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3188B1 -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3188B1
KR0143188B1 KR1019940007066A KR19940007066A KR0143188B1 KR 0143188 B1 KR0143188 B1 KR 0143188B1 KR 1019940007066 A KR1019940007066 A KR 1019940007066A KR 19940007066 A KR19940007066 A KR 19940007066A KR 0143188 B1 KR0143188 B1 KR 0143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resh water
sedimentation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195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다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이와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이와다 filed Critical 요시히로 이와다
Priority to KR101994000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3188B1/ko
Publication of KR950029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3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3188B1/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해수는 다단의 직렬로 배치된 침전분리조(1,2,3)내를 통과하고, 해수가 상기 각 침전분리조에 일정 시간 체류되는 동안 상기 각 침전분리조내에 배치된 티탄전극판(15,16,17)에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가 부여되고, 또한 그 주파수는 하류단이 됨에 따라서 낮아져서, 해수를 구성하는 분자로부터 산소를 분리시키고, 산소량이 경감된 염분이 많은 비중이 무거워진 해수의 분자를 침전 제거시키고자 하는 방법이다. 결과적으로, 간단한 장치를 이용하여 낮은 비용과 안전한 방법으로 해수로부터 영양 가치가 높은 담수를 얻을 수가 있다.

Description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관한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사용하는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 1 침전분리조2:제 2 침전분리조
3:제 3 침전분리조4,5,27:관
6,8,13,33,39,47,53,54,55:전자개폐밸브
7,9,14,28,34,40,48:펌프10:해수공급관
11:해수공급펌프12,44:담수배출관
15,16,17:전극18:주파수 콘트롤러
19,20,21,22,23,24:상한수위센서25,29,42:원심분리기
26,30,43:여과기31,37,45:폐수관
32,38:송급관35,41,49:살균실
36,50:필터실46:오버플로우용 도출관
51:저장탱크52:방수관
56:전자제어장치
57:침전분리조(1),(2),(3)의 세정용수의 공급관
58:저장탱크(51)의 세정용수의 공급관
본 발명은 항해중의 선박등에서 사용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선내에서 해수를 증류시켜서 그 증류수를 음료 등으로 사용하는 것이 행하여져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의 경우, 해수의 증발장치에는 과다한 열에너지를 필요로 함과 동시에 농축액의 처리가 어렵고, 배수관에 염분의 찌꺼기가 생겨서 이 담수장치를 사용불능하게 할 염려가 있음과 동시에 영양가치가 적은 담수가 얻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해수에 저주파의 진동을 줌으로써, 해수를 구성하는 분자로부터 산소를 분리시켜, 산소량이 경감된 염분이 많은 비중이 무거워진 해수의 분자를 침전 제거시키는 간단한 장치에 의하여, 안전하며 처리비용이 저렴하고 영양가가 높은,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해수를 다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내를 통과시켜서 담수로 하는 방법은, 상기 각 침전분리조내에 배치된 티탄전극판에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를 부여하여 해수가 각 침전조에 체류되는 시간동안 해수로 부터 염분을 제거하고, 그 주파수는 하류단이 됨에 따라서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해수를 다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내를 통과시켜서 담수로 하는 장치는, 상기 각 침전분리조내에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가 부여되는 티탄전극판을 배치함과 동시에 각 침전분리조간에 개폐밸브를 설치하고, 또한 각 침전분리조의 바닥부에 원심 분리기의 입구가 연결되고 각 원심 분리기의 출구에 여과기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예컨대 해수의 염분농도가 34%이고 침전분리조가 3단인 경우, 먼저, 해수가 제 1 단의 침전분리조내에 보내지고, 이조내에 상기 해수를 약 4시간 체류시키고, 그 사이, 티탄전극판으로부터의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에 의하여 염분이 분리침전되어서 상기 농도가 약 19%로 된다.
이 희석된 해수는 제 2 단의 침전분리조에 이동됨과 동시에 새 해수가 제 1 단의 침전분리조내에 보내진다. 이 제 2 단의 침전분리조에 있어서 부여되는 저주파의 주파수는 제 1 단의 침전분리조에 있어서 부여되는 주파수의 약 2/3이다. 그리고, 양 침전분리조내에 해수는 약 4시간 체류하고 그 사이에 양 침전분리조내에서 분리침전동작이 행하여지고, 제 2 단으로부터는 상기 농도가 약 4%로 희석된 해수가 제 3 단째의 침전분리조내에, 또 제 1 단의 침전분리조로부터는 상기 농도가 약 19%로 희석된 해수가 제 2 단의 침전분리조에, 또한 새 해수가 제 1 단의 침전분리조내에 각각 보내진다. 이 제 3 단째의 침전분리조에 있어서 부여되는 저주파의 주파수는 제 1 단의 침전분리조에 있어서 부여되는 주파수의 약 1/3이다. 그리고, 각 조내에 해수는 약 4시간 체류하고 그 사이에 각 조내에 있어서 분리침전동작이 행하여지고, 제 3 단째의 침전분리조로부터는 거의 담수로 된 것이 원심분리기 및 여과기를 거쳐서 나오고, 제 3 단째의 침전분리조에는 제 2 단의 침전분리조로부터 농도가 약 4%로 희석된 해수가, 제 2 단의 침전분리조에는 제 1 단의 침전분리조로부터 농도가 약 19%로 희석된 해수가, 제 1 단의 침전분리조에는 새 해수가 각각 보내진다.
이후는, 각 침전분리조에 전단의 희석된 해수가 차례로 보내짐과 동시에 제 1 단의 침전분리조에는 새 해수가 보급되게 된다.
그리고, 각 침전분리조의 바닥부에 침전한 다량의 염분을 함유한 침전물은 원심분리기 및 여과기를 거쳐서 제거됨과 동시에, 분리여과된 물은 살균되고 또한 필터에 의하여 다시 여과되어서 1 차 처리수 혹은 2차처리수로서 이용된다.
[실시예]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제 1 침전분리조, (2)는 제 2 침전분리조, (3)은 제 3 침전분리조이고, 각각 약 200리터의 용적의 것으로서, 각 침전분리조(1),(2),(3)의 사이는 관(4),(5)에 의하여 연결되고, 관(4)에는, 전자개폐밸브(6)와 펌프(7)가, 관(5)에는 전자개폐밸브(8)와 펌프(9)가 각각 부착되고, 또 제 1 침전분리조(1)의 입구쪽에는 해수공급관(10)이 연결되어 있고, 이 공급관(10)에는 해수공급펌프(11)가 부착되고, 또한 제 3 침전분리조(3)의 출구쪽에는 담수배출관(12)이 연결되어 있고, 이 배출관(12)에는 전자개폐밸브(13)와 펌프(1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내에는, 티탄재로 된 전극(15),(16),(17)이 배치되어 있고, 배터리 전원에 접속된 주파수 콘트롤러(18)로부터, 전극(15)에는 주파수가 360Hz이고, 전압 4V, 전류 600μA인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가 부여되고, 전극(16)에는 주파수가 240Hz, 전극(17)에는 주파수가 120Hz인 주파수의 저주파가 부여된다.
또, 각 침전분리조(1),(2),(3)내에는, 상한수위센서(19),(20),(21) 및 침전물의 상한수위센서(22),(23),(24)가 각각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침전분리조(1)의 바닥부에는 원심분리기(25)와 여과기(26)가 직렬로 연결되고, 또한 침전분리조(2)의 바닥부와 침전분리조(3)의 바닥부는 관(27)에 의하여 합류되고, 펌프(28)를 통하여 원심분리기(29)와 여과기(30)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여과기(26)에는 폐수관(31)과 여과된 물의 송급관(32)이 접속되고, 이 송급관(32)에는 전자개폐밸브(33)과 펌프(34)가 부착되고, 관(32)의 다른 끝단에는 살균실(35) 및 필터(36)가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상기 여과기(30)에는, 폐수관(37)과 여과된 물의 송급관(38)이 접속되고, 이 송급관(38)에는 전자개폐밸브(39)와 펌프(40)가 부착되고, 관(38)의 다른 끝단에는 살균실(41)이 배치되어 있다.
또, 침전분리조(3)로부터의 담수배출관(12)에는, 원심분리기(42)와 여과기(43)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 여과기(43)에는 폐수관(45)과 오버플로우용 도출관(46)이 각각 접속되고, 담수배출관(44)에는, 전자개폐밸브(47)와 펌프(48)가 부착되고, 이 관(44)의 다른 끝단에는 살균실(49) 및 저장탱크가 되는 필터실(50)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또 오버플로우용 도출관(46)의 다른 끝단에는 저장탱크(51)가 접속되고, 이 저장탱크(51)에는 방수관(52)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53),(54),(55)는 각 침전분리조(1),(2),(3)의 바닥부 배출구에 설치된 전자개폐밸브이다. 또 (56)은 구동계의 전자제어장치로서, 상기 수위센서등으로부터 신호에 의하여 펌프, 전자개폐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57)은 각 침전분리조(1),(2),(3)의 세정용수의 공급관, (58)은 저장탱크(51)의 세정용수의 공급관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우선 해수공급펌프(1!)가 구동되면, 예를 들면 염분농도가 34%인 해수가 해수공급관(10)으로부터 제 1 침전분리조(1)내에 공급된다. 이 때 적어도 전자개폐밸브(6),(53)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조(1)내에는 해수가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19)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해수공급펌프(11)의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주파수 콘트롤러(18)로부터 전극(15)에 주파수가 360Hz이고 전압 4V, 전류 600μA인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가 부여되어서 이 조(1)내에서 염분의 분리가 행하여진다.
조(1)내에서 소정의 시간, 예컨대 4시간의 처리작업이 행하여지면, 전자제어자치(56)에 의하여 전자개폐밸브(6)가 열리고 또한 펌프(7)가 구동되며, 조(1)내에서 농도가 약 19%로 희석된 해수는 제 2 침전분리조(2)내에 이송된다. 이 때 전자개폐밸브(8),(54)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조(1)내로부터의 해수는 조(2)내에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20)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펌프(7)의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전자개폐밸브(6)가 폐쇄되고 또한 해수공급펌프(11)가 구동되어서 조(1)내에 해수가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19)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해수공급펌프(11)의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주파수 콘트롤러(18)로부터 전극(15)에는 상술한 주파수가 360Hz의, 또 전극(16)에는 주파수가 240Hz의 저주파가 부여되어서 이 조(1),(2)내에서 염분의 분리가 행하여진다.
조(1),(2)내에서 소정의 시간, 예컨대 4시간의 처리작업이 행하여지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전자개폐밸브(8)가 열리고 또한 펌프(9)가 구동되어, 조(2)내에서 농도가 약 4%로 희석된 해수는, 제 3 침전분리조(3)내에 이송된다.
이 때 전자개폐밸브(13),(55)는 폐쇄되어 있으므로, 조(2)내로부터의 해수는 조(3)내에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21)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펌프(9)의 가동이 정지함과 동시에 전자개폐밸브(8)가 폐쇄되고 또한 전자개폐밸브(6)가 열리고 펌프(7)가 구동되어서 조(1)내에서 농도가 약 19%로 희석된 해수는 제 2 침전분리조(2)내에 이송된다. 그리고 조(1)내로부터의 해수가 조(2)내에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20)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펌프(7)의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전자개폐밸브96)가 폐쇄되고 또한 해수공급펌프(11)가 구동되어서 조(1)내에 해수가 차례로 저축되고, 그 수위가 높아져서 수위센서(19)가 그 수위를 감지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해수공급펌프(11)의 가동이 정지됨과 동시에 주파수 콘틀롤러(18)로부터 전극(15)에는 상술한 주파수가 360Hz의, 또 전극(16)에는 주파수가 240Hz의, 또 전극(17)에는 주파수가 120Hz의 저주파가 부여되어 이 조(1),(2),(3)내에서 염분의 분리가 행하여진다.
이조(1),(2),(3)내에서 소정의 시간, 예컨대 4시간의 처리작업이 행하여지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하여 전자개폐밸브(13)가 열리고 또한 펌프(14)가 구동되어, 제 3 침전분리조(3)내에서 거의 담수상태로 된 물은 원심분리기(42)로 보내지고, 이어서 제 3 침전분리조(3)내에는 제 2 침전분리조(2)에서 희석된 해수가 이송되고, 또 제 2 침전분리조(2)내에는 제 1 침전분리조(1)에서 희석된 해수가 이송되고, 또한 제 1 침전분리조에는 해수가 보급되어서, 각 전극(15),(16),(17)이 소정시간 각각 360Hz, 240Hz, 120Hz의 저주파가 부여되어서 이 조(1),(2),(3)내에서 염분의 분리가 행하여진다. 이후는 그것이 되풀이된다.
상기 제 3 침전분리조(3)내에서 거의 담수상태로 된 물은 원심분리기(42)에서 불순물을 많이 함유한 액상과 적게 함유한 액상으로 분상되고, 이어서 여과기(43)에 의하여 이것이 분리여과되고, 오버플로우된 물은 도출관(46)으로부터 저장탱크(51)로 보내지고, 이 저장탱크(51)로부터 필요에 따라서 방수관(52)을 거쳐서 방수된다. 또, 여과기(43)에 의하여 여과된 담수는 필터실(50)로부터의 담수의 사용에 대응하여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한 전자개폐밸브(47)의 개방 및 펌프(48)의 구동에 의하여 담수배출관(44)에 의하여 살균실(49)로 보내지고, 이 살균실(49)내에 배설된 세라믹드응로 대장균등이 제거살균되고, 이어서 최종의 저장탱크인 필터실(50)에 저축되고, 필요에 따라서 음료수 등으로 사용된다. 또, 여과기(43)에 의하여 포착된 불순물은 폐수관(45)을 통해 제거된다.
상기 제 1 침전분리조(1)내에서 침전한 고염분농도의 해수는, 이 조(1)내 저부에 저류되고, 그 수위가 수위센서(22)로 감지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한 전자개폐밸브(53)의 개방이 행하여지고, 고염분농도의 해수는 원심분리기(25)로 배출되고, 이 분리기(25)에서 불순물을 많이 함유한 액상과 적게 함유한 액상으로 분상되며, 이어서 여과기(26)에 의하여 분리 여과되고, 여과된 물은 필터실(36)으로부터의 1차 처리수의 사용에 대응하여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한 전자개폐밸브(33)의 개방 및 펌프(34)의 구동에 의하여 송급관(32)에 의하여 살균실(35)에 보내지고, 이 살균실(35)내에서 대장균등이 제거살균되고, 이어서 최종의 저장 탱크인 필터실(36)에 저축되고, 필요에 따라서 기름 성분을 함유하는 1차 처리수로서 사용된다. 또, 여과기(26)에 의하여 포착된 불순물은 폐수관(31)을 통하여 제거된다.
또, 제 1 침전분리조(1) 및 제 2 침전분리조(3)내에서 침전한 해수는, 이들 조(1),(2)의 내저부에 저류되고, 그 수위가 수위센서(23) 또는 수위센서(24)로 감지되면,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한 전자개폐밸브(54) 또는 전자개폐밸브(55)의 개방이 행하여지고, 침전한 해수는 펌프(28)에 의하여 원심분리기(29)로 배출되고, 이 분리기(29)에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액상으로 분상되고, 이어서 여과기(30)에 의하여 분리여과되고, 여과된 물은 2차처리수의 사용에 대응하여 전자제어장치(56)에 의한 전자개폐밸브(39)의 개방 및 펌프(40)의 구동에 의하여 송급관(38)에 의하여 살균실(41)로 보내지고, 이 살균실(41)내에서 대장균등이 제거살균되어, 2차처리수로서 사용된다. 또, 여과기(30)에 의하여 포착된 불순물을 폐수관(37)을 통하여 제거된다.
이상과 같이, 각 침전분리조내에서 해수에 저주파의 진동을 줌으로써, 해수를 구성하는 분자로부터 산소가 분리되고, 산소량이 경감되어서 염분이 많은 비중이 무거워진 해수의 분자는 침전제거되므로, 침전분리조를 통과할 때마다 해수의 염분농도는 감소된다.
더구나 해수를 3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내를 통과시켜서 담수로 함에 있어서, 상기 각 침전분리조내에 배치된 티탄전극판에 저주파의 저전압·저전류를 부여하고, 그 주파수를 360Hz, 240Hz, 120Hz라고 하는 바와 같이 하류단이 됨에 따라서 낮게 하고, 또한 각 침전분리조내에 각각 약 4시간 체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해수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주파수의 부여를 낮게 하여서 이 해수의 염분농도에 최적인 주파수로서 염분의 분리를 극단적인 영역까지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는 산소함유량이 많은 영양가치가 있는 담수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그 때 티탄전극판을 사용한 것에 의하여, 전극의 부식이 적고 내구성이 크며, 미전류의 흐름이 좋고 효율이 좋은 교류파를 줄 수있게 된다.
또, 각 침전분리조 내저부에 침전한 해수는 빨리 제거됨과 동시에 원심분리기와 여과기의 협력에 의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후 살균되어서 1차 혹은 2차처리수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담수 이외에도 수확물이 있고, 더구나 배관속에 염분의 퇴적도 적은 것이 된다.
또한, 펌프(7)와 제 2 침전분리조(2) 사이의 관(43)에는 예를 들면 주파수가 300Hz인, 또한 펌프(9)와 제 3 침전분리조(3)사이의 관(5)에는 예를 들면 주파수가 180Hz인, 또한 펌프(14)와 원심분리기(42)사이의 관(12)에는 예를 들면 주파수가 50Hz인 저주파를 부여하면, 해수로부터의 염분제거가 더 효과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음과 동시에, 얻어지는 담수에보다 다량의 산소를 함유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각 침전분리조내에서 해수에 저주파의 진동을 줌으로써, 해수를 구성하는 분자로부터 산소가 분리되고, 산소량이 경감되어서 염분이 많은 비중이 무거워진 해수의 분자는 침전분리조를 통과할 때마다 해수의 염분농도가 감소되고, 최종적으로는 산소함유량이 많은 영양가치가 있는 담수를 얻을 수 있다.
또, 해수를 다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내를 통과시켜서 담수로 함에 있어서, 상기 각 침전분리조내에 배치된 티탄전극판에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를 부여하고, 그 주파수를 하류단이 됨에 따라서 낮게 하고, 또한 각 침전분리조내에 각각 일정시간 체류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해수의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서 주파수의 부여를 낮게 하여서 이 해수의 염분농도에 최적인 주파수로서 염분의 분리를 극단적인 영역까지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전하고 능률이 좋은 저렴한 가격으로 담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각 전극에 티탄전극판을 사용하였으므로, 전극의 부식이 적고 내구성이 크며 미전류의 흐름도 좋아 효율이 좋은 진동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능률이 좋고 저렴한 가격으로 담수를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침전분리조로부터의 침전물을 원심분리기 및 여과기에 의하여 처리하도록 하면, 그 1차 혹은 2차처리수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1)

  1. 해수를 다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1,2,3)내를 통과시켜서 담수로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내에 배치된 한 쌍의 전극판(15,16,17)에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를 부여하여 상기 해수가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에 체류하는 시간동안 상기 해수로부터 염분을 제거하며, 상기 침전분리조(1,2,3)에 부여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하류단이 됨에 따라서 낮아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2. 제 1 항에 의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에서 담수와 같이 깨끗해진 염분이 제거된 해수를 원심분리기(25,29,42)와 필터(26,30,43)에 의해 더욱 염분을 제거하는 과정과, 상기 최종적으로 염분이 제거된 해수를 살균실(35,41,49)에서 대장균 등을 제거하여 음용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살균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3. 제 1 항에 의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의 바닥부에 침전된 상기 해수도 역시 원심분리기(25,29,42)와 필터(26,30,43)에 의해 염분이 제거되고, 그후 대장균 등을 제거하여 처리수로 사용되기 위하여 살균실(35,41,49) 내에서 살균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4. 제 1 항에 의한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침전분리조(1,2,3)의 개수가 3 개이며, 제 1, 제 2, 제 3 단계의 침전분리조(1,2,3)에 부여되는 신호의 주파수가 각각 360Hz, 240Hz, 그리고 120Hz인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5. 제 1 항에 의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해수가 각 침전분리조(1,2,3) 내에 약 4 시간 동안 체류되는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6. 제 1 항에 의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저주파, 저전압, 그리고 저전류의 신호가, 상기 침전분리조(1,2,3)들을 상호 연결하는 관들(4,5)과 최종 단계의 침전분리조(3)에 연결되어 담수를 배출하는 관(12)에 부여되고, 상기 관들(4,5,12)에 부여되는 상기 신호의 주파수가 해수의 하류단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7. 제 6 항에 의한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들(4,5,12)에 부여되는 상기 신호의 주파수들이 300Hz, 180Hz, 그리고 50Hz이고, 그 주파수는 상기 해수의 하류단으로 갈수록 점점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8. 다단의 직렬로 배치한 침전분리조(1,2,3)내를 통과하므로써 해수의 염분이 제거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내에 한쌍씩 장착되어 저주파, 저전압, 저전류의 신호를 받는 전극판(15,16,17)과, 상기 침전분리조(1,2,3) 사이에 장착되는 밸브(6,8)와,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의 바닥부에 그 입구가 연결되는 원심분리기(25,29,42) 및 상기 원심 분리기의 출구에 연결된 여과기(26,30,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
  9. 제 8 항에 의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에 있어서, 나아가 각 침전분리조(1,2,3)에 장착된 각각의 상한 수위 센서들(19,20,21)과, 상기 각 침전분리조(1,2,3)에 장착된 각각의 상한 침전물 수위센서(22,23,24)들과, 각각 상기 필터(26,30,43)의 출구에 연결된 살균실들(35,41,49)과, 전기 제어 장치(56)와, 주파수 제어 장치(18)와, 음용수 또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저장 탱크(36,41,50,51)와, 그리고 해수의 유동을 위한 각 구성 요소들을 상호 접속시키는 관들중 일부(4,5,10,12,27,32,38,44)에 장착된 펌프들(7,9,11,14,28,34,39,4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
  10. 제 8 항에 의한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판체들(15,16,17)은 티탄재로 구성된 해수로 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
  11. 제 8 항에 의한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분리조(1,2,3)의 개수가 3개인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장치.
KR1019940007066A 1994-04-04 1994-04-04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KR0143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066A KR0143188B1 (ko) 1994-04-04 1994-04-04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7066A KR0143188B1 (ko) 1994-04-04 1994-04-04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195A KR950029195A (ko) 1995-11-22
KR0143188B1 true KR0143188B1 (ko) 1998-07-01

Family

ID=6667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7066A KR0143188B1 (ko) 1994-04-04 1994-04-04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31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195A (ko) 1995-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6593B2 (en) High volume electrolytic water treatment system and process for treating wastewater
US8137542B2 (en) Water treatment system
CN107129111A (zh) 一种物理法油田水处理达标装置及处理工艺
US11414333B2 (en) Automated waste water recycling system using advanced electro-coagulation unit
CN1319873C (zh) 一种油田污水处理设备
RU2422383C2 (ru) Комплекс сорбционной очист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вод
CN209853897U (zh) 一种用于食品行业的纯净水处理设备
KR0161203B1 (ko) 여과 일체형 침전조 및 그 역세척 방법
KR0143188B1 (ko) 해수로부터 담수를 얻는 방법 및 그 장치
US5549800A (en) System for obtaining fresh water from seawater
KR200377896Y1 (ko) 폐수처리장치
JPH06190251A (ja) 濁質成分を含む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CN209338259U (zh) 船舶发动机尾气洗涤水处理系统
JP2571503B2 (ja) 海水から真水を得る方法及びその装置
CN107954530A (zh) 一种污水净化装置
CN1110258A (zh) 从海水获得淡水的方法及装置
GB2106490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electro-flotation treatment of effluent
JP3766880B2 (ja) 水浄化装置および運転方法
KR20000012668A (ko) 폐수처리시스템
JP3155212B2 (ja) 精密濾過膜又は限外濾過膜外圧循環濾過装置
CN108002575A (zh) 一种高效污水净化装置
CN220779734U (zh) 一种小型船艇用节能海水淡化装置
JP2001252671A (ja) 汚水処理装置
JP2001191100A (ja) 余剰汚泥の多段式濃縮設備
JPH11216312A (ja) 廃液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