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114B1 -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114B1
KR0146114B1 KR1019950019281A KR19950019281A KR0146114B1 KR 0146114 B1 KR0146114 B1 KR 0146114B1 KR 1019950019281 A KR1019950019281 A KR 1019950019281A KR 19950019281 A KR19950019281 A KR 19950019281A KR 0146114 B1 KR0146114 B1 KR 0146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r
tubular member
inner diameter
pipe
connec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915A (ko
Inventor
진홍균
문병화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6114B1/ko
Publication of KR97000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05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에서는 누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삽입설치되는 칼라(31)의 내경면 일측 선단부에는 면취부(32)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공기빼기홈(35)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34)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34)에 말단부가 걸려지도록 삽입되는 관형상부재(41)와 상기 칼라(31)의 내경면과의 사이를 블레이징 용접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칼라(31)와 관형상부재(41) 사이의 접촉면적이 커져 용접성이 향상되므로 파이프 연결부에서 누설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또한 칼라의 강도가 보강되어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프로젝션용접시 관형상부재의 찌그러짐이 최소화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는 파이프조립체의 분해 단면도.
제2도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는 칼라의 사시도.
제3도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는 파이프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c)는 파이프조립체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의 칼라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칼라 32:면취부
33:환형경사부 34:걸림돌부
35:공기빼기홈 41:관형상부재
45:납재
본 발명은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이프를 밀폐용기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부품의 하나인 칼라에 다수개의 공기빼기홈을 형성하여 용접이 확실하게 되도록 하여 파이프연결부분에서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한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밀폐형 압축기의 밀폐용기에 누설이 발생하지 않도록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종래에도 많이 제안되어 왔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파이프접속구조중 몇가지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는 파이프조립체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밀폐형 압축기의 압축 기구부와의 연결을 위한 파이프조립체의 접속구조는 밀폐용기(1)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버링부(1')에 파이프조립체(2)를 삽입하여 프로젝센 용접하는 것이다.
상기 파이프조립체(2)는 상기 버링부(1')에 형합되는 칼라(3)와, 상기 칼라(3)의 내경부에 삽입설치되는 관형상부재(5)로 구성되고, 상기 관형상부재(5)의 내측에는 흡입파이프(6)가 압축기구부(9)의 흡입구(8) 까지 삽입되도록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흡입파이프(6)의 내측에는 철재부시(7)가 압입설치되어 흡입파이프(6)를 확장시켜 파이프조립체(2)의 관형상부재(4)와 압축기구부(9)의 흡입구(8)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된다.
상기 칼라(3)는 밀폐용기(1)의 버링부(1')에 용접하기 쉽도록 상기버링부(1')로 삽입되는 부분에 경사부(3a)를 형성하고, 내경부에는 상기 관형상부재(4)가 삽입되어 걸려지는 걸림단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칼라(3)의 내경부와 관형상부재(4)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극이 있어서 납재(11)가 브레이징에 의해 간극 사이에 융착되어 누설이 방지되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전동기구부이다.
그리고, 제2도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 칼라의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에 의하면, 밀폐용기(1)에 형성되어 있는 버링부(1')에 파이프조립체(12)를 삽입하여 용접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파이프조립체(12)는 상기 버링부(1')에 삽입되는 칼라(13)와, 상기 칼라(13)의 내경에 삽입되는 관형상부재(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형상부재(14)의 내측에는 밀폐형압축기의 흡입구(8)와 연결되는 흡입파이프(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칼라(13)는 상기 버링부(1')에 형합 설치되는 외면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밀폐용기(1)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부터 차례로 그 내경에 상기 관형상부재(14)가 삽입되는 원통형부(13a), 경사면부(13b), 플랜지부(13c)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면부(13b)의 내경 역시 소정의 경사가 진 경사면을 이루고, 상기 관형상부재(14)가 삽입설치되는 부분인 원통형부(13a)의 내경에는 납재유동홈(15)이 다수개 형성되어 브레이징시납재(미도시)가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한편, 제3도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b)는 파이프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c)는 파이프조립체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는 상기한 종래 기술들과 마찬가지로 밀폐용기(1)의 버링부(1')에 파이프조립체(22)를 삽입하여 용접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조립체(22)는 상기 버링부(1')에 형합설치되는 칼라(23)와 상기 칼라(23)의 내경에 삽입되는 관형상부재(24)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관형상부재(24)의 내경에는 흡입파이프(26)가 설치되어 압축기구부(9)의 흡입구(8)까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칼라(23)와 관형상부재(24) 사이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칼라(23)의 내경부를 둘러 납재유동홈(23a)을 다수개 형성하여 용접시 납재(미도시)가 원활하게 유동되어 용접에 의한 밀봉이 확실하게 되도록 한다. 또한 또 다른 종래기술의 다른 실시례에 있어서는 칼라(23')의 내경에 삽입설치되는 관형상부재(24')의 말단부 외주면을 둘러 납재유동홈(24'a)을 다수개 형성하여 용접시 납재의 유동을 원활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먼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칼라(3)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단부(3b)까지 관형상부재(4)를 삽입하고 브레이징로에서 약 1030°C­1040°C이 온도범위내에서 브레이징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용접을 위한 납재(11)는 칼라(3)의 내경과 관형상부재(4)의 틈새를 타고 흘러 내려가게 되는데 상기 칼라(3)의 내경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단부(3b)와 관형상부재(4)에 의해 상기 틈새에 있던 공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되므로 용융상태의 납재(11)가 원활하게 유동되지 않아 납재(11)가 상기 칼라(3)의 내경과 관형상부재(4)의 사이에 골고루 전달되지 못해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접속구조에서는 칼라(13)의 원통형부(13a)의 내경부에 형성되어 있는 납재유동홈(15)의 존재에 의해 칼라(13)와 관형상부재(14)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되고, 용접시 납재의 대부분이 납재유동홈(15)으로 흘러 들어가면서 관형상부재(14)와 칼라(13)의 원통형부(13a)의 내경 사이에 골고루 전달되지 않게 되어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칼라(23)의 내경 또는 관형상부재(24')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납재유동홈(23a,24'a)의 존재에 의해 칼라(23,23')와 관형상부재(24,24')의 접촉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브레이징부에서 누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와 같은 관형부재(24,24')를 칼라(23,23')에 압입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지그 및 공정이 추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라(23,23')와 관형상부재(24,24') 사이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납재유동홈(23a,24'a)을 길게 하게 되면 밀폐용기(1)의 내측으로 칼라(23,23')가 돌출하게 되어 압축기구부(9)와 간섭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관형상부재와 칼라의 내경과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용접시 납재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빼기홈을 칼라의 걸림돌부에 다수개 형성하여 연결부에서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삽입설치되는 칼라의 내경면 일측 선단부에는 면취부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공기빼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에 말단부가 걸려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관형상부재와 상기 칼라의 내경면과의 사이를 블레이징용접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례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를 보인 분해 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에 사용되는 칼라의 구조를 보인 저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는 밀폐용기(미도시)의 버링부에 삽입설치되는 칼라(31)와, 상기 칼라(31)의 내경에 삽입 설치되는 관형상부재(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칼라(31)는 그 내경면 일측 선단부에 관형상부재(41)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면취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내경면의 선단부에는 걸림돌부(34)가 그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부(34)에는 브레이징 용접시에 관형상부재(41)와 칼라(31)의 내경면 사이에 존재하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빼기홈(35)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부(34)는 관형상부재(41)의 말단부가 걸려 지게 되는 곳이다. 한편, 칼라(31)의 외면은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환형의 경사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이프 접속구조를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칼라(31)의 내경면에 관형상부재(41)를 삽입하여 관형상부재(41)의 말단부가 상기 걸림돌부(34)에 걸려지게 될 때 까지 밀어 넣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납재(45)를 상기 관형상부재(41)의 외주부에 끼워 칼라(31)의 면취부(32)에 오도록 한 후, 브레이징로 내에서 1030°C ∼ 1040°C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브레이징 용접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납재(45)는 용융되어 칼라(31)의 내경면과 관형상부재(41)의 외주면의 틈새로 흘러들어가게 되며, 상기 틈새에 존재하던 공기는 상기 공기빼기홈(34)을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틈새에 존재하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므로 납재(45)가 상기 틈새에 골고루 전달되어 상기 칼라(31)의 내경면과 관형상부재(41)의 외주면 사이에서의 누설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관형상부재(41)가 조립된 칼라(31)를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프로젝션용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칼라(31)의 강도가 보강되어 관형상부재(41)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에 의하면, 칼라의 내경면과 관형상부재의 외주면사이의 브레이징용접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므로 누설이 방지되고, 종래와는 달리 칼라의 내경면에 경사면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관형상부재와 칼라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게 되어 용접성이 향상된다. 한편, 칼라의 강도보강에 따라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프로젝센 용접시 관형상부재의 찌그러짐이 최소화되므로 조립작업의 용접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밀폐용기의 버링부에 삽입설치되는 칼라의 내경면 일측 선단부에는 면취부가 형성되고, 타측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공기빼기홈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부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부에 말단부가 걸려지도록 삽입되는 관형상부재와 상기 칼라의 내경면과의 사이를 블레이징 용접하여 밀봉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KR1019950019281A 1995-07-03 1995-07-03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KR014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81A KR0146114B1 (ko) 1995-07-03 1995-07-03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9281A KR0146114B1 (ko) 1995-07-03 1995-07-03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15A KR970006915A (ko) 1997-02-21
KR0146114B1 true KR0146114B1 (ko) 1998-08-17

Family

ID=1941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9281A KR0146114B1 (ko) 1995-07-03 1995-07-03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6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28A (ko) * 2002-03-22 2003-09-26 서주일 실리콘 젤 또는 생리식염수를 함유하는 음경 보형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915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605B1 (ko) 파이프 조인트
USRE40537E1 (en) Automotive fuel tank electrical fitting
JPH11315765A (ja) 燃料タンクに溶接可能な蒸発ガス通気バルブ
US11371504B2 (en) Scroll compressor
US4848448A (en) Heat exchange assembly
KR100403524B1 (ko) 두 개의 관형 커플링부분을 갖는 조립식 커플링
EP0786060B1 (en) A ball valve with full opening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014611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파이프 접속구조
JPH1038160A (ja) 接続コネクタ
CN111397406A (zh) 板式换热器
US5183400A (en) Pipe connection structure of a compressor
KR100337230B1 (ko) 배관용 플랜지의 연결장치
US4685705A (en) Large deflection pipe coupling
KR20000016963A (ko) 압축기이코노마이저튜브조립체
US4489960A (en) Flammable fluid leak deflector
US11231133B2 (en) Tube fitting and tube fitting structure
US20230184365A1 (en) Connection for fluid with two welds
KR200307449Y1 (ko) 보일러용파이프접속부의확관구조
JP2560783Y2 (ja) 容器とパイプとの接合構造
US4261476A (en) Joint for envelope of vacuum type electrical device
KR900008345B1 (ko) 플랜지 접합부에 얇은 금속관의 단부를 접합시키는 장치
KR200141057Y1 (ko) 용접 링
WO2022037635A1 (zh) 管组件连接结构、配管组件、四通阀组件及空调系统
KR100680160B1 (ko) 냉매 파이프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H0331595A (ja) 回転式圧縮機の吸入管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