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987B1 - 배터리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조립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987B1
KR0148987B1 KR1019950032640A KR19950032640A KR0148987B1 KR 0148987 B1 KR0148987 B1 KR 0148987B1 KR 1019950032640 A KR1019950032640 A KR 1019950032640A KR 19950032640 A KR19950032640 A KR 19950032640A KR 0148987 B1 KR0148987 B1 KR 014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driver
assembly
automatic wind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8785A (ko
Inventor
편도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987B1/ko
Publication of KR970018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01M10/0409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for cells with woun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05Devices for making primary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와인딩작업으로 소자를 생성하고, 이 소자를 캔에 삽입하는 공정을 자동화한 배터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은 물체감지센서 및 푸쉬장치에 의해 소자고정용 지그(90)의 진행방향을 변환하여주는 4개의 소자이송컨베어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의 일측에 설치된 수개의 제1∼제4자동와인딩기와, 상기 제1∼제4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되는 와인딩된 소자를 컨베어상을 흐르는 상기 지그에 삽입하는 제1∼제4소자이재기와, 상기 지그의 흐름을 정지 또는 통과시키는 각각의 스토퍼와, 상기 지그 및 소자등을 감지하는 각각의 센서부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상에는 스토퍼 및 센서부를 구비한 별도의 예비이재기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상에는 스토퍼, 센서부 및 소자로딩기가 형성된 소자조립기를 설치하여 된 것이다.
따라서, 이 발명은 배터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자 와인딩과, 와인딩된 소자를 소자조립기로 이송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작업인원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른 불량률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배터리 조립장치
제 1 도는 배터리의 일반적인 조립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a)는 와인딩시를, (b)는 와인딩이 완료된 소자를, (c)는 캔에 소자가 삽입된 구성도이다.
제 2 도는 종래의 배터리 조립공정의 와인딩공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자고정용 지그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a)는 소자가 삽입된 상태의 측단면도, (b)는 일실시예, (c)는 다른 실시예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조립장치의 회로 블럭도,
제 6 도의 (a)(b)는 본 발명에 의한 제어 수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소자 4 : 캔
20,30,40,50 : 푸쉬장치 31,41,51,61 : 제1∼제4자동와인딩기
32,42,52,62 : 제1∼제4소자이재기 34,44,54,64,72,84 : 센서부
20a∼50a : 센서 33,43,53,63,71,83 : 스토퍼
70 : 예비이재기 21,22,23,24 : 소자이송컨베어
81 : 소자조립기 82 : 소자로딩기
90 : 소자고정용 지그 S1,S2,S3 : 제1,2,3센서
100 : 주제어부
110A∼110D : 제1∼제4자동와인딩기 구동부
120A∼120D : 제1∼제4소자이재기 구동부
130 : 컨베어구동부 140 : 푸쉬장치 구동부
150 : 소자조립기 구동부 160 : 소자로딩기 구동부
190 : 제어부 191 : 타이머
192 :타이머 193 : 센서부
194 : 취출부 195 : 스토퍼작동부
본 발명은 배터리의 조립 공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와인딩작업으로 소자를 생성하고, 이 소자를 캔에 삽입하는 공정을 자동화한 배터리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은 배터리는 특히, 카메라등에 사용되는 리튬배터리로서, 그 제조공정을 살펴보면, 리튬 및 이산화망간(MnO2)의 박판(1)을 잘라서 음극(-) 및 양극(+) 리이드(2)(2)를 부착하고 실링테이프를 양면에 붙인다. 이와 같이 된 것을 와인드(WIND)기를 통해 제 1 도의 (a)(b)와 같이 와인딩하여 소자(3)를 형성하고, 이 소자(3)를 제 1 도의 (c)와 같이 배터리용 캔(4)에 삽입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소자(3)가 삽입된 캔(4)에 전해액을 주입한후 캡(cap)을 씌움으로서 배터리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터리의 조립 공정에 있어서, 와인딩하여 소자(3)를 형성하고, 이를 캔(4)에 삽입하는 종래의 공정이 제 2 도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자이송컨베어(5)의 양측에는 여러개의 와인딩기(7∼10)가 설치되고, 상기 와인딩기(7∼10)에는 이를 조작하는 작업자(13)가 있다. 또한, 메인컨베어(6)의 일측에는 수개의 소자조립용테이블(11,12)이 설치되고, 이를 조작하는 작업자(13)가 있다.
따라서, 작업자(13)가 수작업으로 와인딩기(7∼10)에 재료(리튬 및 이산화망간 박판)을 잘라서 음극 및 양극 리드를 부착하고 실링테이프를 붙여서 상기 와인딩기에 집어 넣으면 리튬 및 이산화망간이 와인딩되고 실링되고, 다시 작업자가 손으로 와인딩 완료된 소자(3)를 취출하여 소자이송컨베어(5)상에 흘려 보내준다. 상기 소자(3)는 메인컨베어(6)에 실려 다음공정인 소자조립공정으로 이송되면 작업자가 취출하여 배터리용 캔(4)에 삽입시켜 다음공정으로 흘러가도록 스토퍼(15)의 건너편 메인컨베어(6)상에 올려 놓는다. 이때 캔(4)는 가이드(14)를 통해 흘러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인딩기(7∼10)에 재료를 제작하여 집어 넣어주고 소자 와인딩이 완료되면 취출을 작업자가 함으로서 제품불량률이 다량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제품불량률은 약 13%나 차지하며, 특히 와인딩된 소자의 크기의 불균일과, 음극 및 양극 플레이트간의 쇼트현상이 대분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체가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을뿐 아니라 작업속도가 느리며 작업 인력이 필요하므로 인해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자를 자동으로 와인딩 하고, 상기 와인딩된 소자를 자동으로 취출하고, 또 소자의 조립장비가 있는 위치까지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배터리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감지센서 및 푸쉬장치에 의해 소자고정용 지그의 진행방향을 변환하여주는 4개의 소자이송컨베어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의 일측에 설치된 수개의 제1∼제4자동와인딩기와, 상기 제1∼제4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되는 와인딩된 소자를 컨베어상을 흐르는 상기 지그에 삽입하는 제1∼제4소자이재기와, 상기 지그의 흐름을 정지 또는 통과시키는 각각의 스토퍼와, 상기 지그 및 소자등을 감지하는 각각의 센서부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상에는 스토퍼 및 센서부를 구비한 별도의 예비이재기와, 상기 소자이송컨베어상에는 스토퍼, 센서부 및 소자로딩기가 형성된 소자조립기를 설치하여 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제1∼제4자동와인딩기를 통해 생성된 소자를 제1∼제4소자이재기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컨베어상을 흐르는 지그에 삽입하고, 지그에 삽입완료된 소자를 취출하여 소자조립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등을 각 부로 출력하는 주제어부와, 제1자동와인딩기를 동작시켜 소자를 형성하는 제1자동와인딩기 구동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1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된 소자를 취출하여 지그에 삽입하는 제1소자이재기를 동작시키는 제1소자이재기 구동부와, 제2자동와인딩기를 동작시켜 소자를 형성하는 제2자동와인딩기 구동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2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된 소자를 취출하여 지그에 삽입하는 제2소자이재기를 동작시키는 제2소자이재기 구동부와, 제3자동와인딩기를 동작시켜 소자를 형성하는 제3자동와인딩기 구동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3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된 소자를 취출하여 지그에 삽입하는 제3소자이재기를 동작 시키는 제3소자이재기 구동부와, 제4자동와인딩기를 동작시켜 소자를 형성하는 제4자동와인딩기 구동부와, 상기 주제어부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제4자동와인딩기에서 생성된 소자를 취출하여 지그에 삽입하는 제4소자이재기를 동작시키는 제4소자이재기 구동부와, 소자이송 컨베어를 구동하는 컨베어구동부와, 푸쉬장치를 구동하는 푸쉬장치구동부와, 와인딩된 소자를 캔에 삽입 조립하는 소자조립기를 구동시키는 소자조립기 구동부와, 상기 지그에 삽입된 소자를 취출하여 상기 소자조립기로 이재하는 소자로딩기를 구동시키는 소자로딩기 구동부로 구성된 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조립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부호 21∼24는 소자이송컨베어이며, 이 소자이송컨베어(21∼24)상을 소자용지그(90)(또는 소자가 삽입된 상태로)가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1)일측에는 제1자동와인딩기(31) 및 제2자동와인딩기(41)가 설치되고, 소자이송컨베어(23)의 일측에는 제3자동와인딩기(51) 및 제4자동와인딩기(6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제4자동와인딩기(31∼61)에는 각각 와인딩된 소자(3)를 상기 지그(90)에 삽입하는 제1∼제4소자이재기(32∼62), 지그(90)의 흐름을 정지 또는 통과시키는 스토퍼(33∼63), 상기 지그(90) 및 소자(3)등을 감지하는 센서부(34∼64)가 마련되고,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3)상에는 스토퍼(71) 및 센서부(72)를 구비한 별도의 예비이재기(7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4)상에는 스토퍼(83), 센서부(84) 및 소자로딩기(82)가 형성된 소자조립기(81)가 설치되어 소자로딩기(82)를 통해 로딩된 소자(3)를 캔(4)에 자동삽입하도록 하여준다.
또한,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1∼24)의 각 끝단에는 푸쉬장치(20∼50) 및 센서(20a∼50a)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그(90)의 방향을 변경하여 준다.
제 4 도는 상기 소자고정용 지그(90)(90a)를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그 구조는 (b)와 같이 원형이거나 (c)와 같이 사각형상이 될 수 있으며, 입구부분은 소자(3)가 원할하게 삽입되도록 보다 넓게 구성된다. 또한 내부에는 (a)와 같이 가로막(91)이 형성되어 단자(2)로 인해 소자(3)가 기우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 4 도의 (a)는 센서부(34,44,54,64,72,84)의 센서설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센서부에는 3개의 센서, 즉 제1센서(S1), 제2센서(S2) 및 제3센서(S3)가 지그(90) 및 소자(3)를 감지토록 상하로 설치되며, 상기 제1,2,3센서(S1,S2,S3)가 모두 감지되는 경우에는 지그(90)에 소자(3)가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제2,3센서(S2,S3)는 감지되고 제1센서(S1)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그(90)에 소자(3)가 미삽된 상태이고, 상기 제3센서(S3)만 감지되는 경우에는 지그(90)는 없고 소자(3)만 있는(누운상태) 상태이고, 상기 제1,2,3센서(S1,S2,S3)가 모두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지그(90) 및 소자(3)가 없는 상태이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조립공정의 이송장치의 회로 블럭도로서, 본 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00)와, 제1자동와인딩기(3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1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A)와, 상기 제1자동와인딩기(3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1소자이재기(32)를 동작시키는 제1소자이재기 구동부(120A)와, 제2자동와인딩기(4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2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B)와, 상기 제2자동와인딩기(4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2소자이재기(42)를 동작시키는 제2소자이재기 구동부(120B)와, 제3자동와인딩기(5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3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C)와, 상기 제3자동와인딩기(5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3소자이재기(52)를 동작시키는 제3소자이재기 구동부(120C)와, 제4자동와인딩기(6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4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d)와, 상기 제4자동와인딩기(6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4소자이재기(42)를 동작시키는 제4소자이재기 구동부(120D)와, 소자이송 컨베어(21∼24)를 구동하는 컨베어구동부(130)와, 푸쉬장치(20∼50)를 구동하는 푸쉬장치구동부(140)와, 와인딩된 소자(3)를 캔(4)에 삽입 조립하는 소자조립기(81)를 구동시키는 소자조립기 구동부(150)와, 상기 지그(90)에 삽입된 소자(83)를 취출하여 상기 소자조립기(160)로 이재하는 소자로딩기(83)를 구동시키는 소자로딩기 구동부(160)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동작을 제 6 도의 (a)(b)에 걸쳐 도시된 제어 수순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자면, 소자이송컨베어(21∼24)상에 제 4 도와 같은 지그(90)가 일정 간격을 두고 놓여지게 되고, 컨베어(21∼24)상에서 이송되게 된다.
먼저, 주제어부(100)는 제1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A)를 통해 제1자동와인딩기(31)가 정상작동중인가를 판별한다(스텝 200). 여기서 상기 제1자동와인딩기(31)가 정상작동하지 못한다면 스토퍼(33)를 개방하여 모든 지그(90)를 통과시켜 제2자동와인딩기(41)로 향하도록 하여준다(스텝 201).
상기 스텝(201)에서 제1자동와인딩기(31)가 정상작동중이면 소자 와인딩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별한다(스텝 202). 여기서 소자 와인딩이 완료되었다면 주제어부(100)는 제1소자이재기구동부(120A)로 소자(3) 취출명령을 전송한다(스텝 203). 이때 제1소자이재기구동부(120A)는 제1소자이재기(31)가 정상적인 작동을 할 수 있는가를 판별한다(스텝 204). 여기서 상기 제1소자이재기(110B)의 정상동작이라는 것은 제1소자이재기(110B)가 소자(3)를 집지(picking) 않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제1소자이재기(31)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되면 제1소자이재기(31)를 구동시켜 제1자동와인딩기(110A)에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05).
그리고, 센서부(34)를 통해 빈 소자지그(90), 즉 소자(3)가 삽입되지 않은 지그(90)가 3번 통과했는가를 판별한다(스텝 206). 상기 판별(스텝 206)은 센서부(34)에 설치된 제 4 도의 (a)와 같이 제1,2,3센서(S1∼S3)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으로, 제 2,3센서(S2,S3)만 감지되는 횟수를 검출하는 것이다.
상기 판별(스텝 206)에서 빈 소자지그(90)의 3통과가 검출되면 스토퍼(33)를 소자 이송컨베어(21)상으로 동작시켜 그 다음 지그(90)가 고정되도록 하여준다(스텝207). 그리고, 제1소자이재기(32)를 구동시켜 상기 취출된 소자(3)를 상기 지그(90)로 삽입시킨 후 스토퍼(33)를 동작(해제)시켜 상기 소자(3)가 삽입된 지그(90)를 통과시킨다(스텝 208,209). 그리고, 상기 스텝(200)부터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204)에서 제1소자이재기(332)가 정상작동을 하지 못한다면 컨베어(21)상에 소자지그(90)가 없는가를 판단한다(스텝 210). 여기서, 소자지그(90)가 없는 것으로 판별되면, 미도시된 슈트(chute)를 통해 집고있던 소자(3)를 배출시킨다(스텝 210). 그리고 제2소자이재기구동부(42)로 소자(3) 취출신호를 전송한다(스텝 212).
따라서, 상기 제2소자이재기구동부(42)는 제2소자이재기(120B)가 정상작동중인가를 판별한다(스텝 213). 여기서 상기 제2소자이재기(120B)가 정상작동중이라고 판별되면, 제2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B)로부터 소자취출신호가 전송되었는가를 판단하다(스텝 214). 상기 스텝(214)에서 제2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B)로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없다면 컨베어(21)상의 소자(3) 유무를 센서부(44)를 통해 감지(스텝 215)한후, 컨베어(21)상에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16). 그리고, 상기 센서부(44)를 통해서 빈소자지그(90)의 통과 카운트가 2회인가를 판별하여(스텝 217), 2개의 지그(90)가 통과되면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텝(214)에서 상기 제2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B)로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있다면 소자(3)를 그냥 통과시키고(스텝 218), 제2자동와인딩기(110B)에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19). 그리고 상기 센서부(44)를 통해서 빈소자지그(90)의 통과 카운트가 2회인가를 판별하여(스텝 217), 2개의 지그(90)가 통과되면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소자이재기(120B)가 정상작동중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제3소자이재기구동부(120C)로부터 제3소자이재기(52)가 정상작동중인가를 판별한다(스텝 221). 여기서 제3소자이재기(52)가 정상작동중이라면 제3자동와인딩기(110C)로부터 소자취출신호가 전송되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222). 상기 스텝(222)에서 제3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C)로 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없다면 컨베어(23)상의 소자(3) 유무를 센서부(54)를 통해 감지(스텝 223)한후, 컨베어(21)상에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24). 그리고, 상기 센서부(54)를 통해서 빈소자지그(90)의 통과 카운트가 1회 인가를 판별하여(스텝 228), 1개의 지그(90)가 통과되면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텝(222)에서 상기 제3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C)로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있다면 소자(3)를 그냥 통과시키고(스텝 226), 제3자동와인딩기(110C)에서 소자(3)룰 취출한다(스텝 227). 그리고 상기 센서부(54)를 통해서 빈소자지그(90)의 통과 카운트가 1회 인가를 판별하여(스텝 228), 2개의 지그(90)가 통과되면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3소자이재기(120C)가 정상작동중이 아니라고 판별되면 제4소자이재기구동부(120D)로부터 제4소자이재기(62)가 정상작동중인가를 판별한다(스텝 229). 여기서 제4소자이재기(62)가 정상작동중이라면 제4자동와인딩기(110D)로부터 소자 취출신호가 전송되었는가를 판단한다(스텝 230). 상기 스텝(230)에서 제4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D)로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없다면 컨베어(23)상의 소자(3) 유무를 센서부(64)를 통해 감지(스텝 231)한후, 컨베어(21)상에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32). 그리고,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텝(230)에서 상기 제4자동와인딩기구동부(110D)로 부터 취출신호명령이 있다면 소자(3)를 그냥 통과시키고(스텝 233), 제4자동와인딩기(110D)에서 소자(3)를 취출한다(스텝 234). 그리고 상기 스텝(207)으로 진입하여 지그(90)에 소자(3)를 삽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텝(229)에서 제4소자이재기(120D)가 정상작동이 아니면 예비이재기(70)를 구동시켜, 예비이재기(70)가 정상작동을 할 수 있으면 상기 스텝(207)로 진입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스텝 235).
또한, 상기 푸쉬장치(20,30,40,50)는 각각의 센서(20a,30a,40a,50a)에 의해 지그(9)가 감지되면 푸쉬장치를 동작시켜 지그(90)의 이송 방향을 바꾸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제4자동와인딩기(21∼61) 및 제1∼제4소자이재기(22∼62)를 통해서 지그(90)에 삽입된 소자(3)는 예버이재기(70)를 통하여 소자조립기(81)의 소자로딩기(82)에 이르면 이를 센서부(84)를 통해 감지한 소자로딩기(82)는 스토퍼(83)를 동작시켜 지그(90)를 고정하고 삽입된 소자(3)를 취출하여 소자조립기(81)로 로딩시킨다. 이와 같이 소자(3)를 로딩받은 소자조립기(81)는 캔에 상기 소자(3)를 삽입 조립하여 그 다음공정으로 보내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소자 와인딩과, 와인딩된 소자를 소자조립기로 이송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작업인원을 감소시키며, 그에 따른 불량률울 줄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그 구성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

Claims (4)

  1. 물체감지센서(20a∼50a) 및 푸쉬장치(20∼50)에 의해 소자고정용 지그(90)의 진행방향을 변환하여주는 4개의 소자이송컨베어(21∼24) ;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1)(23)의 일측에 설치된 수개의 제1∼제4자동와인딩기(31∼61) ; 상기 제1∼제4자동와인딩기(31∼61)에서 생성되는 와인딩된 소자(3)를 컨베어상을 흐르는 상기 지그(90)에 삽입하는 제1∼제4소자이재기(31∼62) ; 상기 지그(90)의 흐름을 정지 또는 통과시키는 각각의 스토퍼(33∼63) ; 상기 지그(90) 및 소자(3)등을 감지하는 각각의 센서부(34∼64) ;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3)상에는 스토퍼(1) 및 센서부(72)를 구비한 별도의 예비이재기(70) ; 및 상기 소자이송컨베어(24)상에는 스토퍼(83), 센서부(84) 및 소자로딩기(82)가 형성된 소자조립기(81) ; 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고정용 지그(90)는 원통형 또는 사각기둥형상이고, 입구부분은 소자(3)가 원할하게 삽입되도록 보다 넓게 구성되고, 내부에는 가로막(91)이 형성되어 단자(2)로 인해 소자(3)가 기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소자(3)가 지그(90)에 삽이된 여부를 감지하는 제1센서(S1) ; 지그(90)의 유무를 감지하는 제2센서(S2) ; 및 소자(3)만을 감지하는 제3센서(S3) ;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장치.
  4. 제1∼제4자동와인딩기(31∼61)를 통해 생성된 소자(3)를 제1∼제4소자이재기(32∼62)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컨베어(21∼24)상을 흐르는 지그(90)에 삽입하고, 지그에 삽입완료된 소자(3)를 취출하여 소자조립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등을 각 부로 출력하는 주제어부(100) ; 제1자동와인딩기(3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1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A) ; 상기 주제어부(100)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1자동와인딩기(3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1소자이재기(32)를 동작시키는 제1소자이재기 구동부(120A) ; 제2자동와인딩기(4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2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B) ; 상기 주제어부(100)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2자동와인딩기(4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2소자이재기(42)를 동작시키는 제2소자이재기 구동부(120B) ; 제3자동와인딩기(5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3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C) ; 상기 주제어부(100)의 출력에 의해 상기 제3자동와인딩기(5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3소자이재기(52)를 동작시키는 제3소자이재기 구동부(120C) ; 제4자동와인딩기(61)를 동작시켜 소자(3)를 형성하는 제4자동와인딩기 구동부(110D) ; 상기 주제어부(100)의 출력에 의하여 상기 제4자동와인딩기(61)에서 생성된 소자(3)를 취출하여 지그(90)에 삽입하는 제4소자이재기(42)를 동작시키는 제4소자이재기 구동부(120D) ; 소자이송 컨베어(21∼24)를 구동하는 컨베어구동부(130) ; 푸쉬장치(20∼50)를 구동하는 푸쉬장치구동부(140) ; 와인딩된 소자(3)를 캔(4)에 삽입 조립하는 소자조립기(81)를 구동시키는 소자조립기 구동부(150) ; 및 상기 지그(90)에 삽입된 소자(83)를 취출하여 상기 소자조립기(160)로 이재하는 소자로딩기(83)를 구동시키는 소자로딩기 구동부(160) ;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조립장치.
KR1019950032640A 1995-09-29 1995-09-29 배터리 조립 장치 KR0148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640A KR0148987B1 (ko) 1995-09-29 1995-09-29 배터리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640A KR0148987B1 (ko) 1995-09-29 1995-09-29 배터리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785A KR970018785A (ko) 1997-04-30
KR0148987B1 true KR0148987B1 (ko) 1998-10-15

Family

ID=19428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640A KR0148987B1 (ko) 1995-09-29 1995-09-29 배터리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686B1 (ko) * 2001-12-24 2007-11-27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식 슈트 스위치를 구비한 코크스 벙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785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9625A (en) Method for supplying articles and apparatus therefor
CA12036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tooling devices relative to a battery
CN208516357U (zh) 可防止弹簧缠绕的分选输送机
CN113879623A (zh) 一种大流量定量给料计重的智能集料方法和装置
US4100667A (en) Method and means for loading film cartridges
CN117080528B (zh) 电池堆叠方法及系统
KR0148987B1 (ko) 배터리 조립 장치
KR200338489Y1 (ko) 클립 자동 조립장치
US4625499A (en) Device for loading products to a predetermined location
CN111630463B (zh) 一种电容器素子的自动化生产控制系统及生产控制方法
CN216186600U (zh) 一种自动集料装置
KR0169858B1 (ko) 배터리 조립공정의 소자이송장치
CN110882943A (zh) 一种车载产品自动筛选方法
US5093607A (en) Industrial robot system
KR0169852B1 (ko) 배터리 제조공정의 소자 이송 시스템
CN108279638B (zh) 一种二极管端子自动装配的控制系统
CN212871101U (zh) 一种光纤连接器的自动化长度检测分类装置
US5090113A (en) Apparatus for supplying articles
CN209772780U (zh) 一种胶带长度识别检测装置
CN109570532B (zh) 一种棒材送料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KR0151962B1 (ko) 배터리 제조공정의 전해액 자동주입장치
JPH03275416A (ja) テーピング自動選別装置
CN220640443U (zh) 带卷筒剔除装置的包装机
KR100380137B1 (ko) 저항의 리드선 성형 및 테이핑 머신
KR960008288B1 (ko) Ic 튜브 정렬 및 캡 삽입 자동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