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415B1 -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415B1
KR0146415B1 KR1019950040684A KR19950040684A KR0146415B1 KR 0146415 B1 KR0146415 B1 KR 0146415B1 KR 1019950040684 A KR1019950040684 A KR 1019950040684A KR 19950040684 A KR19950040684 A KR 19950040684A KR 0146415 B1 KR0146415 B1 KR 0146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rotation
chemical
rotating plate
unman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0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5389A (ko
Inventor
김민식
Original Assignee
신재인
한국원자력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인, 한국원자력연구소 filed Critical 신재인
Priority to KR1019950040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415B1/ko
Publication of KR97002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을 무인방제기의 약제탱크의 액량감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약액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약액 희석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희석모터의 회전방향 전환시 희석모터 소비전류변화를 분석하여 현재 액량을 인식하는 무인방제기 약제탱크 액량 감지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인방제기 약제탱크에 부착된 희석모터의 회전방향이 바뀔 때 시간경과에 대한 희석모터의 소비전류 변화로 액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방제기 약제탱크 액량 감지법.

Description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도1은 무인방제기 분두부의 회전판 구성도
도2는 무인방제기 분두부의 회전기어 상세도
도1은 무인방제기 분두부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회전판 2:분두부 회전축
3:회전반경 4,4`:회전반경 설정단자
5,5`:회전감지센서 6:회전기어
8:회전기어산 9:회전기어골
10:구동모터축 11:구동기어
12:근접센서
본 발명을 무인방제기의 농약을 살포하는 분두부의 살포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분두부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무인방제기의 분두부의 회전반경을 제어하고자 센서를 이용하여 분두부의 회전각도를 인식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방제기는 시설원예온실에서 농약을 무인으로 자동 살포하는 장치로서, 공기압축기에서 만들어진 고속의 공기 흐름속에 약액 공급구를 노출시켜 베르누이의 법칙에 의하여 약액 분출구에 부압이 걸리게 되고, 따라서 약액이 고속 공기흐름속에 분출되므로 약액을 미립화하여 분사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이 장치의 주요구성을 공기압축기와 약액을 분출하는 분두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무인방제기 분두부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기(100), 약제통(200), 분두부회전장치(300) 및 지지대(400)로 구성되어 있으며, 살포면적의 확대를 위하여 정해진 각도(360도 이하)내에서 회전한다. 상기 분두부의 회전반경을 사용 온실의 크기와 구조에 따라 다르게 해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분두부에는 회전반경 제거기능이 필요하다.
종래의 분두부 회전반경 제어장치는 분두부 회전판(1)에 분두노즐(도시없음), 환풍팬(도시없음)등이 설치되어 분두부 회전축(2)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며 살포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분두부는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분도부 회전장치(300)내의 회전판(1)에 설치되어 있는 회전반경 설정단자(4,4')의 설정위치에 따라 회전반경(3)이 결정되었다. 즉, 일측의 회전반경 설정단자(4)와 이를 감지하는 하나의 회전감지 센서(5), 타측의 회전반경 설정단자(4')와 이를 감지하는 또다른 회전감지 센서(5') 사이의 거리에 따라 분두부의 회전반경이 변화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이 분두부의 회전반경을 회전반경 설정단자(4,4')의 설정위치에 따라 변경되므로, 분두부의 회전반경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회전반경 설정단자(4,4')를 분두부 회전판(1)에서 분리하여 해당 회전반경 위치에 재 부착하여야 하므로 사용하기에 매우 불편하였다. 또한, 분두부의 회전 반경을 자주 바꾸게 되면 고장의 원인이 되는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분두부 회전각도 제어를 제어팬멀에서 수치 변경만으로 원하는 회전각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현재의 회전각도를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분두부에 부착되는 엔코더(encoder)등의 고가장비를 이용하지 않고 회전각도를 인식토록하여 경비를 절감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무인방제기의 살포면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분두부의 회전각도를 인식하는 분두부 회전각도 인식방법에 있어서, 회전판(1)에 회전반경 설정단자(4,4')중 회전반경 설정단자(4)를 영구·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1)과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감지센서(5,5')중 회전감지센서(5)를 영구·고정되게 설치하여 회전감지센서(5)에 의해 분두부의 최초작동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두부 회전판(1)과 동일출을 구비하도록 회전판(1)하부에 설치된 분두부 회전기어(6)와 근접되게 근접센서(12)를 설치하여 구동기어(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6)의 산과 골의 개수를 계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출력에 의해 회전·작동되고 있는 분두부의 회전각도를 인식하는 제3단게로 이루어진 무인방제기의 분두부 회전각도 인식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무인방제기 분두부의 회전판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회전판(1) 일측에 회전반경 설정단자(4,4')중 회전반경설정단자(4)를 영구·고정시키고, 상기 회전판(1)에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감지 센서(5,5')중 회전감지 센서(5)를 영구·고정되게 설치한다.
이때 제어패널의 제어부는 회전감지센서의 출력에 의해 현 위치 즉, 회전판(1) 일측에 회전반경 설정단자(4)가 영구·고정되고, 상기 회전판(1)에 대향되는 위치에 회전감지 센서(5)가 설치된 상태를 원점으로 인식한다.
도2는 무인방제기 분두부의 회전기어 상세도를 도시한 것으로 분두부 회전축(2)과 동일축을 구비하고 회전판(1) 하부에 설치된 분두부 회전기어(6)의 일측에 근접되게 근접센서(12)를 설치하고, 상기 근접센서(12)가 설치된 분두부 회전기어(6)의 타측에 치합되도록 모터(도시없음)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기어(11)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두부 회전기어의 산과 골의 개수는 분두부의 회전각도 인식을 위하여 일정하게 한다. 즉, 산과 골의 수를 36개로 하면, 각 산과 산사이 또는 골과 골사이의 간격은 10도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모터에 의해 구동기어(11)가 작동하면, 이에 치합된 회전기어(6)가 회전하고, 근접센서(12)가 회전하는 회전기어(6)의 산과 골의 개수를 계수함과 동시에 상기 값을 제어패널의 제어부에 입력한다.
즉, 본 발명은 무인방제기가 최초로 작동될 때, 회전감지센서(5)는 영구고정된 하나의 회전반경 설정단자(4)와의 상대위치 즉, 회전감지센서(5)와 회전반경 설정단자(4)와의 거리 차이에 따라 회전판의 최초 작동 위치를 갑지하여 제어패널의 제어부(도시없음)로 회전판의 최초 작동위치를 원점으로 하는 출력값을 출력한다.
또한 분두부 회전축(2)과 동일축을 구비하고 분두부 회전판(1) 하부에 설치된 분두부 회전기어(6)의 회전을 위해 모터(도시없음)에 의해 구동기어(11)를 작동시키면, 이에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6)가 회전하여 분두부 상단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기어와 근접하여 설치된 근접센서(12)는 회전하는 회전기어의 산과 골의 개수를 계수하여 그 출력값을 제어 패널의 제어부에 입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어패널의 제어부는 회전감지 센서(5)에 의해 입력되는 최초 작동위치 즉, 원점위치와 상기 근접센서(12)의 계수값에 의해 계산된 회전판의 회전각도에 의해 작동되고 있는 분두부의 회전각도를 인식하게 된다.
이와같이 고가의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도 회전판의 회전각도를 인식 할 수 있다.

Claims (1)

  1. 송풍기, 약제통, 분두부 회전장치 등이 설치된 분두부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를 받쳐주는 지지대로 구성된 무인방제기의 살포면적을 조정하기 위하여 분두부의 회전각도를 인식하는 분두부 회전각도 인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두부 회전장치내에 설치된 회전판(1)에 회전반경 설정단자(4)를 영구·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1)과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감지센서(5)를 영구·고정되게 설치하여 회전반경 설정단자(4)와 회전감지센서(5)에 의해 분두부의 최초 작동위치를 원점으로 설정하는 제1단계와, 상기 분두부 회전판(1)과 동일축을 구비하도록 회전판(1) 하부에 설치된 분두부 회전기어(6)와 근접되게 근접센서(12)를 설치하여 구동기어(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기어(6)의 산과 골의 갯수를 계수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와 제2단계의 출력에 의해 회전·작동되고 있는 분두부의 회전 각도를 인식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방제기의 분두부 회전각도 인식방법.
KR1019950040684A 1995-11-10 1995-11-10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KR0146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684A KR0146415B1 (ko) 1995-11-10 1995-11-10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0684A KR0146415B1 (ko) 1995-11-10 1995-11-10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89A KR970025389A (ko) 1997-06-24
KR0146415B1 true KR0146415B1 (ko) 1998-08-01

Family

ID=194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0684A KR0146415B1 (ko) 1995-11-10 1995-11-10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4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2460A (zh) * 2014-12-23 2015-04-01 四川农业大学 一种带状套种喷施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2460A (zh) * 2014-12-23 2015-04-01 四川农业大学 一种带状套种喷施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5389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3077A (en) Programmable sprinkler
CN109275645B (zh) 一种智能植保无人机
US7841547B2 (en) Rotary drive sprinkler with flow control and shut off valve in nozzle housing
US5119974A (en) Spray bottle with a full circle, complementary operative feed system connected to a pump sprayer
CA1105528A (en) Stream rotor sprinkler with rotating deflectors
CN208665549U (zh) 一种可均匀喷洒农药的无人机
US5307993A (en) Rotary sprinkler
JPH0677710B2 (ja) 定量塗布装置
EP0852160B1 (en) Pattern controllable dispensing apparatus
CA2209502A1 (en) Water flow control device for rotary sprinkler
US48670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powder in a printing press
KR0146415B1 (ko) 무인방제기 분두부 회전각 인식방법
US8596559B2 (en) Rotary drive sprinkler with flow control and shut off valve in nozzle housing
EP1600216A2 (en) Spray gun
CN109367784B (zh) 一种植保无人机药箱
JPS61204665U (ko)
JPH10113589A (ja) 空中散布装置
US5509281A (en) Dust blower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KR20200055599A (ko) 에어 샤워 머신
JPH0225395Y2 (ko)
KR200369048Y1 (ko) 가습기 분무부의 구조
KR0145780B1 (ko) 회전형 분무노즐을 갖춘 가습기
JP3406036B2 (ja) プレイバック型塗装ロボットの制御方法
KR200272731Y1 (ko) 농약방제기
EP3845314B1 (en) Air jet spray device comprising a rotatable air jet spray cann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