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308B1 -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308B1
KR0146308B1 KR1019950002904A KR19950002904A KR0146308B1 KR 0146308 B1 KR0146308 B1 KR 0146308B1 KR 1019950002904 A KR1019950002904 A KR 1019950002904A KR 19950002904 A KR19950002904 A KR 19950002904A KR 0146308 B1 KR0146308 B1 KR 0146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term
learning
multiplication
fu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노 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요시후미 쓰지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후미 쓰지, 닛산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후미 쓰지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308B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소 공연비를 피드포워드 제어할 때의 제어정밀도를 향상시킨다.
스토이키 영역에서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로부터 중부하 영역에서 연료공급량에 대한 승산보정항을 학습하고(E), 무부하영역에서 연료공급량에 대한 가산보정항을 학습한다(F).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는 승산보정항을 사용하지않고 연료공급량을 산출시킨다(I). 그리고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고(J) ,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의 판정을 개시시킨다.(L,K). 그리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한다(M).

Description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기능 블록도
제1도는 제1도의 쇄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번형상태의 도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스템도
제4도는 연료분사 펄스폭 산출 루틴의 흐름도
제5도는 소공연비운전 허가판정 루틴의 흐름도
제6도는 연료공연비 보정계수 산출 루틴의 흐름도
제7도는 연료공연비 맵의 도시도
제8도는 연료공연비 보정계수의 설정상태의 도시도
제9도는 학습치 참조루틴의 흐름도
제10도는 학습영역 포인터의 도시도
제11도는 학습치 갱신 루틴의 흐름도
제12도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변화상태의 도시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학습치 참조 루틴의 흐름도
제14도는 제2실시예의 학습치 갱신 루틴의 흐름도
제15도는 일률 학습영역의 도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기관 4:연료분사밸브
5:제어유니트 6:풍량계
7:크랭크각 센서 8:스로틀센서
9:수온센서 11:산소센서
본 발명은 소공연비(空燃比)에 의해 운전을 행하는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공연비를 피드포워드 제어할시의 제어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관한 것이다.
공연비 검출수단으로서 널리 알려져 있는 소위 산소센서는 스토이키 공연비(이론공연비) 근방에서 출력전압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스토이키 공연비의 검출에는 적합하지만 공연비가 예를들면 20이상과 같은 소공연비를 검출하려면 적합하지 않다. 이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공연비에 대해 출력전압이 선형성을 갖는 소위 광연공연비 센서가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소공연비에 의해 운전을 행하는 내연기관에서도 비용이나 신뢰성의 면에서 우수한 산소센서를 이용하는 공연비 제어장치가 고안되어 있고, 종래 이런 류의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특개소 61-87935 호 공부에 기재된 장치가 있다.
이것은 스토이키 운전시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에 피드백 보정량으로부터 연료공급량(연료분사량)의 오차를 학습하고, 소공연비 운전시에는 학습치를 이용하여 공연비를 피드포워드 제어하는 것이다. 또 학습치에 대해서는 이것을 연료분사량에 대한 승산보정항(乘算補正項)과 가산보정항(加算補正項)으로 나누고, 승산보정항을 중부하영역(中負荷領域). 가산보정항을 무부하영역에서 학습하는 방식으로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의 학습방식에 있어서는,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의 양자가 충분하게 학습되기까지는, 광범위한 부하에 대해 충분하게 공연비를 피드포워드 제어하는 데 있어 정확도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상기 공보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40㎞/h로 정상 주행을 계속하고 승산보정항으로만 학습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40㎞/h정상주행에 상당하는 부하에서는 적절한 공연비가 되지만 보다 고부하(高負荷)에서는 목표보다 작은 공연비가 되고, 보다 저부하에서는 목표보다 큰 공연비가 된다. 상기 공보에 의하면 상술한 상태를 고려해서 소공연비 운전시에 공연비를 피드포워드 제어할 시, 소공연비 운전시의 실화(失火)한계를 넘는 정도로 공연비가 작아지거나 NOX배출량 한계를 넘는 정도로 공연비가 커지지않도록 학습보정을 행하기 전의 기본분사량을 미리 정해 두는 방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기본분사량을 미리 정하려면 제품 개개의 성능이 각기 다르다는 것을 고려해서 기종마다 기본분사량의 적합량을 정할 필요가 있고, 많은 일손이 가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성능이 각기 다른 것을 능동적으로 보정해서 적합한 공수를 저감한다는 원래의 학습제어의 의도에 반하게 된다.
그러므로 특히 운전성이나 배기로의 영양이 큰 소공연비로 피드포워드 제어를 행하기 전에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충분하게 행해질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공보와 같이, 연료분사량의 산출시에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의 양자가 항상 반영되면, 각각의 학습치가 그다지 수속(收束)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즉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는, 그 때의 연료분사량의 산출에 승산보정항도 이용하고, 승산보정항의 영향을 포함한 상태에서 올바른 공연비가 될 수 있도록 가산보정항을 학습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승산보정항의 학습시에도 가산보정항의 영향을 받아 학습하므로, 다시 가산보정항을 학습하게 되고, 그 반복에 의해 학습은 진행되더라도 수속은 적합하게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학습의 수속을 소공연비 운전의 전제조건으로 할 경우에는 소공연비 운전의 실현까지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런 실정에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의 학습을 적절한 것으로 해서, b습정밀도의 향상과 학습수속의 조기 달성을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 A 와, 기관의 운전상태에 의거해 목표공연비를 스토이키와 소공연비로 절환하는 목표공연비 절환수단 B 와, 기관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연비를 검출하는 공연비 검출수단 C 와, 상기 목표공연비 절수단 B 에 의한 스토이키 영역에서 상기 공연비 검출수단 C 로부터 신호에 의거해 공연비가 스토이키가 되도록 연료공급량이 대한 피드백 보정량을 설정하는 피드백 보정수단 D 와, 연료공급량에 대한 피드포워드 보정량을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으로 나누어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 D 에 의한 피드백 제어중의 피드백 보정량에 의거해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승산보정항을 학습하고, 무부하운전 영역에서 가산보정항을 학습하는 승산보정 학습수단 E 및 가산보정항 학습수단 F 와, 기관의 운전상태와 목표공연비에 의거해 스토이키 영역에서는 피드백 보정량과 승산보정항 및 가산보정항을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고, 소공연비영역에서는 승산보정항 및 가산보정항을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보정량에 의해 보정해서 연료공급량을 산출하는 연료공급량 산출수단 G 와, 산출된 연료공급량에 따라 기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 H 와, 를 갖춘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에 있어 하기 I - M 의 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다.
I) 상기 가산보정항 학습수단 F 에 의한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 상기 연료공급량 산출수단 G 에 의한 연료공급량의 산출시 승산보정항의 사용을 금지하는 승산보정항 사용금지수단
J) 상기 가산보정항 학습수단 F 에 의한 가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제 1 학습수속 판정수단
K)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 에 의한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는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L) 상기 제 1 학습수속 판정수단 J 에 의해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되기까지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K 에 의한 판정을 금지하는 판정금지수단
M)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K 에 의해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되기까지 상기 목표공연비 절환수단 B 에 의한 소공연비로의 절환을 금지하는 소공연비 절환금지수단
여기서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 를,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K 를 상기 복수의 영역중 소정의 영역에서의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에 의해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것으로 하면 좋다.
또 제 2 도 (a)에 제 1 도 쇄선내의 변형상태를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 를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1 과 해당 복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 전영역에서 일률적으로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2 로 구성하고,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K 를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2 에 의한 일률 학습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는 것으로 해서, 이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 K 에 의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이 판정되기 전은,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2 에 의한 행하게 하고, 판정후는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1 에 의한 학습을 행하는 하는 학습절환수단 N 을 설치하면 좋다.
또 제 2 도 (b)에 제 1 도의 쇄선내의 변형모양을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도 (a)의 구성에 덧붙여,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1 에 의한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하는 제 3 학습수속 판정수단 O 를 설치하고, 상기 연료공급량 산출수단 G 에 의한 연료공급량의 산출시에, 이 제 3 학습수속 판정수단 O 에 의해 학습 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1 에 의해 학습된 영역별 승산보정항을 이용하고, 학습수속이 판정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E2 에 의해 학습된 일률 승산보정항을 이용하는 승산보정항 절환수단 P 를 설치하면 좋다.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는, 스토이키 영역에서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에,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승산보정항을 학습하고, 무부하영역에서 가산보정항을 학습하지만,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는 승산보정항을 사용하지않고 연료공급량을 산출시킨다. 따라서 가산보정항의 학습을 승산보정항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신속하게 수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수속을 판정함에 있어서는, 우선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고,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의 판정을 개시한다. 따라서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해서 안정된 상태에서의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보증되므로, 가산보정항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수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함으로써, 충분한 학습후에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이 이루어져 배기성능등이 향상할 뿐만아니라, 비교적 신속하게 소공연비 운전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행하는 것으로 하면 학습정밀도가 향상하고, 이 경우에 상기 복수의 영역중 소정 영역에서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에 의해 학습의 수속을 판정하는 것으로 하면, 소공연비 운전의 허가가 지연되는 것을 받지할 수 있다.
또 승산보정항의 학습시에, 최초는 복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 전체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학습하고, 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해서 학습수속이 판정된 단계에서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하는 한편,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행하는 것으로 하면, 소공연비 운전의 조기개시와, 학습정밀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해서, 연료공급량의 산출시에, 학습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영역별 승산보정항을 사용하고, 학습수속이 판정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일률 승산보정항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이 진행된 영역으로부터 서서히 절환하게 되므로 학습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3 도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기관(1)의 흡기통로(2)의 스로틀밸브(3) 하류(흡기매니폴드)에 각 기통마다 연료공급수단으로서의 연료분사밸브(4)가 설치되어 있다. 연료분사밸브(4)는 제어유니트(5)로부터 기관회전에 동기해서 소정 타이밍으로 출력되는 연료분사 펄스신호에 의해 벨브가 개방되고, 소정 압력으로 조정된 연료를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연료공급량(연료분사량)은 연료분사 펄스신호의 펄스폭(연료분사 펄스폭)에 의해 결정된다.
제어유니트(5)는 마이크로컴퓨너를 내장해서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써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연산처리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종 센서로서는 흡기통로(2)의 스로틀밸브(3) 상류에서 흡입공기류량(Qa)을 검출하는 풍량계(6), 크랭크 각도와 함께 기관회전수 NE를 검출가능한 크랭크각 센서(7), 스로틀밸브(3)의 개방도 TVO를 검출하는 스로틀센서(8) (스로틀밸브(3)의 전폐위치에서 온이 되는 무부하스위치를 포함한다), 기관(1)의 냉각수온 TW 를 검출하는 수온센서(9)등이 사용된다. 또 기관(1)의 배기통로(10)에 설치되고 기관(1)에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기비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배기공연비의 희박, 농후에 따라 출력전압이 급변하는 특성을 갖는 공연비 검출수단으로서의 산소센서(11)가 사용된다.
제어유니트(5)내의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한 연산처리 내용에 대해 제 4 도 - 재 12 도 (제 1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 4 도는 연료분사 펄스폭 산출루틴을 도시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10msec마다 실행된다. 즉 본 루틴이 연료공급량 산출수단에 상당한다.
단계 101에서는 풍량계(6)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 검출된 흡입공기유량 Qa와, 크랭크각 센서(7)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 검출된 기관회전수 NE 로부터, 다음식에 따라 스토이키 공연비에 대응하는 기본분사 펄스폭 TP를 산출한다.
TP=K×Qa/NE (단 K 는 정수)
단계 102에서는 다음식에 따라 각종 보정계수 TFBYA를 산출한다.
TFBYA=DML+KAS+DTW+KHOT
DML 은 공연비 보정계수이고, 후술하는 제 6 도의 루틴 단계 305 또는 단계 306 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KAS 는 시동후 증량계수, KTW 는 저온수 증량계수, KHOT 는 고수온 증량계수이다. 즉 기관의 시동부터 그 직후에 걸쳐서는 공연비 피드백제어를 행하지않고, 저수온 증량계수 KTW 와 시동후 증량계수 KAS 에 의해 연료를 증량해서 연료상태를 양호하게 함과 동시에 배기온도를 높여 촉매의 난기를 촉진시키고, KAS=KTW=0이 되는 난기후에는 연공비 보정계수 DML 과 고수온시의 보정계수인 고수온 증량계수 KHOT 와로 공연비를 제어하는 것이다.
단계 103 에서는, 각각 다른 루틴에 의해 설정되어 있는 피드백 보정량으로서의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무효펄스폭 TS, 피드포워드 보정량(학습치)으로서의 승산보정항 Lα 및 가산보정항 LTS를 읽어 들인다.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는, 피드백 제어수단으로 산소센서(11)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한 주지의 비례적분제어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제 12 도 참조). 즉 산소 센서(11)의 출력전압 VO2과 슬라이스 레벨 SLO2를 비교해서 희박, 농후를 판정하고, 농후→희박의 반전시에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를 소정의 비례분 P 증대시키고, 계속해서 희박의 상태일 시에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를 시간경과와 함께 소정의 적분분 I 씩 증대시킨다 (단 IP), 그리고 희박→농후의 반전시에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를 소정의 비례분 P 감소시키고, 계속되는 농후시에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를 시간경과와 함께 소정의 적분분 I 씩 감소시킨다. 안 이런 공연비 피드백 제어는 스토이키 운전시에만 행해지고, 소운전시에는 후술하는 제 6 도의 루틴의 단계308 에서 α=1.0 으로 고정되어 공연비 피드백 제어가 정지된다.
제 12 도에서는 노이즈 대책을 위해 히스테리시스를 설치한 슬라이스 레빌 SLO2가 과정되어 쓰여 있지만 실제로는 그정도의 차이는 없다. 또 산수 센서 출력전압 VO2도 비스듬히 변화하도록 쓰여져 있지만 실제로는 훨씬 급변하는 파형이 된다.
무효펄스폭 TS 는 베터리 전압에 의거해 설정된다.
승산보정항 Lα 는 후술하는 제 9 도의 루틴의 단계 404 또는 단계 405 에서 설정된다.
가산보정항 LTS 는 후술하는 제 9 도의 루틴의 단계 406 에서 설정된다.
단계 104 에서는 다음식에 따라 기본분산 펄스폭 TP, 각종 보정계수 TFBYA,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승산보정항 Lα, 무효펄스폭 TS 및 가산보정항 LTS 로부터 연료분산 펄스폭 Ti 를 산출한다.
Ti=TP×TPBYA×(α+Lα-1.0)+TS+LTS
즉, α 는 1.0 중심, Lα 는 1.0 중심, LTS 는 0.0 중심이다.
단계 105 에서는 산출된 연료분사 펄스폭 Ti 를 출력 레지스터에 전송한다. 이것에 의해 Ti 의 펄스폭의 연료분사 펄스신호가 기관회전에 동기한 소정의 타이밍으로 연료분사밸브(4)에 출력되어 연료분사가 행해진다.
제 5 도는 소공연비 운전허가 판정루틴을 표시하고 있다.
단계 201, 202 에서는 무부하운전 스위치의 상태를 검출해서 무부하 스위치가 온(스로틀밸브 전폐에서 무부하상태)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오프(비무부하 상태)일 때는 단계 203 으로 나아가고, 온(무부하 상태)일 때는 단계 211 에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0 (희박한 상태에서의 운전불허가)으로써 본 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03, 204에서는, 냉각수온 TW 를 검출해서, 소공연비허가 하한치 TWLL (고정치)와 비교하여, TW≥TWLL 일 때는 단계 205 로 나아가고, TWTWLL일 때는 단계 211 에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0으로써 본 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05, 206 에서는 부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인 기본분사 펄스폭(부하상당치) TP 를 검출해서 소공연비 허가 하한치 TPLL 및 소공연비 허가 상한치 TPLH (모두 고정치)와 비교하고, 범위내(TPLL≤TP≤TPLH)일 때는 단계 207 로 나아가고, 범위외일 때는 단계 211 에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0 으로 해서 본 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07 208 에서는, 기관회전수 NE 를 검출해서 소공연비 허가 하한치 NELL 및 소공연비 허가 상한치 NELH (모두 고정치)와 비교하고, 범위내(NELL≤NE≤NELH)일 때는 단계 209 로 진행하고, 범위외일 때는 단계 211 에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0으로써 본 루틴을 종료한다.
단계 209에서는 후술하는 제 11 도 루틴의 단계 513 - 단계 518 에서 승산보정항에 대한 학습수속의 판정에 있어 학습수속 OK 라 판정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학습수속 OK 인 경우에 단계 210 으로 나아가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FLEAN=1 (소공연비 운전허가)로써 본 루틴을 종료한다. 학습수속 NG 의 경우는 단계 211 에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0으로써 본 루틴을 종료한다.
이렇게 기관의 운전상태에 의거하여, 비 무부하운전 상태, 냉각수온 Tw가 소정치 이상, 기본분사 펄스폭 TP 가 소정 범위내, 또 기관회전수 NE 가 소정 범위내일 때에 소공연비 운전으로 절환하지만,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되기까지는 소공연비 운전을 금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 5 도의 루틴과 후술하는 제 6 도의 루틴이 목표공연비 절환수단에 상당하지만, 제 5 도의 단계 209 → 단계 211 의 부분이 소공연비 절환금지수단에 상당한다.
제 6 도는 연공비 보정계수 산출 루틴을 표시하고 있다. 즉 본 루틴은 크랭크각 센서(7)로부터의 기준신호 REF 에 의해 기관회전에 동기해서 실행된다.
단계 301에서는, 제 5 도의 루틴에 의해 설정되는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의 값을 판정하고, FLEAN=1 (소공연비 운전허가)일 때는 단계 302 에서 연공비 맵으로써 소공연비 운전상태에 적합한 제 7 도 (a)의 소 연공비 맵을 선택해서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사 펄스폭 TP 로부터 목표연공비 TDML을 검색한다.
또 FLEAN=0 (소공연비 운전 불허가)일 때는, 단계 303 에서 연공비 맵으로써 스토이키 운전할 때 적합한 제 7 도 (b)의 스토이키 연공비 맵을 선택하고,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사 펄스폭 TP 로부터 목표연공비 TDML 을 검색한다.
이 목표연공비 TDML 은 스토이키 공연비를 14.7 로 하면 14.7/(목표 공연비)이고, 연공비 보정계수 DML 로써 사용가능하지만 목표연공비 TDML을 바로 연공비 보정계수 DML 로 해버리면,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 값에 응하여 스토이키와 소공연비 절환이 행해지고, 급격한 상태변화에 수반해 토크 충격이 발생한다. 그래서 단계 304 - 단계 306 에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제 8 도 참조).
단계 304 에서는 다시 소공연비 운전허가 플러그 FLEAN 의 값을 판정하고, FLEAN=1(소공연비 운전허가)일 때는 단계 305 에서 전회의 연공비 보정계수 DML 로부터 소정의 연공비 단계 변화량 △DML 를 감산한 값(DML-△DML)과 이번 회의 목표연공비 DML 와를 비교해서 큰 쪽의 값을 새로운 연공비 보정계수 DML 로 한다 (다음식 참조).
DML=Max(DML-△DML,TDML)
따라서 전회까지 FLEAN=0 이고 스토이키용 DML (=L0)이었던 경우에, FLEAN=1이 되면, TDML=14.7/22= 0.67 (A/F=22가 목표인 경우)이 되지만, △DML=0.03 으로 하면, 이 때의 DML 은 DML=DML-△DML=1.0-0.03=0.97 TDML(0.67)이 된다. 이 후, DML 은 시간경과와 함께 0.94, 0.94, 0.88 ---- , 0.67 로 변화한다.
FLEAN=1 이 되어 충분히 시간이 경과하고 있을 때는, DML-△DML의 값이 0.64 가 되고, TDML(=0.67)보다 작아지므로 DML=TDML=0.67 이 된다.
한편, FLEAN=0 (소공연비 운전불허가)일 때는, 단계 306 에서 전회의 연공비 보정계수 DML에 소정의 연공비 단계 변화량 △DML 을 가산한 값(DML+△DML)과, 이번 회의 목표연공비 TDML 와를 비교해서, 작은 쪽의 값을 새로운 연공비 보정계수 DML 로 한다(다음식 참조)
DML=Min(DML+△DML,TDML)
단계 307 에서는, 산출된 연공비 보정계수 DML 의 값이 1.0 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DML≠1.0 인 경우는 스토이키 운전이 아니므로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단계 308 에서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α=1.0 으로 고정한다.
제 9 도는 학습치 참조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단계 401 에서는,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사 펄수폭 TP 와를 읽어들이고, 다음 단계 402 에서는 이들로부터 학습영역 포인터 PL 을 산출한다.
학습영역 포인터는, 제 10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학습치(승산보정항 및 가산보정항)의 맵과 대응시켜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사 펄스폭 TP 와의 의해 결정되는 각 영역에 다른 값을 넣은 것을 생각하면 된다.
만약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사 펄스폭 TP 가 각각 NE1≤NENE2, TP1≤TPTP2 에 있으면 (단 NE1 과 NE2 는 영역을 나누는 기관회전수, TP1 과 TP2 는 영역을 나누는 기본분사 펄스폭), 학습영역 포인터는 PL=5가 되는 것이다.
한편, 학습치의 맵은, 바꿔쓰기가 가능하고, 또 엔진 키 스위치의 오프 후도 기역내용이 손실되지 않도록 베터리 지원된 RAM 위에, 학습영역 포인터 PL 로 구별된 복수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학습치 (승산보정항 또는 가산보정항)를 기억시킨 것으로 PL=0 - n (n 은 PL 의 최대치로 예를들면 15)의 각각에 대응시켜, 학습치 αmi (단 i=PL)를 기억시키고 있다. 그리고 가산보정항은 무부하 영역에서만 학습한 것이므로 PL=0 일 때의 αm0 을 가산보정항으로 한다. 또 승산보정항은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영역(단 고부하영역에서는 공연히 피드백 제어를 행하지 않으므로 중부하영역)에서 학습한 것이므로 PL=1-15 일 때의 αm1 - αm15 를 승산보정항(영역별 승산보정항)으로 한다.
단계 403에서는 학습영역 포인터 PL=0 (무부하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PL≠0 (중부하영역)일 때는 단계 404 로 나아가, 학습치의 맵으로부터 αmi (i=PL)을 읽어 내어, 이것을 승산보정항 Lα 에 격납한다.
PL=0 (무부하운전)일 때는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이고, 연료분사 펄스폭의 산출에 승산보정항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계 405 로 나아가서, 승산보정항 Lα 를 1.0으로 고정한다.
단계 406 에서는, 학습치의 맵으로부터 PL=0 의 αm0 (i=0)을 읽어내어, 이것을 가산보정항 LTS 에 격납한다.
이렇게 해서 PL≠0 일 때는, 승산보정항 Lα 와 가산보정항 LTS 가 함께 연료분사 펄스폭 Ti 의 산출에 반영되지만, PL=0 일 때는, 승산 보정항 Lα=1.0 이므로, 가산보정항 LTS 에 의해서만 연료분사 펄스폴 Ti 가 보정되게 된다. 따라서 단계 403 → 단계 405 의 부분이 승산보정항 사용금지수단에 상당한다.
제 11 도는 학습치 갱신 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단계 501 에서는 기관회전수 NE 와 기본분산 펄스폭 TP 를 읽어 들이고, 다음 단계 502 에서는, 이들로부터 학습영역 포인트 PL 을 산출한다 (제 10 도 참조).
단계 503 에서는, 제 1 도의 학습조건으로써 학습영역 포인트 PL 의 값이 전회치 PL-OLD와 같은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은 운전상태가 동일한 학습영역에 있는가의 여부를 보기위한 것으로, PL=PL-OLD이면, 운전상태가 이번 회로 같은 학습영역에 있게 된다. 따라서, PL=PL-OLD이면, 다음 학습조건의 판정을 위해 단계 504 로 나아가고, PL≠PL-OLD이면, 학습조건 불성립으로써 단계 515 에서 카운터 값 CJRC 를 0 으로 지운 후 단계 514 로 나아간다.
단계 504 에서는, 제 2 학습조건으로서, 냉각수온 TW 가 소정 학습개시수온 TWLRC 이상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TW≥TWLRC 이면, 다음 학습 조건의 판정을 위해 단계 505 로 나아가고, TWTWLRC 이면, 학습조건 불성립으로서, 단계 515 에서 카운트값 CJRC 를 0 으로 지운 후 단계 514 로 나아간다.
단계 505 에서는 제 3 학습조건으로서, 스토이키 운전에서의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이면 단게 506 으로 나아가고, 공연비 피드백 제어중이 아니라면 학습조건 불성립으로 단계 515 에서 카운트값 CJRC 를 0 으로 지운 후 단계 514 로 나아간다.
단계 503 - 단계 505 의 학습조건의 성립후는, 이런 학습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안정상태 (소정 시간경가 상태) 에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단계 506 - 단계 508 에서 다음과 같은 처리를 행한다.
(VO2-OLD-SLO2)×(SLO2-VO2)0
여기서 VO2는 이번 회의 산소센서 출력전압(배기공연비가 농후 측에 있을 때는 1.0V. 희박 측에 있을 때는 0V), VO2-OLD는 전 회의 산소센서 출력전압, SLO2는 농후, 희박 판정용 슬라이스 레벨 (거의 0.5V 로 설정)이다.
따라서 상기 식이 성립하는 것은, (1) VO2-OLD-SLO20 이고 또 SLO2-VO20 일 때(전 회는 소이고 이번 회는 대일 때), 또는 (2) VO2-OLD-SLO20 이면서 SLO2-VO20 일 때(전 회는 대이고 이번 회는 소일 때)이다. 결국, 작은쪽으로부터 큰쪽으로 반전시 또는 이것과는 역으로 큰쪽으로부터 작은쪽으로의 반전시이다.
그리고 상기 식이 충족된 경우에만, 단계 507 로 나아가 카운트값 CJRC 를 카운트 엎한다. 따라서 이 카운트값 CJRC 는, 단계 503-단계 505 의 학습조건이 성립하고 나서 대, 소의 반전회수를 나타내게 된다.
이 후 단계 508 에서는, 그 카운트값 CJRC와 소정값 NJRC 와를 비교하고, CJRC≥NJRC 인 경우에, 모두 학습조건이 성립된 것으로하여, 학습을 위해 단계 509 로 나아간다. 즉 CJRCNJRC 인 경우는 단계 512 로 나아간다.
단계 509에서는, 우선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의 반주기 최소치와 반주기 최대치와를 과거의 소정 회수 NLRC(단, NLRC≤NJRC)에 걸쳐 기억해 둔 데이터(α1, α2--- αNLRC)를 이용하여, 그들의 최소치 a 와 최대치 b와를 다음 식에 의해 구한다.
a=Min(α1, α2--- αNLRC)
b=Max(α1, α2--- αNLRC)
에를들면,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주기 최소치와 반주기 최대치로 교대로 번호를 매길 때 최소치 a 는 α1, α2, αi--- αNLRC중 가장 작은 값. 최대치는 b 는 α2, α4--- αi+1중 가장 큰 값이다.
단계 509 에서는, 구해진 최소치 a 와 최대치 b 와를 사용하여,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 α 의 평균치 ALP 를 다음식에 의해 산출한다.
ALP=(a+b)/2
단계 510 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평균치 ALP 의 중심치 1.0 으로부터의 편차에 의거해서 다음식에 의해 학습치 αmi 를 갱신한다(i=PL). 이 부분이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및 가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상당한다.
αmi=αmi+G1×(ALP-1.0)
상기 식 우변의 αmi 는 학습영역 포인터 PL 이 지시한 학습영역으로 들어가 있는 학습치이고, 이것을 갱신해서 상기 식 좌변의 αmi를 얻어 이 갱신값을 같은 학습영역에 격납하는 것이다.
G1은 정 비례수이다. 단 이 정수 G1은, 승산보정항 αm1-αm15를 갱신할 경우에는 0-1 의 범위에서 갱신 비율을 정하는 정수로써만 기능하면 좋지만, 가산보정항 αm0 을 갱신하는 경우에는 계수를 가산치로 변환하기위한 정수로써의 기능을 필요로 하므로, 승산보정항 αm1-αm15를 갱신하는 경우와 가산보정항 αm0 을 갱신하는 경우에 따라 다른 값이 된다.
그래서, 예를들면,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평군치 ALP가 중심치 1.0보다 작을(공연비 평균치가 큰쪽에 있음)때에, 학습치 αmi가 현재보다 작은 값으로 수정되면, 승산보정항 Lα 또는 가산보정항 LTS 가 작은 값이 되어 연료분사 펄스폭 Ti 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보정되고, 그 결과 공연비가 큰쪽으로 되돌아 같다. 그리고 학습이 진행됨에 수반해 공연비가 큰쪽으로 되돌아 같다. 그리고, 학습이 진행됨에 수반해 공연비는 스토이키에 가까워지고,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평균치 ALP 의 중심치 1.0 으로부터의 편차도 작아져서, 학습치 αmi 는 어떤 값으로 수속된다.
단계 511 에서는, 학습치 αmi 의 갱신후에, 그 학습영역(PL의 값)에 대응한 학습 카운터LCi(i=PL)를 증가시킨다.
학습카운터 LCi는, 학습치의 맵과 같이 바꿔 쓰기 가능하고, 또 엔진 키 스위치의 오프 후도 기억내용이 소실되지 않도록 배터리 지원된 RAM 위에, 학습영역 포인트 PL 로 구별된 복수 영역의 각각에 대응시켜 카운트 값을 기억시킨 것이다. 따라서, PL=0 일 때의 LCO이 가산보정항의 학습 카운터, PL=1-n(n 은 PL 의 최대치이고, 예를 들면 15) 일 때의 LC1-LCn 이 승산보정항의 영역별 학습 카운터로 된다.
단계 512에서는, 가산보정항의 학습 카운터 LCO을 소정치 LTD 와 비교하고, LCO≥LTD   경우에,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한 것이라고 간주하여, 단계 513 을 실행하는 일 없이 단계 514 로 나아간다.
LCOLTD 의 경우는,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 간주하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의 판정을 실질적으로 금지할 수 있도록 단계 513 에서 승산보정항이 학습 카운터 LCi (i=1-n;n은 PL의 최대치로 예를들면 15)를 전부 0으로 한후 단계 514로 나아간다.
여기서 단계 512의 부분이 제 1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상당하고, 단계 512→단계513의 부분이 판정금지수단에 상당한다.
단계 514에서는, 후처리로써 학습영역 포인터 PL과 산소센서 출력전압 VO2와를 각각 전회치를 나타내는 변수 PL-OLD와 VO2-OLD로 옮긴다.
단계 516에서는, 승산보정항의 학습 카운터중 수속판정을 행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하나의 영역에 대응한 학습 카운터 LCi(i=k1, k2, ---;k1,k2 ---는 수속판정을 행하는 소정 영역을 나타내는 포인터 값)를 소정치 LTD 와 비교하고, i=k1,k2 ---의 전체에 있어서 LCi≥LTD 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부분이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상당한다.
LCiLTD의 경우는,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된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517 에서 학습수속 OK 라 한다. 이것에 의해 소공연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제 5 도의 단계 209 →단계 210).
LCiLTD 의 경우는,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518에서 학습수속 NG라 한다.
PL≠0영역에서는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이 모두 연료분사 펄스폭에 반영되므로, 정상 주행상태에서 승산보정항이 한번 겉부기상 수속했다고 하더라고 그 후 무부하 상태에서 가산보정항이 변동하면 다시 승산보정항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한 후에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지 않으면, 승산보정항은 최종적으로 수속하지 않으므로, 양자의 학습수속을 따로따로 판정하더라고 학습의 완전한 수속상태를 검출할 수 없다. 그래서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 판정에 의해 그 학습이 소속한 것이라 간주된 후의 승산보정항의 학흡회수에 따라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 판정을 행하여, OK, NG 를 판정하는 것이다.
이어 제 2 실시예에 대해 제 13 도 - 제 15 도에 의해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승산보정항의 학습시, 최초는 복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 전 영역(제 15 도에 도시한 빗금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학습하고, 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해서 학습수속이 판정된 단계에서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하는 한편,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복수 영역에서 영역마아 행하도록 한 것이다. 또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하여, 연료분사 펄스폭의 산출시 학습 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영역별 승산보정항을 사용케 하고, 학습수속이 판정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일률 승산보정항을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제 4 도의 연료분사 펄스폭 산출루틴, 제 5 도의 소공연비 운전허가 판정루틴, 제 6 도의 연공비 보정계수 산출루틴에  해서는 동일하고, 제 9 도의 학습치 참조루틴을 대신해서 제 13 도의 루틴을 실행하고, 제 11 도의 학습치 갱신루틴을 대신해서 제 14 도의 루틴을 실행하는 점에서 상위하다.
제 13 도의 학습치 참조루틴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701 - 단계 703, 단계 705, 단계 706, 단계 70에 대해서는 제 9 도의 단계 401 - 단계 403, 단계 405, 단계 404, 단계 406 과 동일하다.
따라서 단계 704, 단계 707이 추가된 점에서 상위하다.
단계 703 에서 학습영역 포인터 PL=0 (무부하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PL≠0 (중부하 영역)일 때 단계 704 로 나아간다.
단계 704 에서는 영역별 학습 카운터 LCi (i=PL)를 소정치 LTD 와 비교해서 LCi≥LTD 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부분이 제 3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상당한다.
LCi≥LTD의 경우는 현영역에서의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는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706 에거 학습치의 맵으로부터 αmi(i=PL)를 읽어 내어 이것을 승산보정항 Lα에 격납한다.
LCiLTD의 경우는 현 영역에서의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707에서 승산보정항에 대해서의 일률 학습치 αmaLL을 읽어내어 이것을 승산보정항 Lα에 격납한다.
이렇게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해서 연료분사 펄스폭의 산출시에 학습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영역별 승산보정항 Lα=αmi을 사용케 하고, 학습 수속이 판정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일률 승산보정항 Lα=αmaLL을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즉 단계 704 (제 3 학습수속 판정수단)로부터 단계 707 또는 단계 706으로 분기하는 부분이 승산보정항 절환수단에 상당한다.
제 13 도의 학습치 참조루틴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801- 단계809, 단계 814 - 단계 819 에 대해서는 제 11 도의 단계 501 - 단계 509, 단계 510 - 단계 515 와 동일하다. 따라서 단계 810 - 단계 813이 추가되고, 단계 820 - 단계 822의 내용이 제 11 도의 단계 516 - 단계 518의 내용과 다른 점에서 상위한다.
단계 801 -단계 809의 실행에 의해 학습조건 성립후에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평균치 ALP가 산출된 단계에서 단계 810 으로 나아간다.
단계 810에서는, 학습영역 포인트 PL=0(무부하영역)인가의 여부를 판정하고, PL=0인경우는 단계 814, 단계 815 로 나아가 제 9 도의 단계 510, 단계 511과 같이, 영역별 학습치 αmi(i=PL;이 경우는 αm0이므로 가산보정항의 학습치)를 갱신하고, 영역별 학습 카운터 LCi를 카운트 엎한다. 이 경우는, 단계 814의 부분이 가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상당한다.
PL≠0인 경우는 단계 811로 나아간다.
단계 811에서는 일률 학습 카운터 LCaLL을 읽어내어 소정치 LTD와 비교하고, LCaLL≥LTD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부분이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상당한다.
LCaLL≥LTD의 경우는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는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814, 단계 815 로 나아가 제 9 도의 단계 510, 단계 511 과 같이, 영역별 학습치 αmi(i=PL; 이 경우는 αm1-αm15이므로 승산보정항의 학습치)를 갱신하고, 영역별 학습카운터 LCi를 카운트 엎한다. 이 경우는 단계 814의 부분이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중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상당한다.
LCaLLLTD 의 경우는,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812로 나아간다.
단계 812에서는, 공연비 피드백 보정계수의 평균치 ALP 의 중심치 1.0으로부터의 편차에 의거해 다음식에 의해, 일률 학습치 αmaLL을 갱신한다. 이 부분이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중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상당한다.
αmaLLaLL+G1×(ALP-1.0)
단계 813 에서는, 일률 학습치 αmaLL의 갱신후에, 그 일률학습 카운터 LCaLL을 카운트 엎한다. 또, 일률학습치 αmaLL및 일률 학습 카운터 LCaLL도 바꿔쓰기 가능하고 베터리 지원된 RAM위에 기억된다.
이렇게 승산보정항의 학습시에, 최초는 복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 전영역 (제 15 도에 도시한 빗금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학습하고, 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판정해서, 학습수속이 판정된 단계에서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것이다.
즉 단계 811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로부터 단계 812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또는 단계 814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로 분기시키는 부분이 학습절환 수단에 상당한다.
한편, 단계 820 에서는, 일률 학습 카운터 LCaLL을 읽어 내어 소정치 LTD와 비교하고, LCaLL≥LTD인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부분도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상당한다.
LCaLL≥LTD의 경우는,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한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821 에서 학습수속 OK 로 한다. 이것에 의해 일률 승산 보정항의 학습수속에 의해, 영역별 승산보정항이 학습수속을 기다리지 않고 소공연비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LCaLLLTD의 경우는,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이 수속하고 있지 않은 것이라 간주하고, 단계 518애소 학습수속 NG로 한다.
이렇게 승산보정항의 학습시에, 최초는 전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학습하고, 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여, 학습소속이 판정된 단계에서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는 연료공급량의 산출에 승산보정항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가산보정항의 학습을 승산보정항의 영향을 받는 일없이 신속학게 수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우선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하고, 가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의 판정을 개시시킴으로써 가산보정항이 학습수속되어 안정된 상태에서의 가산보정항의 학습이 보증되고, 가산보정항에 대해서 신속하게 수속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된 후에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함으로써 충분한 학습후에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이 이루어져 배기성능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복수 영역에서 영역마다 행하므로서, 학습정밀도가 향상되고, 이 경우에 복수의 영역중 소정의 영역에서의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에 의해 학습 수속을 판정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게 소공연비 운전을 개시시킬 수 있다.
또, 승산보정항이 학습시에 최초는 복수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 전 영역에서 일률적으로 학습하고, 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을 판정해서 학습수속이 판정된 단계에서 소공연비에 의한 운전을 허가하는 한편,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행하게 하므로써, 소공연비 운전의 조기개시와 학습정밀도의 향상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해서, 연료공급량의 산출시에, 학습 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영역별 승산보정항을 사용케 하고, 학습 수속이 판정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일률 승산보정항을 사용시킴으로써 학습이 진행된 영역으로부터 서서히 절환하게 되도록 학습정밀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Claims (4)

  1. 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과, 기관의 운전상태에 의거하여 목표공연비를 스토이키과 소공연비로 절환하는 목표연공비 절환수단과, 기관에 공급된 혼합기의 공연비를 검출하는 공연비 검출수단과, 상기 목표연공비 절환수단에 의한 스토이키 영역에서 상기 공연비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공연비가 스토이키가 되도록 연료 공급량에 대한 피드백 보정량을 설정하는 피드백 제어수단과, 연료공급량에 대한 피드 포워드 보정량을 승산보정항과 가산보정항으로 나누어, 상기 피드백 제어수단에 의한 피드백 제어중의 피드백 보정량에 의거하여,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영역에서 승산보정항을 학습하고, 무부하영역에서 가산보정항을 학습하는 승산보정항 학습수단 및 가산보정항 학습수단과, 기관의 운전상태와 목표연공비의 의거하여, 스토이키 영역에서는 다시 피드백 보정량과 승산보정항 및 가산보정항을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보정량과에 의해 보정하고, 소공연비 운전영역에서는 다시 승산보정항 및 가산보정항을 포함하는 피드포워드 보정량에 의해 보정하여, 연료공급량을 산출하는 연료공급량 산출수단과, 를 갖춘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가산보정항의 학습시에, 상기 연료공급량 산출수단에 의한 연료공급량을 산출할 때 승산보정항의 사용을 금지하는 승산보정항 사용금지수단과, 상기 가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가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제 1 학습수속 판정수단과,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제 2 학습 수속 판정수단과,상기 제 1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의해 가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이 판정되기까지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의한 판정을 금지하는 판정금지수단과,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의해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이 판정되기까지 상기 목표연공비 절환수단에 의한 소공연비로의 절환을 금지하는 소공연비 절환금지수단과, 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은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복수영역에서 영역마다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것이고,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은, 상기 복수 영역중 소정 영역에서의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에 의해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은 적어도 무부하영역을 제외한 복수의 영역에서 영역마다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과 해당 복수 영역을 하나의 영역으로 한전 영역에서 일률적으로 승산보정항의 학습을 행하는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은,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일률 학습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판정하는 것이고, 이 제 2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의해 일률 승산보정항의 학습수속이 판정되기 전에는,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학습을 행하게 하고, 판정후는,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학습을 행하게 하는 학습 절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한 영역별 승산보정항의 학습 수속을 영역별로 판정하는 제 3 학습수속 판정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연료 공급량 산출수단에 의한 연료 공급량의 산출시에, 이 제 3 학습수속 판정수단에 의해 학습 수속이 판정된 영역에서는 상기 영역별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해 학습된 영역별 승산보정항을 사용케하고, 학습 수속이 판정되지않은 영역에서는 상기 일률 승산보정항 학습수단에 의해 학습된 일률 승산보정항을 상요케 하는 승산보정항 절환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KR1019950002904A 1994-03-18 1995-02-16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KR0146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8879/1994 1994-03-18
JP6048879A JP3028728B2 (ja) 1994-03-18 1994-03-18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6308B1 true KR0146308B1 (ko) 1998-08-17

Family

ID=1281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904A KR0146308B1 (ko) 1994-03-18 1995-02-16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28728B2 (ko)
KR (1) KR01463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40676B2 (ja) * 2006-10-11 2009-10-0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59604A (ja) 1995-10-09
JP3028728B2 (ja) 2000-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777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5248288A (ja) 内燃機関のブローバイガス発生検出装置及び空燃比学習制御装置
US4881505A (en) Electronic learn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78738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US4862855A (en)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689690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KR0146308B1 (ko)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장치
JPH08284708A (ja)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S62191641A (ja) 内燃機関の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JP2657713B2 (ja) 電子制御燃料噴射式内燃機関の燃料リーク診断装置
JP2757064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1106945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H0455235Y2 (ko)
JPS62107253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H01106954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H0833133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3674958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1106938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2582558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JPH01106940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H0686831B2 (ja) 内燃機関の空燃比の学習制御装置
JPH0656126B2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H01106949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JPS62159749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1106950A (ja) 内燃機関の学習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