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669B1 - 펄스 레이다 장치 - Google Patents

펄스 레이다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669B1
KR0142669B1 KR1019900010443A KR900010443A KR0142669B1 KR 0142669 B1 KR0142669 B1 KR 0142669B1 KR 1019900010443 A KR1019900010443 A KR 1019900010443A KR 900010443 A KR900010443 A KR 900010443A KR 0142669 B1 KR0142669 B1 KR 0142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ulse
radar device
correlation
discrimin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397A (ko
Inventor
알베르트 디예크스트라 얀
Original Assignee
이.에이.반 아메론겐 에프 제이 인겔
홀란드세 시그날아파라텐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에이.반 아메론겐 에프 제이 인겔, 홀란드세 시그날아파라텐 비.브이. filed Critical 이.에이.반 아메론겐 에프 제이 인겔
Publication of KR9100033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3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5Receivers
    • G01S7/292Extracting wanted echo-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02Systems using reflection of radio waves, e.g. prim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06Systems determining position data of a target
    • G01S13/0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 G01S13/10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 G01S13/26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wherein the transmitted pulses use a frequency- or phase-modulated carrier wave
    • G01S13/28Systems for measuring distance only using transmission of interrupted, pulse modulated waves wherein the transmitted pulses use a frequency- or phase-modulated carrier wave with time compression of received pul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36Means for anti-jamming, e.g. ECCM, i.e. electronic counter-counter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 레이다 장치 및 그 장치에 적합한 펄스 판별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펄스 판별 장치를 사용한 펄스 압축 필터를 가진 펄스 레이다 장치의 개략도
제2a 및 2b도는 위상-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 및 비-변조된 신호 Ys 도시도
제3도는 제2도에 언급된 신호를 펄스 압축 필터를 통해 얻어진 상관 관계 신호(σXY(δ)와 제 2도에 언급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레플리카(replica)x도시도
제4도는 펄스 판별 장치의 제1실시예도
제5도는 펄스 판별 장치의 제2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상관기 3 : 펄스 판별 장치
4 : 레이다 송신기 5 : 변조기
6 : 메모리 유닛 7 : 송신-수신 스위치
8 : 안테나 9 : 혼합기
10 : 국부 발진기 13,14 :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본 발명은 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신호 Yt의 발생 및 송신을 위하여, 그리고 δ-배로 압축된 상관 관계 신호 σXY(δ)를 얻기 위해 신호 Yr와 방출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와의 상관 관계를 수신하기 위하여 송신 및 수신 유닛트(송신기 및 수신기)가 갖춰진 펄스 레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펄스 레이다 장치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펄스 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펄스 레이다 장치의 공지된 실시예는 수신된 레이다 신호 Yr의 압축을 위한 펄스 압축 필터가 갖춰진 레이다 장치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비압축된 수신신호 Yr을 근거로 하여 얻어진 것보다 더 정밀한 범위 결정이 얻을 수 있다. 방출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반송파는 주파수, 위상 또는 진폭이 변조될 수 있으며, 상기 수신된 레이다 신호의 상관 관계는, 그 주파수 응답이 레이다 송신기 펄스의 레플리카 X에 대응하는, 매치된 필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상관 관계는 상기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레플리카 X에 의해 또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양 경우에, 레이다 신호 Yr의 수신에 의해, δ배로 날카롭게 우뚝 솟은 신호 σXY(δ)가 얻어지며, 압축이 없이 얻어진 것보다 더 큰 진폭을 갖는다.
펄스 레이다 시스템이 가진 문제는 간섭 신호에 대한 상기 시스템의 자화율이 의도적으로 야기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펄스 압축 필터가 갖춰진 펄스 레이다 장치가 변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간섭 신호를 수신하면, 날카롭게 우뚝 솟은 신호 σXY(δ)가 얻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간섭 신호의 진폭이 크면, 펄스 압축 필터에 의해 형성된 상관 관계후에도, 수신된 간섭 신호는 여전히 비교적 큰 진폭을 가질 것이다. 상기 진폭은 간섭 신호가 상기와 같이 분류되지 않을 경우보다 훨씬 더 클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펄스 레이다 장치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상기 장치에 있어서, 송신 및 수신 유닛이, 수신된 신호 Yr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
Figure kpo00001
과 상관 관계 신호 σXY(δ)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
Figure kpo00002
을 근거로 하여, 신호마다 다른 정도로 변조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 Yr간의 구별이 가능한 펄스 판별 장치를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관 관계전에 수신된 신호의 진폭과 상관 관계후에 상기 신호의 진폭을 비교하므로, 변조 정보를 갖지 않은 간섭 신호와 상기 변조 정보를 가진 에코(echo) 신호간의 구별이 상기 변조 정보에 제공된 신호에 대한 앞서의 관계의 진폭을 근거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펄스 압축 필터를 갖춘 펄스 레이다 장치가 비용이 적게 드는 방법으로 큰 진폭의 간섭 신호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만들어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진폭
Figure kpo00003
과 적어도 하나의 진폭
Figure kpo00004
을 근거로 하여, 펄스 판별 장치가 수신된 신호 Yr에 포함된 상기 변조 정부의 확장의 함수로서 신호 P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신호 P는 다음식과 동일할 수 있는데,
Figure kpo00005
여기서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의 함수이다.
상기 펄스 판별 장치는, δ=0에서 신호 P가 미리 조절된 값 PC보다 더 적을시에, 제어 신호 S의 발생을 위해 비교기를 적절히 포함할 것이고, 감쇠기에 공급되어질 제어 신호 S를 근거로 하여, 신호 처리기에 공급되어질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08
를 약화시키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해 감쇠기를 포함할 것이다.
펄스압축 필터에 의해 특정한 변조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의 압축의 결과로서 발생한 최대 신호 이득이 소위 펄스 압축 이득 요소에 의해 미리 공급된다.
피크값과 상기 펄스 압축 이득 요소의 관계를 비교하므로, 상기 이득이 실제로 얻어지는 가와 또한 필터에 공급된 신호가 옳은 변조 정보를 포함하는가가 간단히 결정될 수 있다. 옳은 변조 정보를 포함한 에코 펄스의 결우에, 상관 관계 신호의 피크값이 δ=0에 놓여진다. 따라서, 상기 감쇠기는, 제어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신호를 약화시키거나 또는 완전히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펄스 판별 장치가 상기 감쇠기에 공급될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09
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유닛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제어 신호 S와 상기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10
가 동시에 상기 감쇠기에 인가된다.
상기는 상기 신호 S 및
Figure kpo00011
가 제때에 동기화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대안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펄스 판별 장치가 신호 P를 발생시키고 상기 신호를 신호 처리기에 인가시키는 표준 수단을 포함한다. 옳은 변조 정보를 가진 신호 P와 상기 정보를 가지지 않은 신호 P간의 큰 진폭 차이는 신호가 폐지될 필요가 있으면, 결정을 위한 근거로서 상기 신호 처리기에 사용될 수 있다. 간섭 신호가 무조건 차단되지 않기 때문에, 제때에 상기 간섭 신호를 폐쇄하는 에코 신호가 더이상 차단되지 않을 것이다.
디지탈화된 값 Yr과
Figure kpo00012
을 얻기 위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갖춘 펄스 레이다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가, 적어도 시간 T동안, 시프트 레지스터에 공급된 진폭
Figure kpo00013
의 기억을 위해 시프트 레지스터가 갖춰진 펄스 판별 장치에 의해 실현되며, T는 방출되고 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지속 기간동안 동일하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진폭의 한정
Figure kpo00015
을 위해 피크 검출에 제공된다.
상기는 시프트 레지스터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그 길이가 방출된 펄스와 동일한 시간 주기동안 최대 진폭이 단순한 방법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원 명세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는 펄스 압축 필터로서 배열된 상관기(1 및 2)와 본 발명에 따른 펄스 판별 장치(3)를 가진 펄스 레이다 장치의 단순화된 블럭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펄스 판별 장치가 펄스 레이다 장치의 기술된 변형에 제한 되지 않는다. 펄스 압축 수단을 갖춘 모든 펄스 레이다 장치가 대체로 적합하다. 게다가, 상기 펄스 판별 장치가 펄스 압축 수단을 갖춘 솔라 시스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선형 또는 비-선형 주파수 변조, 이중-위상 또는 다중-위상 변조 및, 진폭 변조로서 펄스 압축의 특정 수행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도에서, 레이다 송신기(4)는 RF반송 주파수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발생을 위해 도시되며, 상기 레이다 송신기 펄스가 변조기(5)에 의해 변조된다. 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레플리카 X가 상관기(1 및 2)용 메모리 유닛(6)에 기억된다. 상기 메모리 유닛(6)이 펄스 압축 필터의 변형으로 명확하게 통합되어질 필요는 없으며, 그 레플리카 X가 분산성 지연 라인에 대한 예로서, 상기 필터의 주파수 전환 특성에 기인하여 절대적으로 기억된다. 송신-수신 스위치(7)를 통해,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가 안테나(8)에 의해 방출된다. 상기 안테나(8)에 의해 수신된 에코 신호 Yr나, 또는 어쩌면 간섭 신호 Ys가 혼합기(9) 및 국부 발진기(10)에 의해 중간 주파수로 전환된다. IF-증폭기(11)에 의한 증폭과 직각 검출기(12)에 의한 위상 검출에 의해, 동위상 신호 Yr, i 및 이상(異相)신호 Yr.g가,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3 및 14)에 의한 계수화에 의해, 상기 상관기(1 및 2)와 펄스 판별 장치(3)에 제공된다.
상기 신호 Yr,i 및 Yr.g가 레이다 송신기 펄스의 레플리카 X와 서로 관련된다. 각각의 Yr,i와 X 및 Yr.g와 X의 상관 관계후에 얻어진 상기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16
가 상기 펄스 판별 장치(3)에 또한 제공된다. 상기 상관 관계 신호가 10μs의 비압축된 펄스 길이에서 예를 들면 0.6μs인 레이다 송신기 펄스에 대해 특유의 길이를 가진 제때에 압축된 펄스로 나타난다. 상기 펄스 판별 장치(3)가 플로트 추출 분리기, 도플러(Doppler) 분선 수단,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는 데이타-처리기(15)에 연결된다.
동위상 및 이상 신호의 양 신호에 대해 2개의 실제 상관기 대신에, 하나의 복합 상관기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제 2a도는 반송파가 다수의 T'의 길이를 가진 선분으로 0 및 Ⅱ 라디안의 위상 점프(2층-위상 변조)를 도시하는 위상-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예를 나타낸다.
제 2b도는 동일한 길이 및 진폭을 가지나, 변조가 없는 간섭 신호 Ys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17
콘벌루션 적분치에 따른 그 자체(자동 상관 관계)에 대한 제 2a도의 상관 관계 Yt가 제 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관 관계 신호를 산출한다.
Figure kpo00018
콘벌루션 적분치에 따른 Yt(역 상관 관계)에 대한 제 2b도의 상관 관계 Ys가 제 3 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관 관계 신호를 산출한다.
특정 상황하에서 이하와 같이 적용되는데,
Figure kpo00019
여기서 K=1, 2, 3, ...이고
Figure kpo00020
(여기서, N=7)
자동 상관 관계의 경우에, 최대 진폭이
Figure kpo00021
에서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변조는 상관 관계 신호의 측대역이 최대 피크에 대해 최소이도록 될 것이다.
조금이라도 다른 변조 또는 비변조를 가진 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상관 관계 신호가 약간은 예리한 피크를 도시할 것이다. 또한, 더 길거나 짧은 펄스 길이의 경우에, 비-변조된 신호 Ys에 대한 상기 상관 관계 신호의 최대 진폭이 Yt에 동일한 위상 시프트를 가진 최대수의 근접 간격(이경우 3)을 초과하지 못한다.
상기 신호 Yt와 관련된 레플리카 X가 펄스 진폭 a를 갖고 수신된 신호 Yr가 진폭 b를 갖을 때, 정상화후에 상기 상관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22
변조되거나 또는 비변조된 에코 신호에 대해 적합한 기준이 진폭비이다.
Figure kpo00023
상기 기준은 수신된 신호 Yr의 세기 b와 거의 상관이 없으며, 여기서
Figure kpo00024
가 또한 b의 함수이다.
따라서, 또한 강하고 비변조된 간섭 신호가 약하고 코드화된 에코 신호와 구별될 수 있다. 이중-위상 변조의 경우에, 3dB의 펄스 압축-이득 소자가 다중-위상 10dB에 대해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문맥에서 최대 진폭 σxyr(0)을 근거로한 판별 장치외에도 상관 관계 신호의 대칭 정도를 근거로한 판별 장치가 또한 가능함을 알아야 한다(제 3 도 참조).
제 4 도는 제 1 도에 언급된 펄스 판별 장치(3)의 초기 변형을 나타낸다. 직각 검출기에 의해 얻어진 동위상 신호 Yr,i 및 이상 신호 Yr.g가 log-계수 검출기(15A)에 공급된다.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결정된 계수(log
Figure kpo00025
의 대수가 시프트 레지스터(16)에 그후에 기억된다.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6)의 길이는 상기 공급된 값이 비압축된 펄스의 펄스 지속 기간 T과 적어도 동일한 시간동안 기억될 수 있다.
변조된 펄스에 대해서는, 상관 관계 신호의 최대 진폭이
Figure kpo00026
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최대값이 시간 T동안 시프트 레지스터(16)에 공급된 비-압축된 신호의 최대 진폭과 비교될 것이다.
Figure kpo00027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6)에 연결된 피크 검출기(17)가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에 기억된
Figure kpo00028
의 값이 최대 진폭
Figure kpo00029
을 결정하고 그 값을 비교기(19)에 공급한다.
상기 사항에서, 또다른 적합한 변형이 상기 최대 진폭
Figure kpo00030
을 결정하지 못하나 가중 수단
Figure kpo00031
인 피크 검출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관기(1)에서 발생한 동위상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32
와 상관기(2)에서 발생한 이상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33
가 log-계수 검출기(18)에 공급된다.
상기 검출기에 의해 결정된 계수
Figure kpo00034
의 대수가 피크 검출기(17)에 의해 결정된 최대 진폭
Figure kpo00035
과 미리 조절된 노이즈 임계값 N과 비교기(19)에 의해 비교된다. 다음식이 만족되면, 상기 비교기가 제어 신호 S를 발생한다.
Figure kpo00036
여기서, PC가 옳게 변조된 신호에 대한 펄스 압축 이득 소자를 의미하며, 따라서 수립된 이득이 상기 펄스 압축 이득 소자 PC보다 더 작고 비-압축된 신호가 노이즈 임계 N를 초과하면 제어 신호 S가 발생된다.
제어 신호 S가 감쇠기(20)에 공급되며, 이 경우, 상기 감쇠기는 제 1 도에 언급된 데이타 처리기(15)에 공급된 상관 관계 신호를 차단한다. 지연 유니트(21)가 상기 상관 관계 신호를 동기화하고 상기 상관 관계 신호와 감쇠기(20)에 공급될 제어 신호 S를 동기화한다.
제 5 도는 제 1 도에 언급된 펄스 판별 장치(3)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판별 장치에 대해, 상관 관계 신호 σxy. i(δ)가 제 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더 이상 감쇠 또는 중단되지 않으나, 에코 신호에서 발생한 상관 관계 신호가 간섭 신호에서 발생한 상관 관계 신호에 대해 증폭된다. 그후에 신호 처리가 신호 처리기(15)에서 행해진다. 제 1 실시예에 대한 이점은 그 시간 특성이 간섭 신호의 시간 특성을 닮은 에코 신호가 마찬가지로 억압되지 않고 판별 장치에 대해서는 다른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회로가, 제 1 실시예에 대해 기술된 바와 같이, 제 4 도에 언급된 비-상관 관계 신호 Yr,I 및 Yr.g의 계수
Figure kpo00037
의 최대 진폭의 대수를 결정하기 위해, log-계수 검출기(22), 시프트 레지스터(23) 및 피크 검출기(24)를 갖춘다.
상기 사항에서 어쩌면 부가적인 필터링이 상기 피크 검출기(24)에서 행해질 수 있음이 관찰될 수 있다. 상관 관계 신호 σxy,i(δ)및 σxy,g가 그들의 대수값을 얻기 위해 lin/log 검출기(25 및 26)에 각기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대수값은 이하식에 따라 가산기 회로(27 및 28)를 사용하여 피크 검출기로부터 얻어진
Figure kpo00038
의 값을 공제하므로 표준화된다.
Figure kpo00039
상기 log/lin 전환기(29 및 30)에 의해, 가산기 회로(27 및 28)에서 발생한 신호의 비-대수값
Figure kpo00040
Figure kpo00041
이 결정된다. 양극성 한정기(31 및 32)가 옳은 변환을 각기 수행한다. 결과로서, 옳은 변조를 가진 에코 신호가 부가적으로 증폭될 것인데, 이는 상기에 대해, 피크 검출기에 의해 결정된
Figure kpo00042
의 값이 상기 옳은 변조가 결여된 강한 간섭 신호에 대한
Figure kpo00043
의 값보다 일반적으로 더 적을 것이기 때문이다.
간섭 신호에서 발생한 표준화 신호에 비교된 에코 신호에서 발생한 표준화 신호의 진폭의 차이가 대응하는 비-표준화된 상관 관계 신호의 진폭간의 차이보다 더 크게 야기될 것이다.
상기 사항에서, 앞서 언급된 회로(27 및 28), log/lin 전환기(29 및 30) 및, lin/log 전환기(25 및 26) 대신에, 빠른 디지탈 배율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피크 검출기(24)에 연결된 에지 검출기(33)가 간섭 신호를 발생하는 소스의 거리의 정밀한 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그래서 상기 거리의 보다 정밀한 평가를 용이하게 하는 간섭 신호의 제 1 에지가 전체 펄스의 중심을 근거로 하여 가능하다.
펄스 판별 장치(3)는 지시된 위치에서 데이타 프로세서(15)에 표준화된 상관 관계를 제공하고 지시되지 않은 다른 위치에서, 상기 데이타 프로세서에 비-표준화된 상관 관계 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칭 수단(34a 내지 34d)을 갖춘다.

Claims (15)

  1. 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 Yt의 발생 및 송신을 위한 송신 유닛(4)과; 신호 Yr의 수신을 위한 수신 유닛(9, 10, 11, 12, 13, 14) 및 ; 타임 δ에 압축된 상관관계 신호σXY (δ)를 획득하기 위해 방출된 송신기 펄스 Yt의 레플리카(replica)X에 대한 신호 Yr의 상관관계용 상관기(1, 2)가 제공된 펄스 레이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상기 수신된 신호 Yr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과 상기 상관관계 신호
    Figure kpo00044
    의 적어도 하나의 진폭을 근거로 하여, 펄스 판별기가 변조 정보를 처리하는 신호 Yr와 변조 정보의 상이한 정도를 처리한 간섭 신호간을 판별할 수 있도록, 상기 수신된 Yr에 포함된 변조 정보의 범위의 함수로서 신호 P를 얻을 수 있는 펄스 판별기(3)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2.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P는 식
    Figure kpo00045
    과 동일한데, 여기서
    Figure kpo00046
    Figure kpo00047
    의 함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Figure kpo00048
    가 동일한데,
    Figure kpo00049
    은 수신된 신호 Yr의 진폭
    Figure kpo00050
    의 최고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
    Figure kpo00051
    Figure kpo00052
    과 동일한데,
    Figure kpo00053
    은 수신된 신호 Yr의 진폭
    Figure kpo00054
    의 수단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3)는 δ=0에서 신호 P가 미리 조절된 값 PC보다 더 적을시에, 제어 신호 S의 발생을 위한 비교기(19)를 적절히 포함할 것이고, 감식기(20)에 공급되어질 제어 신호 S를 근거로 하여, 신호 처리기(15)에 공급되어질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55
    를 약화시키거나 또는 차단하기 위한 감쇠기(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3)는 상기 감쇠기(20)에 공급될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56
    를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 유닛(21)을 포함하여, 상기 제어 신호 S와 상기 상관 관계 신호
    Figure kpo00057
    가 실제로 동시에 상기 감쇠기(20)에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Figure kpo00058
    이 미리 조절된 값 N보다 더 크면, 상기 비교기(19)에는 제어 신호 S를 억압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3)는 상기 펄스 판별기에 공급된 신호 Yr의 대수값을 얻기 위한 제 1 의 lin/log 회로(15a)를 포함하고 상기 펄스 판별기(3)에 공급된 신호
    Figure kpo00059
    의 대수값을 얻기 위한 제 2 의 lin/log 회로(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9. 제 2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3)는 상기 신호 P를 발생하고 그 신호를 신호 처리기(15)에 제공하기 위한 표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 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 의 lin/log 회로(25, 26)에서 발생한 신호를 공제하는 가산기 회로(27, 28)를 포함하고 상기 가산기 회로(27, 28)에서 발생한 신호의 역대수값을 얻기 위한 log/lin 회로(29, 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다 장치에는 Yr의 디지탈화된 값을 얻기 위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3, 14)가 제공되고 상기 표준 수단은
    Figure kpo00060
    을 얻기 위한 승산기(22, 25, 26, 27, 28, 29, 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2. 제 2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다 장치에는 디지탈회된 값 Yr을 얻기 위한 아나로그/디지탈 변환기(13, 14)가 제공되고, 상기 펄스 판별기(3)에는 적어도 시간 T동안 시프트 레지스터(16)에 공급된 진폭
    Figure kpo00061
    의 저장을 위한 시프트 레지스터(16)가 제공되어, T는 방출되고 변조된 레이다 송신기 펄스(Yt)의 지속기간과 동일하고, 상기 시프트 레지스터(16)에 기억된 진폭
    Figure kpo00062
    Figure kpo00063
    을 결정하기 위한 피크 검출기(1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레이다 장치는 수신된 신호의 동위상 성분 Yr, i 및 이상 성분 Yr, q를 근거로 하여
    Figure kpo00064
    의 발생을 위한 계수 유닛(15a)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는 상관관계 신호 σxy(δ)의 동위상 성분σxy, i(δ)과 이상 성분 σxy,q(δ)을 얻기 위한 직각 검출수단(12)을 포함하고, 펄스 판별기에는 σxy, i(δ)과 σxy,q(δ)를 근거로 하여
    Figure kpo00065
    의 발생을 위한 계수 유닛(18)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판별기에는 수신된 신호 Yr의 에지의 발생을 결정하는 피크 검출기(24) 출력에 접속된 에지 검출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레이다 장치.
KR1019900010443A 1989-07-14 1990-07-11 펄스 레이다 장치 KR0142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901826A NL8901826A (nl) 1989-07-14 1989-07-14 Pulsradarappraat en pulsdiscriminatieschakeling geschikt voor toepassing in een pulsradarapparaat.
NL8901826 198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397A KR910003397A (ko) 1991-02-27
KR0142669B1 true KR0142669B1 (ko) 1998-08-17

Family

ID=198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443A KR0142669B1 (ko) 1989-07-14 1990-07-11 펄스 레이다 장치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5047780A (ko)
EP (1) EP0408112B1 (ko)
JP (1) JP2799047B2 (ko)
KR (1) KR0142669B1 (ko)
AR (1) AR244439A1 (ko)
AU (1) AU626695B2 (ko)
BR (1) BR9003358A (ko)
CA (1) CA2020657C (ko)
DE (1) DE69022142T2 (ko)
ES (1) ES2077633T3 (ko)
GR (1) GR3017926T3 (ko)
NL (1) NL8901826A (ko)
TR (1) TR255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68B1 (ko) * 2000-08-16 2007-11-16 레이던 컴퍼니 레이더 수신기를 위한 비디오 증폭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2581A (ja) * 1990-03-02 1991-11-11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
US7259713B1 (en) * 1990-08-16 2007-08-21 Selex Sensors And Airborne Systems Limited Ranging systems
FR2671195B1 (fr) * 1990-12-27 1993-03-12 Thomson Csf Traitement d'un signal impulsionnel code numeriquement.
IT1259026B (it) * 1992-05-21 1996-03-11 Alcatel Italia Disposizione per confrontare due raffiche di segnale, temporaneamente separate ed a due differenti frequenze
DE69528481T2 (de) * 1994-01-12 2003-06-18 Advantest Corp Kontaktlose Wellensignalbeobachtungsvorrichtung
US5577181A (en) * 1995-06-07 1996-11-19 E-Systems, Inc. Method for autonomous determination of tie points in imagery
JP3538183B2 (ja) * 2002-02-14 2004-06-14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ルスレーダ装置
GB0220299D0 (en) * 2002-08-31 2002-10-09 Astrium Ltd Method and system for correcting the image effects of signal non-linearity in radar
US8305262B1 (en) * 2010-03-08 2012-11-06 Lockheed Martin Corporation Mismatched pulse compression of nonlinear FM signal
JP5979942B2 (ja) * 2012-04-03 2016-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パルス内変調分析装置およびパルス内変調分析方法
DE102015110960A1 (de) * 2015-07-07 2017-01-12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Auswerten eines Empfangssignals eines Ultraschallsensors, Ultraschallsensorvorrichtung, Fahrerassistenzsystem sowie Kraftfahrzeug
US10107896B2 (en) * 2016-01-27 2018-10-23 Rohde & Schwarz Gmbh & Co. Kg Measuring device and measuring method for measuring the ambiguity function of radar signals
CN110346755B (zh) * 2019-07-10 2023-06-27 四川中电昆辰科技有限公司 一种信号幅值检测装置及方法及其到达时间修正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8702A (en) * 1970-10-30 1972-06-06 Itt Adaptive matched filter for radar signal detector in the presence of colored noise
US3973260A (en) * 1974-09-06 1976-08-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Dispersed pulse measurement for AGC and dynamic thresholding of a chirped radar receiver
NL7603559A (nl) * 1976-04-06 1977-10-10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Coherente zijlusonderdrukkingseenheid in een impulsradarapparaat.
US4067013A (en) * 1976-11-12 1978-01-0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Navy Automatic thresholding and reference circuit
US4293856A (en) * 1979-10-26 1981-10-06 Rca Corporation Digital CFAR signal processor for phase coded radars
US4581767A (en) * 1980-06-25 1986-04-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asurement of jamming effectiveness by cross correlation techniques (C)
NL8005725A (nl) * 1980-10-17 1982-05-17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nderdrukken van stoorsignalen, afkomstig van storingsbronnen, gedurende de ontvangst van doelsechosignalen in de ontvanginrichting van een impulsradarapparaat.
NL8006950A (nl) * 1980-12-22 1982-07-16 Hollandse Signaalapparaten Bv Drempelschakeling voor radarvideoinformatie.
GB2191052B (en) * 1981-10-28 1988-05-25 Emi Ltd Radar apparatus
DE3417073A1 (de) * 1984-05-09 1985-11-14 Licentia Patent-Verwaltungs-Gmbh, 6000 Frankfurt Radaranordnung
US4800388A (en) * 1985-02-06 1989-01-24 Tokyo Keiki Company, Ltd. Apparatus for measuring pulse compression ratio
GB2184626B (en) * 1985-12-20 1990-01-04 Matsuo Sekine Target signal detecting apparatus and method
US4758839A (en) * 1987-07-22 1988-07-19 Mcdonnell Douglas Corporation Terrain profile radar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868B1 (ko) * 2000-08-16 2007-11-16 레이던 컴퍼니 레이더 수신기를 위한 비디오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47780A (en) 1991-09-10
EP0408112A1 (en) 1991-01-16
AU5796490A (en) 1991-01-17
CA2020657A1 (en) 1991-01-15
DE69022142T2 (de) 1996-04-18
TR25526A (tr) 1993-05-01
KR910003397A (ko) 1991-02-27
BR9003358A (pt) 1991-08-27
EP0408112B1 (en) 1995-09-06
CA2020657C (en) 1995-09-05
NL8901826A (nl) 1991-02-01
ES2077633T3 (es) 1995-12-01
JP2799047B2 (ja) 1998-09-17
GR3017926T3 (en) 1996-01-31
DE69022142D1 (de) 1995-10-12
AU626695B2 (en) 1992-08-06
AR244439A1 (es) 1993-10-29
JPH0353185A (ja) 199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669B1 (ko) 펄스 레이다 장치
US4112372A (e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US5719579A (en) Virtual noise radar waveform for reduced radar detectability
US4323899A (en) Polarization detector
CA1341358C (en) Continuous wave radar altimeter
EP1290470B1 (en) Low probability of intercept coherent radar altimeter
US5341139A (en) Method and device to detect the garbling of pulses received by a secondary radar
JP2000196539A (ja) トランスポンダに蓄積されているデ―タを読み出すプロセス、及びそのプロセスを実行するためのトランスポンダ・システム
WO2010047931A1 (en) Monobit based low cost high performance radar warning receiver
US20080070532A1 (en) Active Receiver Detection and Ranging
US5426670A (en) Interference compensating circuit including a matched filter followed by a median filter
US56217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urst detecting
US4293856A (en) Digital CFAR signal processor for phase coded radars
EP171643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andomly modulating radar altimeters
US6211815B1 (en) Coherent radar detection using non-coherent architecture
GB2111736A (en) Radar or sonar system
US5124710A (en) Coherent pulse radar system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a target presenting flashes of very short duration
GB2199459A (en) Pulse doppler radar
US5109231A (en) Radar arrangement
Lin et al. Study of the impact of false lock points in subcarrier modulated ranging signals and recommended mitigation approaches
US5247308A (en) Det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PI signals
JP3727765B2 (ja) 受信装置
CA2195769C (en) Radar apparatus
US6989783B1 (en) Multiple target ranging system
US4642644A (en) Noise jammer discrimination by noise modulation bandwid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