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477B1 -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477B1
KR0141477B1 KR1019900015046A KR900015046A KR0141477B1 KR 0141477 B1 KR0141477 B1 KR 0141477B1 KR 1019900015046 A KR1019900015046 A KR 1019900015046A KR 900015046 A KR900015046 A KR 900015046A KR 0141477 B1 KR0141477 B1 KR 0141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de
message
exchange
link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415A (ko
Inventor
황규진
오상균
백광훈
Original Assignee
황해웅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해웅,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황해웅
Priority to KR1019900015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477B1/ko
Publication of KR920007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메시지 발생시, 메시지 식별부에서 메시지의 목적지 노드를 검사하여 이 목적지 노드가 자신이면 메시지 분배구를 통해 처리하고, 타노드이면 메시지 라우팅부를 통해 해당 노드축으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노드 교환기를 링크로 연결하며 통신망을 구성하고, 이 통신망의 임의 노드 교환기에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기능으로 하는 접속노드 교환기를 하나의 링크로 연결한다.
이러한 통신망에서 접속노드 교환기를 초기화할 시 링크가 연결된 노드 교환기로 자신이 접속노드 교환기임을 알리고, 또한 링크가 연결된 노드 교환기의 번호 및 링크 번호를 확인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후 정상 운용 체계로 천이되면 이 접속 노드 교환기는 메시지 발생시 마다 출발시 노드 번호와 자신의 노드번호를 비교하여, 동일하면 링크가 연결된 노드 교환기로 전송하고, 상이하면 메시지를 처리하도록 동작한다.

Description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 방법
제 1 도는 노드 교환기의 통신망 구성예도,
제 2 도는 접속노드 교환기의 블럭 구성도,
제 3 도는 네트워킹 모듈간의 메시지 흐름도,
제 4 도는 메시지 식별부의 처리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호처리부20 : 기억부
30 ; 클럭부40 : 가입자제어부
50 : 스위칭부60 : 링크 인터페이스부
70 : 시그날링 처리부
본 발명은 노드 교환기를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드 교환기의 접속 노드 교환기간의 메시지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드 교환기를 이용하면 통신망을 구성하는 경우, 각 노드 교환기는 해당 노드에 접속된 가입자들의 메시지를 처리하여 목적지 노드 측으로 전송하며, 메시지 수신시 노드 번호를 분석하여 자신의 노드 번호이면 해당 노드 교환기에서 처리하고, 타노드의 번호이면 해당 노드 번호의 노드 교환기측으로 중계전송을 하게 된다. 상기 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부는 통신망으로의 접속을 담당하는 네트워킹 모듈(Networking Module; 이하 NM이라 칭함)과 메시지 처리를 담당하는 메시지 전송부(Message Transmisson Part; 이하 MTP라 칭함)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MTP는 다시 메시지 식별부(Handling Message Discrimination; 이하 HMDC라 칭함),메세지 분배부(Handling Message Distribution ; 이하 HMDT라 칭함), 메시지 라우팅부(Handling Message Routing; 이하 HMRT라 칭함)으로 나누어진다. 상기와 같은 노드 교환기에서의 메시지 처리 과정을 살펴보면 , 전송측 노드의 NM과 수신측 노드의 NM간에 링크 설정 프로토콜을 공통선 신호 방식에 의해 구현하여 링크를 형성한후, 상호간의 노드정체를 교환한다. 여기서 노드 정체란 해당 노드의 번호를 말한다. 이후 주기적으로 HMRT를 통해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여 망에 대한 경로 정보 (routing information)를 유지한다. 이후 처리해야할 메시지가 발생되면, 상기 MTP의 HMDC 로 전달 되어서 메시지의 행선지 코드 (Destination point Code 이하 DPC라칭함)값을 검사한다. 이때 상기 DPC값이 자신의 노드 정체와 동일하면 MTP의 HMDT로 전달하고, DPC값이 자신의 노드정체와 상이하면 HMRT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HMDT에 도착된 메시지는 서비스 종별이 검사되어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서비스 처리부로 보내어지고, HMRT에 돠착된 메시지는 상기 DPC값을 근거로 경로 정보 테이블(routing table)에서 최적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이 시도된다.
이때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노드는 하나의 링크를 통해서만 통신망에 접속되며, 이러한 노드에서는 라우팅 정보 유지 방법을 복잡하게 유지할 필요가 없으며 메시지 처리 방법도 라우팅 선택이 필요 없으므로 매우 단순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메시지 처리 방법에서는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노드가 하나의 링크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된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특성과 무관하게 복잡한 라우팅 정보 유지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메시지 처리과정도 복잡해졌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망 구현시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접속 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 및 경로 선택 기능을 단순화시켜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노드 교환기의 통신망 구성예도로서, 5개의 노드 교환기가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도는 제 1 도중 접속 노드 교환기(노드 E)의 블럭 구성도로서, 호에 관련된 메시지를 전반적으로 처리하는 호처리부(10)와, 프로그램 및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기억부(20)와, 각종 시스템 을 발생하는 클럭부(30)와, 대용량의 가입자와 시스템 간의 메시지를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가입자 제어부와, 메시지 교환을 수행하는 스위칭부(50)와, 시스템과 타노드간에 메시지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60)(Mltiplexed Line Inteface)와, 상기 라인 링크 인터페이스부(60)를 제어하여 링크를 제어하는 시그날링 처리부(70)로 구성된다. 제 3 도는 네트워킹 모듈간의 메시지 흐름도로서, 시스템 초기화시 접속 노드 교환기와 노드 교환기간에 접속된 링크를 식별하여 라우팅을 설정하는 과정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제 4 도는 접속 노드 교환기에서 HMDC의 흐름도로서, 제 3 도 수행후 통신망의 정상 운용 과정에서 메시지 수신시 처리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상기 제 1도-제 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교환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구축하는 경우, 노드 교환기와 접속 노드 교환기로 구성된다. 상기 노드 교환기(Trunk Node; 이하 NT라 칭함)는 가입자 모듈의 메시지를 처리하는 동시에 타노드간에 중계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접속노드 교환기(Extention Node ; 이하 EN이라 칭함)는 제 2도와 같이 가입자 제어부를 대량으로 수용하여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노드로서, 하나의 링크를 통해 TN에 접속되므로 중계 기능을 수행할수 없다. 즉, 상기 EN은 임의 TN과 접속되어 EN내에 접속된 가입자 제어부(40)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한후 접속된TN으로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한후 가입자 제어부로 전송할수 있다. 제 1 도는 5개의 교환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노드A-노드D는 TN이 되고, 노드E는 EN이 된다. 따라서 노드 B에서 노드D로 메시지를 전송할시 노드A 또는 노드C를 경유하여 노드D로 중계전송할 수 있지만, 노드E는 노드A와 접속되어 있으므로 중계 전송 기능은 수행할 수 없다.
제 3 도는 노드 B의 NM(EN/NM)과 노드 A의 NM(TN/NM)간의 네트워킹을 구현하는 메시지 흐름 및 수행 작업을 도시한 것으로, 시스템 리세트 또는 리스타트 명령시 수행되는 초기화 과정을 나타낸다. 여기서 노드E와 노드A사이에는 하나의 링크가 접속되며, 링크 번호는 i라 가정한다. 먼저 EN의 MN은 (311)단계에서 하위계층(layer2)으로부터 링크i의 설정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TN의 NM측으로 링크가 연결된 노드의 정체를 묻는 노드 식별자 문의 메시지를 시그날링 처리부(70)를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EN은 노드 E가 되고, TN은 노드A가 된다. 또한 TN의 NM도 (321)단계에서 하위 계층으로 부터 링크i가 성공적으로 설정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여 EN의 NM측으로 링크가 연결된 노드의 정체를 묻는 노드 식별자 문의 메시지를 전송한다. 여기서 노드의 정체란 노드번호 (A 또는 E)와 노드의 종별(TN 또는 EN)의결합으로 정의된다. 이때 EN의 MN은 (312)단계에서 TN의 MN으로부터 전송된 노드 식별자 문의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의 정체인 노드E(EN)으로 TN의 NM으로 전송한다.
또한 TN의 NM은 (322)단계에서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자신의 정체인 노드A(TN)을 전송한다 .그러면 EN의 NM은 (313)단계에서 링크i를 통해 망에 연결되었다는 사실과 앞으로의 모든 메시지 전송은 링크i-노드A를 통해 이루어짐을 기억부(20)에 기록한다. 또한 TN의 NM도 링크i를 통해 노드E(EN)과 연결되었음을 기록하고, 앞으로 노드 B와는 라우팅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없음을 다른 모듈을 알린다.
상기와 같이 링크가 설정되어 통신망의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과정에서, EN은 메시지 발생기 MTP의 HMDC를 통해 제 4도와 같은 방식으로 수신메시지를 처리한다.
메시지가 발생되면, (401)단계에서 메시지를 작성한 노드의 번호(Originating point Code; 이하 OPC라 칭함)와 자신의 노드 번호를 비교하여 메시지의 발생 노드를 분석한다. 이때 상기(411)단계에서 OPC와 자신의 노드 번호가 동일하면 통신망으로 송출될 메시지이므로, (402)단계에서 TN과 접속된 링크 번호를 기억부(20)를 통해 검색하며 (여기서는 노드A와 연결된 링크i가 됨), (403)단계에서는 시그날링 처리부(70)를 통해 해당 메시지를 링크i를 통해 통신망으로 송출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OPC와 자신의 노드 번호가 동일한 경우의 메시지 발생은 가입자 제어부를 통해 발생된 메시지가 임의의 TN을 목적지로 하는 경우가 되며, 이 경우 출발지(Originated node)는 노드E(EN)가 된다.
또한 상기(401)단계에서 OPC가 자신의 노드 번호가 상이하면,(404)단계에서 자신에겐 중계 기능이 없다는 사실을 근거로 수신 메시지의 최종 목적지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수신 메시지는 필요한 모듈로 분배하기 위하여 HMDT로 전송된다. 상기와 같이 OPC와 자신의 노드번호가 상이한 경우의 메시지는 노드A또는 임의의 TN에서 발생되어 노드A를 경유하여 노드 E로 수신되는 경우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망 구현시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 기능으로 하는 접속 노드 교환기와 일반 노드 교환기를 구분하여 통신망을 연결하고, 상기 접속 노드 교환기의 라우팅 유지방법 및 메시지 처리 방법을 단순화시켜 메시지 라우팅부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접속 노드 교환기에서 메시지 처리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통신망의 성능을 향상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메시지 발생시 메시지 식별부에서 메시지의 목적지 노드를 분석하여 자신의 노드 정체이면 메시지 분배부를 통해 해당 노드에서 처리하는 동시에 자신의 노드 정체가 아니면 메시지 라우팅부를 통해 해당 노드측으로 라우팅하는 노드 교환기를 다수개 구비하여, 상기 노드 교환기들을 링크를 통해 접속되는 통신망에서 임의 노드 교환기에 하나의 링크로 접속되며 가입자의 대량 접속을 주기능으로 접속 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초기화시 링크 설정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링크가 연결된 상위 노드 교환기로 노드번호 및 종류를 나타내는 노드 정체를 묻는 노드 식별자 문의 메시지로 전송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제 1 과정 수행후 상대 노드 교환기로 자신이 접속노드임을 나타내는 노드 정체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 2과정과, 상기 제 2과정 수행후 상대 노드 교환기로 부터 노드 정체 메시지를 수신하여 링크번호 및 상대 노드 교환기 번호를 저장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 3과정 수행후 망의 정상 운용 체계로 천이되어 메시지 발생유무를 검사하는 제 4과정과, 상기 제 4과정에서 메시지 발생시 노드 번호를 자신의 노드번호와 비교하며, 상이할시는 메시지 분배부를 통해 해당 모듈로 전송하여 메시지를 처리하고 상기 제 4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 5과정과, 상기 제 5과정에서 자신의 노드번호와 동일할시 상기 제 3과정에서 설정된 링크번호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KR1019900015046A 1990-09-21 1990-09-21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KR0141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046A KR0141477B1 (ko) 1990-09-21 1990-09-21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046A KR0141477B1 (ko) 1990-09-21 1990-09-21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15A KR920007415A (ko) 1992-04-28
KR0141477B1 true KR0141477B1 (ko) 1998-07-01

Family

ID=1930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046A KR0141477B1 (ko) 1990-09-21 1990-09-21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4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415A (ko) 1992-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2072A (en) Method for adaptive rout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527848B2 (ja) パケット化メッセ―ジをル―ティング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6963926B1 (en) Progressive rout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020054593A1 (en) Access network system
CA2220790C (en) Automatic learning of network routing using random routes
US7339889B2 (en) Control plane architecture for automatically switched optical network
US70099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routing an optical network upon fault
HU214136B (en) Serial data transfer system and method for developing serial data transfer channel
EP0632667A2 (en) Method for releasing unnecessary trunks from a telephone call
KR0141477B1 (ko) 접속노드 교환기의 메시지 처리방법
US6345049B1 (en) Network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283174B1 (ko) 교환기에서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메시지 처리방법
JPH03154555A (ja) 通信網における経路選択方法およびリンク選択方法
KR95001048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발신가입자 번호의 중계 제어방법
US6928074B1 (en) Method of transmitting data, a broadcast module, and a terminal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325390B1 (ko) 넘버.세븐 신호망에서의 메시지 전달부 재개시 방법
JP2723027B2 (ja) Tcapの試験方法
KR100353085B1 (ko) 넘버 세븐 신호망에서 신호 루팅 경로 관리 방법
KR100205041B1 (ko) 논리적 지시자를 이용한 공통선신호망 링크세트 자원 제어 방법
JP3011051B2 (ja) 集中保守管理システムの過負荷試験装置
JP3331947B2 (ja) ネットワーク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用記憶媒体
KR100266258B1 (ko) 전전자 교환기의 ss no.7 신호 전송 시스템
KR930006034B1 (ko) 공통선 신호방식(No.7) 메시지 전달부의 레벨 3기능 구현방법
KR100237396B1 (ko)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을 위한 중앙집중 경로제어 방법
JP2845189B2 (ja) Atm交換網呼受付制御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