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383B1 -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 Google Patents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383B1
KR0145383B1 KR1019950012146A KR19950012146A KR0145383B1 KR 0145383 B1 KR0145383 B1 KR 0145383B1 KR 1019950012146 A KR1019950012146 A KR 1019950012146A KR 19950012146 A KR19950012146 A KR 19950012146A KR 0145383 B1 KR0145383 B1 KR 0145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me
ground
landing
fol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0704A (ko
Inventor
정수철
Original Assignee
정수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철 filed Critical 정수철
Priority to KR1019950012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383B1/ko
Publication of KR960040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0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205/00Aircraft with means for ground manoeuvring, such as taxiing, using an auxiliary thrust system, e.g. jet-engines, propellers or compress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이착륙하여 지상에서의 주행및 공중에서의 비행이 가능하게 되는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AIR CAR)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상의 도로에서 주행하다가 교통체증이 되면 수직이륙하여 공중을 비행하게 되고 필요에따라서는 공중을 비행하다가 수직착륙하여 지상의 도로를 주행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교통체증에 제한을 받지 않고 목적지까지의 빠른 이동이 제공되는 교통수단을 제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 이착륙하여 지상주행은 물론 공중비행이 가능하게 되고 두랄루민재로된 몸체와 절첩수단, 실리콘재의 튜브체를 결합구성하여 초 경량을 이루게 되므로 이동에 따른 연비소모가 최소화되고 신축성을 갖는 실리콘재의 튜브체에 가스의 공급에 따른 부풀림으로 충돌시의 충격완화 및 수직이착륙시는 물론 비상시에 안전성이 제공되는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AIR CAR)
제1도는 본 발명의 평면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면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절첩수단을 몸체로부터 상승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튜브수단이 가스공급으로 부풀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동바퀴를 작동시키는 유압모터의 유압공급관계를 보여주는 계통도.
제6도는 본 발명의 튜브수단의 다른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튜브수단 5a. 구획간
5b. 구획공간부 5c. 튜브체
10. 절첩수단 12. 프로펠라수단
20. 몸체 21,22 좌,우구동바퀴
본 발명은 수직 이착륙하여 지상에서의 주행 및 공중에서의 비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전체적인 충량을 경량화하여 연비소모를 최소화하게 되는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AIR CAR)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산업의 발달, 소득의 증대에 따라 지상교통수단인 자동차의 수효는 급증하고 있고, 이에 반해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는 어느 정도 제한적이기 때문에 교통체증 등의 심각한 교통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교통문제를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방안이 모색되고 있는바, 이는 도로계획구조상 도로의 확장은 어느정도 제한되어 있고, 결국 인위적인 수단으로 자동차의 순번운행 등의 제안이 도출되고 있으나 경제적 안정생활의 영위로 자동차의 수효가 급증하고 있어 이러한 인위적인 강구책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도로구조에 있어서 지상교통수단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강구책은 다른 각도에서 모색할 수밖에 없는 실정에 도래하고 있는 데 이는 지상이 아닌 지하 또는 공중의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하교통수단(예를 들면 지하철)은 지하를 파헤쳐 형성하게 되므로 그 공사작업이 복잡하고 장시간의 공사기간에 따른 막대한 공사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지질구조상 여러가지 제한을 받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상기 공중교통수단(예를 들면 비행기)은 이착륙에 따른 넓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또한 근거리 이동에 따른 지상주행의 곤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어 현실적으로 근본적인 교통문제의 해결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결국 상술한 바와같은 교통수단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여 지상의 도로에서 주행하다가 교통체증이 되면 수직 이륙하여 공중을 비행하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공중을 비행하다가 수직 착륙하여 지상의 도로를 주행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교통 체증에 제한을 받지 않고 목적지까지의 빠른 이동이 제공되는 교통수단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교통수단이 갖는 단점을 극복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수직이착륙에 의해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이 가능하여 목적지 까지의 이동이 원활히 제공됨은 물론 경량재질로된 몸체와 접철수단, 튜브체에 의해 전체적인 중량이 초경량을 이루어 연비소모를 최소화함에 따른 경제성이 극대화되는 에어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체를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제작하여 공기의 공급 및 회수에 따라 부풀어져 충돌시의 충격완화 및 수직 이착륙시, 비상 착륙시의 급속 이동의 방지로 안전성을 갖게 되는 에어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우구동바퀴를 갖는 경량의 몸체, 이 몸체의 좌우측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케 절첩되는 경량의 절첩수단, 이 절첩수단의 상부에 결합되어 부상, 하강 및 전,후진비행을 가능케하는 프로펠라수단, 상기 몸체와 절첩수단의 외측으로 부착되어 가스의 공급 및 회수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튜브수단을 구비한 에어카에 의해 달성되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제1도 내지 제3도,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에어카는 하부에 좌,우구동바퀴(21)(22)를 갖는 경량의 몸체(20), 이 몸체의 좌우측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신축가능케 절첩되는 경량의 절첩수단(10)(10), 이 절첩수단의 상부에 결합되어 부상,하강 및 전,후진비행을 가능케하는 프로펠라수단(12), 상기 몸체(20)와 절첩수단(10)(10)의 외측으로 부착되되 내부가 다수의 구획간(5a)에 의해 구획공간부(5b)를 다수 형성하여 이 구획공간부에 가스의 공급 및 회수에 따라 팽창, 수축하는 튜브수단(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20) 및 절첩수단(10)은 그 중량을 경량으로 하기 위해 듀랄루민재로 제작하게 된다.
상기 튜브수단(5)은 몸체(20)내부에 설치되는 압축탱크(미도시)와 콤퓨레샤(미도시)에 연결된 다수의 에어호스에 의해 각 구획공간부(5b)로 동시에 가스(예를들면 헬륨가스)의 공급 및 회수의 조절작동이 이루어짐은 물론 각 구획공간부(5b)로의 개별적인 가스의 공급 및 회수를 제어할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절첩수단(10)(10)은 프로펠라수단(12)의 프로펠라(13)를 구동작동하는 구동모터(M3)의 좌,우로 고정설치되는 제1프레임(15)과, 일측이 상기 제1프레임의 끝단에 회동축(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20)의 좌우측에서 회동조절작동케 설치되는 제2프레임(16)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프레임(15)의 하부에는 제2프레임(16)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1)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절첩수단(10)(1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몸체(20)상에 회동가능케 설치된 회동축(미도시)의 일측이 몸체내에 구비된 동력원의 연계작동으로 회전조절되면서 절첩수단(10)(10)을 승하강작동시켜 절첩되는 것이다.
상기 프로펠라수단(12)은 구동모터(M3)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통상적인 프로펠라(13)의 회전날개익(13a)을 각도조정하므로 이착륙시, 비행시의 속도가감을 조절하도록 된다.
상기 몸체(20)상의 좌,우구동바퀴(21)(22)는 각각의 유압모터(M1)(M2)가 몸체(20)내부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4)로부터 유압펌프(25)에 의해 공급되는 유압으로 구동작동하되 상기 유압펌프(25)로부터 공급되는 유량은 유량조절밸브(V)에 의해 조절되어 구동바퀴(21)(22)의 구동속도를 조절하게 됨은 물론 핸들조향에 따라 구동바퀴(21)(22)의 회전비가 각각 조절된다.
한편 제6도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상기 튜브수단(5)의 내부에 신축성을 갖는 비닐재(예를 들면 P,P계의 비닐지)의 튜브체(5c)를 다수 구비하여서 압축탱크(미도시)와 콤퓨레샤(미도시)에 연결된 다수의 에어호스에 의해 상기 각 튜브체(5c)로 동시 또는 개별로 가스(예를 들면 헬륨가스)의 공급 및 회수의 조절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6'는 수직날개(6)에 설치되어 좌우방향을 조정하는 좌우방향타, 7'는 뒷날개(7)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을 조정하는 상하방향타, 8은 좌우롤링을 시키는 조정날개, 9는 이동방향에 따른 진행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지시등, 14는 이착륙시의 방향전환 및 몸체(20)의 회전을 방지하는 라다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에어카는 지상에서의 주행은 물론 수직이착륙에 의한 공중에서의 비행도 가능하게 되는데 먼저 지상에서의 주행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몸체(20)내부의 구동원에 의한 연계작동으로 절첩수단(10)(10)의제2프레임(16)의 회전축(미도시)을 내측방향으로 회전조절함에 따라 제2프레임(16)은 회전축(17)에 의해 연결된 제1프레임(15)와 함께 상승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인 폭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도로주행에 유리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몸체(20)하부의 좌우구동바퀴(21)(22)에 의해 주행을 하게 되는데, 이는 몸체(20)내부의 저장탱크(24)로부터 유압펌프(25)에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좌우구동바퀴(21)(22)를 구동시켜 이동하게 되는것이다.
이때 상기 유압펌프(25)는 저장탱크(24)로부터 공급되는 유량을 유량조절밸브(V)에 의해 조절공급하게 되는데, 즉 유량의 공급을 차단하면 브레이크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유량의 공급을 증감시키면서 클러치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구동바퀴(21)(22)는 핸들의 조향에 따라 선회 방향으로의 구동바퀴는 구동이 감소하게되고 대향측의 구동바퀴는 구동이 원활히 되도록 유압모터(M1)(M2)로의 유량공급이 자동조절되어 자동으로 차동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지상에서의 주행을 하다가 교통체증이 일게 되면 수직이륙하여 공중에서 비행하게 된다.
먼저, 상기 몸체(20)와 이 몸체로부터 상승 이격된 절첩수단(10)(10)의 외측으로 구비된 튜브수단(5)에 몸체(20)내부의 압축가스탱크(미도시)로부터 가스(예를들면 헬륨가스)를 공급하여 부풀리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수단(5)은 구획간(5a)에 의해 구획된 각 구획공간부(5b)내로 이에 연결된 각 에어호스에 의해 가스의 공급이 이루어져 동시에 신속하게 부풀리게 됨은 물론 튜브수단(5)의 어느 한 구획공간부(5b)의 가스 누출이 발생하여도 전체적인 기능을 수행할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튜브수단(5)이 부풀려지게 되면 절첩수단(10)(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프로펠라수단(12)의 유압모터(M3)을 구동하여 프로펠라(13)를 회전시키므로 수직이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로펠라수단(12)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프로펠라(13)의 회전날개익(13a)각도를 변환되게 조정하는 것에 수직이륙 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같은 수직이륙시 상기 몸체(20)와 절첩수단(10)은 경량의 듀랄루민소재로 제작되고, 그 외측의 튜브수단(5)이 가스의 충진으로 부풀어진 상태이므로 전체적인 중량이 가벼워 연료소모가 절감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부풀려진 튜브수단(5)은 엔진고장이나 조정불가한 이상상태로 비상착륙시에 급하강을 방지하게 됨은 물론 충돌시의 충격완화등에 안전성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튜브수단(5)이 부풀려진 상태로 수직이륙한후에는 몸체(20)내부의 설치된 콤프레샤(미도시)에 의해 각 구획동간부(5b)상에 충진된 가스를 에어호스(미도시)를 통해 역으로 압축탱크로 회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튜브수단(5)은 신축성을 갖고 있어 내부의 가스가 회수되면서 수축되어 원위치 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몸체(20)내부의 구동원에 의한 연계작동으로 제2프레임(16)의 회전축(미도시)을 다시 외측방향으로 역회전시킴에 따라 제2프레임(16)은 회전축(17)에 의해 연결된 제1프레임(15)와 함께 하강작동하여 절첩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프로펠라수단(12)의 회전구동력에 의해 비행하게 되는데 프로펠라(13)의 회전날개익(13a)의 각도변환에 의해 비행속도의 증감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공중에서의 비행을 하다가 다시 지상주행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직이륙시의 역순서에 의해 수직착륙을 하게 된다.
한편, 도6에서는 상기 튜브수단(5)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튜브수단(5)의 내부에 신축성을 갖는 다수의 튜브체(5c)를 구비하여서 다수의 에어호스를 통해 상기 각 튜브체(5c)로 가스의 공급 및 회수가 이루어져 어느 한 튜브체(5c)의 가스누출이 발생하여도 누출가스가 튜브수단(5)내에 있게 되므로 안전성이 더욱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에어카는 지상 도로에서의 주행은 물론 도로의 교통체증이 일면 수직이착륙에 의해 공중에서의 비행이 가능하여 목적지까지의 빠른 이동으로 교통문제의 해결에 유용하게 되고, 또한 몸체 및 절첩수단을 경량재로 제작하여 이동시의 연비절감을 이루게 됨은 물론 수직이착륙시 및 비상착륙시에 가스의 공급에 따라 신축성을 갖고 부풀어지는 튜브수단에 의한 안전성이 제공되는 효과를 갖게되는 것이다.

Claims (1)

  1. 유압모터(M1)(M2)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좌.우구동바퀴(21)(22)를 하부에 구비하는 경량의 몸체(20)와, 상기 몸체의 좌우측에서 회동조절작동케 결합설치되는 제2프레임(16)과 이 제2프레임의 끝단에 회동축(17)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로 제2프레임(16)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11)를 갖는 제1프레임(15)를 구비하되 상기 제2프레임(16)은 몸체(20)내부에 구비된 별도의 구동원에 의한 연계작동으로 회동조절됨에 따라 제1프레임(15)과 함께 승하강되면서 절첩되는 경량의 절첩수단(10)(10)과,상기 절첩수단의 제1프레임(15)(15)상부에서 결합되는 유압모터(M3)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프로펠라(13)를 구비한 프로펠라수단(12)및, 상기 몸체(20)와 절첩수단(10)(10)의 외측으로 부착되되 그 내부에 다수의 구획간(5a)에 의해 구획공간부(5b)를 다수 형성하여서 몸체(20)내부에 설치되는 압축탱크와 콤퓨레샤에 연결된 에어호스에 의해 상기 각 구획공간부(5b)로 동시에 가스의 공급 및 회수가 이루어짐에 따라 팽창, 수축되는 튜브수단(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KR1019950012146A 1995-05-16 1995-05-16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KR0145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146A KR0145383B1 (ko) 1995-05-16 1995-05-16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2146A KR0145383B1 (ko) 1995-05-16 1995-05-16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04A KR960040704A (ko) 1996-12-17
KR0145383B1 true KR0145383B1 (ko) 1998-08-01

Family

ID=1941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146A KR0145383B1 (ko) 1995-05-16 1995-05-16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3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0704A (ko) 1996-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24970B2 (ja) 地上走行が可能な飛行体システム
US8162253B2 (en) Convertible vehicle for road, air, and water usage
US3184183A (en) Flying platform
US6619584B1 (en) Road/air vehicle
EP0583666A1 (en) Omnidirectional propelling type airship
US20100294877A1 (en) VTOL lifting body flying automobile
US2811323A (en) Roadable aircraft
CN211195749U (zh) 一种倾转无轴涵道旋翼飞行汽车
CN102616095A (zh) 环形旋翼直升飞行汽车
CN110654190A (zh) 一种倾转无轴涵道旋翼飞行汽车及其工作方法
WO1997016342A1 (fr) Dirigeable hybride de filimonov
WO2019052142A1 (zh) 飞行汽车
US4175637A (en) Surface effect vehicles and guideways therefor
KR0145383B1 (ko)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KR0150340B1 (ko) 지상주행 및 공중비행을 겸하는 에어카
DE102009060611A1 (de) Tragflächen und Ausstattung für ein flugfähiges Straßenfahrzeug
JP2004026034A (ja) 垂直離着陸機
CN112839829A (zh) 私人自主飞行器
CN113199915B (zh) 陆空两栖无人机及其飞行控制方法
RU2770718C1 (ru) Гибридн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автолет соосной схемы
CN108437723A (zh) 一种飞行汽车
ES2560352B1 (es) Vehículo anfibio volador de despegue vertical
RU2046063C1 (ru) Самолет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 дорожный
KR102497743B1 (ko) 비행체
KR200284181Y1 (ko) 비행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