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1378B1 -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 Google Patents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378B1
KR0141378B1 KR1019890012457A KR890012457A KR0141378B1 KR 0141378 B1 KR0141378 B1 KR 0141378B1 KR 1019890012457 A KR1019890012457 A KR 1019890012457A KR 890012457 A KR890012457 A KR 890012457A KR 0141378 B1 KR0141378 B1 KR 0141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leads
free end
wind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104A (ko
Inventor
리챠드 바렛 유진
루이스 아넷 리챠드
Original Assignee
아더 엠.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더 엠.킹,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아더 엠.킹
Publication of KR900011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wire processing before connecting to contact member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R43/02 - H01R43/26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56Manufacturing winding connections
    • H02K15/0068Connecting winding sections; Forming leads; Connecting leads to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36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 Y10T29/5137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 Y10T29/5143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machine product
    • Y10T29/5145Separate tool stations for selective or successive operation on work including assembling or disassembling station and means to machine product to sever product to l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93Electrical connector or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05With preparatory or simultaneous ancillary treatment of work
    • Y10T83/041By heating or cooling
    • Y10T83/0414At localized area [e.g., line of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283With means to control or modify temperature of apparatus or work
    • Y10T83/293Of to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nsulation, Fastening Of Motor, Generator Winding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권선 리드의 종단 처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상의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 처리하는 방법의 실행에 이용될 수 있는 다수의 작업대와 운송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시도.
제2도는 팔레트(pallet)장치에 설치되고 각 리드가 유전체 재료의 튜브를 통해 연장되며 팔레트 장치상의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고정자 조립체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팔레트 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3-3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도시된 리드를 절단하는 작업대에 배치된 리드 절단 장치의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리드 절단 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선 6-6을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절단금형(cut off die)에 대해서 예정된 위치에 배치된 고정자 조립체의 리드를 지지하도록 조작된 절단금형을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에 도시된 튜브를 분리하는 작업대에 배치된 튜브 분리 장치의 정면도.
제8도는 제7도의 튜브 분리 장치의 측면도.
제9도는 튜브 분리 장치의 하부의 가열식 블레이드(blade)에 대해서 예정된 위치에 배치된 고정자 조립체의 리드상의 튜브를 보여주는, 제7도의 선 9-9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한 튜브의 선단부를 분리하도록 연장된 위치에서 상하부의 가열식 블레이드를 도시한 제7도로부터 취한 확대 부분 정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선 I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2도는 튜브 선단부의 부분적인 분리를 도시하는 한리드상의 튜브의 확대 측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도시된 튜브와 리드의 부분 사시도.
제14도는 튜브의 선단부를 튜브로부터 제거하는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15도는 고정자 조립체의 하나의 리드와 걸어맞춤 상태로 연결된 단자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장치 23,25,27,29:작업대
33:슬라이드 스트립 35:캐비넷 상부
37:고정자 조립체 39:팔레트
41:베이스 43:모서리
45:상부면 47:포스트
49:마운팅 아아버 51,53:레버
55:록 핀 59,59a:키이
61,61a,63a:홀더 63:코어
67:보어 71:권선
73:터언 군 75,75a,75b:리드
79,79a,79b:튜브 93,95:상하부 플레이트
97:슬라이드 99:절단금형
101,101a,101b:홈 103:유체압모터
111:절단홈 113:스트리퍼
131:튜브 분리수단 또는 장치
133:지지 프레임
149,149a,149b,151,151b:블레이드
171:선단부
본 발명은 전기 장치의 제조, 특히,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 상에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리드(lead)를 종단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전기 모터용 고정자 조립체 상에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의 종단을 처리하기 위해, 밀폐형 전기모터 같은 발전기의 제조에 활용되었다. 종래의 밀폐형 전기모터의 제조에서, 권선 및 그 리드는 전도체에 대해 절연역할을 하도록 접착된 유전체 재료로 피복된 전도체인 자기 와이어로 형성되어 있다. 편의상, 권선 리드는 권선 일부의 예정된 범위, 예를 들어 고정자 조립체의 양단면의 한쪽을 넘어 연장되는 환상의 양단부 터언군의 한쪽에서 권선으로부터 인출되고 있다. 권선 리드는 이 리드의 자유단이 유전체 재료 튜브의 자유단을 넘어 연장되도록 이 튜브 안으로 통해 있고, 또한 튜브의 고정단은 전술된 권선의 단부 터언 군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권선의 단부 터언군을 형성하고 크기를 재는 프레스-백(press-back)조작시 튜브의 고정단은 하나의 프레스백 단부 터언 군 내의 단부 터언 사이에 어긋남을 방지하는 걸어맞춤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종래, 튜브의 선단부를 제거하고 리드의 자유단으로 부터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벗겨내며 각각의 단자 또는 공지의 구성을 갖는 단자 블록을 사용하여 종단 처리를 준비하기 위해 각종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예를 들면, 종래에는 레이저 시스템이 리드의 자유단으로부터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벗겨내고, 튜브로부터 선단부를 제거하기 위해 이용되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레이저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단점은 튜브로부터 제거된 선단부로부터의 유전체 재료의 잔유물이 리드의 자유단에서 피복이 벗겨진 전도체상에 남게 되고, 이러한 잔유물은 벗겨진 리드 전도체와 단자가 결합하여 고정될 때 불만족스러운 연결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레이저 시스템의 사용에 따른 또 다른 단점으로는 이러한 레이저 시스템의 구입 및 설비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생산 라인에서 작동을 유지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든다는 것이다.
현재 이용가능한 여러 형의 단자는 권선 리드로부터 유전체 재료를 벗기지 않고 그 권선의 리드와 도전상태로 만족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전술된 피복을 벗겨지지 않은 권선리드에 연결할 때, 단자의 일부가 권선 리드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구멍나도록 하고, 권선 리드내의 전도체와 전도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튜브의 선단부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도 통상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튜브 분리장치의 결점은 생산과정상 권선 리드의 유전체 재료 피복상에 부적절한 잔유물을 남기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은 종래의 전술된 단점 및 불만족스러운 특징 등을 극복한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상의 자기 와이어로 형성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 처리하는 향상된 방법과, 리드에 대해서 연장된 유전체 재료 튜브의 선단부가 리드의 유전체 재료 피복상에 유전체 재료의 잔유물의 존재없이 이 튜브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향상된 방법과, 각 튜브가 각 튜브로부터 선단부의 분리를 안정하게 하도록 용융되거나 가열되는 향상된 방법과, 리드상의 유전체 피복의 절연성이 튜브의 선단부의 분리동안 유지되는 즉, 방해되거나 용해되지 않는 향상된 방법과, 튜브 선단부의 분리전에 리드를 예정된 길이로 트리밍하고 상기 분리가 트리밍한 리드의 길이보다 짧은 예정된 길이까지 트리밍하는데 도움이 되는 향상된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실행하는데 이용되는 구성부재가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쉽게 조립되며 경제적으로 제조되도록 한 향상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 그리고 특징은 보다 상세하게 후술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일면으로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상에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권선 및 리드는 도체에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절연 상태로 접착한 것으로 구성되고, 각 리드는 자유단을 갖는다.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 튜브는 각각 리드에 대해서 연장되고, 각 튜브는 일반적으로 한쌍의 대향 단부를 갖는다. 이 방법의 실행에 있어서, 튜브는 예정된 위치에 배열되고 리드의 자유단이 튜브의 한쪽 단부를 넘어 연장된 상태로 한다. 각 튜브는 튜브의 한쪽 단부 근처에서 이 튜브의 선단부를 분리하기 위해 용해되고, 이때 유전체 재료의 잔유물이 튜브로부터 리드로 이송되지 않으며, 리드상의 유전체 재료 피복의 절연성은 튜브의 용융시도 유지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면으로 발전기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 처리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고, 이 권선 및 리드는 유전체 재료의 피복이 절연관계로 배치된 전도체를 갖는 자기 와이어로 형성되며, 각 리드는 권선의 일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자유단을 갖는다. 각 리드에 대해서 배치된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는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한쌍의 단부를 갖는다. 대향 단부의 한쪽은 권선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대향 단부의 반대쪽은 리드의 자유단에 이격되어 인접하게 놓여 있다. 이 방법의 실행에 있어서, 튜브는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대해 예정된 위치 관계로 배치되고 리드는 튜브 안으로 각각 통과된다. 리드만을 그 자유단 부분에서 트리밍하므로써 튜브를 각각 예정된 위치에 유지하면서 각 리드가 트리밍된 자유단과 권선의 일부 사이에 예정된 길이를 갖도록 제공된다. 각 튜브의 한쪽 단부 근처의 선단부를 용융하여 분리하므로써 각 튜브는 분리된 단부와 권선의 일부분 사이에서 예정된 길이를 갖게 된다. 상기 튜브의 예정된 길이는 리드의 예정된 길이보다 작으며, 리드상의 각 절연체 재료의 피복의 절연성은 튜브의 선단부의 분리동안 유지된다.
대응되는 참조번호는 여러가지 도면을 통하여 대응되는 부분으로 참조된다.
여기에서의 예증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한 형태로 예시되었고, 이러한 예증은 어떤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드 종단 처리방법의 실행에 이용되는 장치(21)가 도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21)는 적어도 로딩(loading) 작업대(23), 리드 절단이나 트리밍 작업대(25), 튜브 분리 작업대(27)와 리드 종단처리 작업대(29)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팔레트 위치설정장치(31)는 적어도 리드 절단 및 튜브 분리 작업대(25,27)와 예정된 위치관계로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슬라이드 스트립(Strip)(33)등과 같은 운송 수단인 슬라이드 컨베이어가 작업대(23,25,27,29)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된 장치(21)는 캐비넷(Cabinet) 상부(35)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작업대(23,25,27,29)는 적어도 본 발명의 몇가지 목적에 부합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작업대와 관련된 다른 적절한 운송 수단 및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생산라인을 따라 이격 설치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로딩 및 종단처리 작업대(23,29)가 캐비넷 상부(35)상에서 리드 절단및 튜브 분리 작업대(25,27)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로딩 및 종단처리 작업대는 적어도 본 발명의 몇가지 목적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캐비넷 상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로딩 작업대(23)에서, 작업자는 제2도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기(도시되지 않음)에 사용하기 적합한 고정자 조립체(37)를 수동으로 팔레트 장치 또는 팔레트 수단(39)상에 싣고, 이러한 팔레트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작업대(23,25,27,29)사이에서 운송수단(33)상을 수동으로 이동하거나 이송해도 된다.
팔레트(39)는 가장자리 모서리(43)를 갖는 거의 직사각형인 베이스(41)를 구비하며 이들 모서리(43) 사이에 상부면(45)이 형성되어 있다. 거의 원통형인 포스트(47)는 베이스(41) 중심에 고정되어 있고 베이스의 상부면으로 부터 수직으로 돌출된다. 고정자 조립체(37)에 대한 마운팅 아아버(mounting arbor)(49)가 포스트(47)에 대해서 베이스(41)상에 조절가능하게 피봇이나 회전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이 마운팅 아아버(49)는, 예를 들면 용접 또는 기타 수단(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적당한 수단에 의해 수동조절 가능한 레버(5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레버(51)는 베이스(41)에 설치된 복수개의 구멍(53)에 의해 정해지 복수개의 예정된 피봇이나 회전 위치 사이를 베이스의 상부면(45)상에서 피봇이나 회전가능하게 미끄러진다. 레버(53)상에 있는 록핀(55)은 하나의 예정된 회전위치에서 마운팅 아아버(49)와 레버(53)를 유지하도록 각 하나의 구멍(53)에 제거가능하게 수용된다. 마운팅 아아버(49)는 일반적으로 환상이나 원주형의 좌면(57)을 가지며, 적어도 한쌍의 마주보는 키이(59,59a)가 좌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팔레트(39)의 설명을 완결 하기 위해서, 한 세트의 리드 홀더(61,61a,63a)는 예정된 위치에서 하나의 가장자리 모서리(43)에 인접한 베이스(41)의 상부면(45)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자 조립체(37)는 거의 반지름 방향의 안쪽으로 돌출하고 보어(67)의 일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티쓰부(65;teeth)를 갖는 강자성 재료의 코어(63)를 포함한다. 이 보어(67)는 코어(63)속을 축방향으로 뻗고 코어의 대향하는 한쌍의 단부면(69,69a)과 각각 교차한다. 권선 또는 권선 수단(71)은 코어(63)상에 배열 또는 배치되고, 코어 티쓰부(65)사이에서 부분적으로 연장되며, 코어의 대향 단부면(69,69a)에 인접하여 이격된 한쌍의 대향 환상의 권선 단부 터언(73,73a)군을 형성하고 있다. 한 세트의 권선 리드(75,75a,75b)는 권선(71)의 단부 터언 군(73)상의 예정된 동일 영역이나 위치로부터 연장되고, 각 리드는 자유단(77)을 가지며, 상기 리드는 최소한 부분적으로 한쌍의 대향단부(81,82)를 각각 갖는 한 세트의 세장형 유전체 재료 튜브(79,79a,79b)로 싸여져 있고, 리드의 자유단(77)은 튜브의 반대쪽 자유단(81)을 지나 연장되어 있다.
제2도에 도시되고 본 분야에 잘 공지된 바와 같이, 튜브(79,79a,79b)의 반대 단부(83)는 단부 터언 군(73)의 몇개의 단부 터언 사이에 어긋남을 방지하는 결합 상태로 수용되고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튜브의 반대단부(83)는 적어도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단부터언 군에 대해서 인접하게 이격되거나 접촉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튜브(79,79a,79b)는 딜라웨어주 윌밍턴 소재의 이.아이.듀퐁 데뉴모어즈 앤드 캄파니(E.I.Dupont DeNemours Company, Wilmington, Delaware)로부터 구입할 수 있는 마일러(Mylor) 물질 등과 같은 양호한 물리적 및 절연 특성을 갖고 밀폐형에 적합한 적절한 유전체 재료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른 튜브도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본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리드(75,75a,75b)는 권선(71)과 일체이고 권선과 리드는 밀폐 환경에 적합한 유전체 재료의 피복이 접착된 도체를 갖는 자기 와이어로 만들어져 있다. 리드(75,75a,75b)와 튜브(79,79a,79b)는 각각 권선(71)의 단부 터언 군(73)과 튜브의 대향 단부(81) 및 리드의 자유단(77) 사이에서 측정된 길이가 예정된 길이보다 크게 되도록 주의해야 한다.
고정자 조립체(37)가 작업자에 의해 로딩 작업대(23)에서 팔레트(39)위에 놓여질 때, 고정자 조립체 보어(67)는 고정자 코어(63)상의 인접한 하나의 티쓰부(65) 사이에서 정합 또는 안내 관계로 연장된 마주하는 키이(59,59a)에 의해 마운팅 아아버(49)의 주위에 정합관계, 위치 결정 관계 또는 결합 형태로 수용된다. 고정자 코어의 대향 단부면(69)은 마운팅 아아버의 환상 좌면(57)상에 결합되어 놓여 있다. 그래서, 전술된 바와 같이 고정자 조립체(37)가 팔레트(39)의 마운팅 아아버(49)상에서 예정된 조립 위치에 위치결정될 때 권선(71)의 대향 단부 터언 군(73)은 팔레트 베이스(41)의 상부면(45)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고, 튜브를 통해 연장된 리드(75,75a,75b)를 갖는 튜브(79,79a,79b)는 팔레트(39)상의 홀더(61,61a,61b)와 결합하기 위해 예정된대로 위치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마운팅 아아버(49)와 레버(51)는 고정자 조립체(37)상에서 요구되는 리드(75,75a,75b)의 다른 길이를 조절하도록 팔레트(39)상의 예정된 피봇 위치 사이에서 피봇이동가능하다.
동시에, 작업자는 권선(71)의 단부 터언 군(73)으로부터 튜브(79,79a,79b)와 리드(75,75a,75b)를 수동으로 연장하고, 튜브를 팔레트(39)상의 홀더(61,61a,61b)에 대해 해체가능하게 유지 또는 고정 결합시킴으로써, 리드와 튜브를 팔레트 상의 예정된 위치에 배치한다. 리드 및 튜브를 예정된 위치에 배치할 때, 튜브(79,79a,79b)의 반대쪽 자유단(81)이 팔레트 베이스(41)의 가장자리 모서리(43)를 지나 연장되는 것과 함께 리드(75,75a,75b)의 자유단(77)은 튜브의 대응하는 자유단보다 훨씬 더 지나서 연장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후에 언급되는 바와 같이, 고정자 조립체(37)가 로딩 작업대(23)에서 팔레트(39)상에 놓이게 될 때, 놓여진 팔레트(제1에서 점선으로 도시됨)는 캐비넷 상부(35)상의 운송수단(33)을 가로질러 절단 작업대(25)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동가능하고 팔레트 상의 인접 가장자리 모서리(43)가 절단작업대에서 팔레트 위치 결정장치(31)와 결합됨으로써, 팔레트와 고정자 조립체가 절단 작업대에 대해서 예정된 위치에 배치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절단 또는 트리밍 수단이나 장치(85)에는 절단작업대(25)에서 캐비넷 상부(35)에 장착된 지지프레임(87)이 제공되어 있다. 지지프레임(87)은 지지프레임 상에서 상하부 플레이트(93,95)에 각기 인접하게 배치된 상하부 한쌍의 대향 가이드 또는 가이드 레일(89,89a,91,91a)을 포함한다. 하부 슬라이드(97)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후퇴 또는 정지위치와 제6도에 도시된 진출 또는 리드 지지위치 사이의 하부 반대 가이드(91,91a)에서 왕복적으로 이동하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절단금형(99)은 상단부 부근의 슬라이드(97)에 고정되어 있고, 리드 수용홈 또는 노치(101,101a,101b)가 절단금형에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플레이트(95)는 이중 작동 공기압 모터 등과 같은 본 분야에 공지된 형태의 유체압 모터(103)를 지지하며, 유체압 모터는 푸시 로드와 U링크 조립체(105)에 의해 슬라이드(97)와 구동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39)가 절단작업대(25)에서 예정된 위치에 위치될 때, 유체압 모터(103)는 슬라이드(97)를 후퇴 위치로부터 진출위치로 구동하도록 작동되고, 슬라이드(97)가 진출 위치에 있을때 절단금형의 홈(101,101a,101b)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75,75a,75b)의 자유단(77)을 수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부 슬라이드(107)는 제4도와 제5도에 도시된 후퇴나 정지 위치와 이후에 설명되는 진출이나 리드 절단위치 사이에 있어서, 대향 위치의 상부 가이드(89,892)안을 왕복적으로 이동하거나 미끄러질 수 있다. 각기 리드 절단홈이나 노치(111)를 갖는 한 세트의 절단 블레이드(109,109a,109b)는 하단부 부근의 슬라이드(107)에 고정되어 있고 절단 블레이드에서 절단홈(111)은 절단금형(99)의 홈(101,101a,101b)과 옵세트 정렬되고 수직으로배열되어 있다. 스트리퍼(Stripper) 또는 스트리퍼 플레이트(113)는 슬라이드(97)의 위쪽에 배치되고, 스트리퍼는 이 스트리퍼와 슬라이드(107)의 사이에 설치되며, 이 스트리퍼에 형성된 한 세트의 세장형 가이드 슬롯(117)에 미끄러지기 쉽게 통과된 한 세트의 견부 나사(115)에 의해 슬라이드(97)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보유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세트의 스프링(119)이 스트리퍼(113)와 슬라이드(97)에 고정된 블록(121)사이에 배치돠고 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의해 견부나사(115)와 세장형 가이드 슬롯(117)의 단부가 접촉하도록 가압됨으로써 절단 블레이드(109,109a,109b)의 절단홈(111)의 위쪽에 중첩되도록 한 세트의 돌출부(123), 즉 스트리퍼 플레이트가 위치 결정된다.
상부 플레이트(93)는 이중작동 공기압 모터 등과 같이 본 분야에 공지된 형태의 유체압 모터(125)를 지지 하고 유체압 모터는 푸시 로드와 U링크 조립체(127)에 의해 상부 슬라이드(107)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정된 위치의 리드(75,75a,75b)가 절단금형(99)의 홈(101,101a,101b)에 수용되고 지지될 때, 유체압 모터(123)가 상부 가이드 레일(89,89a)을 따라 아래로 슬라이드(107)를 구동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슬라이드를 후퇴위치로부터 진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107)가 아래쪽, 즉 진출 위치로의 이동동안, 스트리퍼(113)상의 돌출부(123)는 절단금형(99)의 홈(101,101a,101b)에 지지된 리드(75,75a,75b) 자유단(81)과 각각 결합됨으로써, 리드를 홈내의 예정된 위치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유지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돌출부(123)가 리드(75,75a,75b)와 결합될 때 스트리퍼(103)에 대해 슬라이드(101)가 다시 진출하는 것에 대응하여 절단 블레이드(109,109a,109b)의 절단홈(111)은 각각 리드와 결합하므로써, 예정된 길이로 리드의 자유단으로부터 선단부를 절단하거나 트리밍한다. 전술된 리드(75,75a,75b)의 트리밍에 이어서, 공기압 모터는 작동되거나 또는 작동을 정지하여 후퇴, 즉 정지 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이후에 언급된 바와 같이, 고정자 조립체(37)의 리드(75,75a,75b)가 절단작업대(25)에서 예정된 길이로 트리밍 또는 절단될 때, 고정자 조립체를 로딩한 팔레트(제1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됨)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캐비넷 상부(35)상의 운송 수산을 가로질러 튜브 분리 작업대(27)로 이동되고, 팔레트 상의 인접 가장자리 모서리(43)가 튜브 분리 작업대에서 팔레트 위치결정장치(31)와 결합됨으로써 팔레트와 팔레트상의 고정자 조립체를 튜브 분리 작업대에 대해 예정된 위치로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분리수단 또는 장치(131)에는, 튜브 분리작업대(27)에서 다수의 장착 볼트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캐비넷 상부(35)에 장착된 지지프레임(13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프레임(133)은 다수의 볼트(139)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이격되어 정렬된 관게로 고정된 상하부 가이드(135,137)를 포함한다. 상ㅎ부 가이드(135,137)는 각각 비둘기 꼬리형상으로 수직 배열된 한쌍의 홈 또는 홈수단(141,143)을 포함하고, 한 쌍의 상하부 슬라이드(145,147)는 가이드의 홈 내에 안내와 미끄러짐식으로 수용된다. 슬라이드(145,147)는 제7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후퇴 또는 정지 위치와 후술되는 진출위치 사이에서 가이드 홈(141,143) 내를 왕복적으로 이동하거나 미끄러진다.
전기적으로 가열된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a,15b) 등과 같은 한 세트의 튜브 분리수단은 상하부 슬라이드(145,147)와 공동으로 이동되도록 상하부 슬라이드(145,147) 상에 장치되고 있다. 블레이드(149,149a,149b)는 다른 블레이드(151,151a,151b)와 수직 정렬되도록 배치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팔레트(39)가 튜브 분리 작업대(27)에서 예정된 위치로 위치 결정될 때 고정자 조립체(37)의 리드(75,75a,75b)상의 튜브(79,79a,79b)는 블레이드 사이에 배치된다.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a,151b)는, 여기서는 전기적으로 가열된 것으로 기술되는데, 블레이드의 전기적 가열의 실행을 위한 장치와 접속 수단은 도면 간소화와 설명 내용의 간결화를 위해 생략하였다. 제7도,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는 각 가열식 블레이드(151,151a,151b)에 형성된 리드 수용 오목부(155)와 수직으로 놓여진 리드 수용 오목부(153)를 구비하고 있다. 튜브 분리장치(131)의 설명을 완결하기 위해서, 이중 작동 공기압 모터 등과 같은 한쌍의 유체압 모터(157,159)는 다수의 볼트(161) 등과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지지프레임(133)에 장착되어 있고, 공기압 모터는 자동정렬 조립체(163,165)와 한쌍의 푸시 로드에 의해 슬라이드(145,147)에 구동 연결되어 있다. 팔레트(39)가 튜브 분리작업대(27)에서 예정된 위치에 위치될 때, 유체압 모터(157,159)는 후퇴 위치로부터 진출된 위치로 슬라이드(145,147)를 구동하도록 동시에 작동되고,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는 팔레트(39)상의 고정자 조립체(37)의 리드(75,75a,75b)에 있는 튜브(79,79a,79b)와 결합하는 가열식 블레이드의 튜브 분리위치로 슬라이드와 함께 공동으로 이동된다.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의 튜브 분리위치에서, 대향하는 블레이드의 자유단, 즉 선단은 서로 밀접하게 인접해 있지만 결합 되지 않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모든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0가 튜브(79,79a,79b)에 대해서 튜브 분리위치로 이동되는데, 단지 한 세트의 가열식 블레이드만이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제10도와 제11도에 도시되었다.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는 튜브 분리위치로 이동될 때, 튜브(79,79a,79b)에 결합되고 튜브에 원주 방향의 개구(161)를 용융 또는 연소에 의해 형성하며 각 튜브의 대향 단부(81)로부터 선단부(171)를 분리시킨다. 또한,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가 튜브 분리위치로 이동될 때, 리드(75,75a,75b)의 트리밍된 자유단(77)은 가열식 블레이드의 대향 오목부(153,155)내에 이격되어 수용됨으로써, 유전체 재료의 피복의 절연성을 보호하도록 유전체 재료의 피복의 가열 또는 용해가 방지된다. 따라서, 튜브(79,79a,79b)상의 선단부(171)가 분리될 때, 리드(75,75a,75b)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의 절연성은 이러한 절연된 피복이 분리되지 않도록 가열식 블레이드(149,149a,149b 및 151,151a,151b)의 대향 오목부(153,155)내에 리드를 수용하므로써 연속되고, 그래서 절연성이 유지된다. 또한, 선단부(171)가 튜브로부터 분리시 튜브(79,79a,79b)의 유전체 재료의 어떠한 잔유물도 리드(75,75a,75b)상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튜브(79,79a,79b)의 대향자유단(81)으로부터 선단부(171)가 분리 또는 트리밍될 때, 유체압 모터(157,159)는 각각 다시 구동되거나 구동 정지되고 상하부 가이드(135,137)의 홈(141,143)을 따라 상하부 슬라이드(145,147)를 슬라이드의 진출 위치로부터 후퇴 위치로 후퇴시킨다. 그후, 고정자 조립체를 로딩한 팔레트(39)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캐비넷 상부(35)상의 운반수단(33)을 가로질러 분리 작업대(27)로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리드(75,75a,75b)의 트리밍된 자유단(77)으로부터 선단부를 미끄러지게 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선단부(171)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79,79a,79b)로부터 선단부를 제거하므로써 각 튜브는 그 한쪽 단부(83)와 다른쪽 자유단부(81)사이에서 측정한 길이가 예정된 길이로 조정된다. 튜브의 예정된 길이는 리드(75,75a,75b)의 예정된 길이보다 정해진 길이가 짧다.
상술된 바와 같이, 튜브(79,79a,79b)로부터 선단부(171)를 제거한 후 고정자 조립체(37)를 로딩한 팔레트(39)는 종단처리 작업대(29)로 수동으로 이동되고, 한세트의 단자 또는 단자 수단(173)은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79,79a,79b)의 자유단부(81)에 인접한 리드(75,75a,75b)의 트리밍된 자유단(77)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도록 유지된다. 단자(173)는 각각 리드(75,75a,75b)와 도전 관계로 결합하도록 이 리드(75,75a,75b)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관통한다. 본 분야에 공지된 여러가지 다른 형태의 종단처리 장치가 본 목적에 부합하도록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단자(173)를 리드(75,75a,75b)에 전도적으로 부착시키도록 종단처리 작업대(27)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기술내용의 간결화와 도면의 간소화를 위해 이러한 종단처리 장치의 묘사는 생략하였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새로운 종단처리 방법이 여기에서 설명된 목적에 부합되어 제공되는 것이 명백하고, 이러한 방법의 실행에 사용되는 구성부품의 정확한 구조, 형상, 세부사항 및 연결 뿐만 아니라 방법 단계의 정확한 순서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또는 본 발명의 정신에 이탈함이 없이 본 분야에 능숙한 기술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16)

  1. 권선과 리드가 도체와 그 도체에 절연관계로 접착된 유전체 재료의 피복으로 형성되고, 각 리드가 권선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가 각각 리드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각 튜브는 권선의 일부에서 고정된 부분과 각각의 대응하는 한 리드의 자유단 근처로부터 이격된 자유단을 가지고, 더우기 한 세트의 리드용 단자수단, 고장자 조립체용 팔레트 수단, 복수의 작업대중 한 작업대에서 동작하기 위한 절단 수단 및 다른 한 작업대에서 동작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준비되고, 이 분리 장치는 복수 세트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각 세트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에는 한쌍의 대향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정자 조립체를 로딩 작업대에서 팔레트 수단상의 예정된 위치로 로딩하는 단계와, 고정자 조립체가 예정된 위치에 있을 때, 각 튜브를 팔레트 수단의 각 대응하는 부품상의 예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치 단계에 대응하여, 리드의 자유단과 튜브의 자유단을 각각 팔레트 수단을 지나서 연장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로딩 작업대로부터 하나의 작업대의 예정된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이 하나의 작업대의 예정된 위치에 있을 때, 리드의 자유단을 절단 수단에 대해서 예정된 위치로 위치결정하는 단계와, 하나의 작업대에서 절단 수단의 작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 단계에 대응하여, 각 리드로부터 이 리드의 자유단 부근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제거하고 각 리드의 권선의 일부로부터 절단후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트리밍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하나의 작업대로부터 다른 작업대의 예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이 다른 작업대의 예정된 위치에 있을 때, 튜브를 분리장치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 사이의 예정된 위치로 배치하는 단계와,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각각 서로 근접하는 쪽으로 작동하는 단계와, 상기 작동단계에 대응하여,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각기 튜브와 결합시키고 이 결합 단계에 대응하여 각 튜브의 자유단 부근의 선단부를 각 튜브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각 튜브의 고정단으로부터 선단부 분리후의 자유단 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 단계 동안, 리드를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의 대향 오목부 내에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로부터 이격되도록 수용함으로써,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에 의한 리드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의 분리를 방지하고, 유전체 재료 피복의 절연성을 유지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다른 하나의 작업대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와, 튜브의 분리된 선단부를 리드로부터 각각 미끄러지게 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종단 처리 작업대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적어도 상기 트리밍 후의 리드의 자유단 근처의 부분에 있어서 리드와 도전 관계로 단자 수단을 상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2. 권선과 리드가 도체와 이 도체에 절연관계로 접착된 유전체 재료의 피복으로 형성되고, 각 리드는 권선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자유단부를 가지고,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가 각각 리드를 둘러싸고 배치되고, 각 튜브는 권선의 일부에서 고정된 부분과 각각의 대응하는 한 리드의 자유단 근처로부터 이격된 자유단을 가지고, 더우기 한 세트의 리드용 단자수단, 고장자 조립체용 팔레트 수단, 복수의 작업대중 한 작업대에서 동작하기 위한 절단 수단 및 다른 한 작업대에서 동작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준비되고, 이 분리 장치는 복수 세트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각 세트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에는 한쌍의 대향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를 이루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딩 작업대에서, 팔레트 수단상의 예정된 위치에 고정자 조립체를 로딩하고 튜브의 자유단 및 리드의 자유단이 팔레트 수단의 가장자리부를 넘어 연장되도록 튜브를 이 가장자리부에 대해 예정된 위치로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로딩 작업대로부터 상기 한 작업대 팔레트 수단을 이동하고, 이 한 작업대에서 리드의 자유단을 절단 수단에 대해 예정된 대로 배치하는 단계와, 절단 수단을 이동하고, 각 리드의 자유단 부근의 선단부를 절단하여 제거하므로써 각 리드의 권선의 일부로부터 절단후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트리밍 단계와, 상기 하나의 작업대로부터 다른 한 작업대로 팔레트 수단을 이동하고, 분리 장치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 사이의 예정된 위치로 튜브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다른 한 작업대에서, 분리장치를 작동하고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단계와, 분리 장치의 작동에 대응하여,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튜브에 결합시켜 각 튜브의 자유단 부근의 선단부를 분리하고, 이 결합과정중 리드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의 절연성을 중단시키지 않고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의 오목부 내에 리드를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한 작업에 대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팔레트 수단을 변위시키고 리드로부터 분리된 선단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종단처리 작업대로 이동시키고, 적어도 리드의 상기 트리밍 후의 자유단 부근에서 단자 수단을 도전 관계로 리드에 상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3. 권선과 리드가 도체와 이 도체에 절연관계로 접착된 유전체 재료를 갖는 자기 와이어로 형성되고, 각 리드는 자유단을 가지고,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가 각각 리드를 둘러싸며 연장되고, 각 튜브는 한 쌍의 대향 단부를 가지고, 이 대향 단부의 한쪽은 적어도 권선의 일부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대향 단부의 다른 쪽은 대응하는 리드의 자유단 근처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더우기 고정자 조립체용의 팔레트 수단, 복수의 작업대중 한 작업대에서 동작하기 위한 분리 장치가 준비되어 있는, 발전기의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로서 이 권선의 일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딩 작업대에서, 팔레트 수단 상에 고정자 조립체를 로딩하고, 튜브의 상기 다른 쪽 대향 단부가 적어도 팔레트 수단의 일부를 넘어 배치되고, 리드의 자유단이 상기 다른 쪽의 대향 단부를 넘어 연장되도록 튜브를 팔레트 수단의 상기 일부에 대해 예정된 위치에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팔레트 수단을 상기 하나의 작업대로 이동시키고, 분리장치에 대해 예정된 위치에 다른 대향 단부를 각각 배치하는 단계와, 분리 장치를 작동하고, 리드 상의 유전체 재료 피복의 절연성을 방해함이 없이 각 리드로부터 다른쪽 대향단부 부근의 선단부를 완전하게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하나의 작업대에 대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팔레트 수단을 변위시키고, 그후 리드로부터 분리된 선단부를 각각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다른 한 작업대에 리드를 절다하기 위한 절단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팔레트 수단을 로딩 작업대로부터 상기 다른 한 작업대로 이동시키고, 리드를 절단수단에 대해 예정된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중간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절단 수단을 작동하고, 각 리드로부터 그 자유단부 부근의 선단부를 절단하므로써 각 리드의 권선의 일부로부터 절단후의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중간 트리밍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자 조립체가 리드용의 한 세트의 단자 수단을 갖는 경우, 팔레트 수단을 종단처리 작업대로 이동시키고, 적어도 리드의 상기 트리밍 후 자유단 부근에서 단자를 도전관계로 리드에 각각 상호 접속하는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분리장치가 각각 튜브에 인접하여 예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 세트의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 장치의 작동 단계가 각 대향 가열식 블레이드에 튜브를 결합시켜 용해시키므로써 튜브로부터 선단부의 분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8. 권선과 리드가 도체와 이 도체에 절연관게로 배치된 유전체 재료를 갖는 자기 와이어로 형성되고, 각 리드는 권선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가 각각 리드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대향 위치에 있는 한쌍의 단부를 가지고, 이 대향 단부의 한쪽은 적어도 권선의 일부에 인접하여 각각 배치되고, 상기 대향 단부의 다른쪽은 리드의 자유단 근처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발전기에 사용되는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인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리드를 튜브내로 각각 통과시킨 상태에서, 튜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서로에 대해 예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단계와, 튜브를 예정된 위치에 유지하면서, 리드의 자유단 부근에서 리드만을 절단하고, 각 리드의 절단후 자유단으로부터 상기 권선의 일부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트리밍 단계와, 각 튜브의 다른쪽 대향 단부 부근의 튜브의 선단부를 분리하고, 이 분리 단계 동안 리드 상의 각 유전체 재료 피복의 절연성을 유지하는 단계와, 리드로부터 상기 분리된 선단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제거 단계가, 리드의 상기 트리밍 후 자유단을 넘어 상기 분리된 선단부를 리드를 따라 각각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고정자 조립체가 한 세트의 단자를 갖고 있는 경우, 적어도 리드의 트리밍 후 자유단 부근에서 단자를 도전 관계로 리드에 각각 상호 접속하는 추가 단계를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접속 단계가, 각 단자의 일부를 각 리드내의 도체와 도전 결합하도록 변형시키고 단자의 상기 일부에 의해 리드 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에 구멍뚫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단계가 각 튜브를 용해하므로써 이 튜브의 분리된 선단부를 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3. 권선과 리드가 도체와 이 도체상에 유전체 재료의 피복을 갖는 자기 와이어로 형성되고, 각 리드는 권선의 일부로부터 연장되어 자유단을 가지고, 한 세트의 유전체 재료의 튜브가 각각 리드를 둘러싸며 연장되고, 한 쌍의 대향 단부를 갖는, 발전기에 사용되는 고정자 조립체에 설치된 권선과 일체인 한 세트의 리드를 종단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튜브의 대향 단부의 적어도 한쪽을, 서로에 대해 예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리드의 자유단이 상기 한쪽의 대향단부를 지나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와, 각 튜브를 용해하고, 이 튜브의 상기 한쪽의 대향단부 부근의 선단부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용해단계 동안, 리드상의 유전체 재료 피복의 절연성을 유지하는 단계와, 튜브로부터 상기 분리된 선단부를 각각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리드를 그 자유단 부근에서 용해하고, 각 리드의 권선의 일부로부터 절단후 자유단까지의 길이를 예정된 길이로 하는 중간 트리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고정자 조립체가 한 세트의 단자를 갖는 경우, 적어도 리드의 상기 트리밍 후의 자유단 부근에서 각 단자의 일부가 각 리드의 도체와 도전관게로 결합하도록 이 리드 상의 유전체 재료의 피복에 구멍을 뚫음으로써 리드에 단자를 각각 상호 접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 제거 단계가, 리드의 상기 트리밍 후의 자유단을 통과하여 빠져나오도록 리드를 따라 튜브의 분리된 선단부를 각각 미끄러지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권선리드의 종단처리 방법.
KR1019890012457A 1988-12-06 1989-08-31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KR01413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80349 1988-12-06
US07/280,349 US4856180A (en) 1988-12-06 1988-12-06 Method of terminating winding lea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104A KR900011104A (ko) 1990-07-11
KR0141378B1 true KR0141378B1 (ko) 1998-08-17

Family

ID=2307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457A KR0141378B1 (ko) 1988-12-06 1989-08-31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56180A (ko)
JP (1) JPH02202334A (ko)
KR (1) KR0141378B1 (ko)
FR (1) FR2644305A1 (ko)
GB (1) GB2225739B (ko)
IT (1) IT1231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1631A (en) * 1989-09-07 1991-02-12 Pease Windamatic Systems, Inc. Lead straightening and trimming apparatus
EP0468307A3 (en) * 1990-07-27 1993-08-11 Axis S.P.A.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tors
US6073336A (en) * 1998-07-27 2000-06-13 Reliance Electric Technologies, Llc Method for stator coil lacing
JP5573040B2 (ja) * 2009-07-30 2014-08-20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およびモータの製造方法
KR101288639B1 (ko) * 2012-06-26 2013-07-22 뉴모텍(주) 스테이터 어셈블리의 코일 본딩 장치 및 코일 본딩 방법
CN104467305B (zh) * 2014-11-28 2017-05-24 哈尔滨电机厂有限责任公司 1000mw发电机定子运输接口部件装配方法
DE102017003103B3 (de) * 2017-03-30 2018-08-30 Audi Ag Schneidvorrichtung zum Abschneiden von Drahtbündelend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ators
CN112152396B (zh) * 2019-06-26 2021-08-31 东元电机股份有限公司 马达出口线长度控制治具及其方法
CN112311163A (zh) * 2020-11-09 2021-02-02 江苏本格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绕嵌扩一体机的线头钩剪缠绕机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1354A (en) * 1956-05-28 1957-07-30 Gen Electric Terminal arrangement for electric motors
JPS4843702B1 (ko) * 1966-11-29 1973-12-20
US3364801A (en) * 1967-03-06 1968-01-23 Raymond Poturnicki Wire center stripper die assembly
US3527124A (en) * 1967-12-29 1970-09-08 Amp Inc Wire stripping
US3725707A (en) * 1971-05-05 1973-04-03 Black & Decker Mfg Co Field sub-assembly for universal electric motors
US4196510A (en) * 1978-09-25 1980-04-08 Artos Engineer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wire leads
US4283645A (en) * 1978-10-06 1981-08-11 Hofmann Kurt H Electrical drive motor, in particular for water pumps in the field of aquaria
US4561155A (en) * 1983-06-22 1985-12-31 Artos Engineering Company Cord manufacturing apparatus and connector attachment machine therefor
US4642497A (en) * 1984-04-30 1987-02-10 General Electric Company Hermetic compressor unit and stationary assembly
DE3689984T2 (de) * 1985-07-11 1994-12-08 Axis Spa Produktionslinie für auf Palette montierte Ständer elektrischer Motor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solcher Stä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918059D0 (en) 1989-09-20
KR900011104A (ko) 1990-07-11
JPH02202334A (ja) 1990-08-10
IT8921607A0 (it) 1989-09-04
IT1231408B (it) 1991-12-02
US4856180A (en) 1989-08-15
GB2225739B (en) 1993-05-19
FR2644305A1 (fr) 1990-09-14
GB2225739A (en) 1990-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2937B2 (ja) ハーネス製造方法と圧接機及びコネクタ保持竿並びに圧接装置
EP0213859B1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termina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KR0141378B1 (ko) 권선리드의 종단처리방법
EP046942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tator coil leads
EP0763879A1 (en) Stator coil winding method and apparatus
US5214838A (en) Method for inserting stator coil lead wires into terminals having wire-receiving channels
US5090107A (en) Apparatus for inserting stator coil lead wires into terminals having wire-receiving channels
CN114498112A (zh) 一种自动剥皮引流线搭接装置
JP2520066B2 (ja) 電力線ハ―ネ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US5224251A (en) Electrical harness assembly apparatus
CN1021685C (zh) 用于电动机的一种电枢
KR910004800B1 (ko) 하아네스 제조 장치 및 방법
US1753561A (en) Machine for cutting wire and the insulation thereof
US4051749A (en) Cable insulation stripping apparatus
US3765073A (en) Apparatus for assembling a component of parts comprising terminations, conductor leads and enclosures
US4527451A (en) Stripping tool for shielded ribbon cable
US6289573B1 (en) Apparatus for making up a cable
US5109590A (en) Multi core cable stripping
US3895434A (en) Assembling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to cordage
EP045331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stator coil lead wires into terminals having wire-receiving channels
JP4142659B2 (ja) 電線圧接装置及び電線圧接方法
US4928380A (en) Apparatus for terminating a cable to a two part circular connector
US419317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CN210430395U (zh) 一种绝缘体装配机械
US5651177A (en) Stator manufacturing and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