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18B1 - 자동차의 도어힌지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힌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18B1
KR0145918B1 KR1019950042736A KR19950042736A KR0145918B1 KR 0145918 B1 KR0145918 B1 KR 0145918B1 KR 1019950042736 A KR1019950042736 A KR 1019950042736A KR 19950042736 A KR19950042736 A KR 19950042736A KR 0145918 B1 KR0145918 B1 KR 014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fender panel
car
bra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7621A (ko
Inventor
엄분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918B1/ko
Publication of KR97002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7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07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rotection
    • E05Y2800/422Protection against vibration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차의 펜더판넬과 도어간에 형성되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의 펜더판넬(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21)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30)(31)를 가지며, 두 힌지브라켓(30)(31)이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32)이 끼워지는 두 힌지브라켓(30)(31)중 적어도 한쪽의 힌지브라켓(30)상에 상기 힌지핀(32)이 미끄러지는 장공(30a)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32)에 반발하는 스프링(33)을 상기 힌지브라켓(30)에 설치하고, 상기 도어(21)의 타측단에는 경사진 모양의 경사단면(40a)을 가지는 미끄럼부재(40)를 설치하며, 상기 펜더판넬(20)에는 상기 도어(21)에 설치된 미끄럼부재(40)의 경사단면(40a)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또 다른 경사단면(41a)을 가지는 고정부재(4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힌지
제1도는 종래 자동차 도어힌지의 구조를 보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자동차 도어힌지가 도어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힌지의 구조를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도어힌지가 도어와 결합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이는 평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상태로부터 자동차 도어힌지가 열려지는 동작을 보이는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펜더판넬 21:도어
30,31 : 힌지브라켓 30a:장공
32 : 힌지핀 33 : 스프링
40 : 미끄럼부재 40a,41a : 경사단면
41 : 고정부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도어힌지의 힌지핀을 도어가 닫힐때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하여 자동차의 도어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가 펜더판넬과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도어가 닫힐때는 도어가 펜더판넬에 겹치도록 하여 자동차의 도어와 펜더판넬간에 주는 틈새를 없애므로써 외관품질을 개선하고, 고속주행시에 발생하는 윈드 노이즈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립을 간편하게 한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어힌지는 첨부도면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자동차의 펜더판넬(10)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1)과, 도어(12)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3)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며, 두 힌지브라켓(11)(13)은 서로 힌지핀(14)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펜더판넬(10)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1)을 고정측으로 두고 도어(12)측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3)을 가동측으로 하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조의 도어힌지(15)는 첨부도면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가 개폐동작을 하는 도중에 도어(12)의 끝부분이 펜더판넬(10)과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득이 펜더판넬(10)과 도어(12) 사이에 틈새(T)를 두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것은 펜더판넬(10)과 도어(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T)로 인해 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조립시에 어느 한도의 정밀도로 조립을 하여야만 외관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시 작업자가 각별하게 신경을 써야만 불량없는 조립이 가능하므로 작업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고속주행시에 차체를 스치는 바람의 영향을 받아 틈새(T) 부분에서 윈드 노이즈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도어가 닫혔을 때 자동차의 펜더판넬과 도어간에 형성되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의 펜더판넬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를 가지며, 두 힌지브라켓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이 끼워지는 두 힌지브라켓중 적어도 한쪽의 힌지브라켓상에 상기 힌지핀이 미끄러지는 장공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에 반발하는 스프링을 상기 힌지브라켓에 설치하고, 상기 도어의 타측단에는 경사진 모양의 경사단면을 가지는 미끄럼부재를 설치하며, 상기 펜더판넬에는 상기 도어에 설치된 미끄럼부재의 경사단면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또 다른 경사단면을 가지는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도어힌지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힌지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도 내지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힌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의 펜더판넬(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21)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30)(31)를 가지며, 두 힌지브라켓(30)(31)이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핀(32)이 끼워지는 두 힌지브라켓(30)(31)중 적어도 한쪽의 힌지브라켓(30)상에 상기 힌지핀(32)이 미끄러지는 장공(30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핀(32)에 반발하는 스프링(33)이 상기 힌지브라켓(30)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21)의 타측단에는 경사진 모양의 경사단면(40a)을 가지는 미끄럼부재(40)가 설치되며, 상기 펜더판넬(20)에는 상기 도어(21)에 설치된 미끄럼부재(40)의 경사단면(40a)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또 다른 경사단면(41a)을 가지는 고정부재(41)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두 힌지브라켓(30)(31)중 펜더판넬(20)에 설치되는 힌지브라켓(30)은 그 모양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에 상기 스프링(33)에 설치되며, 그 나머지 힌지브라켓(31)은 전체적인 모양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핀(32)과 결합되는 그 일측단이 상기 힌지브라켓(30)의 내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33)은 예컨대, 압축코일스프일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양단중에 일측단은 상기 힌지브라켓(30)의 내측에 걸려 있고, 타측단은 상기 힌지핀(32)에 걸려있다.
상기 미끄럼부재(40)와 고정부재(41)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면(40a)(41a)은 예컨대, 4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도면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21)가 닫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1)를 손으로 잡고 열게 되면, 도어(21)가 힌지브라켓(30)(31)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핀(32)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각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도어(2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부재(40)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단면(40a)이 펜더판넬(2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41)의 경사단면(41a)과 떨어지면서 스프링(33)의 반발력에 의해 장공(30a)을 타고 선운동을 하게 되어 첨부도면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는 결국 원호운동과 선운동이 복합된 복합적인 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펜더판넬(20)에 일측단이 걸린 상태로 있던 도어(21)는 복합적인 운동에 의해 펜더판넬(2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열리게 된다.
한편, 첨부도면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1)가 열려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1)를 닫게 되면, 힌지핀(32)을 기점으로 각운동을 하면서 도어(21)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있는 미끄럼부재(40)의 경사단면(40a)이 펜더판넬(2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부재(41)의 경사단면(41a)에 접촉되면서 동시에 미끄러져 도어(21)가 닫히는 방향으로 각운동을 함과 동시에 장공(30a)을 따라 선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첨부도면 제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동작중에 장공(30a)을 따라 선운동되는 힌지핀(32)에 의해 스프링(33)이 밀리면서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가지게 되며, 도어(21)의 일측달과 펜더판넬(20)이 겹치면서 도어(21)가 열려있을때 도어(21)와 펜더판넬(20)간에 형성되어 있던 틈새는 없어지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도어가 닫혔을때 도어가 펜더판넬에 겹치는 동작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어와 펜더판넬간에 틈새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고속주행중에 차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바람에 와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윈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되고, 기존과 같이 조립시에 작업자가 펜더판넬과 도어간에 주어지는 틈새 때문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므로 조립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펜더판넬(20)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도어(21)의 일측단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30)(31)를 가지며, 두 힌지브라켓(30)(31)이 힌지핀(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자동차의 도어힌지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32)이 끼워지는 두 힌지브라켓(30)(31)중 적어도 한쪽의 힌지브라켓(30)상에 상기 힌지핀(32)이 미끄러지는 장공(30a)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32)에 반발하는 스프링(33)을 상기 힌지브라켓(30)에 설치하고, 상기 도어(21)의 타측단에는 경사진 모양의 경사단면(40a)을 가지는 미끄럼부재(40)를 설치하며, 상기 펜더판넬(20)에는 상기 도어(21)에 설치된 미끄럼부재(40)의 경사단면(40a)에 접촉되면서 미끄러지는 또 다른 경사단면(41a)을 가지는 고정부재(41)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힌지.
KR1019950042736A 1995-11-22 1995-11-22 자동차의 도어힌지 KR014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736A KR0145918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의 도어힌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2736A KR0145918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의 도어힌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1A KR970027621A (ko) 1997-06-24
KR0145918B1 true KR0145918B1 (ko) 1998-09-15

Family

ID=1943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2736A KR0145918B1 (ko) 1995-11-22 1995-11-22 자동차의 도어힌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9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079B1 (ko) * 2021-05-12 2023-02-24 김성찬 폴딩 도어용 힌지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딩 도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7621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5133B2 (en) Hinge device
US20020171248A1 (en) Latching arrangement for a glove box
KR0145918B1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KR960016478B1 (ko) 자동차용 도어힌지
KR0138847Y1 (ko) 차량용 도어핸들 댐핑장치
JP2502503Y2 (ja) 自動車用ドアチェッカ
KR101416466B1 (ko) 자동차용 테일게이트 힌지 장치
KR20040090609A (ko) 경사구조가 적용된 도어 힌지조립체
KR100802947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0130101Y1 (ko) 승용차용 미닫이식 게이트장치
KR200141377Y1 (ko) 자동차의 도어첵커 기능을 가지는 도어 힌지
JP2555077Y2 (ja) ドアヒンジ取付装置
JP3503419B2 (ja) スライドドアの開閉構造
KR0119720B1 (ko)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자동차 트렁크리드 개방장치
KR200143354Y1 (ko) 자동차의 2단링크형 본네트 힌지
KR100233610B1 (ko) 글로브 박스 오프닝장치
KR19980041517U (ko) 차량용 본네트 스테이
KR100325151B1 (ko) 도장 작업용 도어 스테이
JP3445071B2 (ja) 自動車用チェックリンク装置
KR0118601Y1 (ko) 차량의 뒷편도어 개폐동작 제어장치
KR100399721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의 베어링 플레이트 구조
KR19980041701U (ko) 자동차 도어의 첵커구조
KR20010060071A (ko) 자동차용 도어 체커
KR20030086631A (ko) 회전 슬라이드 방식의 연료필러 도어 개폐구조
KR19980055239A (ko) 승합차용 사이드 도어의 로어 롤러 회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