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19B1 -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19B1
KR0145919B1 KR1019950002730A KR19950002730A KR0145919B1 KR 0145919 B1 KR0145919 B1 KR 0145919B1 KR 1019950002730 A KR1019950002730 A KR 1019950002730A KR 19950002730 A KR19950002730 A KR 19950002730A KR 0145919 B1 KR0145919 B1 KR 0145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data
image correction
image
addres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2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090A (ko
Inventor
김의준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2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919B1/ko
Publication of KR960033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38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arrays of modulated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25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flexible sheet or membrane, e.g. for varying the foc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AMA패널(10)에 의해 광변조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20)과, 상기 영상신호(Vin)에서 분리된 수직/수평동기와 클럭신호(4fsc: fsc는 컬러서브캐리어)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A0-A18)와 제어신호(WE,OE)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 그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제어신호에 의해 억세스가능하면서 상기 AMA패널(10)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위한 화소단위의 보정데이터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으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 상기 디지탈변환된 영상신호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화상보정수단(2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에서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분산저장되도록 다수의 1Mbit용량의 반도체 메모리(26a,26b,26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데이터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제1도는 일반적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광변조모듈의 구성과 그 구동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
제2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의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블럭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의 동작설명에 적용되는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10:AMA패널 20:데이터변환부
22: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 24: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
26:화상보정데이터저장부 26a,26b,26c:SRAM
27:데이터버스 28:화상보정회로부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AMA(Actuated mirror array)부재를 구비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그 AMA부재를 구동하는 화소구동 소자에 대해 그 AMA부재의 원초적인 에러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되는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의 고속억세스화 및 저가화를 도모하기 위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직시형 화살표시시스템을 대표하는 CRT장치는 형광패널상에서 1화소에 대해 R·G·B 성분에 대응하여 도래되는 전자비임에 의해 해당하는 R·G·B형광점이 발광하여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 직시형 CRT장치에서는 1화소에 대해 R·G·B형광점이 형성되어야만 되고, 더구나 전자비임의 유동에 필요한 절대거리가 확보되어야만 되며, 그 때문에 그 CRT장치의 치수가 대형화되는 반면 화면의 대형화가 제한을 받게 된다.
그에 대해,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로서 알려진 LCD소자에서는 그 LCD소자의 균일한 액정배열을 편광판에 인가되는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액정의 배열을 산란시켜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되는데, 그러한 LCD소자에서는 편광판에 의한 투광율이 제어되는 형태이므로 전체적인 광효율이 저하된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미합중국 Aura사에 의해 제안된 AMA부재 또는 장치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실용화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는 도중이다. 그 AMA장치는 예컨대 640 × 480치수의 화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해 그 화소의 수에 대응하는 예컨대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과, 그 액티브매트릭스기판상에 각 화소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 화소구동소자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신호전압에 따라 경사변형되어 입사광의 변조(즉, 광로조절)를 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된다.
제1도는 그러한 AMA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광변조부재(즉, AMA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그 AMA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 즉 AMA패널)과 그 AMA패널(10)상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화소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그 AMA패널(10)의 내부에는 예컨대 640 × 480의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 그 화면을 구성하는 전체 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매트릭스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AMA패널(10)내에 갖추어진 화소구동소자를 화상신호전압에 대응하여 각 화소구동소자에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를 경사변형시켜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화상신호전압을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화소구동소자를 제어하기 위해 AMA패널(10)의 행/열방향에서 기수화소와 우수화소를 구동하는 화소구동소자의 구동을 위해 행/열구동회로부(12,14;16,18)가 제공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행/열구동회로부(12,14,16,18)에 의해 AMA패널(10)에 설정된 화소구동소자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그 AMA패널(10)상에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의 제조시에 초래되는 허용오차 또는 평탄도의 불균일성에 의한 화소구동의 불균일성을 배제하기 위해 미리 해당 AMA패널(10)상에 형성된 액츄에이터의 전체적인 평탄도를 포함하는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데이터가 산출되고, 그 산출된 보정데이터는 그 AMA패널(12)의 구동시 화상신호전압에 가산(또는 감산)되는 형태로 상기 행/열구동회로부(12,14,16,18)에 제공되어 AMA패널의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이 행해지도록 하게 된다.
제2도는 그러한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구성도로서, 참조부호 20은 해당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제1도의 AMA패널(10)에 의해 광변조를 행하여 재생될 영상신호(Vin)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로 이루어진 데이터변환부를 나타내고, 22는 동기신호분리수단(도시생략)에 의해 상기 영상신호(Vin)에 포함된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4fsc; fsc는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를 나타낸다. 그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에 동기를 맞추어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바, 예컨대 640 × 480의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 그 화면의 전체 화소의 수는 307, 200이고, 그 전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어드레스는 20-218이다. 따라서, 그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동기신호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결과에 동기적으로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게 된다.
24는 상기 AMA패널(10)을 구성하는 화소구동소자에 대응적으로 제공된 각 액츄에이터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보정치가 화상보정데이터로서 격납된 예컨대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ROM)에 의해 구성된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를 나타내는 바, 그 화소보정데이터격납부(24)에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는 사기 AMA패널(10)에서 측정된 결과의 오차에 대해 미리 보정데이터를 산출하여 ROM테이블화하여 작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또, 26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위한 화소단위의 보정데이터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 격납부(24)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RAM을 나타낸다.
28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에 의해 구성된 데이터변환부(20)에서 디지탈변환된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RAM(26)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보정 회로부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와 같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처리방식에서는 재생대상의 영상신호(Vin)가 데이터변환부(20)에서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되어 화상보정회로부(28)에 인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화소의 보정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와 RAM(26)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화소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단위의 화상보정 데이터가 RAM(26)으로 전송되고, 그 RAM(26)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저장한 다음 순차적으로 화상보정회로부(28)에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그 화상보정회로부(28)는 상기 디지탈변환된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RAM(26)에서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단위로 정합시켜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상기 행/열구동회로부(제 1도에서 12,14,16,18)에 제공하게 되어 상기 AMA패널(10)에 갖추어진 액츄에이터의 전체적인 원초적 오차가 보정된 상태에서 입사광의 반사를 위한 경사(tilt)작용이 행해지게 된다.
그런데, 제2도에 도시된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처리방식에 따르면, 640 × 480의 화면치수를 상정하는 경우에 전체의 호소 수가 307, 200이고, 그 때문에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전송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수취하는 RAM(26)의 메모리용량은 3Mbit 이상이 필요하게 되지만, 통상적으로 그 RAM(26)의 용량은 4Mbit 로 설정되기 때문에 메모리용량의 비효율적인 사용이 초래될 수 밖에 없고, 그 4Mbit 용량을 갖는 메모리소자로서의 SRAM은 비교적 고가이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시 부담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구비되는 AMA패널의 원초적인 오차를 보정하기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다수의 비교적 저가이면서 저용량(1Mbit )의 메모리 소자에 분산적으로 격납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 및 화상보정 데이터의 적정한 억세스가 가능하도록 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 데이터 메모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등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AMA패널에 의해 광변조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에서 분리된 수직/수평동기와 클럭신호(4fsc; fsc는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화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 그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제어신호에 의해 억세스가능하면서 상기 AMA패널의 원초적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으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 상기 디지탈변환된 영상신호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화상보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에서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분산저장되도록 다수의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은 1 Mbit의 메모리용량을 갖는 제 1 내지 제3의 반도체 메모리소자, 더 바람직하게는 SRAM으로 구성되고, 그 제 1SRAM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20-216)의 기간에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터의 소정비트(00000 - 1FFFF)가 격납되며, 제 2SRAM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7)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터의 소정비트(20000 - 3FFFF)가 격납되고, 제 3SRAM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18)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 격납수단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터의 소정비트(40000 - 4AFFF)가 격납된다.
즉, 각 화상보정데이터저장수단의 제 1SRAM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 216)의 기간에 항시 화상보정데이터의 기록/독취가 행해지도록 구성되고, 제 2SRAM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2117)에 의해 화상보정데이터의 기록/독취가 행해지도록 구성되며, 제 3SRAM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8)에 의해 화상보정데이터의 기록/독취가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의하면,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에 격납된 AMA패널에 대한 보정데이터를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따라 대체로 1Mbit의 용량을 갖는 다수의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에 분산적으로 기록/독취되도록 함으로써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중에서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와,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에 따라 그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에서 독취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저장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화상보정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참조부호 22로 표시된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는 제 2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의 조합신호에 의해 클럭신호를 분주하여 어드레스(A0 - A18)를 생성함과 더불어 화상보정데이터의 기록을 위한 기록제어신호(WE')와 그 화상보정데이터의 독치를 위한 독취제어신호(OE')를 생성하게 된다.
또, 참조부호 24로 표시된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제 2도 참조)는 미리 AMA패널에 의한 오차를 보장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타가 격납된 상태에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되어 어드레스버스(25)를 매개로 인가되는 어드레스와 독취제어신호(OE')에 의해 그 화상보정데이터를 데이터버스(27)상에 순차적으로 출력하게 된다.
26(26a,26b,26c)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화상보정데이터저장부로서, 그 화상보정데이터저장부(26)는 대체로 1Mbit의 데이터기억용량을 갖는 다수의 반도체 메모리, 바람직하게는 SRAM으로 구성되고, 그 제 1SRAM(26a)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A16)의 기간에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출력된 데이터버스(27)상의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00000 - IFFFF)가 격납되며, 제2 SRAM(26b)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7;217)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출력된 데이터버스(27)상의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20000 - 3FFFF)가 격납되고, 제 3SRAM(26c)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8;218)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출력된 데이터버스(27)상의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40000 - 4FFFF)가 격납된다.
즉, 상기 제 1SRAM(26a)의 어드레스단자(A)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5)상의 어드레스(A0 - A16)가 입력되고 데이터단자(D)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18)에 정합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데이터버스(27)를 매개하여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입력되도록 구성된다. 또, 그 제 1SRAM(26a)의 칩인에이블단자(CE')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버스(25)상의 어드레스(A17)가 접속되는 한편, 칩인에이블단자(CE)는 상시 전원(Vcc)에 의해 하이레벨로 설정되고, 기록인에이블단자(WE')와 독취인에이블단자(OE')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기록제어신호(WE')와 독취제어신호(OE')에 의해 활성화제어되도록 접속된다.
그와 유사하게, 상기 제 2SRAM(26b)의 어드레스단자(A)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A16)가 입력되고 데이터단자(D)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A16)에 정합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데이터버스(27)를 매개하여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입력되도록 구성되며, 그 제 1SRAM(26b)의 칩인에이블단자(CE')는 접지전위로 설정되는 한편, 그 칩인에이블단자(CE)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7)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접속되고, 그 기록인에이블단자(WE')와 독취인에이블단자(OE')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기록제어신호(WE')와 독취제어신호(OE')에 의해 활성화제어되도록 접속된다.
또, 상기 제3SRAM(26c)의 어드레스단자(A)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A16)가 입력되고 데이터단자(D)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A16)에 정합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 데이터버스(27)를 매개하여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입력되도록 구성되며, 그 제 3SRAM(26c)의 칩인에이블단자(CE')는 접지전위로 설정되는 한편, 칩인에이블단자(CE)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8)에 의해 활성화되도록 접속되고, 그 기록인에이블단자(WE')와 독취인에이블단자(OE')에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기록제어신호(WE')와 독취제어신호(OE')에 의해 활성화제어되도록 접속된다.
따라서, 그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의하면,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는 제 1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의 조합신호에 기초하여 클럭신호(4fsc; fsc는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를 분주하여 예를 들어 640 × 480의 화면에 포함되는 전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A0 - A18)를 생성함과 더불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 독취제어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저장부(26)의 각 SRAM(26a,26b,26c)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의 기록/독취제어를 위한 기록/독취제어신호(WE', OE')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부(24)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독취제어신호(OE')에 의해 활성화제어되어 상기 어드레스(A0 -A18)에 따라 화상보정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데이터버스(27)상에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SRAM(26a)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0 - A16)에 따라 그 데이터단자(D)에서 상기 데이터버스(27)상에 출력된 화상보정데이터를 기록하게 되는데, 그 제 1SRAM(26a)은 그 칩인에이블단자(CE')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A17)의 로우레벨기간에 활성화되도록 접속된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어드레스(A0 -A16)의 기간(제4도(a)의 파형도 't1'참조)에는 상기 데이터버스(27)상에 존재하는 화상보정데이터중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00000 - 1FFFF)를 기록하게 된다.
이어,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어드레스(A17)가 생성되어 출력되면 상기 제 1SRAM(26a)은 디스에이블상태로 되는 반면 제 2SRAM(26b)이 그 칩인에이블단자(CE)에 어드레스(A17)가 인가됨에 따라 그 어드레스(A17)의 기간(제4도(b)의 파형도 't2'참조)에 활성화되어 상기 데이터버스(27)상에 존재하는 화상보정데이터중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20000 - 3FFFF)를 기록하게 된다.
또,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어드레스(A18)가 생성되어 출력되면 상기 제 1 및 제 2SRAM(26a, 26b)은 디스에이블상태로 되는 반면 제 3SRAM(26c)을 그 칩인에이블단자(CE)에 어드레스(A18)가 인가됨에 따라 그 어드레스(A18)의 기간(제4도(c)의 파형도 't3'참조)에 활성화되어 상기 데이터버스(27)상에 존재하는 화상보정데이터중 소정 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 (30000 - 4AFFF)를 기록하게 된다.
그와 같이 하여 각 SRAM(26a, 26b, 26c)에 순차적으로 화상보정데이터가 기록된 상태에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로부터 데이터독취를 위한 제어신호(OE')가 인가되면 각 SRAM(26a, 26b, 26c)에 기록된 화상보정데이터가 화상보정회로부(28 ; 제2도 참조)에 순차적으로 인가되므로, 디지탈변한된 영상신호(Vin)에 화소정합적으로 화상보정을 위한 데이터가 얻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에 의하면,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에 격납된 AMA패널에 대한 보정데이터를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따라 대체로 1Mbit의 용량을 갖는 다수의 S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에 분산적으로 기록/독취되도록 함으로써 저가의 저용량 메모리에 의해서도 고속의 화상보정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메모리의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이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 데이터 메모리에 대해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데이터의 메모리소정에 대한 분산제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5)

  1. 영상신호(Vin)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10)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AMA패널(10)에 의해 광변조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수단(20)과, 상기 영상신호(Vin)에서 분리된 수직/수평동기와 클럭신호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A0 - A18)와 제어신호(WE',OE')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 그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제어신호에 의해 억세스가능하면서 상기 AMA패널(10)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으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 상기 디지탈변환된 영상신호의 데이터와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을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한 보저을 행하는 화상보정수단(2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은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에서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분산저장되도록 다수의 반도체 메모리(26a,26b,26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데이터저장수단(26)의 반도체 메모리(26a,26b,26c)는 1Mbit의 메로리용량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소자, 더 바람직하게는 SRA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SRAM(26a)은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0-216)의 기간에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터중 소정비트가 격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SRAM(26b)은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7)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터중 소정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SRAM(26c)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수단(2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218)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격납수단(24)에서 제공되는 전체의 화상보정데이타중 소정비트의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KR1019950002730A 1995-02-15 1995-02-15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KR0145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730A KR0145919B1 (ko) 1995-02-15 1995-02-15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2730A KR0145919B1 (ko) 1995-02-15 1995-02-15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90A KR960033090A (ko) 1996-09-17
KR0145919B1 true KR0145919B1 (ko) 1998-09-15

Family

ID=1940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2730A KR0145919B1 (ko) 1995-02-15 1995-02-15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9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90A (ko)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74445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499283B1 (ko) 표시장치
JPH10508953A (ja) Dac組込型アクチュエーテッドミラーアレイ用駆動回路
KR20010081083A (ko) 그레이 스케일 화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다중 디지털 비트플레인의 고속 판독
US6046725A (en) Multicolor display control method for liquid crystal display
EP0712244B1 (en) Pixel data corr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n actuated mirror array
MXPA97003405A (en) Pixel data correction device for use with a mirror provision action
KR0145919B1 (ko) 투사형 화상표시 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메모리회로
US7136211B2 (en) Display device with non-linear ramp
US7916381B2 (en) Spatial light modulator including drive lines
JP2006146860A (ja) データ転置装置および方法
KR100266147B1 (ko) 공간광변조기용프레임메모리를구비한그래픽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및그구동방법
JP2005208413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KR100203587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장치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0145910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 제어회로
KR100203588B1 (ko) 투사형 화상처리시스템의 화소보정제어신호발생장치
JP2005208407A (ja) 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
JP4507630B2 (ja) 光学機能装置及び光学表示方法
KR100203582B1 (ko) 플라이백펄스 생성회로를 갖춘 프로젝터
KR10018820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프레임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방법
KR100239074B1 (ko)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KR10018820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용 화상보정데이터 생성제어장치
JPH05268552A (ja) 投写型表示装置の画像補正装置及びその画像補正 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