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801Y1 - 트랙터용 양날쟁기 - Google Patents

트랙터용 양날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801Y1
KR0140801Y1 KR2019960012056U KR19960012056U KR0140801Y1 KR 0140801 Y1 KR0140801 Y1 KR 0140801Y1 KR 2019960012056 U KR2019960012056 U KR 2019960012056U KR 19960012056 U KR19960012056 U KR 19960012056U KR 0140801 Y1 KR0140801 Y1 KR 0140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frame
frost
connecting body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2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208U (ko
Inventor
김종규
Original Assignee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주식회사세웅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2019960012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801Y1/ko
Publication of KR9700602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2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24Tractor-drawn ploughs
    • A01B3/28Alternating ploughs
    • A01B3/34Alternating ploughs with parallel plough units used alternatel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4Fra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 후단의 상/하부 링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부 브라켓트를 갖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연결프레임의 후단에 성에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연결몸체가 형성된 메인 프레임 ; 이 메인프레임 단부의 힌지연결몸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연결몸체가 형성되고 이 힌지연결몸체의 하단에 후방으로 길다란 성에가 장착되며 이 성에에 보습 및 볏을 갖는 수개의 보습지지간이 일렬로 체결된 성에프레임 ;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성에프레임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메인프레임과 성에프레임의 힌지연결몸체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압작동기구 ; 상기 성에프레임이 트랙터의 양측 바퀴폭에 따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성에 및 힌지연결몸체에 각각 고정되며 양측에 서로 일치되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각각 체결보울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체결관 ; 이 구비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메인프레임은 힌지연결몸체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힌지연결몸체가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링크 ; 상기 링크의 하면에는 그 링크가 평면상 중앙의 기준선상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일치되는 고정핀홀 ; 상기 고정핀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 ; 이 구비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힌지연결몸체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연결몸체의 브라켓트 단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작동기구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제1연결간 ; 이 제1연결간의 단부와 연결되고 메인프레임측 힌지연결몸체의 힌지핀에 설치되는 제2연결간 ; 상기 힌지연결몸체를 일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힌지연결몸체와 제2연결간에는 평면상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된 세팅홀 ; 이 구비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성에프레임의 힌지연결몸체에는 힌지축에 의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하여 전방으로 5° ~ 15°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은 상방으로 힌지축의 경사각만큼 구부러진 힌지연결몸체 단부의 경사면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홀과, 상기 힌지연결몸체의 경사면과 상응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힌지연결몸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힌지축홀로 끼워져 연결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Description

트랙터용 양날쟁기
본 고안은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프레임에 성에프레임을 전후로 조정 가능케 마련하여 각종 트랙터의 바퀴폭에 따라 적합하게 보습선단의 경폭기준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에 편심수단을 갖도록 4절링크 방식으로 마련하여 전답의 두둑부분의 갈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 후단의 상.하부 링크에 연결 설치하여 사용하는 트랙터용 쟁기에는 무수히 많은 것들이 있으나, 이들중 회전쟁기는 성에를 회전시킴에 따라 볏이 반전되도록 한 쟁기이다.
이러한 전형적인 회전쟁기는 한국 실용공고 87-1852호에 개재된 바와같이 연결체대의 단부에 격벽이 형성된 4각지지틀을 회동되도록 핀으로 연결시켜 이에 2개의 쟁기체대가 나란하게 설치되며 이 쟁기체대에 일정간격으로 연결핀을 갖는 수개의 장방형 지지틀이 핀으로 회동되게 연결되고 이 연결핀에 보습을 장착한 보습지지간이 체결보울트로 고정되며 이 보습지지간의 돌출봉에 보조봉과 연결된 보습 절환봉이 회동되게 끼워지고 이 보습절환봉 하단의 장공에 보습 회동봉이 끼워진 쟁기에 있어서, 상기 4각 지지틀과 장방형 지지틀에 ㄴ형 연결간이 연결되고 이 ㄴ형 연결간의 일단에 상기 연결체대의 상부에 설치된 유압작동구의 피스톤 로드와 연결되어져 있다.
이러한 회전쟁기는 연결체대 상의 유압작동구를 작동시켜 유압작동구의 피스톤 로드에 의하여 ㄴ형 연결간의 일단을 잡아 당기거나 밀게 되므로 쟁기체대가 연결체대의 단부를 기점으로하여 평면상 좌/우측으로 전환된다. 이와 동시에 보조봉과 보습절환봉 및 보습회동봉이 순차적으로 연동됨에 따라 보습이 반전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갈이작업을 수행하면 토양이 확실하게 반전되고 따라서 일정한 높이의 좋은 두둑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간 선행 기술에 따른 회전쟁기는 4각지지틀과 수개의 장방형 지지틀을 갖는 연결체대와 쟁기체대는 물론 연결체대로부터 쟁기체대의 보습을 반전시키기 위한 연결구성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비교적 무거운 것이었으며, 갈이작업시 보습에 의해 토양이 확실하게 반전된다 하더라도 부식물의 매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트랙터의 일측바퀴가 이미 갈아논 고랑에 빠진 상태에서 갈이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쟁기의 보습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짐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서 전답의 바닥면이 기울어진 상태로 갈아져 전체적으로 울퉁불퉁하게 갈이작업이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메인프레임에 성에의 반전축을 중심으로하여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보습에 일정한 각을 부여할 수 있고, 트랙터의 일측바퀴가 이미 갈아논 고랑에 빠진 상태에서 갈이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보습의 경사량을 보상하여 항시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는 쟁기가 절실히 요구되었다. 이러한 쟁기에는 심경용 쟁기로서 같이 작업시 성에에 취부된 보습의 좌우양날을 사용하여 토양을 반전시키는 양날쟁기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폐단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에 성에프레임을 전후로 조정가능케 마련하여 각종트랙터의 바퀴폭에 따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보습선단의 경폭기준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양날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메인프레임을 4절링크 방식으로 마련하고 이에 편심수단을 마련하여 전답의 두둑부분을 갈이작업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트랙터용 양날쟁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트랙터 후단의 상/하부 링크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부 브라켓트를 갖는 연결프레임이 형성되고 이 연결프레임의 후단에 성에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연결몸체가 형성된 메인프레임 ; 이 메인프레임 단부의 힌지연결몸체에 힌지축으로 연결되는 힌지연결몸체가 형성되고 이 힌지연결몸체의 하단에 후방으로 길다란 성에가 장착되며 이 성에의 보습 및 볏을 갖는 수개의 보습지지간이 일렬로 체결된 성에프레임 ;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성에프레임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메인프레임의 연결프레임과 성에프레임의 힌지연결몸체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압작동기구 ; 상기 성에프레임이 트랙터의 양측 바퀴폭에 따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성에 및 힌지연결몸체에 각각 고정되며 양측에 서로 일치되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각각 체결보울트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체결판 ; 이 구비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메인프레임은 힌지연결몸체를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과 힌지연결몸체가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링크 ; 상기링크의 하면에는 그 링크가 평면상 중앙의 기준선상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일치되는 고정핀홀 ; 상기 고정핀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 ; 이 구비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또 상기 메인프레임의 각 링크에는 성에프레임이 반전되었을 때 힌지연결몸체의 핀과 제2연결간의 핀의 사이간격을 갖도록 핀이 형성되고 이 핀들에 끼워지는 핀홀을 갖는 별도의 고정판이 구비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힌지연결몸체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연결몸체의 브라켓트 단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작동기구의 피스톤 로드가 연결되는 제1연결간 ; 이 제1연결간의 단부와 연결되고 메인프레임측 힌지연결몸체의 힌지핀에 설치되는 제2연결간 ; 상기 힌지연결몸체를 일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힌지연결몸체와 제2연결간에는 평면상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된 세팅홀 ; 이 구비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성에프레임의 힌지연결몸체에는 힌지축에 의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하여 전방으로 5° ∼ 15°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은 상방으로 힌지축의 경사각만큼 구부러진 힌지연결몸체 단부의 경사면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홀과, 상기 힌지연결몸체의 경사면과 상응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힌지연결몸체의 경사면에 형성된 힌지축홀로 끼워져 연결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성에프레임의 성에는 길다란 사각관에 하나의 넓은 체결판을 장착하거나 길다란 2개의 후판재에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체결판을 각각 장착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은 연결프레임의 중앙에 평면상 아자형(ㅏ字形)으로 힌지부)을 갖는 고정바가 유동되지 않도록 용접 고정되고, 이 고정바의 선단 양측에서 힌지연결몸체 양측의 브라켓트에 각각 유압작동기구 연결 설치된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양날쟁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양날쟁기의 요부만을 나타낸 분해 사사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서 성에프레임이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때를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메인프레임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0 : 메인프레임 11a, 11b : 상/하부링크
12,120 : 연결프레임 13,22 : 힌지연결몸체
13a,14a,14b : 핀 15 : 링크
16 : 고정핀홀 17 : 고정핀
18 : 힌지축 19,36 : 힌지축홀
20,200 : 성에프레임 21 : 성에
23 : 체결보울트 24 : 보습
25 : 볏 26 : 보습지지간
27,28 : 체결판 27a,28a : 체결공
29 : 브라켓트 30 : 유압작동기구
30a : 피스톤 로드 31 : 제1연결간
32 : 제2연결간 33a,33b : 세팅홀
35 : 고정판 37 : 스토퍼
102 : 힌지부 104 : 고정바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구체적인 특징들이 보다 쉽게 이해될 것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트랙터용 양날쟁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메인프레임(10)과 성에프레임(20)으로 구성되어 있고 프레임중에서 성에프레임(20)이 유압작동기구(30)에 의해 평면상 중앙의 기준선을 중심으로하여 좌우로 45° 이내에서 회전가능케 연결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트랙터 후단의 상/하부링크(L1)(L2)에 연결할 수 있는 상/하부브라켓트(11a)(11b)가 형성된 연결프레임(12)과, 성에프레임(20)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연결몸체(13) 및 상기 연결프레임(12)과 힌지연결몸체(13)가 4절링크방식으로 핀(14a)(14b)에 의해 연결 설치된 2개의 링크(15)로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링크(15)에는 이 링크(15)가 평면상 중안의 기준선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일치되도록 고정핀홀(16)이 형성되어져 있고, 이 고정핀홀(16)에는 링크(15)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17)이 끼워져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 및 성에프레임(20)의 힌지연결몸체(13)(22)는 힌지축(18)에 의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하여 전방으로 5° ~ 15°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힌지축(18)은 상방으로 힌지축(18)의 경사각만큼 구부러진 힌지연결몸체(13) 단부의 경사면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홀(19)과 상기 힌지연결몸체(13)의 경사면과 상응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형성된 힌지축홀(36)에 끼워져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힌지연결몸체(13) 양측에는 성에프레임(20)의 반전각도를 제한하고 미세조정이 가능한 스토퍼(37)가 설치되어져 있다.
상기 메인프레임(10)에는 갈이작업이 전답의 두둑부분을 용이하게 갈수 있도록 메인프레임의 편심수단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편심수단은 힌지연결몸체(22)측 브라켓트(29) 단부의 핀(29a)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작동기구(30)의 피스톤 로드(30a)가 연결되는 제1연결간(31)과, 이 제1연결간(31)의 단부와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측 힌지연결몸체(13)의 힌지핀(13a)에 설치되는 제2연결간(32)과, 상기 힌지연결몸체(13)와 제2연결간(32)에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편심시 평면상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된 세팅홀(33a)(33b)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성에프레임(20)은 성에(21)의 중간부에 상기 메인프레임(10)단부의 힌지연결몸체(13)와 힌지축(18)으로 연결되는 힌지연결몸체(22)가 다수의 다수의 체결보울트(32)로 체결되어져 있고, 그 저면에는 보습(24) 및 볏(25)을 갖는 수개의 보습지지간(26)이 일렬로 체결되어 있다. 상기 성에프레임(20)의 힌지연결몸체(22)와 성에(21)에는 트랙터의 양측 바
퀴폭에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서로 일치되는 일정한 간격의 체결공(28a)(27a)을 갖는 체결판(28)(27)이 장착되어져 있고, 이체결판(28)(27)을 전후로 전후진시킴에 따라 일치되는 체결공(28a)(27a)에는 체결보울트(23)가 관통 체결되어 있다.
상기 성에(21)는 하나의 넓은 체결판(27)이 장착된 길다란 사각관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서와 같이 길다란 2개의 후판재에 길이방향으로 양분된 2개의 체결판(27a)을 각각 장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판(27)(28)중에 하나의 체결판(28) 양단에는 다른 체결판을 안내하고 이탈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ㄱ자형 혹은 ㄷ자형의 가이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는 트랙터의 상/하부 크(L1)(L2)에 메인프레임(10)의 상/하부 브라켓트(11a)(11b)를 연결 설치하고 메인 프레임(10)의 유압작동기구(30)에 트랙터의 유압라인과 회로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메인프레임(10)의 링크(15)에 형성된 고정핀 홀(16)로 고정핀(17))을 끼워 2개의 링크(15)를 고정한 후 성에프레임(20)을 일측으로 45° 이내로 회전시켜 성에프레임(20) 선단의 보습(24)과 볏(25)이 트랙터의 양측 바퀴폭에 따라 적합하게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성에프레임(20)의 보습(24)과 볏(24)이 적합하지 않다면 힌지연결몸체 (22) 및 성에(21)의 체결판(28)(27)의 체결공(28a)(27a)에 체결된 다수의 체결보울트(23)를 빼내어 분리한 후, 상기 성에(21)를 전후로 적절하게 이동시켜 힌지연결몸체(22)와 성에(21)측 체결판(28)(27)의 체결공(28a)(27a)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상기 체결공(28a)(27a)에 각각 체결보울트(23)를 관통시켜 체결한다.
이렇게 성에프레임(20)을 조절한 상태에서 유압작동기구(30)에 유압을 인가하여 피스톤 로드(30a)가 수축되도록 작동시키면 피스톤 로드(30a)에 연결된 제2,1연결간(32)(31)을 통해 성에프레임(20)의 힌지연결몸체(22)가 평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는 힌지연결몸체(13)(22)의 힌지축홀(19)(36)에 힌지축(18)이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성에(21)의 선단이 지면에서 높아짐과 동시에 뒤틀리게 되고, 성에프레임(20)의 성에(21)가 높아진 만큼 경사지게 된다(제4도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도 힌지연결몸체(13)의 스토퍼(37)를 조정하여 미세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같이 조정을 완료한 후에는 트랙터의 상/하부 링크(L1)(L2)를 하강시켜 갈이작업을 수행하면 성에(21)의 보습(24)과 볏(25)이 일측으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토양은 일측으로 확실하게 반전된다. 이때, 트렉터의 일측바퀴는 이미 갈아진 고랑에 빠진 상태에서 진행하므로 성에(21)의 경사량을 보상하여 성에(21)는 전답의 지면과 수평을 이루게 되고 결과적으로 경심이 고르게 된다.
이와같은 방법으로 유압작동기구(30)의 피스톤 로드(30a)를 신장시키면 상기한 작동과 동일한 작동에 의해 성에프레임(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갈이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성에프레임(20)의 반전이 용이하여 왕복갈이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이 계속하여 갈이작업을 하다가 전답의 두둑부분을 갈고자 하는 경우 유압작동기구(30)를 작동시켜 힌지연결몸체(13) 및 제2연결간(32)의 세팅홀(33a)(33b)이 일치되도록하여 링크(15)의 고정핀홀(16)로부터 고정핀(17)을 빼내어 상기 세팅홀(33a)(33b)에 끼우면 메인프레임(10)이 편심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압작동가구(30)를 작동시켜 유압작동기구(30)의 피스톤로드(30a)가 더욱 수축되도록 하면 서에프레임(20)선단의 보습(24) 및 볏(25)이 트랙터의 바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되므로 전답의 두둑부분을 용이하게 갈 수 있게된다.
제6도는 메인프레임의 고정 및 편심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링크(15)에 성에프레임(20) 반전시 힌지연결몸체(13)의 핀(13a)과 제2연결간(32)의 핀(29a)의 사이간격을 갖도록 핀(34a)(34b)이 형성되고 이 핀(34a)(34b)들에 끼워지는 핀홀(35a)(35b)을 갖는 고정판(35)이 별도로 마련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는 메인프레임(10)을 고정시엔 링크(15)의 핀(34a)(34b)에 고정판(35)의 핀홀(35a)(35b)이 끼워지도록 하여 사용하고, 메인프레임(10)을 편심시키고자 할 때에는 성에프레임(2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링크(15)상의 고정판(35)을 분리한 후 힌지연결몸체(13) 및 제2연결간(32)의 핀(13a)(29a)에 고정판(35)의 핀홀(35a)(35b)을 끼운 상태에서 유압작동기구(30)를 작동시키면 메인프레임(10)이 편심되게 되는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는 본 고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메인프레임(100)은 연결프레임(120)의 중앙에 힌지축(18)이 일정한 경사각으로 끼워지도록 힌지부(102)를 갖는 고정바(104)가 용접 고정되고, 이 고정바(104)선단 양측에서 성에프레임(200)측 힌지연결몸체(22) 양측의 브라켓트(29)에 각각 유압작동기구(30)가 연결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도 내지 제5도의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에 의하면 메인프레임(100)을 이루는 연결프레임(120)과 고정바(104)가 유동되지 않도록 용접 고정되어 있어 성에프레임(200)만을 반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따라서 반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의 트랙터용 양날쟁기는 쟁기체대가 회전됨에 따라 보습이 단순하게 반전되는 선행 기술과는 달리 보습과 볏이 취부된 성에프레임을 트랙터의 양측바퀴 폭에 따라 알맞게 전후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습 선단의 경폭기준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상기 메뉴프레임을 이루는 연결프레임과 힌지연결몸체가 2개의 링크에 편심수단을 갖도록 4절링크 방식으로 마련하여 전답의 두둑부분의 갈이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쟁기체대가 회전되면서 보습이 보조봉과 보습절환봉 및 보습회동봉이 순차적으로 연동됨에 따라 단순하게 반전되는 선행 기술과는 달리 보습과 볏이 취부된 성에프레임을 평면상 좌우로 회전시켜 반전시키므로 안정성이 향상되고, 왕복갈이법으로 작업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메인프레임 및 성에프레임의 힌지연결몸체를 연결하는 힌지축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하여 5° ~ 15°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트랙터의 일측 바퀴가 이미 갈아진 고랑에 빠져 갈이작업이 이루어지더라도 성에프레임의 보습들이 항상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이에 따라 고른 경심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메인프레임과 성에프레임은 물론 보습이 구조적으로 간단하여 가벼움은 물론 견고하며, 특히 성에의 보습지지간에 장착된 보습과 볏의 상/하단이 넓은 이상적인 형상으로 반전이 확실하고, 심경갈이에도 부식물의 매몰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Claims (8)

  1. 트랙터 후단의 상/하부 링크(L1,L2)에 연결할 수 있도록 상/하부 브라켓트(11a,11b)를 갖는 연결프레임(12)이 형성되고 이 연결프레임(12) 의 후단에 성에프레임(20)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연결몸체(13)가 형성된 메인프레임(10) ; 이 메인프레임(10)단부의 힌지연결몸체(13)에 힌지축(18)으로 연결되는 힌지연결몸체(22)가 형성되고 이 힌지연결몸체(22)의 하단에 후방으로 길다란 성에(21)가 장착되며 이 성에(21)에 보습(24) 및 볏(25)을 갖는 수개의 보습지지간(26)이 일렬로 체결된 성에프레임(20) ; 상기 메인프레임(10)에 대하여 성에프레임(20)이 상대적으로 회전되도록 메인프레임(10)의 연결프레임(12)과 성에프레임(20)의 힌지연결몸체(22)에 서로 연결되어 있는 유압작동기구(30) ; 상기 성에프레임(20)이 트랙터의 양측 바퀴폭에 따라 전후로 조정 가능하도록 성에(21) 및 힌지연결몸체(22)에 각각 고정되며 양측에 서로 일치되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체결공(27a,28a)에 각각 체결보울트(23)를 관통시켜 고정하는 체결판(27,28)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27a,28a) ; 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힌지연결몸체(13)을 일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12)과 힌지연결몸체(13)가 4절링크 방식으로 연결된 2개의 링크(15) ; 상기 링크(15)의 하면에는 그 링크(15)가 평면상 중앙의 기준선상에 위치되었을 때 서로 일치되는 고정핀홀(16) ; 상기 고정핀홀(16)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핀(17) ; 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각 링크(15)에는 성에프레임(20)이 반전되었을 때 힌지연결몸체(13)의 핀(13a)과 제2연결간(32)의 핀(19a)의 사이간격을 갖도록 핀(34a,34b)이 형성되고 이 핀(34a,34b)들에 끼워지는 핀홀(35a,35b)을 갖는 별도의 고정판(35)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힌지연결몸체(13)을 일측으로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힌지연결몸체(22)의 브라켓트(29) 단부에 일측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유압작동기구(30)의 피스톤 로드(30a)가 연결되는 제1연결간(31) ; 이 제1연결간(31)의 단부와 연결되고 메인프레임(10)측 힌지연결몸체(13)의 힌지핀(13a)에 설치되는 제2연결간(32) ; 상기 힌지연결몸체(13)를 일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힌지연결몸체(13)와 제2연결간(32)에는 평면상 서로 일치되도록 형성된 세팅홀(33a,33b) ; 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 및 성에프레임(10)의 힌지연결몸체(13,22)에는 힌지축(18)에 의해 수직선상을 기준으로하여 전방으로 5° ~ 15°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18)은 상방으로 힌지축(18)의 경사각만큼 구부러진 힌지연결몸체(13) 단부의 경사면에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축홀(19)과, 상기 힌지연결몸체(23)의 경사면과 상응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힌지연결몸체(22)의 경사면에 형성된 힌지축홀(36)로 끼워져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6.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프레임(20)의 성에(21)가 길다란 사각관에 하나의 넓은 체결판(27)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7. 제1항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에프레임(20)의 성에(21)가 길다란 2개의 후판재에 길이방향으로 양분된2개의 체결판(27a)을 각각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연결프레임(120)의 중앙에 평면상 아자형(ㅏ字形)으로 힌지부(102)을 갖는고정바(104)가 유동되지 않도록 용접 고정되고, 이 고정바(104)의 선반 양측에서 힌지연결몸체(22) 양측의 브라켓트(29)에 각각 유압작동기구(30)가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터용 양날쟁기.
KR2019960012056U 1996-05-16 1996-05-16 트랙터용 양날쟁기 KR0140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56U KR0140801Y1 (ko) 1996-05-16 1996-05-16 트랙터용 양날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2056U KR0140801Y1 (ko) 1996-05-16 1996-05-16 트랙터용 양날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08U KR970060208U (ko) 1997-12-10
KR0140801Y1 true KR0140801Y1 (ko) 1999-03-20

Family

ID=19456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2056U KR0140801Y1 (ko) 1996-05-16 1996-05-16 트랙터용 양날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8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208U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7202A (en) V-shaped highway snow plows
US4418759A (en) Soil leveling apparatus
US3041751A (en) Ditcher apparatus
BR112019016773A2 (pt) Ferramenta de subsolo para fixação a uma barra de ferramentas de um trator, sistema para melhoramento do solo e método para melhorar a compactação do solo
KR0140801Y1 (ko) 트랙터용 양날쟁기
US20210131059A1 (en) Floating earth levelling blade assembly with shoes
US4194573A (en) Agricultural subsoil implement including flow divider for wheel assemblies
CN107493702B (zh) 一种旋耕平整复合作业机
US5280826A (en) Coulter adjusting device for reversible plow
KR102418204B1 (ko) 심경 작업용 쟁기 구조체
CN211267588U (zh) 一种农用平地机旋转式耕幅变位装置
US20210115645A1 (en) Earth moving implement with adjustable configuration earth moving blades
DE2329711C3 (de) Planiergerät
US4691785A (en) Reversible plow and carriage
US4607441A (en) Stone digging attachment for front end loader attachment of a tractor
JPH03503239A (ja)
KR100389714B1 (ko) 트랙터용 쟁기
CN208821166U (zh) 葡萄种植用耕地犁头
CN220359690U (zh) 一种便于调节的农业机械用多齿犁
KR102074382B1 (ko) 경심조절구조를 갖는 쟁기
KR200384623Y1 (ko) 논둑 조성장치
SU1724036A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рыхлител почвы
CN219644510U (zh) 灭茬碎土折叠卫星平地机
CN111656885B (zh) 一种应用于池塘清淤用省力的翻土铁锹
KR102201039B1 (ko) 트랙터에 분할 결합되는 착탈식 그레이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