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2188B1 -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 Google Patents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2188B1
KR0142188B1 KR1019900003304A KR900003304A KR0142188B1 KR 0142188 B1 KR0142188 B1 KR 0142188B1 KR 1019900003304 A KR1019900003304 A KR 1019900003304A KR 900003304 A KR900003304 A KR 900003304A KR 0142188 B1 KR0142188 B1 KR 0142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silicon
gel
rad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528A (ko
Inventor
마리 라쉬 다이안
데일 피들러 로렌스
Original Assignee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만 에드워드 루이스
Publication of KR900014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2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2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08L83/0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hal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폴리오가노실옥살 겔이란 일반적으로 쇼어 00경도계 눈금위에 표면 경도 약20 이하를 나타내는 쉽게 변형가능한 탄성 중합체계 물질을 뜻한다. 대부분의 겔 경도 값은 이 눈금으로 측정하기에 너무 낮으며, 특정 차원(dimension)의 투과도계 탐침이 특정 부하하에 겔 표면을 투과하거나 굴절할 수 있는 깊이로서 종종 표현된다.
폴리디오가노실옥산 겔의 독특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으로 장치의 기능 장애의 원인이 되거나 효력을 상실하게 만드는 습기, 다른 오염물 및 기계적 오용으로부터 전기 및 전자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피복물 및 캡슐화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
내연기관에 의해 동력이 공급된 자동차 및 다른 비히클의 전자 점화 및 방출 조절 시스템과 관련된 전자 부품들은, 종종 부품들이 탄화수소 연료 및 윤활유 이외에 100℃ 이상의 온도에 노출되는 비히클의 엔진실에 위치한다. 많은 선행 기술의 폴리디오가노실옥산 겔은 더 이상 ㅂ람직한 보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정도로 경화되거나 연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화시 가열시의 변색, 경화 및 표면 변형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겔이 수득되는 개선된 불소 함유 폴리디오가노실옥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비닐 함유 폴리디오가노실옥산,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및 경화 촉매와 다른 반응물의 필요성 없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오늘날, 100℃ 이상의 온도에서 변색, 경화 및 표면 변형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는 폴리디오가노실옥산 겔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중량% 이하의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경화성 조성물에 존재할 경우, 규소 결합된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라디칼을 함유하는 폴리디오가노실옥산, 분자당 3개 이상의 규소결합 수소원자를 함유하는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및 백금 함유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수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은 하나 이상의 사이클릭 불소 함유 디오가노실옥산을 암모니아 촉매화 중합반응시킨 다음, 생성된 실란올 말단 중합체를 비닐 라디칼이 2개의 규소원자에 각각 결합된 헥사오가노디실라잔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본 발명은
A. 규소원자 25중량% 이상이 불소 함유 탄화수소 라디칼에 결합된 액체 디오가노비닐실옥시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
B. 조성물 중의 규소 결합 수소원자 대 비닐 라디칼의 몰 비가 0.3 내지 1.0으로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의,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 수소원자를 갖는 혼화성 액체 불소 함유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및,
C.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 및 임의로
D.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외한 백금 촉매 억제제 및/또는
E. 비반응성 액체 트리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여기서, 조성물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된 겔의 표면 변형 및 경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0.01 내지 0.1중량% 함유한다)을 포함하는, 투명하고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로실리콘 겔로 경화될 수 있는 오가노실옥산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의 신규성은 열 안정화제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한 겔의 열적으로 야기된 경화 및 표면 변형을 억제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구리 아세틸 아세토네이트에 있으며, 이는 벤디트(Benditt) 및 맥슨(Maxson)의 미합중국 특허 제4,719,275호에 기술되어 있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경화성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1중량% 이하의 농도가 효과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당해 성분이 0.1중량% 이상으로 사용될 경우, 약 1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된 겔을 연화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0.01중량% 미만일 경우는 일반적으로 가열하는 동안 겔의 경화 및 표면 변형의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중의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의 농도는 경화성 조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1 내지 약 0.07중량%가 바람직하다. 0.03중량% 이상의 농도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는 경화된 겔의 점착력(tack)으로도 언급되는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반응성 액체 트리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실옥산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오가노비닐 실옥시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당해 비반응성 액체 플루오로실리콘 화합물 약 10내지 약 50중량%의 존재는 또한 100℃ 이상의 온도에 장시간 노출되는 동안 투과도 값의 증가로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경화된 겔이 연화되는 범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자들은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이러한 형태의 오가노실옥산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촉매 억제제로서 사용된 아세틸렌계 불포화 알콜을 제외함으로써 연화작용을 감소시킬수 있음을 발견했다.
이후로 성분 A로서 명명하는 비닐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은 단독중합체이거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통상 일반식(Ⅰ)로 나타낸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은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는 라디칼 RfCH2CH2-이며,
Rf는 탄소수 1 내지 약 5의 1가 과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Vi는 비닐 라디칼이며,
n 및 p의 합은 일반적으로 25℃에서 0.2×10-3내지 0.01m2/sec의 점도에 상당하는 분자량을 나타내고,
n은 0 내지 3p이다.
라디칼 R은 1 내지 약 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다. 성분 A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상응하는 사이클릭 디오가노실옥산의 이용 가능성을 기준으로 하여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 범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R은 메틸, 페닐 또는 메틸과 페닐의 혼합물이고, R'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모든 라디칼 R은 메틸이고 n은 0이다.
성분 A는 선형 분자로서 위헤서 기술한 일반식(Ⅰ)로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로 몇몇 분자들은 성분 A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사이클릭 디오가노실옥산 중에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소량의 3작용성 반응물로부터 생성되는 측쇄 단위를 함유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혼합물의 점도가 위에서 기술한 범위 이내인 한, 성분 A는 단일 폴리디오가노실옥산 그룹이거나 상이한 분자량의 2개 이상의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을 함유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규소 첨가반응에 의해 경화된 선행기술의 플루로로실리콘 겔에 의해 유발되는 변색 및 경화로 인한 열을 감소 시키기 위해, 중합반응 촉매로서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성분 A를 제조한다. 변색 및 경화에 있어서의 이러한 감소의 원인은 충분히 이해되지 않는다.
각종 촉매를 사용하여 사이클릭 디오가노실옥산을 액체 실란을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으로 중합시키는 방법은 본 명세서의 문헌에 이미 충분히 기술되어 있어 상세한 설명이 필요치않다. 촉매로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경우, 목적한 분자량이 수득될 때까지 사이클릭 디오가노실옥산의 중합반응은 일반적으로 25 내지 약 10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성분 A는 본 경화제 성분의 비닐 라디칼과 이후에 성분 B로 명명되는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의 규조 결합 수소원자 사이의 규소 첨가반응에 의해 경화된다. 성분 B는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 수소원자를 함유한다. 또한, 분자당 평균 3 내지 20개 또는 그 이상의 규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으며, 25℃에서 10Pa.s 이하 또는 그 이상의 점도를 나타낼 수 있다.
성분 B는 일반식 HSiO1.5,RHSiO 및/또는 R2HSiO0.5의 반복 단위를 함유한다. 성분 B의 분자는 규소 결합 수소원자를 함유하지 않는 하나 이상의 모노오가노실옥산, 디오가노실옥산, 트리오가노실옥시 및 SiO2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일반식에 있어서, R는 탄소수 1 내지 20의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거나, 성분 A의 라디칼 R'와 동일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라디칼이다. 또한, 성분 B는 디오가노실옥산 및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단위를 함유하는 사이클릭 화합물 또는 일반식 Si(OSiR2H)4의 화합물일 수 있다.
성분 A와 B의 혼화성을 확인하기 위해, 라디칼 R의 적어도 일부분이 성분 A에 나타난 대부분의 탄화수소 라디칼과 동일해야만 한다. 성분 A가 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실옥산 단위를 함유하는 바람직한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인 경우, 성분 B중의 라디칼 R의 적어도 일부분이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라디칼이어야만 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성분 B는 분자당 1 내지 3개의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선형 디메틸하이드로겐실옥시 말단 폴리오가노실옥산이며, 이들 모두는 R가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이고 Me가 메틸인 일반식(Ⅱ)에 해당한다.
Figure kpo00002
성분 B 중의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분포 및 수와 함게 성분 A와 B의 분자량은 경화된 겔 중의 가교 결합의 위치를 결정할 것이다. 단위면적당 가교결합 농도는 종종 가교결합밀도(crosslink density)로서 명명되며, 경화된 겔의 특정한 물리적 특성, 특히 경도 및 탄성을 결정한다. 물리적 특성의 바람직한 조합이 수득되는 성분 A 및 B의 특별한 형태 및 양은 본 발명의 지식을 사용하여 일상적인 실험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비닐 또는 다른 에틸렌게 불포화 탄화수소 라디칼에 대한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몰 비는 경화된 겔의 특성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인이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오가노실옥산의 바람직한 형태는 규소 결합 수소원자에 비하여 화학양론적 과량의 비닐 라디칼을 함유하는 경화성 조성물로부터 제조된다. 본 조성물에 있어서, 비닐 라디칼 당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비는 일반적으로 0.3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0.9이다.
주어진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비는 성분 A의 평균 분자량 및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경화제의 형태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될 것이다.
규소 첨가반응은 일반적으로 주기율 표의 백금족의 금속 또는 이들 금속의 화합물인 촉매의 존재하에 수행된다. 헥사클로로백금산과 같은 백금 화합물 및 특히 비교적 저분자량의 이들 화합물의 착화합물, 액체 비닐 함유 오가노실옥산 화합물은 이들의 고활성도 및 오가노실옥산 반응물과의 혼화성 때문에 촉매로서 바람직하다. 이들 착화합물은 데이비드 엔. 윌링(David N. Willing)의 미합중국 특허 제3,419,593(1968.12.31)에 기술되어 있다. 규소 결합 탄화수소 라디칼이 비닐과 메틸 또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인 착화합물이 약 70℃ 이상의 온도에서 탄성중합체의 신속한 경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이들의 능력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의 특히 바람직한 촉매는 헥사클로로백금산을 액체 디메틸비닐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과 반응시켜 형성한 착화합물이다.
백금 함유 촉매는 경화성 조성물 백만부당 백금 1중량부 만큼 작은 양과 등가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경화성 조성물 백만부당 백금 3 내지 10중량부와 등가량인 촉매 농도가 실질적인 경화 속도를 성취하기에 바람직하다. 백금의 높은 농도는 경화 속도의 최저 개선점만을 제공하므로, 특히 바람직한 촉매가 사용될 경우 경제적으로 별다른 잇점이 없다.
위에서 기술한 모든 반응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은 약 25℃의 실온에서 경화하기 시작한다. 오랜 사용 시간 또는 가사시간(pot life)을 수득하기 위해, 일단 모든 성분들을 배합시키면, 실온에서 촉매 활성도를 공지의 백금 촉매, 억제제중의 하나를 임의로 첨가함으로써 지연시키거나 억제할 수 있다.
쿡쿠트세데스(Kookootsedes) 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3,445,420호(1968.5.20)에 기술되어 있는 아세틸렌계 화합물은 경화된 겔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 비반응성 액체 트리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의 존재하에 이들 억제제를 함유하는 경화된 겔이 상당히 연화되므로, 본 발명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로 사용되지 못한다.
경화성 조성물의 가사시간의 증가는 리(Lee)와 마르코(Marko)의 미합중국 특허 제3,989,667호(1976.11.2)에 기술되어 있는 형태의 올레핀계 치환된 실옥산을 사용하여 성취할 수 있다. 사이클릭 메틸비닐 실옥산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실온에서 모든 성분들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백금 촉매 억제제 중의 하나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약 25℃의 통상적인 실온에서 수시간 동안, 또는 어떤 경우에는 수일간 상당한 정도의 경화없이 저장할 수 있다. 주위 조건하에 오랜 기간 동안 경화성 조성물을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 이를 냉각시키거나 2개 이상의 부분으로 포장해야만 한다.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성분 B)과 백금 함유 촉매가 조성물의 별개 부분으로 존재한다.
2부분 조성물의 부분 Ⅰ은 일반적으로 성분 A의 총양의 일부, 액체 디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 백금 함유 촉매 및, 임의의 비반응성 트리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이 경화된 겔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존재할 경우, 임의의 아레틸렌계 알콜과 다른 촉매 억제제를 포함할 것이다.
부분 Ⅱ는 성분 A의 나머지 부분과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성분 B)을 함유한다.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본 조성물의 부분 Ⅱ에 존재한다.
부분 Ⅰ 및 부분 Ⅱ는 각각 일반적으로 25℃에서 0.5×10-3내지 1.5×10-3m2/sec의 점도를 나타낸다.
본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에 따라 실제로 동등한 용량의 부분 Ⅰ 및 Ⅱ의 경화성 조성물이 함께 혼합된다.
본 조성물이 제조된 방법에 상관 없이, 조성물은 모든 성분들이 주위온도 또는 승온에서 반응하여 경화된다. 촉매 억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적당한 시간 간격, 통상 수분 내지 수시간 이내에 충분히 경화된 상태를 성취하기 위해 70℃ 이상의 온도로 가열하여야 한다.
본 조성물을 경화하여 제조한 불소 함유 폴리실옥산 겔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부드럽고 투명하고 무색이며, 100 내지 약 150℃의 온도로 장기간 노출시에도 여전하다. 겔의 경도는 특정 차원의 탐침이 특정 부하하에 겔의 표면을 투과할 수 있는 거리로서 나타낼 수 있다. 본 값을 측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 장치는 투과도계로 명명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바람직한 증류의 경화된 겔의 투과도 값은 2 내지 약 8mm 이다.
위에서 검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겔은 고체 상태 전자 장치 및 이들 장치가 설치된 기판용 비복제 또는 캡슐화제로서 특히 적합하다. 겔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되거나 변색되지 않으며 탄화수소 연료에 의해 팽윤 되고/되거나 분해되지 않기 대문에, 본 발명의 겔로 피복한 장치는 자동차 및 다른 비히클의 엔질실에 설치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경화성 조성물을 기술하고, 본 첨가제의 부재하에 동일한 반응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플로오로실리콘 겔에 대한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하여 제조한 경화된 겔에 의해 나타난 경화 및 표면 변형에 대한 내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수반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 함이 아니다. 실시예에 기술된 모든 부 및 %는 달리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며, 점도는 25℃에서 측정했다.
[실시예 1]
다음 성분들을 균질하게 혼합하여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성분 A로서, 비닐 라디칼 1/3중량%를 함유하고 점도가 1.4×10-3m2/sec인 디메틸비닐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싱록산 193중량부[성분 A는 2ㅡ4ㅡ6-트리메틸-2,4,6-트리스(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사이클로트리실옥산을 암모니아 촉매 중합시킨 다음, 생성된 실란올 말단 폴리디오가노 실옥산을 심(sym)-테트라메틸디비닐디실라잔과 반응시켜 제조한다].
성분 B로서 , 일반식
Figure kpo00003
(여기서, Me는 메틸 라디칼이고, Prt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 라디칼이며, x의 평균 값은 1 내지 3이고, 규소 결합 수소 함량은 0.6중량%이다)의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경화제 6.5중량부 및
성분 C로서, 헥사클로로백금산과 액체 딤틸비닐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한 착화합물 0.15중량부[성분 C는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백금 0.67중량 %와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0.1중량%를 함유한다].
비교용으로 동일한 형태 및 양의 성분들을 함유하지만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함유하지 않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조한다. 두 조성물 모두에 있어서 비닐 라디칼에 대한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몰 비는 0.5이다.
2개의 생성 혼합물 100g을 감압하에 탈기시키고, 넓은 입구의 용기에 부은 다음, 1시간 동안 150℃로 가열하여 경화시킨다. 경화된 겔층의 두께는 2cm이다.
겔의 투과도 값은 프리시즌 사이언티픽 캄파니(Precision Scientific Company)의 카탈로그 번호 제73,510호에 의해 제조된 투과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장치에 의해 제공된 표준 원뿔 형을, 지름이 6.350mm이고 높이가 4.762mm이며 바닥이 평평하고 테두리가 둥근 놋쇠 헤드로 교체한다. 축과 헤드의 총 중량은 19.5g이다.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함유하는 경화된 겔의 투과도 값은 2.7mm이며, 대조용 샘플의 투과도 값은 3.6mm이다. 이엇, 겔 샘플을 175℃로 유지시킨 오븐에서 28일 동안 가열한다. 이 기간의 마지막에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함유하는 겔의 투과도 값은 15% 감소한 2.3mm이다. 대조용 샘플은 투과도계의 하중있는 탐침이 경화된 겔의 표면을 누를 수 없는 0mm를 가리키는 정도로 경화되었다. 2개의 겔 표면의 가시적인 검사로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함유하는 겔 위의 표면은 매끄러운 반면, 대조용 겔 위의 표면은 주름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이외에 비반응성 액체 트리메틸실옥시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을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한 겔의 접착력 또는 점착력의 증가를 나타내며, 이러한 형태의 조성물로부터 아세틸렌계 알콜형 백금 촉매 엑제제를 배제할 필요성을 나타낸다.
경화된 겔의 투과도 값은 이전의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측정한다. 성분 A, B 및 C는 실시예 1에 기술되어 있으며, 성분 C는 모든 샘플중에 0.02중량부로 존재한다. 액체 트리메틸실옥시말단 디메틸실옥산/3,3,3-트리플루올 프로필실옥산 공중합체(성분 E)의 점도는 0.3Pa.s이고, 모든 샘플중에 90중량부의 농도로 존재한다.
모든 겔은 175℃의 온도에서 1개월동안 저장한 후 접촉시 접착성이 있다.
성분 A, B 및 메틸부틴올(F), 공지의 백금 촉매 억제제의 양을 표 (1)에 기재한다. 초기 경화된 겔 샘플의 투과도 값 및 125℃에서 1일 및 42일 동안 가열한 후에 수득한 값을 표 (2)에 기록한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Bottom=투과도계 탐침이 겔층을 투과하여 용기의 기저에 접촉됨.
ND=투과도 값이 측정되지 않음.

Claims (4)

  1. A. 규소원자 25중량% 이상이 불소 함유 탄화수소 라디칼에 결합된 액체 디오가노비닐실옥시 말단 폴리디오가노실옥산,
    B. 조성물 중의 비닐 라디칼에 대한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몰 비가 0.3 내지 1.0으로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양의,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규소 결합 수소원자를 갖는 혼화성 액체 불소 함유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
    C.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백금 함유 촉매 및 임의로
    D. 아세틸렌계 화합물을 제외한 백금 촉매 억제제 및/또는
    E. 비반응성 액체 트리오가노실옥시 말단 폴리(메틸-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실옥산(여기서, 조성물은 10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된 겔의 표면 변형 및 경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0.01 내지 0.1중량% 함유한다)을 포함하는, 투명하고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로실리콘 겔로 경화될 수 있는 오가노실옥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디오가노실옥산(A)이 다음 일반식(Ⅰ)의 화합물이며,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 반복단위(B)가 다음 일반식(Ⅱ)로 표시되고, 조성물중에 존재하는 비닐 라디칼에 대한 규소 결합 수소원자의 몰 비가 0.5 내지 0.3인 조성물.
    Figure kpo00006
    상기 식에서,
    R은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R'는 라디칼 RfCH2CH2-의 1가 라디칼이며,
    Rf는 탄소수 1 내지 약 5의 1가 과플루오르화 탄화수소 라디칼이고,
    Vi는 비닐 라디칼이며,
    n 및 p의 합은 25℃에서 0.2×10-3내지 0.01m2/sec의 점도에 상당하는 분자량을 나타내고, n은 0 내지 3p이며, R는 3,3,3-트리플루오로프로필이고, Me는 메틸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2개의 부분으로 포장되어 있으며, 백금 함유 촉매와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이 조성물의 상이한 부분에 위치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각 부분이 폴리디오가노실옥산 일부를 함께, 구리 아세틸아세토네이트가 오가노하이드로겐실옥산과 함께 포장된 조성물.
KR1019900003304A 1989-03-14 1990-03-13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KR0142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22,865 1989-03-14
US?322,865? 1989-03-14
US07/322,865 US4898903A (en) 1989-03-14 1989-03-14 Thermally stable fluorinated organosiloxane gel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528A KR900014528A (ko) 1990-10-24
KR0142188B1 true KR0142188B1 (ko) 1998-07-01

Family

ID=23256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304A KR0142188B1 (ko) 1989-03-14 1990-03-13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98903A (ko)
EP (1) EP0387806B1 (ko)
JP (1) JP2989209B2 (ko)
KR (1) KR0142188B1 (ko)
AU (1) AU617600B2 (ko)
CA (1) CA2011263C (ko)
DE (1) DE6902302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649A (en) * 1989-11-08 1991-10-22 Dow Corning Corporation Storage stable one-part fluorosilicone gel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US5317073A (en) * 1991-03-27 1994-05-3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osilicone hydrides
US5616403A (en) * 1994-07-11 1997-04-0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osilicone coatings
DE102004055690A1 (de) * 2004-11-18 2006-05-24 Wacker Chemie Ag Vernetzbare Siliconmassen mit langer Verarbeitungszeit und Lagerstabilität
GB0814486D0 (en) * 2008-08-07 2008-09-10 Pyroban Ltd Thermal barrier for hazardous enviroment
WO2014051650A1 (en) * 2012-09-28 2014-04-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ual condensation cure silicone
JP6100717B2 (ja) * 2014-03-05 2017-03-22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組成物及び光学素子
US10357947B2 (en) 2015-04-10 2019-07-23 Dow Toray Co., Ltd. Fluoroalkyl-containing 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cured object obtained therefrom, and electronic component or display device including said cured object
CN114634622A (zh) * 2022-01-12 2022-06-17 材翼新材料科技(苏州)有限公司 耐溶剂氟硅凝胶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2246A (en) * 1977-09-21 1978-10-24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preventing discoloration of platinum containing silicone gels
US4528313A (en) * 1984-06-15 1985-07-09 Dow Corning Corporation Polydimethylsiloxanes hav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JPS62149751A (ja) * 1985-12-25 1987-07-03 Dow Corning Kk 耐熱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US4686271A (en) * 1986-03-03 1987-08-11 Dow Corning Corporation Hydraulic silicone crumb
US4719275A (en) * 1986-07-02 1988-01-12 Dow Corning Corporation Heat stable fluorinated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87806A3 (en) 1992-12-23
JP2989209B2 (ja) 1999-12-13
KR900014528A (ko) 1990-10-24
DE69023026D1 (de) 1995-11-23
CA2011263A1 (en) 1990-09-14
AU5126090A (en) 1990-09-20
EP0387806B1 (en) 1995-10-18
US4898903A (en) 1990-02-06
DE69023026T2 (de) 1996-03-21
EP0387806A2 (en) 1990-09-19
JPH02274765A (ja) 1990-11-08
AU617600B2 (en) 1991-11-28
CA2011263C (en) 1998-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919B1 (ko) 불소화된 열안정성 폴리오가노실록산 조성물
US4087585A (en) Self-adhering silicone compositions and preparations thereof
US4719275A (en) Heat stable fluorinated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s
KR101508012B1 (ko) 부가 경화형 실리콘 고무 조성물 및 그의 경화물
GB1562993A (en) Organosiloxane composition for liquid injection moulding
JPS6324623B2 (ko)
GB1581762A (en) Flame retardant heat-curable silicone compositions containing ceric hydrate
CA2037653A1 (en) Storage stable one-part organosiloxane compositions
KR0142188B1 (ko) 열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르화 오가노실옥산 겔 조성물
EP0322848B1 (en) Use of amines as heat stabilizers in organosiloxane compositions
CA2098808A1 (en) Storage stable one-part organosiloxane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4947310B2 (ja) 付加硬化型シリコー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US5059649A (en) Storage stable one-part fluorosilicone gel compositions exhibiting improved thermal stability
EP0492828A1 (en) Mixture of adhesion additives useful in UV curable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EP0273704B1 (en) In situ low temperature siloxane gel
CA2064989A1 (en) One part solventless conformal coatings
KR910004045B1 (ko) 실리콘-결합 수소를 함유하는 저온 폴리메틸실록산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화 조성물
US5037932A (en) Storage stable, one part fluorosilicone gel compositions
KR20190119117A (ko) 플루오르화된 측기를 갖는 실리콘 엘라스토머
EP0773251B1 (en) Process for preparing fluorinated polydiorganosiloxane base compositions
JP2000169714A (ja) 硬化性シリコーン組成物
JPS6227461A (ja) 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S5859260A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