로 조여 광섬유들이 상기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빔 증착장치의 진공 챔버 내에 상기 알루미늄 케이스를 위치시킨다.
광섬유의 상기 클리빙된 단면이 증착할 금속 타겟을 마주 보게 위치치킨 후 원하는 반사율(예 : 1%~99% 사이)을 얻을 수 있는 두께로 금속박막을 증착시킨다.
진공 챔버에서 알루미늄 케이스를 꺼낸 후 나사들을 풀어 진공 챔버로부터 광섬유를 분리시킨다.
어드레스 '1'의 비트수가 4개인 어드레스 검출기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2도를 참조하여, 입력 광 패킷 신호를 증폭하여 단일 초단 펄스를 발생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도시되지 않음)의 피그테일(pigtail)된 출력 광섬유를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한 입력광섬유(3a)와 융착접속시킨다.
상기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두 출력 광섬유(3b,3c)에 각각 제 2 광섬유 결합기(1b)의 한 입력광섬유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1c)의 한 입력광섬유를 각각 융착접속시킨다.
본 발명의 예에서는, 제 1 내지 제 3 광섬유 결합기(1a~1c)로서 2×2, 3dB의 광섬유 결합기들이 사용된다.
제 2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1b,1c)의 클리빙된 출력 광섬유들로부터 반사되어 종래기술(제1도)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다른 한 입력광섬유(3g)로 출력되는 프레넬(Fresnel) 펄스들의 위치를 광전검출기를 거쳐 오실로스코프 상에서 측정한다.
이들 펄스들의 시간 축 상의 위치로부터 검출기 어드레스 코드의 비트 '1'들의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2a∼2d)의 길이를 다음의 식에 따라 각각 계산한다.
금속박막(4a∼4d)이 각각 증착된 제 1 내지 제 4 광섬유 지연선로들의 기본 단위 길이는와 같다.
여기서, c는 진공 중에서 빛의 속도(=3×108m/sec), t는 두개의 어드레스 비트 '1' 사이의 시간 차이, nC는 광섬유 코어의 굴절률이다.
만일, 어드레스 비트의 속도가 2.5Gbps급(t=1/(2.5×109))이고, nC=1.46이라면, 비트들 사이의 광섬유 지연선로의 단위 길이 차이는 4.109cm가 된다.
따라서, 4개의 비트 '1'로 이루어진 어드레스 코드가 101101이라면, 금속박막이 증착된 4개의 광섬유 지연선로가 필요한데, 첫 번째 비트(MSB)에 해당하는 광섬유의 길이를 기준으로 하면, 세 번째 비트에 채당하는 지연선로의 길이는 첫 번째 지연선로보다 2×4.109cm가 더 길어야 하며, 네번째 비트 지연선로는 3×4.109cm가, 6번째 비트 지연선로는 5×4.109cm가 더 길어야 한다.
이렇게 결정된 길이의 광섬유 지연선로들을 클리빙하여 해당 시간 지연을 갖는 제 2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들(1b,1c) 각각의 출력 광섬유들에 차례로 융착접속시킨다.
이와 같이 제작된 반사형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의 출력(즉,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제 2 입력광섬유(3g)를 통하여 출력되는 광 펄스 신호) r(t)은 다음과 같은 상관 함수를 갖는다.
이 식에서, i(x)는 입력어드레스 신호의 파형이고, f(x)는 검출기의 임펄스 응답이 다.
입력광 어드레스 코드가 검출기의 어드레스와 일치하면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제 2 입력광섬유(3g)에는 자기상관 펄스가, 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하지 않으면 교차상관 펄스가 각각 나타난다.
자기상관의 중앙펄스 진폭은 어드레스 코드 내의 비트 '1'의 수에 비례하므로 어드레스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교차상관의 중앙 펄스의 진폭 보다 높아 어드레스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는 종래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의 구성과 비교할 때 훨씬 적은 수의 결합기로 동일한 어드레스 검출특성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어드레스 비트 '1' 의 수에 대응하는 갯수의 광섬유 지연선로를 갖는 광 패킷 교환기의 어드레스 검출기에 있어서, 적어도 두개씩의 입력 광섬규와 출력 광섬유를 각각 갖고, 상기 두 입력광섬유 중 하나는 증폭수단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상기 입력광섬유 중 하나는 출력단으로서 사용되는 제 1 광섬유 결합기(1a)와; 상기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상기 두개의 출력 광섬유 중 하나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섬유와 두개의 출력 광섬유를 각각 갖는 제 2 광섬유 결합기(1b)와; 상기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상기 두개의 출력 광섬유중 다른 하나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광섬유와, 두개의 출력 광섬유를 각각 갖는 제 3 광섬유 결합기(1c)와; 상기 제 2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1b, 1c)의 출력 광섬유들에 일단이 각각 접속되는 광섬유 지연선로들(2a∼2d)을 포함하고; 상기 광섬유 지연선로들(2a∼2d)은 자신들의 다른 일단에 금속박막들(4a∼4d)을 각각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2. 1cm 이상의 길이의 광섬유들의 한쪽 면을 클리빙하여 1mm 이상의 깊이와 폭을 갖는 홈을 중앙에 형성된 알루미늄 케이스에 배열시키되, 광섬유들의 클리빙된 단면이 알루미늄 케이스의 끝으로부터 2mm 이상의 길이가 나오도록 정렬하는 공정과; 상기 광섬유들이 상기 홈에서 빠지지 않도록 상기 알루미늄 케이스의 뚜껑을 덮은 후 나사로 조이는 공정과; 전자빔 증착장치의 진공 챔버 내에 상기 알루미늄 케이스를 위치시키는 공정과; 상기 광섬유들의 상기 클리빙된 단면이 증착할 금속 타겟을 마주 보게 위치시킨 후 1%~99% 사이의 반사율을 얻을 수 있도록 금속박막을 증착시키는 공정과; 진공챔버에서 상기 알루미늄 케이스를 꺼낸 후 나사들을 풀어 진공챔버로부터 광섬유를 분리시키는 공정과; 레이저 다이오드의 피그테일된 출력 광섬유를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한 입력광섬유(3a)와 융착접속시키는 공정과; 상기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두 출력 광섬유(3b, 3c)에 각각 제 2 광섬유 결합기(1b)의 한 입력광섬유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1c)의 한 입력광섬유를 각각 융착접속시키는 공정과; 제 2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1b, 1c)의 클리빙된 출력 광섬유들로부터 반사되어 상기 제 1 광섬유 결합기(1a)의 다른 한 입력광섬유(3g)로 출력되는 프레넬 펄스들의 위치를 측정하여 광섬유 시간 지연선로들(2a∼2d)의 길이를 계산하고, 그에 따라 광섬유 지연선로들을 클리빙 하여 해당 시간지연을 갖는 제 2 및 제 3 광섬유 결합기들(1b, 1c) 각각의 출력 광섬유들에 차례로 융착접속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의 제작방법.
KR1019940022870A 1994-09-10 1994-09-10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0150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870A KR0150021B1 (ko) 1994-09-10 1994-09-10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AU80326/94A AU672147B2 (en) 1994-09-10 1994-12-08 Fiber-optic address detector in photonic packet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08/354,867 US5450507A (en) 1994-09-10 1994-12-09 Fiber-optic address detector in photonic packet switching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GB9425194A GB2293035B (en) 1994-09-10 1994-12-12 Fibre-optic address detector
DE4444161A DE4444161C2 (de) 1994-09-10 1994-12-12 Lichtwellenleiter-Adressendetektor in einer photonischen Paketvermittlungsvorrichtung
JP6307901A JP2571678B2 (ja) 1994-09-10 1994-12-12 光パケット交換器の光ファイバアドレス検出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870A KR0150021B1 (ko) 1994-09-10 1994-09-10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0021B1 true KR0150021B1 (ko) 1998-12-15

Family

ID=19392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870A KR0150021B1 (ko) 1994-09-10 1994-09-10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50507A (ko)
JP (1) JP2571678B2 (ko)
KR (1) KR0150021B1 (ko)
AU (1) AU672147B2 (ko)
DE (1) DE4444161C2 (ko)
GB (1) GB22930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1394B1 (ko) 1999-12-03 2002-06-22 오길록 광 패킷 스위치의 광 패킷 헤더 처리장치
JP4492314B2 (ja) * 2004-11-26 2010-06-30 横河電機株式会社 アドレス判定回路および光通信システム
JP4645427B2 (ja) * 2005-11-30 2011-03-09 横河電機株式会社 アドレス認識装置
KR102524579B1 (ko) 2017-01-06 2023-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파장 가변 레이저 다이오드의 파장이 변환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포토닉 프레임을 전송할 시간을 결정하는 포토닉 프레임 스위칭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019A (en) * 1988-03-14 1989-08-22 Litton Systems, Inc. Fiber optic telemetry system
WO1989011110A1 (en) * 1988-05-12 1989-11-16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Of Department Of Def An interferometric fibre optic network
DE4031392A1 (de) * 1989-10-03 1991-04-11 Licentia Gmbh Faseroptischer sternkoppler
GB9027652D0 (en) * 1990-12-20 1991-02-13 Univ Strathclyde Optical processing system
US5206924A (en) * 1992-01-31 1993-04-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Fiber optic Michelson sensor and arrays with passive elimination of polarization fading and source feedback iso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50507A (en) 1995-09-12
DE4444161C2 (de) 2003-05-28
GB9425194D0 (en) 1995-02-08
DE4444161A1 (de) 1996-03-28
GB2293035A (en) 1996-03-13
JPH0888605A (ja) 1996-04-02
AU8032694A (en) 1996-03-28
JP2571678B2 (ja) 1997-01-16
GB2293035B (en) 1998-01-07
AU672147B2 (en) 199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16440B1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fiber monitoring
US7403674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a multimode optical fiber using a bulk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for maintaining modal power distribution
JPH07303266A (ja) 光通信ネットワーク
Shin et al. Fiber-optic matched filters with metal films deposited on fiber delay-line ends for optical packet address detection
AU596451B2 (en)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5809187A (en) Multi-port network using passive optical couplers
US5452071A (en) Method of measuring optical attenuation using an 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
FR2756934A1 (fr) Filtres optiques de longueur d'onde et demultiplexeur utilisant de tels filtres
KR0150021B1 (ko) 광 패킷 교환기의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959058B (zh) 一种快速检测时分复用光网络链路故障的装置及方法
US7596316B2 (en) Method of sending packet-formed information optically using different wave-lengths for address and useful information
US7630633B2 (en) Optical bit stream reader system and method
US5987201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fused dense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EP0665615B1 (fr) Amplificateur optique à fibre optique en verre fluoré dopé et procédé de fabrication de cet amplificateur
JP2006042063A (ja) 分岐光線路監視システムおよび方法
EP0987843A2 (en) Remote amplifier for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of location of a faulty point
JP3122293B2 (ja) Otdr測定装置
KR0139721B1 (ko) 코드 가변 광섬유 어드레스 검출기
US5949936A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fused dense wavelength-division multiplexer
KR100250446B1 (ko) 반사형 광도파로를 이용한 광 패킷 어드레스 검출기
EP0509434B1 (fr) Installation de transmission à liaison optique télésurveillée
KR960013957B1 (ko) 광패킷 교환기용 헤더 검출기
Quintard et al. Optical packet synchronization device based on acousto-optic interaction: characterization and performance
KR100698601B1 (ko) 광선로 거리 측정 장치
Calaby An Optical Bypass Switch for Network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