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573B1 -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 Google Patents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573B1
KR0142573B1 KR1019890010330A KR890010330A KR0142573B1 KR 0142573 B1 KR0142573 B1 KR 0142573B1 KR 1019890010330 A KR1019890010330 A KR 1019890010330A KR 890010330 A KR890010330 A KR 890010330A KR 0142573 B1 KR0142573 B1 KR 014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notch
base
electronic component
excess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708A (ko
Inventor
안토니우스 마리아 로츠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에프.제이.스미트
엔.브이.필립스 엘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제이.스미트, 엔.브이.필립스 엘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에프.제이.스미트
Publication of KR910003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18Self-interrup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8Housing; Encapsulation
    • H01G9/12Vents or other means allowing expan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최소한 한 측면상에서 폐쇄되고 하우징의 크기가 바람직하고도 정확하게 결정된 제한 범위내에 유지되며 상기 배기 압력이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는 과잉 압력 보호 수단이 제공되는 평평한 기부(基部)를 가진 슬리브관(管)에 의해 구성되며, 최소한 한 노치(notch)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상의 기부내에 제공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노치에 평행한 코루게이션(corrugation)을 갖는다.

Description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제1a도 내지 제1c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과잉 압력 보호부를 가진 하우징의 두 실시예들에 대한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d도 및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 기부의 다수 다른 실시예들의 정면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 기부의 다수 실시예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과잉 압력 보호부
13 : 외향 코루게이션 14 및 16 : 노치
15 : 내향 코루게이션
본원 발명은 한 전자 소위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우징은 최소한 하나의 단부상에서 폐쇄되고 주로 평평한 기부(基部)를 가진 슬리브관(管)에 의해 구성되며, 이때 상기 기부내에 최소한 하나의 직선형의 노치(notch)에 의해 형성되는 과잉 압력 보호 수단이 설치된다.
본원 발명은 특히 상기와 같은 하우징을 가진 전해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또한 한 전자 부품을 상기와 같은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한 전해 캐패시터를 위한 알루미늄 하우징이 예컨대 독일 특허원 제3543215호에 기술되어 있다. 과잉 압력 보호부는 얇은 벽으로 둘러싸인 기부 형태의 부분으로 당해 하우징의 기부 내에 제공되며, 이 기부 부분의 예지에는 당해 하우징 내측상의 약한 환상(環狀) 부분이 존재하며, 또한 원할 경우, 이 하우징 외측상의 약한 환상 부분이 부가된다.
상기 공지된 과잉 압력 보호부의 결점은, 배기 압력, 즉 노치가 개방되어 있고 당해 과잉 압력 보호부가 동작하기 시작하는 전자 부품내의 최소 내부 압력의 재생이 적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직선형 노치의 사용은 내부 압력의 재생을 개선시키나, 당해 하우징 기부 크기상의 정밀도에 관한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예컨대, 기부 내에 직선형 노치를 가진 원통형 하우징의 경우, 30.0mm의 원통 직경에서 0.3mm 크기 정도의 진원도(眞圓度)가 발생한다. 전자 부품 제작시 당해 하우징의 필요한 기계 동작 및 조작으로 인해, 0.1mm 이하의 진원도가 여러 경우에 요구된다.
본원 발명의 목적들중 하나는 전자 부품, 및 이 부품을 위한 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에는 당해 하우징의 크기가 정밀하게 규정된 제한 범위내에 유지되도록 과잉 압력 보호부가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 발명의 목적은 배기 압력이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높은 예측성 및 재생성을 나타내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부의 가장 얇은 부분의 잔여 두께와 배기 압력사이의 비율이 가능한 한 크게 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이는, 한 소정의 배기 압력에서, 노치 위치에서의 기부의 가장 얇은 부분의 잔여 두께를 가능한 한 두껍게 하므로써, 당해 전자 부품의 정상 동작 조건하에서, 하우징 내에서의 누설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원 발명의 한 특별한 목적은, 적절한 배기 특성을 달성하는 달성하는 것으로서, 그에 따라 과잉 압력 보호 작용이 충격음을 수반하지 않고, 당해 전자 부품의 용량이 상기 보호 작용을 통해 소실되지 않게 된다.
상기 목적은 본원 발명에 따라 서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전자 부품 및 하우징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부품 및 하우징은, 이 하우징의 외측 상에 노치가 제공되고 기부가 이 노치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코루게이션(corruga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측 상에서의 직선형 노치의 위치는 양호한 배출 특성 및 적절한 배기 압력의 재생성에 기여한다. 노치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코루게이션의 존재로 인해, 약 30mm의 원통 직경의 경우 0.03mm 이하의 진원도가 실현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으로부터의 압출 성형에 의한 통상적인 방식으로 하우징이 제작될 경우, 한 노칭 핀과 강 다이(a die of tool steel)에 의한 한 단일 처리 단계에서의 압출 성형 후 코루게이션 및 노치를 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코루게이션 및 노치는 이것이 나머지 두께의 재생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압출 성형 단계에서 제작되지 않아야 한다.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노치는 코루게이션내에 형성된다. 이것으로 인해, 간단한 공구가 과잉 압력 보호부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루게이션은 내부 및 외부로 향해질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가장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과잉 압력 보호부는 한 단일 노치로 구성된다. 압력이 기부의 중심에서 가장 크므로, 나머지 두께와 배기 압력사이의 가장 양호한 비율이 노치가 기부의 중심을 통해 제공될 때 달성된다. 이 효과는 상기 기부의 벽 두께가 에지에서보다 중심에서 더 작아지도록 하우징의 구조가 선택될 경우 더욱 향상된다.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로 인해, 상기 기부에는 하우징의 내측 및 외측 상에 형성될 수 있는 두꺼운 환상 부분이 양호하게 제공된다.
미국 특허 명세서 제 US 4175166호에, 코루게이션내에 노치의 형태로 과잉 압력 보호부가 제공되는 전자 부품을 위한 하우징이 기술되어 있으나, 이 보호부는 원통의 측벽내에 제공된다. 이것은 배기 압력이 정확하게 제어되게 하지만, 상기 측벽내의 노치는, 예컨대 원통 내에 캐패시터 롤(capactior roll) 제공시 이 롤이 당해 측벽내의 코루게이션 및 노치에 의해 손상되지 않아야 하므로, 콤팩트한 전자 부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경우 바람직하지 않다. 그 외에도, 측벽 밸브가 제작하기에 보다 어렵고 덜 양호한 배기 특성을 갖고 있다. 더욱이, 통상적으로 하우징의 제작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압출 성형 처리에 있어서, 기부의 두께 및 그에 따른 배기 압력이 측벽의 두께보다 더 양호하게 제어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1a도는 과잉 압력 보호부(12)가 제공되는 주로 평평한 기부(11)를 가진 슬리브된 형태의 전자 부품용 하우징(10)의 단면도이다. 이 예에 따라, 상기 하우징은 원형의 주변을 갖는 알루미늄 기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캐패시터 롤이 하우징내에 수용될 수도 있으며, 그 후 당해 슬리브관이 디스크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적절한 캐패시터 롤이 예컨대 미국 특허 명세서 제 US 3754113호에 기술되어 있다.
예를 들면, 하우징은 압출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 과잉 압력 보호부는 노칭 핀과 공구 강 다이에 의해서 제작된다. 하우징은 노칭핀 주위에 배치되며 코루게이션을 형성하기 위해 슬롯을 보유하고 있는 다이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롯내에는 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 공구(cutting tool)가 있으며, 인각 깊이는 정지 블록들에 의해 조절된다. 하우징은 양호하게도 원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단면적으로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 하우징 크기의 정밀도가 본원 발명에 의해 향상될 수도 있다.
예컨대, 하우징의 적절한 크기는, 원통의 직경이 30mm이고, 슬리브관의 길이가 55mm이며, 코루게이션의 폭이 2mm이고, 노치의 릴리즈 각이 40˚이며, 벽 두께가 0.4mm이고, 노치 위치에서의 두께가 0.1 내지 0.15mm이다. 물론, 이들 크기는 덮여질 전자 부품 크기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제1b도와 제1c도는 하우징의 기부에서의 과잉 압력 보호부의 상세한 횡-단면도이다. 제1b도는 하우징의 외측 상에 노치(14)를 가진 외향 코루게이션(13)을 도시한 것이다. 제1c도는 하우징의 외측 상에 노치(16)를 가진 내향 코루게이션(15)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 기부에 관한 다수의 실시예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제2a도에 있어서, 기부(21)에는 노치(24)가 형성되어 있는 코루게이션(23)이 제공된다. 제2b도에 있어서, 동일한 기부에 하우징 강도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원할 경우, 상기 기부 상에서의 전자 부품의 안정한 위치 설정에 아울러 기여하는 두꺼운 환상 부분(27)이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제2c도는 제2b도의 기부와 유사한 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차이점은 코루게이션(23)의 폭이 노치(24)의 폭 보다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제2d도는 노치(24)로 부터 약간의 거리를 두고 제공된 두 개의 코루게이션(23,23')을 가진 기부(21)를 도시하고 있다.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 기부의 다수개 실시예들의 정면도이다. 제3a도에 있어서, 기부(31)에는, 이 기부의 중심을 통하여 제공된 노치(34)를 가진 단일 코루게이션(33)이 제공된다. 제3b도는 각각 노치(34,34')가 제공된 두 개의 교차 코루게이션(33,33')을 가진 기부(31)를 도시하고 있다. 제3c도는 코루게이션들 및 그와 관계된 노치들이 기부의 중심에서 교차하는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3d도는 별모양의 노치(34)가 제공된 별모양의 코루게이션(33)을 가진 기부(31)를 도시하고 있다.
제4a도 내지 제4d도는 본원 발명에 따른 하우징 기부의 다수 실시예들의 단면도인데, 이때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과잉 압력 보호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4a도는 평평한 기부(41)를 가진 하우징(40)을 도시하고 있다. 제4b도는 기부(41)의 벽 두께가 에지에서 보다 중앙에서 더 작아지는 하우징(40)을 도시하고 있다. 제4c도는 기부(41)에 당해 하우징의 내측상의 두꺼운 환상 부분(47)이 제공되어 있는 하우징(40)을 도시하고 있다. 제4d도는 두꺼운 환상 부분(47)이 하우징의 외측 상에 제공되어 있는 유사한 하우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다양한 조합 및 변형이 가능하며, 하우징의 원하는 형태는 항상 노치의 주위 또는 이웃에 코루게이션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유지된다.

Claims (8)

  1. 전자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며, 이 하우징이 최소한 한 단부상에서 폐쇄되고 기부(基部)내에 최소한 하나의 직선형 노치(notch)에 의해 형성되는 과잉 압력 보호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 평평한 기부를 가진 슬리브관(管)에 의해 구성되는 전자 부품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상기 하우징의 외측 상에 제공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노치에 평행하게 연장된 코루게이션(corrugat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상기 코루게이션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잉 압력 보호부가 하나의 단일 노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가 상기 기부의 중심을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의 벽 두께가 에지에서보다 중심에서 더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부에 두꺼운 환상(環狀) 부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부품.
  7. 금속 하우징을 가지며, 이 하우징이 최소한 하나의 측면상에서 폐쇄되고 과잉 압력 보호부가 제공되는 평평한 기부를 가진 슬리브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과잉 압력 보호부는 최소한 하나의 직선형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해 캐패시터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상에 제공되고, 상기 기부는 상기 노치에 평행하게 연장된 코루게이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 캐패시터.
  8. 하우징이 최소한 하나의 측면상에 폐쇄되고 과잉 압력 보호부가 제공되는 평평한 기부를 가진 슬리브관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과잉 압력 보호부는 최소한 하나의 직선형 노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자 부품용 금속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상에 제공되며, 상기 기부는 상기 노치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코루게이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하우징.
KR1019890010330A 1988-07-22 1989-07-21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KR01425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801853 1988-07-22
NL8801853A NL8801853A (nl) 1988-07-22 1988-07-22 Elektronische component, elektrolytische condensator en omhulling uit meta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708A KR910003708A (ko) 1991-02-28
KR0142573B1 true KR0142573B1 (ko) 1998-08-17

Family

ID=1985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0330A KR0142573B1 (ko) 1988-07-22 1989-07-21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87520A (ko)
EP (1) EP0354607B1 (ko)
JP (1) JPH0278214A (ko)
KR (1) KR0142573B1 (ko)
DE (2) DE8908578U1 (ko)
NL (1) NL880185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4607C2 (de) * 1995-09-18 2002-02-07 Eupec Gmbh & Co Kg Gehäuse mit Leistungs-Halbleiterbauelementen
EP1706245B1 (en) * 2004-01-12 2007-11-07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reverse kiss cut and score line in a sheet of deformable material
DE102004037843A1 (de) * 2004-08-04 2006-02-23 Epcos Ag Kondensatorgehäuse mit Berstsicherung, Verfahren und Stempel zu dessen Herstellung
US7222757B2 (en) * 2004-08-24 2007-05-29 Illinois Tool Works Inc. Pressure relief device for aerosol can
US8158280B2 (en) * 2006-05-24 2012-04-17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Battery container having cruciform vent and cover
EP2419946B1 (en) 2009-04-15 2016-04-13 Johnson Controls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Vent for electrochemical cell
KR101223522B1 (ko) * 2010-08-16 2013-01-17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이차전지
JP5971943B2 (ja) 2011-12-27 2016-08-17 ニチコン株式会社 コンデンサ
DE102016104988A1 (de) * 2016-03-17 2017-09-21 Epcos Ag Becher für Elektrolytkondensator
KR102629177B1 (ko) * 2016-07-12 2024-0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2570969B1 (ko) * 2018-02-01 2023-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원통형 리튬 이온 이차 전지
DE102019103606B4 (de) * 2019-02-13 2022-07-07 Schuler Pressen Gmbh Umformwerkzeug und Umform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Überdrucksollbruchstelle in einem Batteriedeck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5436A (en) * 1945-03-27 1950-10-10 Ruben Samuel Dry cell
IL50641A (en) * 1975-11-03 1980-07-31 Mallory & Co Inc P R Pressure release device
US4484691A (en) * 1975-11-03 1984-11-27 Duracell Inc. Pressure release device
US4175166A (en) * 1978-05-02 1979-11-20 Power Conversion, Inc. Sealed container construction capable of safely venting internal pressure
EP0051272A3 (de) * 1980-11-03 1984-03-28 Rudolf Klaschka Kondensatorbechergehäus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US4513873A (en) * 1981-09-28 1985-04-30 Rudolf Klaschka Capacitor can housing, process and apparatus for its manufacture
JPS5963718A (ja) * 1982-10-04 1984-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密閉型電解コンデンサの防爆ケ−ス
US4576303A (en) * 1985-02-21 1986-03-18 Bs&B Safety Systems, Inc. Rupturable pressure relieving fluid containers
FR2579833B1 (fr) * 1985-04-01 1987-05-07 Accumulateurs Fixes Dispositif de ventilation faisant office de soupape, en particulier pour generateur electrochimique
DE3543215A1 (de) * 1985-12-06 1987-06-11 Rudolf Klaschka Kondensatorbechergehaeuse mit sollberstbereich
DE3642575C1 (en) * 1986-12-12 1988-06-01 Burkon Metallwarenfabrik Gmbh Cup-like capacitor housing with a built-in bursting z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54607A1 (en) 1990-02-14
EP0354607B1 (en) 1995-05-10
NL8801853A (nl) 1990-02-16
KR910003708A (ko) 1991-02-28
JPH0278214A (ja) 1990-03-19
DE68922541D1 (de) 1995-06-14
US4987520A (en) 1991-01-22
DE8908578U1 (ko) 1989-11-16
DE68922541T2 (de) 1996-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2573B1 (ko) 전자 소자 및 금속 하우징을 구비하는 전자 부품, 전해 캐패시터, 및 금속 하우징
JPS6234664B2 (ko)
US3857270A (en) Method of shaping sheet material
CA2087109A1 (en) Method of making a brazeable metal pipe having tube-insertion apertures formed with guide lugs
US3509427A (en) Electrolytic capacitor casing structure
US3381261A (en) Electrical sockets
JPS5811049B2 (ja) 電気的接点およびその作成方法
US5736672A (en) Magnetic noise eliminator
JPS5811932Y2 (ja) スペ−サ
JP2005511366A5 (ko)
US4368166A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eramic insulator
JPS5936851Y2 (ja) 接触子
JPS58145314A (ja) 鋼板両面に突出するボスとその成形法
JPH02260702A (ja) ホーン・アンテナ
CA2023655A1 (en) Forging punch
JPH0220332B2 (ko)
WO1981001218A1 (en) An inductance coil having a core of magnetic material
JPS5855642Y2 (ja) コンデンサ
JPS5894628A (ja) 焼結含油軸受の製造方法
JPS6213220A (ja) 角形筒状絞り品の成形方法
JPH0754995Y2 (ja) コンデンサ用ケース
KR840008550A (ko) 코일 삽입장치
JP3015337U (ja) チップ形アルミニウム電解コンデンサ
JP3024808B2 (ja) ヘリックス型進行波管のヘリックスの製造方法
JPH01144611A (ja) キャップ付きセラミック電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