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717B1 -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717B1
KR0147717B1 KR1019950007239A KR19950007239A KR0147717B1 KR 0147717 B1 KR0147717 B1 KR 0147717B1 KR 1019950007239 A KR1019950007239 A KR 1019950007239A KR 19950007239 A KR19950007239 A KR 19950007239A KR 0147717 B1 KR0147717 B1 KR 014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d
chain
cutting
transf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261A (ko
Inventor
박현규
Original Assignee
박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규 filed Critical 박현규
Priority to KR1019950007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717B1/ko
Publication of KR96003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03Processing cephalopod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20Shredding; Cutting into cubes; Fl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25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endless conveyors, e.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상부측 전방에는 상하로 대설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회전하면서 오징어를 탄력적으로 협압하여 간헐이송시키고, 그 배출단에는 오징어몸통의 양쪽부분을 ∩형으로 굴곡시키는 굴곡용로울러로 구성되는 이송공정과; 상,하 수직상으로 대설된 체인기어에 연설된 회전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세절칼을 부착하여 상기 이송공정에서 간헐적으로 일정폭씩 공급되는 오징어의 중심부분을 각 세절칼들이 차례로 위에서 내리찍어주는 작동으로 세절함과 동시 밑으로 찢어내어 세절된 오징어채의 세절면에 섬유질 보풀이 형성되도록 하는 세절공정과; 상,하측 체인기어에 연설된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유연한 다수의 탈리봉으로 상기 세절공정에서 세절되어 각 세절칼에 의해 이송되는 오징어채를 털어내는 이송공정; 그리고 탈리공정에서 털어낸 오징어채를 운반하는 운반공정으로서 마치 손을 찢어낸 것과 같이 오징어채의 세절면에 포풀이 형성되게 하여 풍미를 살리면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오징어채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각 공정의 연계구성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력전달구성을 나타낸 측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이송공정부분을 확대한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세절공정 및 탈리공정의 확대 구성도.
제5도는 이송공정을 간헐회전시키는 간헐회전장치의 일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콘트롤박스
3:모우터 4a,4b:상,하부 이송체인
5:굴곡용로울러 6:회전체인
7:세절칼 8:체인
9:탈리봉 10:콘베이어벨트
11a,11b:구동측 체인기어 12a,12b:연동측 체인기어
13:텐션조절체인기어 14:텐션조절구
15,22:조절구 16a,16b,24a,24b:체인기어
17:협지편 18:스프링
19:협지봉 20:로울러
21:수직캠 23:축수부
25:전동체인기어 26:동력전달체인
27:요철형 캠판 28:간헐회동장치
29a,29b:고정구 30:왕복작동간
31:활주로울러 32:장공연결구
33:각운동작동간 34:발톱
35:래치트기어
본 발명은 채치기에 알맞게 말린 오징어를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채를 쳐내는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징어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사람이 손으로 일일이 찢어내는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오징어를 아주 잘게 찢어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디고 일정한 폭으로 균일하게 찢어내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많은 일력을 필요로 하고 또한 작업성도 매우 뒤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인력에 의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에 와서는 기계장치에 의한 자동화로 오징어채를 제조하기에 이르렀으며, 지금까지 소개된 기계장치는 오징어의 몸통을 축방향으로 잡아뜯어 몸통을 일측에서 찢어내는 방법을 채택하거나 또는 절단칼로서 얇게 잘라내는 방밥을 채택하고 있었는바, 전자의 경우는 오징어의 근육질이 몸통둘레방향으로 결이 나있기 때문에 일측에서 찢어내더라도 잘 찢어지기는 하나 오징어채는 오징어몸통을 아주 얇고 길게 찢어야 하기 때문에 몸통의 일측부분을 잡고 타측부분까지 얇은 두께로 균일하게 찢어낸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 찢는 도중에 끊어지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거나 두껍게 찢어지는 폐단으로 인하여 오징어채가 품질이 좋게 제조되지 못하는 결점이 있었으며, 후자의 경우는 절단칼로서 얇게 균등히 세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세절된 오징어채에 근육질의 섬유질이 일어나는 이른바 보풀이 형성되지 않아 오징어채로서의 풍미를 낼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기존의 오징어채를 제조하는 방법의 제반 결점을 일소하고, 나아가 오징어채에 섬유질 보풀이 일어난 상태로 제조되게 하되, 끊어짐이 없이 일정한 폭을 갖는 오징어채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징어채 제조방법은, 오징어를 수평으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되 배출단부에서 역 U자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일정 길이만큼씩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상기 이송공정의 배출단부로 부터 배출된 오징어 몸통의 정점부(몸통의 중간부분)를 상방에서 예리한 칼날로 내리찍어 그 정점부의 일부분만을 칼날로 절개함과 동시 계속된 수직하강작동으로 상기 예리한 칼날이 절개된 부분을 오징어 섬유질의 결방향으로 찢어내는 세절공정; 및 상기 세절공정의 예리한 칼날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탈리봉으로 일정한 폭으로 찢어진 채 예리한 칼날에 붙어있는 오징어채를 하향으로 타격을 기하여 운반장치로 낙하하도록 털어내는 탈리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제조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조장치는, 본체의 상부 전방측에 마련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 회전하면서 오징어를 탄력적으로 협압하여 수평으로 간헐이송시키는 상,하부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들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체인기어들과, 상기 상부이송체인의 연동측 체인기어축 양단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오징어의 양단을 하향 굴곡시켜 역 U자형이 되게하는 한쌍의 굴곡용 로울러로 구성되는 이송장치와; 상기 이송장치의 오징어 배출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하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이송장치의 배출단에서 역 U자형으로 배출되는 오징어 몸통의 정점부분(중간부분)을 상방에서 내리찍어 일부분만을 절개함과 동시에 계속된 회전작동으로 수직 하강하면서 찢어내게 되는 세절칼과, 상기 세절칼에 의해 세절된 오징어채를 탄력적으로 붙잡아주는 탄성협지편과, 및 상기 탄성협지편의 협지작동과 해제작동을 제어하는 수직캠으로 구성되는 세절장치; 및 상기 이송장치 하부에 상,하 수직상으로 대설되고 상기 세절장치의 체인기어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속 회전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연설되는 체인과, 및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부착되어 세절된 채 세절칼과 탄성협지편 사이에 끼여있는 오징어채에 타격을 기하여 하부로 떨어뜨리는 유연한 재질의 탈리봉으로 구성되는 탈리장치;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각 도면들은 복잡함을 피하기 위하여 내부의 구성들을 일부 분리하여 도시하였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각 공정별 구성을 일목요연하게 도시한 내부구성도로서, 본체(1)의 전면부에 각 공정별 기계장치를 콘트롤하는 콘트롤박스(2)가 장착되어 있고, 본체(1)의 후방부에는 동력원인 모우터(3)가 부착되어 있다.
오징어를 투입하는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된 이송장치(A)는, 상,하부 각각 두줄씩으로 된 이송체인(4a)(4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측 이송체인(4a)의 배출단측 양단에는 내면이 경사면(5a)으로된 두개의 굴곡용로울러(5)가 양쪽에 대설되어 상,하부 이송체인(4a)(4b) 사이에 협지된 채 이송되는 오징어 몸체의 양쪽을 하향으로 굴곡시키면서 수평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장치(A)의 배출단측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세절장치(B)는, 수직상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체인(6)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 복수개의 세절칼(7)이 이송장치(A)의 배출단측에서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오징어의 몸통 중심부를 역 U자형 오징어의 정점부를 내리찍어 일부분을 순차적으로 절개함과 동시에 수직으로 잡아당겨 찢어 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장치(A)의 배출단측 하방에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탈리장치(C)는, 상기 세절장치(B)와 나란히 설치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체인(8)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부착되어진 유연한 탈리봉(9)으로 상기 세절장치(B)의 세절칼(7)에 의해 일정한 폭으로 찢어진 채 붙어 있게 되는 오징어채를 타격하여 신속하게 탈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의 내부 하방에는 상기 탈리장치(C)에 의해 탈리된 오징어채를 콘베이어벨트(10)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각 장치들은 본체(1)에 2조 이상 설치되어 오징어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기계장치의 구성들은 대체로 동력원인 모우터(3)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계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구성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장치들 중 탈리장치(C) 및 운반장치(D)는 별도의 모우터로서 구동시킬 수도 있다.
먼저 이송장치(A)를 설명하면, 각각 두줄로 구성되는 상,하부 이송체인(4a)(4b)들은 상,하로 대설된 구동측 체인기어(11a)(11b)와 연동측 체인기어(12a)(12b)에 연설되어지는데, 하부측 이송체인(4b)은 본체의 전방부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텐션조절체인기어(13)에 의하여 텐션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장치(A)로 오징어를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 본체(1) 상면의 전방으로 길게 연장된 하부측 이송체인(4b)위에 오징어를 얹어 놓는데, 두줄로 된 하부측 이송체인(4b)의 폭은 오징어의 폭보다 좁은 폭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하부측 이송체인(4b)에 얹어진 오징어는 그 양쪽이 체인을 벗어난 상태로 돌출되는 것이며, 상부측 이송체인(4a)의 폭 역시 하부측 이송체인(4b)과 같은 폭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측 이송체인(4b) 위에 얹어진 채 이송되는 오징어는 상부측 이송체인(4a)에 이르러서는 상,하부측 이송체인(4a)(4b)에 협지되면서 배출단측으로 이송되는 것인데, 상기 상부측 이송체인(4a)의 구동측 체인기어(11a)와 연동측 체인기어(12a)의 축에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상부측 이송체인(4a)을 하방을 향해 항시 탄력적으로 내리누르고 있는 공지의 텐션조절구(14)를 설치하여 하부측 이송체인(4b)과의 간격조절과 완충작용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서 투입되는 오징어의 두께에 상관없이 적당한 탄성력으로 압착하여 이송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하부 이송체인(4a)의 사이에 협지되어 이송되다가 배출단에 이르러서는 연동축 체인기어(12a) 양쪽에 축설한 굴곡용로울러(5)에 의하여 오징어몸통 양쪽이 역 U자 즉 ∩형으로 하향굴곡되는 것이며, 오징어몸통을 굴고시키는 굴곡용로울러(5)의 내면에 형성된 경사면(5a)은 방사상으로 홈을 주어 요철면이 되게 하여 오징어가 미끄러지지 않고 정확하게 굴곡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측 이송체인(4b)의 텐션조절체인기어(13)의 축에도 조절구(15)를 설치하여 이송하는 체인(4b)의 텐션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세절장치(B)는 상,하로 대설된 대형의 체인기어(16a)(16b)에 회전체인(6)을 연설하고, 상기 회전체인(6)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킨 다수의 부착구(70)에 세절칼(7)을 장착시킨 것으로서, 상기 세절칼(7)의 칼날부분은 역 U자형으로 절곡된 채 이송장치(A)의 배출단으로 배출되는 오징어몸통의 정점부분(중간부분)을 위에서 밑으로 찍어내어 세절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또 세절된 오징어채를 탄력적으로 협지하는 탄성협지편(17)이 스프링(18)으로 탄력설치된 협지봉(19) 선단에 착설되어 있고, 또한 상기 협지봉(19)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자유단에 부착된 로울러(20)가 회전체인(6)의 내측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수직캠(21)의 캠면(21a)을 타고 활주하는 작동에 의하여 협지봉(19)이 스프링(18)을 압축하면서 탄력적으로 이동하여 세절칼(7)이 오징어 몸통을 세절한 후 하강하면서 찢어낼 때 세절된 오징어채가 탄성협지편(17) 사이로 끼이게 되는 오징어채를 탄력적으로 압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탄성협지편(17)은 세절칼(7)이 오징어몸통의 중심부을 세절한 후 찢어내는 과정에서 세절된 오징어채가 일측으로 밀리거나 빠져나가지 못하고 견고하게 압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상기 세절칼(7)에 의해 세절된 부분이 오징어의 섬유질 결을 따라 찢어낼 수 있게 되며, 이렇게 세절되면서 찢어지는 오징어채에는 근육질의 섬유질 보풀이 일어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협지봉(19)이 경사캠면(21b)에 이르면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협지봉(19)이 후퇴하면서 오징어채의 협지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서 오징어몸통에서 완전히 분리되게 짖어진 오징어채는 세절칼(7)에서 낙하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세절장치(B)의 상부측 체인기어(16a)의 축 양단은 조절구(2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조절되는 축수부(23)에 축착하므로서 회전체인(6)의 긴장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탈리장치(C)는 상,하 수직상으로 설치된 소형의 체인기어(24a)(24b)를 따라 시계방향(도시상태기준)으로 회전하는 체인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브라켓트(90) 마다에 연질플라스틱이나 우레탄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된 탈리봉(9)들이 다수 부착된 구성이며, 체인기어(24b)는 세질장치(B)와 같은 동력원을 사용하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탈리장치(C)측 체인(8)의 이송속도는 세절장치(B)측 체인(6)보다는 고속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탈리장치(C)의 탈리봉(9)들은 세절장치(B)에 의해서 세절된 오징어채를 털어내는 작용을 한다. 즉, 세절장치(B)에서 세절된 오징어채는 세절칼(7)의 이면측과 탄성협지편(17)과의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하향이송되다가 협지봉(19)의 자유단에 마련된 로울러(20)가 캠면(21a)의 하단을 벗어나 경사캠면(21b)을 주행하는 과정에서는 오징어채의 협지상태가 서서히 해제되는 것인데, 이와 때를 같이하여 탈리장치(C)의 탈리봉(9)들이 세절칼 이면에 붙어 있는 오징어채를 털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세절장치(B)에서 세절된 오징어채는 세절칼(7)에 붙어있지 못하고 전량 낙하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낙하하는 오징어채가 그 하측에 있는 세절칼(7)에 얹혀지게 되더라도 고속으로 회전하는 탈리봉(9)들의 타격작동에 의해 콘베이어벨트(10)로 전량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탈리장치(C)에 의하여 낙하한 오징어채는 본채(1)의 내저부에 설치한 운반장치(D)의 콘베이어벨트(10)에 의하여 본체 밖으로 운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장치들은 모우터(3)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제2도의 도시예와 같이 세절장치(B)의 하부측 체인기어(16b)의 축 일단에 축설된 전동체인기어(25)가 모우터(3)의 구동체인기어(3a)와의 사이에 동력전달체인(26)으로 연설되어 있어 세절장치(C)가 회전구동하는 것이며, 또 상기 하부측 체인기어(16b)의 축에는 전동체인기어(25)와 함께 요철형 캠판(27)이 축설되고, 상기 요철형 캠판(27)에 의하여 작동되는 간헐회동장치(28)가 상기 이송장치(A)의 하부 이송체인(4a)의 구동측 체인기어(11b)를 간헐적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간헐회동장치(28)는 본체(1)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구(29a)(29b)에 수용되어 있는 왕복작동간(30)의 일단에 착설시킨 활주로울러(31)가 요철형 캠판(27)의 요철캠면을 활주하도록 하고, 또 왕복작동간(30)의 타단에 부착시킨 장공연결구(32)의 장공에 상기 이송장치(A)의 하부측 체인기어(11b)의 축 일단부에 공회전상태로 축설된 각운 동작동간(33)의 자유단측 로울러(33a)가 수용되어 왕복작동간(30)이 직선상으로 왕복운동함에 따라 장공연결구(32)의 장공에 로울러(33a)를 수용시키고 있는 각운동작동간(33)이 설정된 각도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각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반복적인 각운동을 수행하는 각운동작동간(33)에 유착되어 있는 발톱(34)은 하부측 체인기어(11b)의 축에 축착된 래치트기어(35)를 일방향으로 간헐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래치트기어(35)가 일방향으로 간헐회전하므로서 이송장치(A)의 하부측 체인기어(11b)는 일방향으로 회전(도면상 시계방향)하게 되는 것인데, 하부측 체인기어의 축(111b)과 상부측 체인기어(11a)의 축(111a)에는 각각 피니언기어(도시 생략)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축설되어 있으므로서 결국 상,하부측 체인기어(11a)(11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즉, 상부측 체인기어는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하부측 체인기어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하부측 체인기어에 탄력적으로 협지되는 오징어는 그 배출단을 향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이송장치의 간헐적인 이송작동에 대하여 세절장치는 연속적인 회전작동으로 배출단에서 이송되어 나오는 오징어가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순간 세절칼(7)이 세절작동을 개시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간헐회동장치(28)의 일부 구성인 왕복작동간(30)에는 일측 고정(29b)에 고정되어 왕복작동간을 탄력적으로 원위치시키는 복원스프링(30a)과 스토퍼(30b)를 착설하였다.
그리고 탈리장치(C)와 운반장치(D)는 모우터(3)의 동력에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구동시키거나 별도의 모우터를 설치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는데, 어떻든 상기의 탈리장치(C)를 구성하는 상,하부측 소형의 체인기어(24a)(24b)의 회전작동에 따라서 체인(8)에 다수 부착된 탈리봉(9)이 회전하면서(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세절장치(B)의 세절칼(7)에 끼여있는 오징어채를 하향으로 탈리, 낙하시키는 작용을 하며, 본체(1)의 내저부에 설치된 운반장치(D)의 콘베이어벨트(10)는 낙하하는 오징어채를 받아 외부로 이송,운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원리로 된 본 발명으로 오징어채를 제조하는 방법과 그 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내부에 장설한 콘트롤박스(2)를 조작하여 모우터(3)와 본 발명이 요구하는 작동에 필요한 전기 내지 전자적인 회로장치의 각 스위치를 작동시켜주면 각 공정이 유기적으로 작동을 개시하게 되는 것인데, 먼저 오징어채를 제조하기 위하여 다리와 머리를 떼어낸 오징어를 차례로 이송장치(A)의 하부측 체인기어(4b) 상면으로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오징어들은 상부측 체인기어(4a)와의 사이로 삽입되면서 탄력적인 압지력에 의하여 상,하부측 체인기어(4a)(4b) 사이에 협지된 상태로 연이어서 배출단측으로 이송되는 것이며, 이때 이송장치는 간헐회동장치(28)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래치트기어(35)의 회전력에 의하여 일정거리만큼씩 간헐적으로 회전이송되는 상태이므로 이송되는 오징어 역시 간헐적으로 이송되며, 이와같이 간헐이송되는 오징어의 양단은 양측에 대설된 굴곡용로울러(5)에 의하여 하향으로 굴곡되고, 두줄의 상,하부측 체인기어(4a)(4b)와 접촉하는 몸통의 중간부분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되어 결국 오징어는 역 U자형으로 굴곡된 상태로 세절장치(B)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 형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이송되는 오징어가 이송장치(A)의 배출단에서 일정거리(대략 2mm 내외)만큼 돌출되게 이송된 상태가 되면 왕복작동간(30)은 후퇴작동하는 상태가 되므로 이 순간에는 오징어의 이송작동이 정지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세절장치(B)의 회전체인(6)에 부착되어진 세절칼(7) 중 배출단을 지나는 어느 하나의 세절칼(7)이 몸통의 정점부분(중간부분)을 위에서 찍어내면서 세절하게 되며, 이와같이 오징어의 몸통을 세절하는 세절칼(7)은 일정한 속도로 연속회전하는 상태이므로 일시정지된 오징어몸통의 중심부분만을 찍어 세절한 상태에서 수직으로 하강하면서 찢어내는 작용을 하게 되어 세절된 부분은 오징어의 섬유질 결방향으로 찢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렇게 세절되는 오징어채는 마치 손으로 찢어낸 것과 같이 세절면에 섬유질 보풀이 생기게 된다.
한편, 상기한 이송장치(A)가 오징어를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속도 즉, 오징어를 일정거리만큼 이송시키고 정지한 후 다음의 이송작동은 오징어 몸통의 중간부분을 세절하는 세절칼(7)이 세절된 부분을 완전히 찢어내는 상태에 이르는 짧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송장치(A)가 다시 오징어를 일정거리로 돌출되게 이송시킨 상태가 되면 다음단계의 세절칼(7)이 오징어몸통을 찍어내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송장치(A)와 세절장치(B)는 상호 유기적으로 작동하여 간헐이송되는 오징어를 연속적으로 세절하는 한편, 세절칼(7)들은 ∩형으로 굴곡된 오징어몸통의 정점부분만을 절개한 다음에는 수직으로 강하하는 체인(6)을 따라 밑으로 잡아 당기는 작용으로서 오징어의 섬유질 결을 따라 찢어낼 수 있게 되어 세절된 부분이 끊어지지 않고 균일한 두께로 찢어내면서 섬유질 보플이 형성된 오징어채를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절칼(7)에 의해 몸통의 중심부가 세절되어 밑으로 잡아 당겨지는 세절부분은 세절칼의 이면측으로 끼여들게 되는데, 세절작동을 완료하는 각 세절칼들은 그에 부설되어 있는 협지봉(19)의 자유단측 로울러(20)가 수직캠(21)의 캠면(21a)을 활주할 때 탄성협지편(17)이 세절된 부분을 탄력적으로 압압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서 세절된 오징어채는 탄성협지편(17)의 압압력에 의하여 세절칼의 이면에 꼭 끼인 채로 하향이송되는 것이며, 이렇게 세절된 오징어채를 꼭붙잡아 주는 작용은 세절칼(7)로 세절된 오징어채가 세절칼(7)들의 당김작용과 오징어 자체의 신축작용에 의해 사방으로 튕겨 회전체인(6)과 체인기어(16b)에 끼이게 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세절된 오징어채를 협지한 채 하향이송되는 세절칼(7)은 탈리장치(C)의 상부측에 도달하는 위치에 이르면 협지봉(19)의 로울러(20)가 수직캠(21)의 캠면(21a)의 말단을 벗어나 경사캠면(21b)을 활주하는 과정에서 스프링(18)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탄성협지편(17)이 오징어채를 놓아주게 된다.
위와같이 탄성협지편(17)이 압압하고 있던 오징어채를 놓아주는 위치에 이르면 탈리장치(C)의 상부측 소형의 체인기어(24a)를 돌아 나오는 각 탈리봉(9)들은 세절칼(7)의 측면에 근접된 상태에서 세절칼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면서 세절칼(7) 이면측에 느슨하게 끼여있는 오징어채를 위에서부터 밑으로 내리쳐서 탈리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서 세절된 오징어채는 밑으로 낙하하여 운반장치(D)의 콘베이어벨트(10)에 떨어지면서 본체 외부로 운반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오징어채로의 세절가공이 용이하도록 가공된 오징어를 이송공정을 통하여 상,하부측 체인기어 사이로 공급하여 배출단쪽으로 간헐이송시키되, 그 배출단에 이르러서는 오징어몸통이 중심부의 일정폭은 수평상태를 유지한 채 양쪽이 하향으로 절곡된 상태로서 배출단으로 간헐이송되게 하며, 다음 공정인 세절공정을 통하여서는 오징어의 몸통 중심부를 세절칼로서 일정한 폭으로 세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 세절된 부분을 하향이동하면서 찢어낼 수 있도록하여 오징어채가 끊어지거나 불규칙하게 찢어지는 사례없이 균일한 두께로 잘 찢어질 수 있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찢어지는 부분에 섬유질 보풀이 일어나게 할 수 있어 마치 손으로 찢어낸 것과 같이 품질이 우수한 오징어채를 제조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세절공정에서 균일한 두께로 세절된 오징어채는 사방으로 튀거나 체인에 끼이는 현상 또는 체인을 따라 붙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지 않을 뿐 아니라 탈리공정에서 빠르게 회전하는 탈리봉에 의하여 신속하게 밑으로 떨어져 콘베이어벨트를 따라 본체의 외부로 운반되도록 하므로서 오징어채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것이다.

Claims (3)

  1. 오징어를 수평으로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되 배출단부에서 역 U자형으로 굴곡시키면서 일정 길이만큼씩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공정과; 상기 이송공정의 배출단부로 부터 배출된 오징어 몸통의 정점부(몸통의 중간부분)를 상방에서 예리한 칼날로 내리찍어 그 정점부의 일부분만을 칼날로 세절함과 동시 계속된 수직하강작동으로 상기 칼날이 절개된 부분을 오징어 섬유질의 결방향으로 찢어내는 세절공정; 및 상기 세절공정의 예리한 칼날보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탈리봉으로 일정한 폭으로 찢어진 채 예리한 칼날에 붙어있는 오징어채를 하향으로 타격을 가하여 운반장치로 낙하하도록 털어내는 탈리공정;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오징어채의 제조방법.
  2. 본체(1)의 상부 전방측에 마련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간헐 회전하면서 오징어를 탄력적으로 협압하여 수평으로 간헐이송시키는 상,하부 이송체인(4a)(4b)과, 상기 상,하부 이송체인들을 구동시키는 복수개의 체인기어들과, 상기 상부 이송체인(4a)의 연동측 체인기어(12a)축 양단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오징어몸통의 양단을 하향 굴곡시켜역 U자형이 되게 하는 한쌍의 굴곡용 로울러(5)로 구성되는 이송장치(A)와; 상기 이송장치(A)의 오징어 배출단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하 수직상으로 대설되는 체인기어(16a)(16b)와 상기 체인기어에 연설되어 회전하는 회천체인(6)과, 상기 회전체인(6)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부착되며 상기 이송장치(A)의 배출단에서 역 U자형으로 굴곡되어 배출되는 오징어 몸통의 정점부분(중간부분)을 상방에서 내리찍어 일부분만을 절개함과 동시에 계속된 회전작동으로 수직 하강하면서 찢어내게 되는 세절칼(7)과, 상기 세절칼에 의해 세절된 오징어채를 탄력적으로 붙잡아주는 탄성협지편(17)과, 및 상기 탄성협지편의 협지작동과 해제작동을 제어하는 수직캡(21)으로 구성되는 세절장치(B); 및 상기 이송장치(A) 하부에 상,하 수직상으로 대설되고 상기 세절장치(B)의 체인기어와는 반대방향으로 고속회전하는 체인기어(24a)(24b)와,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에 연설되는 체인(8)과, 및 상기 체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부착되어 세절칼과 탄성협지편 사이에 끼여있는 오징어채에 타격을 가하여 하방에 설치된 운반장치(D)의 콘베이어벨트(10)로 떨어뜨리는 유연한 재질의 탈리봉(9)으로 구성되는 탈리장치(C);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채의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A)와 세절장치(B) 및 탈리장치(C)는 본체내에 2조 이상 복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징어채의 제조장치.
KR1019950007239A 1995-03-31 1995-03-31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014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39A KR0147717B1 (ko) 1995-03-31 1995-03-31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239A KR0147717B1 (ko) 1995-03-31 1995-03-31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61A KR960033261A (ko) 1996-10-22
KR0147717B1 true KR0147717B1 (ko) 1998-08-01

Family

ID=1941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239A KR0147717B1 (ko) 1995-03-31 1995-03-31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7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57476A (zh) * 2017-12-13 2018-06-15 浙江海洋大学 一种片鱼机构
KR20190020923A (ko) * 2017-08-22 2019-03-05 최길섭 건어물 인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0923A (ko) * 2017-08-22 2019-03-05 최길섭 건어물 인열 장치
CN108157476A (zh) * 2017-12-13 2018-06-15 浙江海洋大学 一种片鱼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261A (ko) 1996-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576B1 (ko) 소를 넣은 빵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US4073040A (en) Machine for process of poultry gizzards
US7565789B2 (en) Banding machine
US3064589A (en) Rotating wire cutoff for extrusion machines
MX2014006067A (es) Dispositivo de corte y separacion de aguacate.
KR0147717B1 (ko) 오징어채의 제조방법과 그 장치
US4019224A (en) Removal of meat from crustaceans
US4108033A (en) Rotary cutting device for forming strips of shaped article preforms
US5911621A (en) Apparatus for deboning fish fillets
US5338250A (en) Plate deboner
KR20130055898A (ko) 북어채 가공장치
US3282524A (en) Automatic winding machine
JPH0430817B2 (ko)
JP3681135B2 (ja) 鱗茎菜類の茎根切断処理装置
JP4231939B2 (ja) スライサーの材料供給装置
KR20010046801A (ko) 밤 박피 장치
JPH10127264A (ja) 花弁の分離装置
KR200203287Y1 (ko) 오징어 세절장치
JPS5831511Y2 (ja) デポジツタ−
JP3457625B2 (ja) 皮剥機
US543833A (en) Fruit
US5468180A (en) Apparatus for removing the skin from the bodies of slaughtered poultry
JP4264518B2 (ja) スライス肉片の移送装置
US2540747A (en) Sausage skinning and cutting machine
JPS59146534A (ja) 魚頭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