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9984B1 - 접는 탁자 - Google Patents

접는 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984B1
KR0149984B1 KR1019900700654A KR900700654A KR0149984B1 KR 0149984 B1 KR0149984 B1 KR 0149984B1 KR 1019900700654 A KR1019900700654 A KR 1019900700654A KR 900700654 A KR900700654 A KR 900700654A KR 0149984 B1 KR0149984 B1 KR 0149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or
base
table top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1198A (ko
Inventor
마트레 비요른
Original Assignee
마트레 비요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트레 비요른 filed Critical 마트레 비요른
Publication of KR900701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1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접는 탁자
제1a도 - 1c도는 본 발명의 탁자에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의 탁자윗면을 보여준다.
제2도는 본 발명의 탁자에 있어서 정립상태의 첫 번째 구체예의 저략도.
제3도와 제4도는 제2도의 탁자에 있어서 정립상태와 접힌 상태의 부분적 단면을 보여주는 각각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5도 - 제7도는 탁자윗면과 플로어 요소의 확대된 크기와 또한 이들 사이의 시일링 연결 및 기저부의 측벽을 보여주는 부분적 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탁자에 있어서 제1도와 유사한 또 다른 구체예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9도 - 제11도는 제8도의 탁자에 있어서, 정립위치, 중간위치, 접힌 위치의 부분적 단면을 보여주는 각각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12a도 및 제12b도는 제8도의 구체 예에 있어서, 정립위치와 중간위치의 지지부를 각각 보여주는 측면도.
제13도는 제8도의 구체 예에 있어서, 지지부 배열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13, 14, 48 : 시일링 프로파일 15, 52 : 탁자
16, 53 : 탁자윗면 17, 54 : 중심부
18, 19, 55, 56 : 날개판 22, 23, 58, 59 : 컬럼
24, 25 : 가로확장로드 26, 27, 62, 63 : 회전축
28, 29, 64, 65, 65a, 65b : 측면부 30, 31 : 지레받침
32 : 기저부 33 : 개방구, 리세스
34 : 플로어 35 : 측벽
36 : 돌출플랜지 37, 38 : 지지용 아암
39, 72 : 플로어요소
40, 41, 74, 75, 75a, 75b : 세로확장슬롯 42 : 고무로울러
44 : 로드요소 45 : 지지아암
46 : 회전축 47, 73 : 로울러
49 : 내향돌출부 50, 51 : 가스켓
57 : 상자형 부분 59a, 59b, 60, 61 : 로드
66, 67, 68, 69 : 홈 70, 71 : 지지부
77 : 돌출부
본 발명은 탁자윗면, 기저부, 또한 한 단부에서는 탁자면에 대하여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기저부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연결된 다수의 지지용 다리를 포함하는 접는 탁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형태의 탁자는 미국특허 제 2,565,187 호에 공지되었다. 이 특허에서 저면부와 또한 탁자윗면에 대해 각각 경첩으로 연결된 접는 지지구조형의 다리가 있는 판지탁자를 보여준다. 이 지지구조는 광범위한 조건의 튼튼한 지지물을 제공하며 이 조건에서 지지구조를 고정 및 보강하고 동시에 소공간에서도 쉽게 접어 보관할 수 있는 특별한 수단이 포함된다. 한편, 탁자는 지지할 플로어(마루)면 위에서 자유롭게 세우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켐핑카, 캐러반, 유람선, 상선, 객차, 수송차량의 운전대, 버스 등에 설치하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접는 탁자를 제공하는 것이며, 탁자는 탁자를 사용하는 장소의 플로어 면과 탁자윗면이 편평하게 된 위치에서 접을 수 있고 또한 사용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안전히 고정시켜 세운다.
상술한 목적은 기저부가 탁자의 사용장소에 있는 플로어 면의 개방부분에서 조립하도록 배치된 상자형 부분으로서 상부 면이 열려 있고, 또한 다리의 하단부가 기저부의 저면에 설치되고, 한편 탁자의 접위치에 있는 탁자윗면의 상부가 플로어 개방부 주변의 면 높이와 평행한 상태로 하부다리에 얹혀 놓인 측벽이 기저부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르는 탁자에 대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탁자에 있어서의 유리한 구체 예는 다리의 하부단면을 교차 확장 축으로 설치하고 교차부 또는 측부를 통하여 축과 연결되며, 또한 플로어 개방부를 덮는 평판형 플로어요소를 지지하는 배열로된 지지부가 상기의 확장축과 연결되고 결과적으로, 탁자의 접위치에 있는 플로어요소가 다리와 지지부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지지부를 사용하여 적절한 탁자높이를 플로어 표면높이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접위치의 탁자윗면을 편평하게 하여 이것이 플로어 면의 일부가 되면 플로어 면으로 사용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지고 또한 탁자를 분리해도 사용함에 있어서 아무런 장애가 없다. 플로어요소 때문에 탁자가 정립위치일 때 플로어 리세스(recess)를 덮어 감출 수 있고, 이러한 미관 적인 장점과 함께 떨어진 물건이 리세스속으로 들어가거나 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처럼 실용적인 장점도 있다.
별도로, 탁자를 접위치로 할 때 기저부 측벽의 상부모서리가 탁자윗면의 측면모서리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일링 때문에 플로어 개방부속으로 흐르지 않고 접위치일 때의 탁자의 표면이 물과 평행하게 된다. 이것은 예컨대 선상에서 사용할 경우이다. 덧붙여서, 먼지가 개방부안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탁자윗면은 중심부와 경첩 달린 측 날개판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며 날개판이 중심부위로 굽혀질 수 있고 접힌 상태의 탁자윗면이 상자형 기저부속으로 들어가 시일링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사용장소의 플로아가 카아핏등으로 깔려있을 경우, 같은 종류의 덮개가 날개판의 하면과 또한 굽은 상태에서 한 날개판 전체를 덮고 있는 다른 한 날개판에 대해서만 접착되어 그 결과 날개판이 굽어질 때 위로 향하고 따라서 탁자가 접힌 형태일 경우 남아있는 플로어 덮개와 평행하게 된다. 이러한 덮개는 플로어 요소의 상부 면에 설치한다.
본 발명을 다음의 관계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한 구체 예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 각 도면의 부분과 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고번호를 사용한다.
제1a, 1b 및 1c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경첩 달린 날래판 탁자의 다양한 디자인으로된 탁자윗면을 보여준다. 제1a도는 중심부(1)와 한 쌍의 날개판(2)(3)이 있는 직사각형 탁자윗면을 보여준다 ; 제1b 도는 끝이 좁아지는 중심부(4)와 이에 상응하는 날개판(5)(6)을 포함한 탁자윗면을 보여주고 ; 또한 제1c 도는 원형부채꼴의 중심부(7)와 이에 상응하는 날개판(8)(9)을 포함한 탁자윗면을 보여준다. 중심부와 날개판은 경첩(10)과 (11)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면에서 나타낸 변형체를 위로 올려 굽어진 상태에서 서로 덮을 수 있다고 이해된다. 따라서, 밑에 깔 날개판용 경첩(10)은 제5도에서 구체적으로 보여준 바와 같이 2중으로 되어 있다. 별도로, 중심부의 절반크기로 된 날개판이 굽은 위치에서 이 중심부를 함께 덮을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중심부와 또한 동일한 전체 폭의 탁자윗면보다 더 큰 쪽으로 된다.
제1a도, 1b도, 또한 1c도의 밑에 깔린 날개판에는 각각 포위용 시일링 프로파일 (12)(13)과 (14)를 설치한다. 이 시일링 프로파일을 제5도와 제7도에서 더 구체적으로 나타냈다. 탁자 윗면의 형태를 이것을 사용할 주위환경에 따라 선택하며 용도가 확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c도의 구성은 유람선 선수(stem)에 설치할 탁자의 경우이다.
제2도 - 제4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체예의 탁자(15)는 중심부(17)와 또한 경첩(20)(21)으로 중심부에 연결한 한 쌍의 날개판(18)(19)으로된 탁자윗면(16)을 포함한다. 탁자다리는 컬럼(22)과 (23)의 한 쌍의 지지주를 포함한다. 이것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탁자의 세로중심선에 위치한다. 이 컬럼의 한단면 즉, 탁자를 세운 정립위치의 상단부와 가로확장로드(24)와 (25)에 대해 각각 연결되고 각 단부가 탁자윗면의 하면에 대해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각 컬럼(22)(23)의 하단부는 각각 가로 혹은 측부(28)와 (29)를 통해 확장회전축(26)과 (27)에 연결되고 이 측부(28)와 (29)는 컬럼으로부터 돌출하여 L-형 요소를 형성한다. 회전축의 각 단부는 탁자기저부(32)에 조립 혹은 배열된 적절한 각 베어링이나 제러받침(30)(31)에 설치한다.
보여진 바와 같이, 기저부(32)는 탁자설치 혹은 사용장소에 있는 플로어(34)(제3도와 제4도)의 리세스나 개방구(33)에 조립하기 위한 트레이 혹은 상자형 부분으로 되어 있다. 기저부는 상부모서리를 둘레에 외향돌출플랜지(36)가 있는 측벽(35)을 포함하며 이 플랜지는 탁자를 설치할 때 개방구(33)의 인접모서리를 받쳐주기 위한 것이다. 제5도와 제6도에서 설명한 것처럼 상부모서리를 따라, 측벽이 탁자윗면(16)의 측면모서리에 대해 또한 탁자플로어요소와 함께 시일링연결하도록 배열된다.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3도와 제4도에서는 시일링 배열의 세부사항을 고려하지 않았다.
기본적인 기저부 형태가 상자형 부재라고 해도, 다소간의 골격 구조를 변형할 수 있다.
실시된 구체 예에서, 지지컬러(22)(23)와 평행한 축에서 고정 혹은 지지용 아암(37)과 (38)형태의 지지부를 각 회전축(26)과 (27)의 단부에 대해 단단히 연결시킨다. 지지용 아암은 플로어(34) 개방구(33)를 덮는 편평판형 플로어 요소(39)를 지지하도록 배열된다.
탁자의 접힌 또는 붕괴위치에서(제4도) 플로어 요소(39)가 컬럼(22)(23)과 지지용 아암(37)(38)사이에 위치하며 이 컬럼과 지지용아암사이의 중간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면부(28)(29)를 설치한다. 제3도에서 나타낸 것처럼, 탁자가 수직위치의 지지컬럼과 함께 정립형태로 되어 있을 때 기저부(32)의 저면에 안전하게 놓일 수 있는 방식으로 측면부를 형성한다. 이 위치에서, 지지용 아암의 자유단부로 플로어 요소(39)를 플로어(34)면과 편평한 높이까지 올리고, 지지용 아암의 길이를 기저부(32) 깊이까지 조절한다.
각 지지컬럼(22) 및 (23)을 위하여 이 컬럼이 통과하면서 확장하고, 컬럼과 그 측부(28)(29)가 탁자의 정립 또한 접는 과정에서 통과할 수 있는 충분한 길이와 폭으로 된 세로확장슬롯(40) 및 (41)을 플로어 요소(39)에 설치한다.
실실된 구체 예에서, 각 지지아암(37)(38) 자유단부에 대해 상승 및 하강과정에서 플로어요소 지지물을 회전시키기 위한 고무로울러(42)를 설치한다.
보여진 바와 같이, 정립위치의 탁자방향으로 작용하도록 배열한 한 쌍의 압력스프링(43)형 스프링수단도 구비한다. 스프링은 탁자를 정립위치로 들어올리고 또한 탁자가 이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덧붙여서, 플로어 요소(39) 하부에 있는 기저부의 각 코오너에 또 다른 스프링을 설치하여(도면에 없음) 플로어요소를 자동초기상승시키고 이에 따르는 지지컬럼과 지지부의 초기선회운동 때문에, 결과적으로 탁자를 세울 때 스프링이 움직여 도와주게 된다.
제2도 - 제4도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이 구체 예에서는 회전축과 지지컬럼이 기저부(32)의 한단부 모서리 방향으로 물러나고 따라서 플로어 요소(39)의 다른 단부모서리를 회전축의 지지아암(37)(28)으로 받칠 수 없음을 예측한다. 그러므로, 또 다른 지지수단을 플로어 요소의 모서리에 배치한다. 이것은 한 끝부분이 중심회전축(27)의 지지아암(38)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또다른 끝부분에서는 상기의 플로어요소의 단부모서리에 있는 부가적인 회전축(46) 한끝에 부착된 지지아암(45)의 자유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로드요소(44)를 포함한다. 이에 상승하는 부가적인 지지아암(45)을 회전축(46)의 다른 끝부분에 접착하고 또한 로울러(42)와 동일한 기능의 로울러(47)를 이 아암에 설치한다.
탁자윗면의 하면에 배열된 가로확장로드(24)(25)는 탁자윗면의 하면에 잇는 레일이나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제2도의 점선). 따라서, 탁자를 정립위치로 할 때 지지컬럼과 관계된 적합한 위치에 탁자윗면을 고정시킨다.
기저부의 측벽과 탁자윗변사이의 시일링 배열은 제5도 - 제7도에서 구체화하였다. 제5도와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탁자윗면의 날개판(18), 더 구체적으로는 접힌 상태의 탁자에서 가장 높은 위치의 날개판을 포위시일링 프로파일(48)과 함께 설치한다. 기저부의 측벽(35)에는 포위가스켓(50)을 설치한 상향개방홈이 있는 내향돌출부(49)가 들어 있다. 탁자윗면을 접어 기저부 아래로 내릴 경우, 시일링 프로파일(48)은 가스켓(50)과 맞물리고 시일링된다.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탁자를 정립위치에 놓고 플로어 요소를 플로어(34) 표면 높이까지 올리면 플로어요소(39)와 기저부 측벽간의 시일링이 형성된다. 플로어 요소 원주둘레에 위치한 가스켓(51)이 측벽의 내향돌출부(49) 하면에 높일 때 시일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탁자의 두 번째 구체 예는 제8도 내지 제11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이 구체 예에서, 상승/하강 메카니즘은 지지컬럼이 피벗점에서 서로 교차하고 그리하여 탁자 윗면과 기저부 사이의 가위연결부를 형성하는 가위원리에 기초한다. 이 구체 예는 제2도 - 제4도의 구체 예와 관련하여 요구된 공간을 축소하고 또한 제작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다.
탁자(52)의 윗면(53)은 제2도 - 제4도에 따른 구체 예와 상응하는 방식으로 서로 경첩으로 연결된 한 쌍의 날개판(55)(56)과 또한 중심부(54)를 포함한다. 또한 기저부는 상술한 구체 예에 상응하는 디자인의 상자형 부분(57)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것은 가위형 다리변형을 선택하므로써 세부적인 것은 다소 다르다. 기저부의 측벽과 탁자윗면 사이의 시일링 배역과 또한 플로어 요소는 상술한 배열과 일치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기본적인 탁자의 가위다리는 하나가 두 갈래로 된 한쌍의 지지 컬럼(58)(59)을 포함하며, 이 컬럼은 구조의 안정감을 위해 다른 컬럼의 한 측면으로 확장하는 한 쌍의 로드(59a)(59b)로 되어 있다. 한 지지컬럼의 단부는 탁자윗면(53)의 하면에 선회적으로 설치한 가로확장로드(60)와 (61)에 대하여 각각 연결된다. 또한 지지컬럼의 다른 단부 혹은 하부단면은 측부(64)와 (65)(65a)(65b)를 통해 컬럼세로축과 적절한 각도를 이루면서 확장하는 가로확장축(62)과 (63)에 각각 연결된다.
제8도 - 제1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지지컬럼(58)의 축(62)은 기저부(57)에서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또한 다른 지지컬럼(59)과 탁자윗면(53)사이의 피벗연결에 있는 가로확장로드(60)가 같은 방식으로 이동하여 탁자를 접거나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가로확장로드(60)는 탁자윗면의 중심부(54)에 있는 적절한 가이드 혹은 홈(66)(67)(제8도의 점선)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축(62)은 기저부(57)측벽과 관련된 적절한 가이드나 홈(68)(69)(점선으로 표시한 부분만)에서 이동한다.
제2도 - 제4도에 따르는 구체 예에서, 지지부(70)와 (71)는 지지컬럼의 어느 면에 있는 각각의 축(62)(63)에 설치하고 이 축으로부터 돌출하며 첫 번째 구체 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이 기본으로서 탁자가 설치된 플로어의 기저부에 배열한 리세스 혹은 개방구를 덮는 편평판형 플로어 요소(72)를 지지한다. 이 구체 예에서, 지지부(70)와 (71)는 상승 및 하강하는 플로어 요소(72)를 회전 지지하기 위한 고무로울러(7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 지지컬럼(58)과 (59)를 위하여, 1차 구체 예와 동일한 목적으로 세로확장슬롯(74)과 (75)(75a)(75b)를 플로어요소에 설치하면 상기의 컬럼이 이것을 통해 확장하게 된다.
제8도 - 제11도의 구체 예에서, 지지부는 1차 구체 예와 상이한 구조로 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를 각 축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또한 지지부의 회전을 위한 스프링수단으로 작동시키면 플로어요소가 플로어 표면높이까지 상승하며 또한 탁자윗면이 중간위치, 즉 제10도에서 보여진 위치까지만 올라갈 때 탁자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형체는 특히, U-형 소파가 있는 소파코오너의 캠핑카나 유람선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중간 위치는 관례적인 정박지 제작에 또는 탁자가 선베드 혹은 그 외 종류의 자지대 기능을 하는 유람선용 조종실에서 연결하는 장점이 있다.
제12도와 제13도에서 지지부 구조를 더 상세히 보여준다. 각 지지부(71)는 축(63)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또한 축의 코일 스크링(76)이 사전 적재되어 있다. 지지부(71)는 제12a도에서 완전한 정립위치를 보여준다. 이 위치의 로울러(73)의 회전 중심은 축(63)중심과 관련된 중심-위(over-center)위치에 있고 따라서, 지지부는 로울러(73)와 플로어 요소(72)를 경유하여 지지부의 하향로드와 함께 안정한 평형상태로 유지된다. 탁자를 붕괴 위치까지 낮추면, 지지컬럼의 측부가 상기의 중간위치로 하강한 후 지지부를 하향로드에 대해 불안정한 평형위치에 놓이도록 하고(제12b도), 그 결과, 접힌 상태의 탁자윗면(53)이 기저부(57)의 붕괴위치에 놓일 때 지지부(70)(71)가 제1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위치까지 접히게 된다. 돌출부(77)를 지지컬럼 축면부에 배열하는 대신, 관계지지부(70)와 (71)에 각각 배열할 수 있으며 그 결과-적절한 위치에서-이것은 문제의 지지컬럼의 측면부에 의해 움직이게 된다. 예컨대, 돌출부는 지지부 로울러(73)설치용 축이 내부 돌출확장에 의해 나오게 된다.
지지부(70)(71)는 축(62)(63)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되므로, 구체 예에서의 축은 회전할 필요가 없으며 기저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스프링수단(78)을 기저부에 구비하면 이동성 축(62)을 타자의 정립위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탁자를 수동정립 및 접을 수 있도록(붕괴) 배열하거나 또는 적절한 기계적 혹은 전기적 수단으로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도 - 제4도의 구체 예에서, 한 지지컬럼용 회전축을 역모터(도면에 없음)의 구동축에 연결하고 또한 적절한 제한스위치로 정확한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다.
도면에서 제안한 것처럼, 탁자윗면(16)(53)에 대하여 탁자가 정립위치로 이동할 때 탁자윗면과 한 지지컬럼 사이의 회전연결을 자동차단하기 위한, 또한 그리하여 차단된 탁자를 유지하기 위한 차단수단(79)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수단은 예컨대, 차단된 상태에서 지지컬럼의 회전식 가로로드의 적당한 호울과 맞물리는 차단편의 작용을 조절할 스프링-작동핸들을 포함한다. 제8도 - 제11도의 구체 예에서, 가로횡단로드에 중간위치와 함께 또한 완전히 상승한 위치에서 탁자를 고정하는 두께의 차단 호울을 설치한다.
고정보울드 또는 그 외 종류(도면에 없음)를 붕괴위치의 탁자를 유지하기 위해 탁자의 한 측면 혹은 양쪽측면에 설치한다. 이것은 핸들로 풀 수 있다.
구체 예에서의 본 발명의 탁자는 그 중심영역에서 축과 연결된 한 쌍의 지지컬럼으 포함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공간을 고쳐하여, 특히 정립탁자내부방향으로 회전하고 부분적으로는 탁자하부로 들어가는 회전의자의 경우 탁자의 측면모서리에서 탁자다리가 부딪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 번째 구체 예에서, 지지컬럼과 또한 관계된 지지아암의 회전축은 그 일부를 강하고 또한 안정한 구조의 광선중량금속으로 제작한다. 실행에 있어서, 컬럼은 관계된 플로어요소와 탁자를 용이하게 조립하고 분리할 수 있도록 상부가로횡단로드에 연결한다. 탁자윗면의 중심부와 날개판, 또한 기저부의 플로어요소에 있어서, 이들은 제5도에서 보여진 단면을 예로 들면 광선중량금속부를 돌출 시킨다.

Claims (10)

  1. 탁자윗면(16 ; 53), 기저부(32 ; 57), 또한 한단부는 탁자윗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기저부에 대해 역시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된 다수의 지지용 다리(22, 23 ; 58, 59)를 포함하고, 한편 탁자가 탁자이용장소의 플로어(34)에 있는 개방구(33)에서 조립 배열되고 탁자윗면(16 ; 53)이 플로어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접위치에 높이게 되며, 또한 기저부(32 ; 57) 상향 개방된 상자형 부분으로서 플로어 개방구(33)에서 조립 배열되고 다리(22, 23 ; 58, 59) 하단부는 기저부(32 ; 57)의 저면부에 설치되고, 또한 이 기저부에는 접위치의 탁자윗면(16 ; 53)이 플로어 표면과 평행한 높이의 측벽(35 ; 80)이 포함되며 또한 플로어 개방구(33)을 덮기 위한 평편판형 플로어 요소(39 ; 72)를 지지하는 배열로된 지지부(37, 38 ; 70, 71)를 다리(22, 23 ; 58, 59)와 지지부(37, 38 ; 70, 71)사이에 접위치 탁자(15 ; 52)의 플로어요소가 위치하며 또한 탁자의 정립위치에서는 지지부가 플로어 표면높이까지 들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는 탁자.
  2. 제1항에 있어서, 가로확장측(26, 27 ; 62, 63)으로 다리(22, 23 ; 58, 59) 하단부를 설치하고 또한 이것을 측면부(28, 29 ; 64, 65)를 통해 축과 연결하며 또한 상기의 지지부를 (37, 38 ; 70, 71) 상기의 축(26, 27 ; 62, 63)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탁자(15 ; 52)가 접위치일 때 기저부(32 ; 57)의 측벽(35 ; 80)의 상부모서리를 탁자윗면(16 ; 53)의 측모서리와 함께 시일링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4. 제3항에 있어서, 탁자윗면(16 ; 53)이 중심부(17 ; 54)와 경첩달린 측날개판으로 되고 한편 날개판이 중심부위로 접힐 수 있고 또한 접은 상태의 탁자윗면이 상자형 기저부(35 ; 57)속으로 내려가 시일링 연결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모양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리가 탁자(15 ; 52)의 세로중심선과 근접한 범위에 있는 각 축(26, 27 ; 62, 63)에 대해 연결된 한쌍의 지지컬럼(22, 23 ; 58, 59)을 포함하고 또한 플로어 요소(39 ; 72)에 대하여 탁자의 정립 및 접는 과정에서 지지컬럼과 측면부(28, 29 ; 64, 65)를 통과시킬 수 있는 세로확장슬롯(40, 41 ; 74, 75)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지지컬럼(22, 23)과 측면부(28, 29)가 L-형 요소로 되고, 탁자(15)의 정립위치일 때의 지지컬럼(22, 23)이 수직으로 되고 또한 이 위치의 측면부가 기저부(32)의 저면부에 대향하여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7. 제5항에 있어서, 지지컬럼(58, 59)이 서로 교차하고 탁자 윗면(53)과 기저부(57) 사이에서 가위결합하며, 지지컬럼(58)용 축(62)이 기저부(57)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고 또한 다른 지지컬럼(59)과 탁자윗면(53)사이의 회전연결(60)이 동일한 방식으로 변위하여 탁자(52)를 접거나 또한 정립할 수 있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나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를(37, 38 ; 70, 71) 각 축(26, 27 ; 62, 63)의 각 단부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9. 제5항에 있어서, 탁자(15)를 세울 때 탁자의 정립방향으로 지지부(37)가 움직이게 하는 배열로 된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수단(4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10. 제7 항에 있어서, 지지부(70, 71)를 축(62, 63)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하고 지지부를 회전시키는 스프링수단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 결과 탁자윗면(53)이 중간위치까지만 올라갈 때 플로어요소(72)가 플로어 표면높이까지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자.
KR1019900700654A 1988-07-27 1989-07-26 접는 탁자 KR01499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883318 1988-07-27
NO883318A NO883318D0 (no) 1988-07-27 1988-07-27 Sammenleggbart bord.
PCT/NO1989/000077 WO1990000868A1 (en) 1988-07-27 1989-07-26 Collapsible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1198A KR900701198A (ko) 1990-12-01
KR0149984B1 true KR0149984B1 (ko) 1999-03-30

Family

ID=1989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654A KR0149984B1 (ko) 1988-07-27 1989-07-26 접는 탁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69142A (ko)
EP (1) EP0426742B1 (ko)
JP (1) JP2716830B2 (ko)
KR (1) KR0149984B1 (ko)
AU (1) AU4040989A (ko)
DE (1) DE68914285T2 (ko)
DK (1) DK170135B1 (ko)
FI (1) FI910376A0 (ko)
NO (1) NO883318D0 (ko)
WO (1) WO19900008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07B1 (ko) * 2011-05-03 2013-11-25 주식회사 파세코 조립식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0104A (en) * 1994-02-14 1995-10-24 Young, Sr.; James Stowable table
US5771815A (en) * 1996-02-02 1998-06-30 Glaval Corporation Collapsible table for motor vehicle
US5727478A (en) * 1996-08-16 1998-03-17 Asc Incorporated Pop-up table assembly
US5974980A (en) * 1997-11-10 1999-11-02 Kent; Roger T. Easily installed, adjustable, ironing board-in-a-drawer
US5947416A (en) * 1998-05-04 1999-09-07 Raytheon Aircraft Corporation Floor rising cabin table
ATE292914T1 (de) * 2000-10-05 2005-04-15 Lufthansa Technik Ag Ausklappbarer wandtisch
US6578500B2 (en) * 2001-09-26 2003-06-17 Tam Srl Collapsible structure
DE10200881B4 (de) * 2002-01-11 2017-02-23 Volkswagen Ag Klapptisch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20050252429A1 (en) * 2004-05-17 2005-11-17 Stephen Logan Retractable table
GB0612858D0 (en) * 2006-06-29 2006-08-09 Univ Bournemouth Decking module with incorporated collapsible table and seating
CN102165647B (zh) * 2008-07-26 2014-08-13 莫列斯公司 具有手指致动的保持器的电连接器
ITCZ20090014A1 (it) * 2009-07-13 2011-01-14 Giuseppe Martino Tavolo pieghevole a scomparsa
US8215241B2 (en) * 2010-02-25 2012-07-10 Msb Design Vertical linear actuator mechanism
US8522769B2 (en) 2010-08-18 2013-09-03 The Grill Company, Llc Folding worktable for use on an outdoor grill
EP3131437A4 (en) 2014-04-14 2018-03-07 Ergotron, Inc. Height adjustable desktop work surface
CN108024625B (zh) 2015-09-24 2021-08-03 爱格升公司 高度可调节装置
US10602840B2 (en) 2015-10-08 2020-03-31 Ergotron, Inc. Height adjustable table
CA2973252A1 (en) * 2016-07-14 2018-01-14 Christopher J. Litwin Portable hunting blind base and accessories therefor
USD811787S1 (en) * 2017-02-03 2018-03-06 Vestre As Table
US10232793B2 (en) * 2017-05-09 2019-03-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ruck bed integrated fold-out table
GB2573489B (en) * 2018-01-26 2020-05-06 Ford Global Tech Llc A stowable table assembly for a vehicle
AU2019264851A1 (en) * 2018-05-09 2020-02-06 Hockey, Philip Kenneth A mobile unit
US11547190B2 (en) * 2019-09-12 2023-01-10 Eric A. DeVeaux Wheeled bag with extendable support platform
US20210112968A1 (en) * 2019-10-19 2021-04-22 Tevos Ltd. Automatically transforming seating and dining arrangement, its applica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14834331B (zh) * 2022-05-09 2023-06-16 长沙理工大学 一种车载娱乐桌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886A (en) * 1903-01-03 1903-08-18 Guy Smith Arm-rest.
US928726A (en) * 1908-12-24 1909-07-20 Guy Henry Witthaus Disappearing table.
GB190915639A (en) * 1909-07-05 1909-12-23 Fred James Rees Improvements in or connected with Flooring.
US1600823A (en) * 1926-04-03 1926-09-21 Arnam Mfg Company Van Folding bench
US1881047A (en) * 1931-07-17 1932-10-04 John P Doman Folding board
US2388192A (en) * 1944-05-22 1945-10-30 Bell & Howell Co Folding stand
US2662318A (en) * 1949-05-10 1953-12-15 Edwin E Foster Folding ironing board
US2719066A (en) * 1954-06-24 1955-09-27 Budzinski Sylvester Martin Folding table for vehicles instrument panel
GB833931A (en) * 1957-12-05 1960-05-04 Paton Co Ltd Calver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olding tables
US3000683A (en) * 1958-10-30 1961-09-19 Rose C Macneary Combined portable typewriter and table with carrying case and stool
US3105488A (en) * 1959-09-17 1963-10-01 Albert M Richards Respiratory devices
CH389195A (de) * 1960-09-15 1965-03-15 Egger Fridolin Tisch mit von einem scherenartig zusammenklappbaren und in verschiedenen Stellungen arretierbaren Gestell getragener höhenverstellbarer Tischplatte
FR1320941A (fr) * 1962-02-02 1963-03-15 Dispositif de blocage pour pieds de pièces de mobilier
US3105448A (en) * 1962-06-04 1963-10-01 Geoffrey A Patrie Folding table
FR1348093A (fr) * 1963-02-08 1964-01-04 Perfectionnements de tables et plateformes élévatrices et dispositifs similaires
US3203373A (en) * 1964-03-13 1965-08-31 Murry W Maxwell Ironing boar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707B1 (ko) * 2011-05-03 2013-11-25 주식회사 파세코 조립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4285T2 (de) 1994-10-20
JPH04500054A (ja) 1992-01-09
EP0426742A1 (en) 1991-05-15
DK13691D0 (da) 1991-01-25
US5069142A (en) 1991-12-03
NO883318D0 (no) 1988-07-27
WO1990000868A1 (en) 1990-02-08
DK13691A (da) 1991-03-25
DE68914285D1 (de) 1994-05-05
AU4040989A (en) 1990-02-19
DK170135B1 (da) 1995-06-06
EP0426742B1 (en) 1994-03-30
JP2716830B2 (ja) 1998-02-18
KR900701198A (ko) 1990-12-01
FI910376A0 (fi) 1991-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984B1 (ko) 접는 탁자
RU2161228C2 (ru) Передвижное складное здание
CA1303640C (en) Fold and roll staging
KR940702244A (ko) 다단계 절첩식 스테이지(Multi-level folding stage)
US6070367A (en) Folding stage
KR102180835B1 (ko) 공간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간확장형 캠핑카
EP0791122B1 (en) Mobile folding stage
US3113533A (en) Locking and unlocking folding brace
KR101949166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US4250906A (en) Folding caravan of tent canvas
US3724893A (en) Foldable tent camping unit
KR101876121B1 (ko) 폴딩식 시트와 연동되는 차량의 러기지 보드 어셈블리
JP6905712B2 (ja) 脚部の回動制御機構ならびにこれを使用する折り畳みテーブルおよびトラックの箱形荷台分割用テーブル
NO170256B (no) Sammenleggbart bord.
US4207713A (en) Modular space structuration device
JPH083299Y2 (ja) 折りたたみテーブル
US2579076A (en) Drop leaf table with leg control linkage
KR200169261Y1 (ko) 자동진열대
KR100189426B1 (ko) 높이 및 각도조절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조립식테이블
KR0112740Y1 (ko) 침대용 절첩식 경대
JPH0432449Y2 (ko)
JPS5825854Y2 (ja) 折畳テ−ブル
RU97110112A (ru) Передвижная складная сцена
JPH0572201B2 (ko)
JPH11117558A (ja) 簡易ステー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