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612B1 -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612B1
KR0145612B1 KR1019950044915A KR19950044915A KR0145612B1 KR 0145612 B1 KR0145612 B1 KR 0145612B1 KR 1019950044915 A KR1019950044915 A KR 1019950044915A KR 19950044915 A KR19950044915 A KR 19950044915A KR 0145612 B1 KR0145612 B1 KR 0145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impact energy
energy absorbing
swing
intermedi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4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034A (ko
Inventor
신태학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50044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612B1/ko
Publication of KR970026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6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01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 B60G13/005Arrangements for attachment of damp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axle or suspension arm of the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triangular or Y-shape, e.g. wishb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자동차용 위스본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에 요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제1 부재(1)와, 프레임의 다른 위치에 요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제2 부재(3)와, 상기한 제1 부재(1)와 제2 부재(3)의 각 타측에 각각의 끝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너클부(5)와, 상기한 너클부(5)의 가운데 부분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중간부재(7)와, 상기한 제2 부재(3)의 가운데 부분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2 중간부재(9)와, 상기한 제1 중간부재(7)와 제2 중간부재(9)의 타측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타측이 브래킷(13)에 체결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장치는, 설계가 용이하고 간단한 중간 기구를 첨가함으로써,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의 결합 상태를 보호하고,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승차감의 개선과 기구의 강성 및 안정성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이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이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작동 상태도,
제 3 도는 종래의 차량용 현가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종래의 차량용 현가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뒷바퀴의 현가장치의 기구를 개량하여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의 기능을 향상하도록 하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의 독립 현가장치에는 위시본형, 가로놓인 리프트 스프링형, 트레일링 링크형, 맥퍼슨형 등이 있다.
독립 현가장치는 승용차 등과 같이 소형차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차축 현가장치에 비하여 차의 안정성, 승차감 등이 향상되어 있다.
독립 현가장치 중에서도 위시본형은 오래전부터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구조상으로 강성이 있으며, 캠버의 변화도 적고 설계의 용이성을 장점으로 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더블 위시본형(double wish bone type)현가장치로서, 이 장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제1 부재(101)와 제2 부재(103)의 한쪽 끝이 평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고, 두 부재의 다른 끝에는 너클부(105)에 볼 조인트 결합으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더블 위시본형 현가장치는, 한쪽 끝이 상기한 제2 부재(103)의 가운데 부분에 요동 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다른쪽 끝이 브래킷(109)에 결합되어 있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07)를포함한다.
그래서, 바퀴가 힘을 받아서 상하 이동하면, 제1 부재(101)와 제2 부재(103)가 회전하게 되고,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07)에 의하여 에너지를 흡수하여 차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그러나, 종래의 장치는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과 기구의 보호에 문제점이 있다.
즉, 제2 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브래킷에 결합한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에는 굽힘 모멘트가 발생하고, 제2 부재의 가운데 부분과 상기한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이 결합한 부분의 위치의 변화가 상기한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의 길이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그에 따라 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데에 문제점을 발생하는 것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을 향상하고 기구의 원활한 작동을 할 수 있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너클부의 가운데 부분에 한쪽 끝을 요동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제1 중간부재와, 제2 부재의 가운데 부분에 한쪽 끝을 요동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는 제2중간부재와, 상기한 제1, 2 부재의 다른쪽 끝에 한쪽 끝을 요동 운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다른쪽 끝이 브래킷에 체결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을 포함한다.
[작용]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는, 기구의 위치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의 굽힘 모멘트를 줄이고 있으며, 상기한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의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을 향상하고 있다.
따라서, 승객의 승차감을 개선하고, 더나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기구의 강성의 더나은 향상과 설계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결합 장치는, 한쪽 끝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1 부재(1)와, 한쪽 끝이 차체의 다른 위치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2 부재(3)와, 상기한 제1,2 부재(1,3)의 다른쪽 끝이 양쪽 갈래에 각각 결합되고 바퀴를 개재할 수 있는 너클부(5)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장치는, 상기한 너클부(5)의 가운데 부분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1 중간부재(7)와, 상기한 제2 부재(3)의 가운데 부분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제2 중간부재(9)와, 상기한 제1,2 중간부재(7,9)의 다른쪽 끝에 한쪽끝이 결합되고 다른 끝이 브래킷(13)에 결합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제1,2 부재(1.3)와 상기한 너클부(5) 사이의 결합은 볼조인트로 이루어진다.
제4도의 도면은 종래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바퀴가 위쪽으로 움직인 상태(2점 쇄선)에서 기구의 변화에 따른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의 수축 및 변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 것으로, 실선의 처음 상태에서 바퀴가 위쪽으로 움직인 이점 쇄선의 상태로 변형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제4도와 비교하여 제2도에서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의 굽혀지는 각이 상대적으로 감소되어 있으며, 굽혀지는 각이 작으므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전환으로 충격 에너지 흡수의 전환으로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이 향상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퀴가 위치 변위를 하면, 제1, 2 부재(1,3)의 작은 요동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제2 중간부재(9)는 회전을 하게 되고, 이 제2 중간부재(9)가 회전한 만큼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의 굽힘각이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간단한 중간 기구를 첨가함으로써,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의 결합 상태를 보호하고, 충격 에너지 흡수 능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승차감의 개선과 기구의 강성 및 안정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첨가 기구에 따라 발생하는 설계가 쉽다.

Claims (2)

  1. 더블 위시본형 현가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에 요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제1 부재(1)와, 프레임의 다른 위치에 요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결합되는 제2 부재(3)와, 상기한 제1 부재(1)와 제2 부재(3)의 각 타측에 각각의 끝단이 회전이 자유롭게 결합되는 너클부(5)와, 상기한 너클부(5)의 가운데 부분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중간부재(7)와, 상기한 제2 부재(3)의 가운데 부분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는 제1 중간부재(9)와, 상기한 제1 중간부재(7)와 제2 중간부재(9)의 타측에 일측이 요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고, 타측이 브래킷(13)에 체결되는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중간부재(7)과 충격 에너지 흡수수단(11) 사이의 결합이 볼 조인트로 구성할 수 있는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19950044915A 1995-11-29 1995-11-29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0145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15A KR0145612B1 (ko) 1995-11-29 1995-11-29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4915A KR0145612B1 (ko) 1995-11-29 1995-11-29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34A KR970026034A (ko) 1997-06-24
KR0145612B1 true KR0145612B1 (ko) 1998-08-17

Family

ID=19436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4915A KR0145612B1 (ko) 1995-11-29 1995-11-29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6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034A (ko) 1997-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6055A (en) Suspension system for steered wheel
US5346241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EP0628437B1 (en) Double wishbone suspension
KR100335952B1 (ko)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JPH05162518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45612B1 (ko)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
KR100326663B1 (ko) 멀티 캠버 모드 서스펜션
US6338495B1 (en) Rear wheel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s
JPH09109636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
JPH0541043Y2 (ko)
KR100308955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0185450B1 (ko) 자동차의 조향륜 현가장치
JP2975512B2 (ja) 小型電動車
KR013130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JPH06278428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224209A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57973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링크구조
JPH05169943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1266008A (ja) 車輌用サスペンション
CN117508340A (zh) 一种角模块和车辆
JPH1148729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9990038299A (ko)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20010056014A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JPH03148315A (ja) 車輪支持装置
JPH05139130A (ja) 車両の操舵輪用サスペンシヨ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