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386Y1 -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386Y1
KR0140386Y1 KR2019960059181U KR19960059181U KR0140386Y1 KR 0140386 Y1 KR0140386 Y1 KR 0140386Y1 KR 2019960059181 U KR2019960059181 U KR 2019960059181U KR 19960059181 U KR19960059181 U KR 19960059181U KR 0140386 Y1 KR0140386 Y1 KR 01403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ctifier
energy
pow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1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039U (ko
Inventor
정승면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591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3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0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0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3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3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2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 B60W10/2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energy storage means for electrical energy, e.g. batteries or capaci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규정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구성은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변환장치, 상기 에너지변환장치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정류하는 정류소자, 상기 정류소자에서 정류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정류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분류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에 의해 분류된 전류의 크기가 일정치 이상이면 상기 정류소자를 오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은, 션트저항을 통해 배터리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정류기의 정류소자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사이클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과전류에 의한 열화를 막을 수 있어 배터리의 신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본 고안은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에 인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여 규정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이를 제어하도록 마련된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의미의 엔진-전지 하이브리드방식의 전기자동차(이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라 한다.)는 전기자동차의 실용화보급의 최대의 과제인 주행성능, 항속거리 등 동력성능을 보완하기 위하여, 고정 회전수(RPM) 값을 갖는 내연기관을 탑재하는 자동차를 말하며, 기존 내연기관차량에 비해 열효율이 좋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청정하다. 따라서, 저공해차로서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직렬과 병렬방식으로 대별되는데 직렬방식은, 엔진의 동력을 발전기를 통해 전력으로 변환하여 이를 전지에 충전한 후, 충전된 전력으로 전동기를 구동하며, 병렬방식은 엔진, 발전기, 구동계가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엔진주행시에는 여유분의 동력을 전지에 충전하고, 전지에 의한 주행시에는 엔진이 발전기에 동력을 공급하여 전지에 전력을 공급한다.
도 1은 전술한 직렬방식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원 제어 블럭도로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내연기관인 엔진(10), 상기 엔진(10)과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엔진(10)의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20), 상기 발전기(20)에서 발생된 교류전원을 정류시켜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기(30), 상기 정류기(30)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동력에너지 및 타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소비시키는 부하(40), 상기 발전기(2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중 여분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50) 등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10)은 현재 사용중인 가솔린 자동차의 내연기관과 동일한 개념으로 제작된 것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하기 위해 고효율의 고정 회전수를 갖는 엔진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고정 회전수 특성에 힘입어 현재의 가솔린 자동차의 배기가스보다 더 청정한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저공해 자동차로서의 잇점을 구비한다. 이러한 엔진(10)은 발전기(20)와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기계적인 에너지를 전기적인 에너지로 변환시키게 된다.
상기 발전기(20)는 영구자석((Permanent Magnet)형 발전기로서, 그 대략적인 구조는 발전기 고정자의 소정위치에 고정되어 설치된 전기자 코일, 상기 전기자 코일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영구자석을 취부한 회전자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영구자석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전기자 코일과 상기 영구자석 회전자 사이에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Fleming's right hand rule)에 의한 기전력이 유기된다. 상기 발전기로부터 발생된 교류전원은 정류기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정류기(30)는 정류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다이오드에 의해 구성되는바, 발전기(20)의 각상에 전기적으로 결선된 다이오드와 그 캐소드단에 상기 영구자석형 발전기(20)에서 출력되는 교류전압의 위상을 제어하는 다이리스터가 마련되어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변환된 직류전원은 차량에 소요되는 모든 부하의 전력을 충당하게 된다. 그리고, 여분의 전류는 배터리(50)에 저장함으로써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 시스템에 대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방식에서는 엔진의 급격한 회전변화에 의해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과전류가 배터리에 직접 인가됨으로써 배터리를 과열시키게 되고, 더 나아가 열화에 의한 배터리 자체의 소손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원이 과전류인경우 이를 차단하여 배터리를 보호하는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충전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엔진 20 : 발전기
30 : 정류기 40 : 부하
50 : 배터리 60 : 션트저항
70 : 제어장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변환장치, 상기 에너지변환장치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정류하는 정류소자, 상기 정류소자에서 정류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정류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분류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에서 분류된 전류의 크기가 일정치 이상이면 상기 정류소자를 오프 제어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보호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보면, 내연기관인 엔진(10), 상기 엔진(10)과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엔진(10)의 동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기(20), 상기 발전기(20)에서 발생된 교류전원을 정류시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기(30), 상기 정류기(30)에서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동력에너지 및 타 에너지 형태로 변환하여 소비시키는 부하, 발전기(20)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중 여분의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다시 방전시켜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50), 상기 배터리(50)에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의 전류치를 분류하는 션트저항(shunt)(60), 션트저항(60)에서 분류된 전류치를 인가받아 배터리(50)에 인가되는 전기에너지가 과전류로 판단되면, 정류기(30)를 제어하여 배터리(40)에 인가되는 전기에너지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장치(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중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표시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대신한다.
상기 션트저항(shunt)(60)은 측정하고자 하는 전로에 흐른는 전류치가 큰경우 상기 전로와 병렬로 회로를 구성한 다음, 이에 병렬회로에 설치되어 처음 인가된 전류를 분류하여 전류의 크기를 낮추고, 이를 쉽게 측정하도록 하여 측정된 전류치를 연산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전로의 전류치를 알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의 동작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엔진(10)은 현재 사용중인 가솔린 자동차의 내연기관과 동일한 개념으로 제작된 것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탑재하기 위해 고정 회전수의 특성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 엔진(10)은 발전기(20)와 기계적으로 직결되어 있어 기계적에너지를 발전기(20)에 공급하고 발전기(20)로부터 전기적에너지를 출력 받는다. 이 출력된 전기에너지는 교류전원으로서 이를 전기자동차에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정류기(30)를 통해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발전기(20)의 영구자석형 회전자가 회전하게 되면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Fleming's right hand rule)에 의해 코일권선에 기전력이 유기되는데, 이 기전력이 정류특성을 구비하고 있는 정류소자 회로에 인가되면 이로부터 정류된 직류전원을 얻게 된다. 즉, 상기 정류소자 회로는 다이오드와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ilicon controlled rectifier)로 정류 및 위상제어를 수행하여 직류전원을 얻게 된다. 이 정류된 직류전원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소요되는 모든 부하(40)에 전원을 공급하고, 여분의 전류를 배터리(50)에 저장한다. 상기 배터리(50)에 저장되는 전기에너지는 션트저항(60)을 통해 배터리(50)로 충전되는데, 션트저항(60)은 측정하고자 하는 전로에 병렬로 회로를 구성한 다음, 병렬회로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로에 흐르는 전류를 션트저항이 결선된 병렬회로에도 흐르게 하여 전류를 분류시킬 수 있게 된다. 이 병렬회로에 의해 분류된 전류는 션트저항에 의해 전류값이 더욱 작게 되고 이 작은 전류값을 제어장치(70)에 인가하여 정류기(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활용한다. 제어장치(70)는 션트저항(60)으로부터 인가된 소정치의 전류값과 미리 입력된 정전류일때의 분류기(60) 출력 전류값을 비교하여 분류기(60)로부터 인가된 소정치의 전류값이 더 클경우 이를 과전류 인가상태로 판단하여 배터리(50)에 인가되는 것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장치(70)에서 배터리(50)에 인가되는 전류값이 과전류로 판단되면 제어장치(70)는 정류기(30)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로우신호를 인가하여 게이트 단자의 전위를 떨어뜨려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를 턴-오프 시킨다. 따라서, 부하 및 배터리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킨다. 그리고, 배터리(50)에 인가되는 전원이 정전류 상태로 복귀되면 제어장치(70)는 정류기(30)의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의 게이트 단자에 하이신호를 인가하여 게이트 단자의 전위를 상승시켜 트리거 시킴으로써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를 턴-온 하게 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직류전원을 부하 및 배터리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그밖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는, 분류기를 통해 배터리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검출하여 정류기의 정류소자를 제어함으로써 배터리에 인가되는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터리의 수명사이클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과전류에 의한 열화를 막을 수 있어 배터리의 신뢰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를 공급받아 동력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동력발생장치, 상기 동력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동력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에너지변환장치, 상기 에너지변환장치에서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정류하는 정류소자, 상기 정류소자에서 정류된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고 이를 필요에 따라 방전하는 배터리, 상기 정류기와 상기 배터리 사이에 병렬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분류하는 션트저항, 상기 션트저항에 의해서 분류된 전류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전류값 이상이면 과전류로 판단하여 상기 정류소자를 오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KR2019960059181U 1996-12-27 1996-12-27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KR01403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181U KR0140386Y1 (ko) 1996-12-27 1996-12-27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181U KR0140386Y1 (ko) 1996-12-27 1996-12-27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039U KR19980046039U (ko) 1998-09-25
KR0140386Y1 true KR0140386Y1 (ko) 1999-05-15

Family

ID=19484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181U KR0140386Y1 (ko) 1996-12-27 1996-12-27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38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037A (ko) * 2014-04-16 2015-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의 전류 센싱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0037A (ko) * 2014-04-16 2015-10-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션트저항 타입 전류센서를 이용한 차량용 배터리의 전류 센싱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039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401A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batteries of different voltages which are charged according to alternator speed
US7327123B2 (en) Controller for AC generator
US8093772B2 (en) Controller for AC generator
US20040246641A1 (en) Inverter control unit for motor driving and air-conditioner employing the same
US8975886B2 (en) Charging and distribution control
JP3489523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H06335298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制御方法及び出力制御装置
US7944183B2 (en) Output voltage controller for AC vehicle generator
CN101640433A (zh) 蓄电池充电装置
US6222349B1 (en) Temperature feedback control of alternator output power
KR0123543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압조정기
US6181111B1 (en) Permanent magnet alternator system for battery charging
KR0140386Y1 (ko) 배터리 과충전 전류 제한 장치
JP4097361B2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H05276800A (ja) 交流発電機の端子電圧を制限するための装置
JPH089567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制御方法及び出力制御装置
JP2705072B2 (ja) 車両の充電装置
KR0184809B1 (ko) 복합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충전시스템
JPH0994661A (ja) 溶接機能付車載発電装置
JP2956061B2 (ja) 車両用電源装置
KR0125277Y1 (ko) 교류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JP3127752B2 (ja) 自励式回転界磁形同期発電装置
KR19980027471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보조동력장치 제어시스템
KR19980049981U (ko) 복합 전기자동차 엔진제어장치
KR19990017612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보조전력장치의 제어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