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235B1 -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235B1
KR0145235B1 KR1019950031537A KR19950031537A KR0145235B1 KR 0145235 B1 KR0145235 B1 KR 0145235B1 KR 1019950031537 A KR1019950031537 A KR 1019950031537A KR 19950031537 A KR19950031537 A KR 19950031537A KR 0145235 B1 KR0145235 B1 KR 014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ultivation
motor
guide rail
cultivation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4546A (ko
Inventor
조순호
Original Assignee
조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호 filed Critical 조순호
Priority to KR1019950031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5235B1/ko
Publication of KR97001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235B1/ko

Links

Landscapes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버섯 재배에 소요되는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생산성과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임.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일정공간의 내부로 종균이 접종된 다수의 버섯재배판들을 적충설치하고, 이들을 필요시 선택적으로 자동적으로 순환시켜 주도록 됨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버섯을 재배하는 데 적용되는 것임.

Description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장치를 예시한 평면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측면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 수직이송부의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 제1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 수직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 제2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7도는 본 발명 제3이송부와 제7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 제4이송부및 제5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9도는 본 발명 제5이송부및 제6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10도는 본 발명 제6이송부및 제7이송부의 요부 동작상태도
제11도는 본 발명 버섯재배판의 구조도
제12도는 본 발명 공기순환장치의 구성상태도
제13도는 본 발명 발명 가이드레일의 다른 실시상태도
제14도는 본 발명 수분공급장치의 상세도
제15도는 본 발명 폐기물배출장치의 구조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하우징20:공급부
30:제1이송부40:수직이송부
50:제2이송부60:제3이송부
70:제4이송부80:제5이송부
90:제6이송부100:제7이송부
120:공기순환장치130:온도조절기
140:수분공급장치P:버섯재배판
본 발명은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버섯의 일반적인 재배 방법으로는, 일정 규모의 공간상에 버섯재배에 소요되는 균상면(이하 버섯재배판이라함)을 복수의 층으로 배열시켜 재배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버섯 재배 방법은, 일정 크기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량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반면에 각각의 버섯재배판이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써, 버섯 재배에 필요한 종균접종및 버섯재배 후의 폐기물 처리와 같은 소정의 작업을, 작업자가 각각의 버섯재배판을 일일이 돌아다니면서 수행하여야 하는 데 따른 작업시간의 과다 소요및 , 이들 작업을 수행하는 데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 버섯재배판이 제위치에 고정되어 있어 온도및 습도와 같이 버섯의 생장에 필요한 조건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토록 하여 주는 수분공급장치및 온도가열장치로 부터 비교적 근접거리에 위치한 버섯재배판과, 그렇지 않은 버섯재배판들에 접종된 종균이 필요로 하는 생육조건이 편차지게 작용하는 등의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는 데, 이는 생산효율의 저하와 품질의 저하로 이어져 생산비가 높아지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일정 공간의 내부로 복수층으로 배열된 다수의 버섯재배판들을 자동적으로 순환시키는 것에 의해 그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된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둘째, 다수의 버섯재배판들에 접종된 종균들의 생육에 필요한 여러 작업을 최소의 인력으로 자동적으로 수행토록 하므로써, 원가 절감에 기여할 수 있도록 된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셋째, 일정 공간의 내부로 복수층으로 배열된 다수의 버섯재배판들에 접종된 종균에 필요한 생육조건을 골고루 균형있게 제공하므로써, 생산효율의 향상및 품질의 향상에 기여토록 된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지면에 세워지며 그 내부로 각 구조물들이 설치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의 상부로 소정의 내용물들이 채워진 버섯재배판(P)을 얹쳐지게 하여 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공급부(20)와:
상기 가이드레일(21)과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31)의 상부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도시없음)가 감지하여 모터(32)를 구동시킬 때, 이 모터(3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33)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한 밑편(34)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이송토록 한 제1이송부(30)와: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일단으로 연장 설치한 가이드레일(41)의 상부로 얹쳐지게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별도의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도시없음)를 구동시킬 때, 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4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받침판(43)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이송시키도록 된 수직이송부(40)와:
상기 체인(42)의 최상부측에 위치한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가 인지하여 모터(51)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5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된 체인(52)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된 밑편(53)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제2이송부(50)와:
상기 제2이송부(50)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61)의 상부측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6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6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된 체인(63)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한 밑편(6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3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7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7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7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73)의 양지점에 동일간격으로 각각 설치된 밑편(7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4이송부와: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8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8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8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8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밑편(8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5이송부(80):
상기 가이드레일(8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9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92)의 구동하는 것에 의해 체인(9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일단에 설치된 밑편(9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6이송부(90):
상기 가이드레일(91)에 연장되게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직하부에 복수층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101)들을 각각 직교되게 하고, 이 가이드레일(10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102)를 구동시켜면, 이 모터(10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10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밑편(10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7이송부(100)와: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제1이송부(30), 상기 수직이송부(40)및 상기 제2이송부(50) 내지 상기 제7이송부(1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각 구조부들의 구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제어부로 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지면에 세워지는 건축물로써, 일정 높이와 넓이를 갖는 것에 의해 그 내부로 소정의 공간부를 형성토록 하는 것인 데, 소정의 위치로는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유통시키도록 하여 주는 창문(도시없음)이 다수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창문의 개,폐는 자동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설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그 일단에는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출입문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부(20)는 일정 크기를 가지며, 그 내부로는 짚, 낙면 등이 채워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가이드레일(21)상에 얹쳐지게 한 후, 이를 인위적으로 일방향으로 시송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이송부(30)로 이송토록 하는 구조부로써, 이때 상기 버섯재배판(P)에는 버섯의 종균이 접종된다.
상기 가이드레일(21)은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시 제위치에서 일탈되지 않고, 항시 일방향으로 이송되도록 안내하여 주는 것인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각 구조부들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1이송부(30)는 상기 가이드레일(21)따라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의 방향을 직각되게 전환시켜 이송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인위적으로 상기 가이드레일(21)을 따라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은, 그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도니 가이드레일(31)의 상부측에 얹쳐진다. 이렇게,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지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32)가 구동되는 것에 의해 체인(3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데, 상기 체인(33)의 양지점에 각각 설치된 밑편(33)이 회전하면서 상기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첨부도면 제1도에서 볼 때 좌측방향임)으로 이송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33)은 감지센서에 의해 반회전하고, 또 그 전체적인 길이는 상기 버섯재배판(P)의 길이의 2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밑편(53)은 전술한 체인(33)의 중간지점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체인(33)은 상기한 감지센서에 의해 수평방향(도면에서 볼 때)으로 그 길이의 1/2회전하면서 상기 밑편(34)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송부(40)로 이송토록 하는 데, 이때 상기 버섯재배판(P)은 가이드레일(31)의 상부측에 얹쳐진 상태로 이송된다. 이러한 상태는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수직이송부(40)는 상기한 제1이송부(30)에 의해 수평상태로 이송되어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수직방향으로 위치 전환시켜 소정의 높이로 이송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4도및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체인(33)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이, 가이드레일(41)상에 얹쳐지면 이를 별도의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도시없음)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구동시키면, 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4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받침판(43)이 상기 버섯재배판(P)의 저면측 양단을 각각 받쳐주는 상태로 들어올려 소정의 높이로 수직상승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상태는 첨부도면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43)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수직 상승된 상기 버섯재배판(P)이, 소정 높이의 최정점에 도달하면 상기 체인(42)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되는 데,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이송부(50)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2이송부(50)는 상기한 체인(42)에 의해 소정의 높이로 상승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수평방향으로 이송토록 하는 구조부이다.
즉, 상기 체인(42)에 의해 상기 버섯재배판(P)이 소정의 높이로 상승된 것에 의해 그 회전이 정지되면, 도시하지 않은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51)를 구동토록 하는 데, 이때 첨부도면 제6도에서와 같이 이 모터(5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상기 체인(52)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된 밑편(53)이, 상기 받침판(43)상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도면에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이송시켜 상기 수직이송부(40)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61)의 상부측에 얹쳐지도록 이송시켜 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52)은 감지센서에 의해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부(50)는 상기 버섯재배판(P)의 원활한 이송을 하기위해 상기 하우징(10)의 천정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3이송부(60)는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상부측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이 가이드레일(61)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71)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지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62)로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데, 이때 상기 모터(6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된 체인(63)의 양지점에 각각 설치된 밑편(6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설정된 상기 가이드레일(71)을 따라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체인(63)은 감지센서에 의해 향시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71)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마찰력을 최소화 함과 아울러, 그 이송방향에 대해 자연적인 이송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가이드레일(71)이 설치되는 길이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첨부도면 제7도에 일 예로써 도시되어 있는 데, 상기 가이드레일(71)이 층층히 설치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제4제어부(70)는 상기 가이드레일(71)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71)상에 얹쳐지게 한 후, 이를 방향전환시켜 재차 이송시키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8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지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72)를 구동시키는 데, 이때 상기 모터(7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된 체인(73)의 중간지점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밑편(7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도면에서 볼 때 수평방향임)으로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 체인 (73)은 전술한 바와 같이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하면서 상기 버섯재배판(P)을 하나씩 이송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체인(73)이 1회전하면 상기 버섯재배판(P)은 두개가 이송되는 데 이러한 일련의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5이송부(80)는 상기 체인(73)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81)상에 얹쳐지게 한 후, 이를 방향전환시켜 재차 이송시키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9도에서와 같이 상기 버섯재배판(P)이 상기 가이드레일(81)의 상부측에 얹쳐지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82)를 구동시키는 데, 이때 상기 모터(82)의 구동력을 전달방아 회전하는 체인(8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밑편(8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방향전환시키면서 일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인(83)은 감지센서에 의해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81)을 그 진행방향에 대해 일정한 정사각을 갖도록하여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마찰력을 감소토록 하는 것이 좋다. 이느 전술한 상기 가이드레인(71)의 설치 각도를 경사지게 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락 한다.
상기 제6이송부(90)는 상기 체인(83)에 의해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상기 가이드레일(8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91)상에 얹쳐지게 한 후, 이를 방향전환시켜 재차 이송시키는 구조부이다.
즉, 첨부도면 제10도에서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설정된 상기 가이드레일(81)의 끝단에는 직교되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레일(91)이 설치되어 있는 데, 이 가이드레일(9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지면 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92)를 구동시킨다. 이어서, 체인(9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그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밀편(9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이송시키는 데, 이때 상기 버섯재배판(P)은 직각되는 형태로 방향전환되면서 이송된다.
또, 상기 체인(93)은 감지센서에 의해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7이송부(100)는 상기 체인(93)에 의해 이송도니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 방향을 직각되게 전환시켜 상기한 가이드레일(71)과 동일방향으로 그 직하부에 층층히 설치된 가이드레일(10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이다.
즉, 첨부도면 제7도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직하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01)이 일정 높이로 층층히 설치되어 있는 데, 이 가이드레일(101)은 상기 가이드레일(91)과 직교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버섯재배판(P)이 상기 체인(93)에 의해 이송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01)상에 얹쳐지면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10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102)의 구동력을 전달받다 회전하는 상기 체인(10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밀편(10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직각되게 방향전환시켜 이송시켜 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인(103)은 감지센서에 의해 그 길이의 1/2회전만을 수행토록 설정되어 있는 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회전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한 제1이송부(30)와, 상기 수직이송부(40) 및 상기 제2이송부(50)내지 제7이송부(100)에 구비된 감지센서(도시없음)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한 각 구조부들에 설치된 모터들에 전원을 인가하여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순차적으로 이송토록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제2도에서는 전술한 상기 제2이송부(50) 내지 제7이송부(100)가 복수의 층으로 설치된 것을 도시하고 있는 데, 그 높이와 전체적인 길이는, 상기 하우징(10)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안하여 설정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소정의 공간 면적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에 의해 다량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게되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2이송부(50) 내지 제7이송부(100)가 복수의 층으로 설치될 때, 상기 제6이송부(90)의 끝단은 상기한 제1이송부(30)와 연결되는 데, 이는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것에 의해 버섯의 수확시, 상기 버섯재배판(P)들을 순차적으로 이송시켜 상기 제1이송부(30)에 위치시킨 후, 생육된 버섯을 수확토록 하므로써, 인력의 투입이 최소화 된다. 그리고, 버섯의 재배가 완료된 후에는 새로운 버섯재배판(P)을 공급함과 동시에 기 사용된 상기 버섯재배판(P)들을 자동적으로 회수토록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선선나 공기를 공급토록 함과 아울러, 그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공기순환장치(120)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버섯재배판(P)에 접종된 종균의 생육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토록 함과 아울러, 그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자동적으로 외부로 배출토록 하므로써, 최상의 품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순환장치(120)는 첨부도면 제12도에서와 같이 송풍팬(121)에 의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대략 중간 위치로 설치된 공급관(122)을 통해 공급되게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공급관(122)을 상기 하우징(10)의 중간위치로 설치한 것은, 그 중앙에서 외측 방향으로 자연적인 순환을 이루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상기 버섯재배판(P)들에 접종된 종균들에 골고루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때, 그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다수곳에 설치된 배출관(124)을 통해 외부로 배출토록 하므로써, 자연적인 순환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출관(124)의 상부측에는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토록 한 송풍팬(123)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관(122)과 배출관(124)의 외주면상에는 다수의 통공(122a)(124a)을 뚫어, 이 통공(122a)(124a)들을 통해 그 내부로 공기를 공급토록 함과 아울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또,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그 내부의 온도를 조절토록 된 온도조절기(130)를 설치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이 온도조절기(130)는, 상기 하우징(10)내의 온도를 필요시 선택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일정 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토록 하여 주는 것이다.
즉,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롤 살균하고자 할 때에는 그 내부의 온도를 살균에 필요한 온도(약 60℃)와, 상기 버섯재배판(P)들에 채워진 짚과 낙면의 발효에 필요한 온도(약 50-55℃) 및 종균접종에 필요한 온도(약23-25℃), 그리고 상기 버섯재배판(P)들에 접종된 종균의 생장에 가장 적합한 생육온도(약 15-18℃)등을 일정시간및 기간에 걸쳐 각각 유지토록 하는 데, 이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버섯재배판(P)들에 접종된 종균들에 수분을 균형있게 골고루 공급시켜 주도록 된 수분공급장치(14)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수분공급장치(140)는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수곳에 설치되어 상기 버섯재배판(P)들에 접종된 종균에 수분을 공급하여 주는것인 데, 첨부도면 제14도에서와 같이 수분을 안개 형태로 분무시켜 주므로써, 어느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상기 버섯재배판(P)에 접종된 종균들에 골고루 공급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각 구조부들에 설치된 것에 의해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을 가이드하여 주는 상기 가이드레일(21)(31)(51) (61)(71)(81)(91)(101)들의 상면에, 첨부도면 제13도에서와 같이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최소화 하기 위한 베어링(B)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이송시 발생하는 마찰력과 소음을 감소토록 한다.
첨부도면 제15도는 상기 수직이송부(40)의 일단에 폐기물배출장치(150)가 연장되게 설치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 폐기물배축장치(15)는 버럿의 생육이 종료된 후, 상기 버섯재배판(P)들의 내부에 채워지니 폐기물을 자동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상기 제6이송부(90)의 끝단에 연장되게 위치한 상기 제1이송부(30)로 버섯의 생육이 종료된 상기 버섯재배판(P)들을 순차적으로 이송한 후, 이를 상기 수직이송부(40)로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버섯재배판(P)은 첨부도면 제15도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상기 수직이송부(40)의 일정 위치에서 정지됨과 동시에 가이드레일(151)을 따라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대략 끝단(도면에서 볼 때 우측단)은 지점회동토록 힌지(152)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152)를 기점으로 지점회동시키면 상기 버섯재배판(P)이 대략 수직하게 세워지는 것에 의해 그 내부의 폐기물이 차량의 적재함(C), 또는 별도 저장탱크로 쏟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일정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대략의 버섯을 재배할 수 있으며,
둘째, 하우징(10)의 내부로 층층히 설치된 다수의 버섯재배판(P)을 자동적으로 순환시켜 소정의 작업을 수행토록 하므로써, 투입되는 작업인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셋째, 버섯재배에 필요한 제반 여건을 자동적으로 최상의 조건으로 마추어 주므로써, 최상의 품질과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쟁력 제고에 일조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지면에 세워지며 그 내부로 각 구조물들이 설치되도록 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일단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의 상부로 소정의 내용물이 채워진버섯재배판(P)을 얹쳐지게 하여 이를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공급부(20)와: 상기 가이드레일(21)과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31)의 상부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도시없음)가 감지하여 모터(32)를 구동시킬 때, 이 모터(3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33)의일지점에 각각 설치한 밀편(34)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이송토록 한 제1이송부(30)와: 상기 가이드레일(31)의 일단으로 연장 설치한 가이드레일(41)의 상부로 얹쳐지게 이송된 상기 버섯재배판(P)을 별도의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전원을 인가시키는 것에 의해 모터(도시없음)를 구동시킬 때, 이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4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받침판(43)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로 이송시키도록 된 수직이송부(40)와: 상기 체인(42)의 최상부측에위치한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가 인지하여 모터(51)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5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된 체인(52)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된 밀편(53)이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도록 된 제2이송부(50)와: 상기 제2이송부(50)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61)의 상부측에 얹쳐진 상기 버섯재배판(P)을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6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6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토록 된 체인(63)의 일지점에 각각 설치한 밀편(6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3이송부(60)와: 상기 가이드레일(6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7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7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7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73)의 양지점에 동일 간격으로 각각 설피된 밀편(7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4이송부(70)와: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8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8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8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8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밀편(8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5이송부(80)와: 상기 가이드레일(81)의 일단에 직교되게 설치한 가이드레일(9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에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전원을 인가하면 모터(92)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체인(9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일단에 설치된 밑편(94)으로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제6이송부(90)와: 상기 가이드레일(91)에 연장되게 상기 가이드레일(71)의 직하부에 복수층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가이드레일(101)들을 각각 직교되게 하고, 이 가이드레일(101)의 상부측에 상기 버섯재배판(P)이 얹쳐질 때, 이를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모터(102)를 구동시키면, 이 모터(10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체인(103)의 중간지점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밑편(104)이 상기 버섯재배판(P)을 일방향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도록 하는 제7이송부(100)와: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제1이송부(30), 상기 수직이송부(40)및 상기 제2이송부(50) 내지 상기 제7이송부(1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감지센서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각 구조부들의 구동이 순차적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방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소정 위치에는 송풍팬(121)으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판(122)을 통해 그 내부로 공급하며, 그 내부의 공기는 배출관(124)을 통해 송풍팬(123)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토록 한 공기순환장치(12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에는 그 내부의 온도를 소정의 상태로 조절토록 된 온도조절기(13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버섯재배판(P)들로 공급되는 수분을 분무형태로 공급토록 된 수분공급장치(14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21)(31)(51)(61)(71)(81) (91)(101)의 상면에는, 상기 버섯재배판(P)의 이송시 발생하는 마찰력과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베어링(B)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부(40)의 일단에는 상기 버섯재배판(P)을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인출토록 하는 폐기물배출장치(15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61)(81)은 그 진행 방향으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19950031537A 1995-09-23 1995-09-23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014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537A KR0145235B1 (ko) 1995-09-23 1995-09-23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1537A KR0145235B1 (ko) 1995-09-23 1995-09-23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46A KR970014546A (ko) 1997-04-28
KR0145235B1 true KR0145235B1 (ko) 1998-07-01

Family

ID=66615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537A KR0145235B1 (ko) 1995-09-23 1995-09-23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52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47B1 (ko) * 2008-11-14 2009-05-26 신근영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KR102369710B1 (ko) * 2021-03-29 2022-03-04 (주) 피앤피코리아 순환식 버섯재배 자동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0915B1 (ko) * 2003-07-24 2006-02-09 (주)은성엔지니어링 버섯 재배장치
KR100664574B1 (ko) * 2006-01-09 2007-01-04 서인석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KR101451343B1 (ko) * 2013-01-29 2014-10-16 조수희 버섯 및 새싹 재배를 위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347B1 (ko) * 2008-11-14 2009-05-26 신근영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WO2010056036A2 (ko) * 2008-11-14 2010-05-20 Shin Geun Young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WO2010056036A3 (ko) * 2008-11-14 2010-10-21 Shin Geun Young 수평이동방식의 버섯재배 자동화시스템
KR102369710B1 (ko) * 2021-03-29 2022-03-04 (주) 피앤피코리아 순환식 버섯재배 자동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4546A (ko)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65974B2 (ja) 植物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方法
KR102053997B1 (ko) 트롤리 컨베이어를 이용한 식물재배시스템
JP7185113B2 (ja) トロリーコンベヤ及びそれを用いた植物栽培システム
KR101591942B1 (ko) 버섯 재배장치
WO2005079557A1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101849161B1 (ko) 버섯 병재배 자동화 시스템
EP0324607A1 (en) Equipment for cultivation of mushrooms and like agricultural produce on movable beds
KR20130047303A (ko) 농약 살포를 위한 비닐하우스용 이송장치
KR0145235B1 (ko) 다단 순환식 버섯재배장치
US4546729A (en) Arrangement for the operation of a chicken brooder plant
JPH10215701A (ja) 植物工場
KR20180003315U (ko) 식물 재배 장치
JP2000023574A (ja) 植物工場
EP0247527A1 (en) Hydroponic culture system
CN107032052B (zh) 长距离无立柱秧田用秧盘输送机
CN208509859U (zh) 一种环保型层叠式蛋鸡笼养设备清粪机
JP2565462B2 (ja) 植物体栽培用立体ベンチの循環装置
FI77352C (fi) Potatislyftare och foerfarande vid potatislyftning.
KR19990002705A (ko) 버섯 재배지 환경조절 장치
KR100226152B1 (ko) 다단 이송 시설 재배방법 및 그 장치
RU2062022C1 (ru) Теплиц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овощей и грибов
RU224904U1 (ru) Стеллаж для растений
CN205266568U (zh) 一种规模羊场自动清粪高床羊舍
KR20210068939A (ko) 트롤리 컨베이어를 이용한 연속식 식물재배시스템
RU2087092C1 (ru) Теплица для выращивания растений и гриб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