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946B1 -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946B1
KR0148946B1 KR1019950050165A KR19950050165A KR0148946B1 KR 0148946 B1 KR0148946 B1 KR 0148946B1 KR 1019950050165 A KR1019950050165 A KR 1019950050165A KR 19950050165 A KR19950050165 A KR 19950050165A KR 0148946 B1 KR0148946 B1 KR 014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absorbing material
sound absorbing
circumferential surface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2692A (ko
Inventor
김숙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50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8946B1/ko
Publication of KR97003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81Means for exhaust-air diffusion; Means for sound or vibration d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네크부와의 기밀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배출공기의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흡음효과가 향상되며, 흡음재가 네크부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결합나사가 불필요함으로서 조립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를 내장한 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모터의 흡인력으로 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인 제거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있어서, 중앙에는 공기 흡입유로를 형성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형단면의 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에 연이어서 전, 후측으로 반구형측면이 형성되는 흡음재; 상기 흡음재의 후방 반구형측면과 원형단면의 직선부가 일치하여 삽입되는 내주면을 갖추고, 외주면이 구형의 곡률을 갖는 네크부; 및, 상기 네크부의 구형 외주면과, 상기 흡음재의 전방 반구형측면이 내측면에 일치하여 결합되는 구형요흠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덮개와 하부베이스를 갖는 네크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갖춰진 흡입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브러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음재 12a : 직선부
12b,12c : 전,후방 반구형측면 14 : 측면 모서리
20 : 목부 20c : 구형 외주면
30 : 목 고정부 32a : 상부 덮개
32b : 하부 덮개 34a,34b : 구형 요흠
113 : 흡입 브러쉬 123 : 공기흡입통로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는 목부와의 기밀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배출공기의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흡음효과가 향상되며, 흡음재가 목부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결합나사가 불필요함으로서 조립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 구동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집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바, 그 구성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즉, 일반적인 진공청소기(110)는, 내부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도시생략)을 가지며 바퀴(111)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112)와, 일측단부에 먼지등을 흡입하는 흡입브러쉬(11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고 타측 끝단부에는 흡인력 조절 스위치부(114)를 갖는 손잡이(115)가 장착되며 다단으로 연결 접속되는 연장관(116)들과, 이 연장관(116)에 연결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112) 내의 집진실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유연하게 형성된 가가요성 도관(1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진공청소기들은 본체부(112)내의 구동실에 장착된 모터(도시생략)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브러쉬(113)를 통하여 외부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흡입하게 하고, 이러한 먼지나 이물질들은 집진실내에 교환가능하도록 장착된 통상의 먼지봉투(도시생략)내를 통과하면서 잔류하게 됨에 따라 깨끗한 공기만이 구동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은 진공청소기에서 상기 흡입브러쉬(11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121)와 하부덮개(122) 사이에서 공기흡입통로(123)를 형성하고, 하부 덮개(122)의 하측 바닥면에는 털솔(Fur brush) 또는 천솔(cloth brush)등이 부착되어 청소면(124)에 부착된 먼지 및 이물질(D)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브러쉬(113)는 후방측에서 공기 흡입통로(123)를 제공하는 대략의 원통형의 목부(125)가 갖춰지고, 상기 목부(125)에는 흡입브러쉬(113)를 연장관(미도시)에 결합시키기 위한 원통형의 브러쉬 연결관(126)의 외측에서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브러쉬 연결관(126)의 외측에는 덮개부재(127)가 스크류부재(128)에 의하여 브러쉬 연결관(126)상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목부(125)에는 일측 외주면에 브러쉬 연결관(126)과의 결합을 위해서 돌기(129)를 형성하고, 타측 중공부는 계단식으로 확대된 제1 내주면(130)과 제2 내주면(131)을 형성하여 원통형의 흡음재(132)를 수용하며, 상기 제2 주면(131)의 내측단부로는 목덮개(133)가 그 일측에 형성된 원통형 돌출편(134)을 매개로 삽입되어 나사부재(135)로서 목부(125)의 외주면에서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목덮개(133)는 내측으로 적정길이가 돌출되어 흡음재(13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덮개(122)의 후방측에는 흡입브러쉬(113)의 원활한 전,후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로울러(140)가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흡입브러쉬(113)는 상기 흡음재(132)와 목부(125)가 각각 원통형의 구조를 갖춘 것이기 때문에,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121)와 하부덮개(122)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목부(125)의 외주면과 상부덮개(121)및, 하부 덮개(122)와의 사이에서 각각 기밀상태를 유지하지 못함으로서 외부공기가 공기흡입통로(123)로 유입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브러쉬(113)는 흡음재(132)가 목부(125)의 내측에 나사부재(135)와 목 덮개(133)에 의해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조립작업의 속도를 저하시키고 그에 따른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입브러쉬(113)는 목부(125)내측으로만, 흡음재(132)가 위치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배출공기가 흐르는 공기흡입통로(123)의 유로 길이가 짧게 형성됨으로서 배출공기가 발생시키는 목부(125)에서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는 기능상의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목부와의 기밀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배출공기의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흡음효과가 향상되며, 흡음재가 목부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결합나사가 불필요함으로서 조립작업의 생산성이 향상된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를 내장한 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모터의 흡인력으로 청소면으로 부터 이물질을 흡인 제거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있어서, 중앙에는 공기흡입통로를 형성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형단면의 직선부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에 연이어서 전,후방 반구형측면이 형성되는 흡음재; 상기 흡음재의 후방 반구형측면과 원형단면의 직선부가 일치하여 삽입되는 내주면을 갖추고, 구형 외주면이 일정크기의 곡률을 갖는 목부; 및, 상기 목부의 구형 외주면과, 상기 흡음재의 전방 반구형 측면이 내측면에 일치하여 결합되는 구형요흠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를 갖는 목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흡입브러쉬(1)에 갖춰진 흡음재(10)기 도시되고,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흡입브러쉬(1)는 중앙에 공기흡입통로(123)를 형성하는 관통구멍(10a)이 형성되는 흡음재(10)를 갖추는 바, 상기 흡음재(10)는 외주면 중앙에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12a)에 연이어서 전,후측으로는 전,후방 반구형 측면(12b)(12c)이 각각 상기 관통구멍(10a)의 측면모서리(14)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10)가 끼워지는 목부(20)는 상기 흡음재(10)의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일치하여 삽입되는 내주면(20a)을 갖추고, 후단부(20b)는 브러쉬 연결관(126)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구형 외주면(20c)은 일정크기의 곡률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목부(20)가 회전가능 하도록 장착되는 목고정부(30)는 상,하로 서로 결합되는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를 갖추는 바, 상기 각각의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는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과, 상기 흡음재(10)의 전방반구형 측면(12c)이 일치하여 결합되는 구형요흠(34a)(34b)을 각각 내측면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흡음재(10)와, 목부(20)및, 목고정부(30)의 결합구조에서 목부(20)내로 흡음재(10)의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삽입되면 상기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측면(12c)은 제4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목부(20)의 일정크기의 곡률을 갖는 구형 외주면(20c)에 일치함으로서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과,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 측면(12c)의 곡률은 서로 정확하게 일치하고, 이는 목 고정부(30)의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형 요흠(34a)(34b)이 형성하는 내주면의 곡률과 일치하게 됨으로서 흡음재(10)를 내부에 장착한 목부(20)는 목고정부(30)내에서 360。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1)는 진공청소기(110)가 작동되어 사용자가 흡입브러쉬(1)를 청소면상에서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제4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목고정부(30)에 대하여 목부(20)를 경사시키는 경우, 상기 목부(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구형 외주면(20c)의 곡률과,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 측면(12c)의 곡률 및, 목고정부(30)의 구형요흠(34a)(34b)이 형성하는 내주면의 곡률은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상기 목부(20)와 흡음재(10)의 외주면과 목고정부(30)와의 사이에는 아무런 틈새도 발생되지 않음으로서 공기흡입통로(123)의 밀봉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부로 부터의 공기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흡입통로(123)만을 통한 공기흐름이 허용되기 때문에 진공청소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흡음재(10)는 목부(20)에 장착되는 경우,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직선부(12a)가 목부(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전방 반구형 측면(12c)이 목부(2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되기 때문에 전방 반구형 측면(12c)만큼 공기흡입통로(123)가 연장되어 내부에서 흐르는 배출공기와의 접촉거리가 길게 됨으로서 목부(20)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음재(10)는 목부(20)에 장착되는 과정이 단순히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직선부(12a)를 목부(20)에 끼워 넣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목부(20)를 서로 분리된 상태의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의 구형 요흠(34a)(34b)내에 위치시키고, 상기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를 나사부재(미도시)로서 서로 결합시키면,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은 목 고정부(30)의 구형요흠(34a)(34b)에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고 지지됨으로서 흡음재(10)를 목부(20)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단순화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목부의 구형외주면과, 흡음재의 전방 반구형 측면의 곡률이 목 고정부의 구형 요흠의 곡률에 일치됨으로서 목부와의 기밀유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흡음재의 전방 반구형측면이 목부에서 돌출되어 연장됨으로서 배출공기의 유로가 길게 형성되어 흡음효과가 향상되며, 흡음재가 목부에 장착되는 경우, 별도의 결합나사가 불필요함으로서 조립작업의 생산성이 샹상되는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모터를 내장한 본체부(112)를 갖추고, 상기 모터의 흡인력으로 청소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흡인 제거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있어서, 중앙에는 공기흡입통로(123)를 형성하는 관통구멍(10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형성되며, 상기 직선부(12a)에 연이어서 전,후방 반구형측면(12b)(12c)이 형성되는 흡음재(10); 상기 흡음재(10)의 후방 반구형측면(12b)과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일치하여 삽입되는 내주면(20a)을 갖추고, 구형 외주면(20c)이 일정크기의 곡률을 갖는 목부(20); 및,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과, 상기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 측면(12c)이 내측면에 일치하여 결합되는 구형요흠(34a)(34b)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를 갖는 목고정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 반구형 측면(12b)(12c)은 각각 상기 관통구멍(10a)의 측면모서리(14)까지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20)내로 흡음재(10)의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원형단면의 직선부(12a)가 삽입되면 상기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측면(12c)은 목부(20)의 일정크기의 곡률을 갖는 구형 외주면(20c)에 일치함으로서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과,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 측면(12c)의 곡률은 서로 정확하게 일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과, 흡음재(10)의 전방 반구형 측면(12c)의 곡률은 목 고정부(30)의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구형 요흠(34a)(34b)이 형성하는 내주면의 곡률과 일치하게 됨으로서 흡음재(10)를 내부에 장착한 목부(20)는 목고정부(30)내에서 360。 회전가능한 구조를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10)는 목부(20)에 장착되는 경우,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직선부(12a)가 목부(20)의 내부로 삽입되고, 전방 반구형 측면(12c)이 목부(20)의 외측으로 돌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6. 제1항에 있어서,상기 흡음재(10)는 후방 반구형 측면(12b)과 직선부(12a)를 목부(20)에 끼워 넣고, 상기 목부(20)를 서로 분리된 상태의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의 구형요홈(34a)(34b)내에 위치시키며, 상기 상부덮개(32a)와 하부덮개(32b)를 나사부재로서 서로 결합시키면, 상기 목부(20)의 구형 외주면(20c)은 목 고정부(30)의 구형요홈(34a)(34b)에 결합되어 지지됨으로서 흡음재(10)가 목부(20)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KR1019950050165A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KR0148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165A KR0148946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165A KR0148946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692A KR970032692A (ko) 1997-07-22
KR0148946B1 true KR0148946B1 (ko) 1998-10-15

Family

ID=1944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165A KR0148946B1 (ko) 1995-12-15 1995-12-15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894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2692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577A (en) Brush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2016107094A (ja) モップ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るロボット掃除機
KR0129653Y1 (ko) 청소기의 흡입구체
KR100539750B1 (ko) 불기기능을 겸비한 진공청소기
KR102083800B1 (ko) 진공 청소기
GB2388306A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servicing aperture
KR014894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쉬
US20050071945A1 (en) Airflow diverter for upright-type vacuum cleaner and upright-type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RU2380025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сновного корпуса пылесоса
KR100445807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흡입 호스 조립체
JPH10146302A (ja) 真空掃除機の吸入口体
JP2008043792A (ja) 電気掃除機
TW202002870A (zh) 清掃機
KR102467328B1 (ko) 청소기
KR2005010855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406591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19980013972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력 조절스위치
KR200143229Y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KR102095103B1 (ko) 진공청소기
KR200358816Y1 (ko) 진공청소기의 플렉시블 흡입관
KR0148951B1 (ko) 진공청소기의 가요성 네크구조
KR100602252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패킹
KR200220648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덕트
KR960004679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역류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