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55Y1 - 종합신체단련기구 - Google Patents

종합신체단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55Y1
KR0140155Y1 KR2019950017529U KR19950017529U KR0140155Y1 KR 0140155 Y1 KR0140155 Y1 KR 0140155Y1 KR 2019950017529 U KR2019950017529 U KR 2019950017529U KR 19950017529 U KR19950017529 U KR 19950017529U KR 0140155 Y1 KR0140155 Y1 KR 01401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pair
coupled
arm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7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327U (ko
Inventor
안정용
Original Assignee
안정용
주식회사밴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용, 주식회사밴스포츠 filed Critical 안정용
Priority to KR2019950017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155Y1/ko
Publication of KR9700043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3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 A63B21/0083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force-resisters of the piston-cylinde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245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shoulder j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합신체단련기구, 더욱 상세하게는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등을 골고루 행하도록 여러가지 운동수단을 하나의 기틀상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인의 선등록된 국내실용신안공보 공보번호 제94-2361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으로 저면에 밀착고정되어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메인후레임과, 상기 메인후레임의 상단에 후단이 결합고정되며 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헤드후레임과 상기 헤드후레임의 중간부위에 선단이 결합되며 하단은 받침대가 구비된 메인후레임에 결합한 시트후레임으로 구성된 전체골격에 팔, 다리, 가슴 및 복근삼두운동을 골고루 행할 수 있는 각종운동구등을 갖춘 공지구조의 종합신체단련기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후레임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한 수평지지대 내부에 전후회동축을 구성하고, 상기 전후회동축의 양단부에 제1힌지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한쌍의 아암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아암부재가 전후좌우로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한 팔운동겸가슴운동구와, 한쌍의 다리받침구를 구비한 시트후레임의 선단에 형성된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유설되어 상하회동되도록 형성된 회동후레임의 하단에 위치변위가 가능한 발걸이를 힌지결합한 다리운동구를 구성하여 본고안의 종합신체단련기구를 구성하되, 상기팔운동겸 가슴운동구를 헤드후레임의 상단부위에 일체로 형성한 속이빈(空) 수평지지후레임의 내부로 헐겁게 끼워지는 회동축과, 하단부위에 ㄷ자형 그립(Grip)을 결합하며, 중간부위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사이에 간격유지용 후레임의 양측을 힌지볼트로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결합부를 형성한 한쌍의 F자형 아암부재를 구성하여 상기 아암부재의 양측선단부를 상기 수평지지후레임의 내부에 회동자재되도록 끼워진 회동축의 양측선단에 결합핀으로 결합하여 상기 아암부재가 회동축의 제1힌지결합부와 아암부재의 제2힌지결합부를 중심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다리운동구를 한쌍의 다리받침구를 구성한 시트후레임의 시트설치부선단에 관절부를 형성하고, 상기 관절부에 한쌍의 발걸이와 롤러를 구비하는 회동후레임으로 구성하되, 상기 회동후레임의 하단에 구비된 발걸이를 한쌍의 작동편을 이용하여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써 이용자의 신체조건 특히, 다리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운동자재토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팔운동겸가슴운동구의 하단부위에 결합되는 그립(Grip)은, 상측결합부는 짧고 하측결합부는 길게 형성하여 아암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시 아암부재의 내측으로 하측결합부가 내향 돌설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수직손잡이와 수평손잡이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헤드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팔운동겸가슴운동구의 부속품을 대폭간소화하여 조립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함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소비자의 지출부담을 줄이고, 상기 시트후레임의 시트설치부 선단에 형성된 다리운동구의 회동후레임하단에 발걸이를 작동편을 이용하여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서 다리의 길이가 길고 짧음의 신체적 조건과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다리운동을 즐길 수 있는 등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토록 하는 종합신체단련기구의 조립 및 사용의 폭과 효과를 극대화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종합신체단련기구
제1도는 종래의 구성상태예시도.
제2도는 제1도의 팔운동겸용 가슴운동구로서,
a도는 요부분해사시도.
b도는 요부구성상태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다리운동구의 구성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체구성상태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팔운동겸용 가슴운동구의 구성상태예시도로서 ,
a도는 팔운동겸용 가슴운동구의 요부분해사시도.
b도는 팔운동겸용 가슴운동구의 작동상태예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운동구의 구성상태예시도로서,
a도는 다리운동구의 요부분해사시도.
b도는 다리운동구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수평지지후레임 31 : 회동축
32 : 결합핀 33 : 제1힌지결합부
40 : 팔운동겸가슴운동구 41 : 아암부재
42 : 그립(Grip) 43 : 결합편
44 : 보조후레임 45 : 힌지볼트
46 : 제2힌지결합부 50 : 다리운동구
51 : 관절부 52 : 발걸이
54 : 회동후레임 55 : 다리받침구
56 : 작동편 100 : 메인후레임
200 : 헤드후레임 300 : 시트후레임
본 고안은 종합신체단련기구, 더욱 상세하게는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등을 골고루 행하도록 여러가지 운동수단을 하나의 기틀상에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으로 본인의 선등록된 국내실용신안공보 공보 공고번호 제94-2361호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복잡다변화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매연, 소음등과 같은 주위환경적요인으로 스트레스가 쌓이게되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나약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렇게 쌓인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르리 해소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술이나 담배등과 같은 기호식품을 지나치게 가까이 하게 되는데 이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육체나 정신에 더욱 손상을 입히는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그렇다고 산책이나 조깅을 하기에는 시간이나 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게된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유지하기 위한 한방편으로 다양한 운동기구들을 이용하였는데 특히 하나의 운동기구에 여러가지 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종합신체단련기구들이 선보여 이들을 주로 선호하였다. 이들 종합신체단련기구들은 실내나 실외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들기존의 종합신체단련기구들은 여러가지 기구가 복합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인해 그 조립 및 설치가 매우 어렵고 번거로웠다. 즉, 종래의 종합신체단련기구는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의 저부기틀(2) 상면으로 한쌍의 수직지지대(4)(4')를 입설하고, 상기 수직지지대(4)(4')의 상단부위로는 그 수직지지대(4)(4')에 대하여 수평상으로 상부기틀(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기틀체에 팔, 다리운동, 가슴 및 복근운동, 삼두운동등을 골고루 행하도록 각종운동구를 구성하되, 상기 팔운동겸 가슴운동구(10)는 첨부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단부위에 그립(Grip)(11)과 쿳숀부재(12)를 설치한 한쌍의 ㄱ자형 아암부재(13)와, 상기 고정틀(8)의 하단에 형성된 받침단부(段部)(9)에 얹혀진 연결통체(21)의 양측에 그 연결통체(21)에 대하여 수직으로 고착된 내부가 빈(空) 4각수직통체(20)와, 그 수직통체(20)내부에 좌, 우로 회동가능케 되어 헐겁게 끼워지는 상기 아암부재(13)들의 상단부위에 일체로 하여 수직으로 고착시킨 회동축(14)과, 상부기틀(6)로 부터 수평으로 되어 고착된 고정축(6a)의 양측 부위로 회동가능케 헐겁게 끼워지며, 수직통체(20)와 일체로 고착되는 4각형상의 수평통체(22)로 부터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통체(20)내부로 헐겁게 끼워지는 회동축(14)들은 그 상단부위를 상단에 형성된 고정구멍(14a)을 개재하여 고정보울트(15)로써 고정시키기 때문에, 아암부재(13)들은 수직통체(20)에 견고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아암부재(13)를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내측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축(14)이 수직통체(20)를 지점으로하여 회동되는바, 아암부재(13)역시 회동되는 것이며, 또한 아암부재(13)를 잡고서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한 윗쪽 화살표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아암부재(13)는 연결통체(21)로 연결된 수직통체(20)와 그 수직통체(20)에 일체로 부착된 수평통체(22)와 같이 고정축(6a)을 지점(支点)으로 하여 상부로 회동된다.
또한 종래의 다리운동구(60)는 수직지지대(4)의 하측에 한쌍의 다리받침구(62)를 구성한 시트설치부(63)를 착설하여 그 선단에 관절부(64)를 형성하고, 상기 관절부(64)에 한쌍의 발걸이(65)와 롤러(61)를 구비한 회동후레임(67)을 유설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팔운동겸 가슴운동구(10)는 부속품의 가지수가 많아 필요한 부속품의 가공 및 가공된 부속품의 조립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에 걸리는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것이어서 결국 제품의 원가가 상승되며 소비자가 그 모든것을 부담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다리운동구(60)는 다리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시트 설치부(63)에 설치된 시트(63a)에 앉은 다음, 상기 시트설치부(63)선단에 설치된 다리받침구(62)에 대퇴부를 올려놓고 다리운동구(60)의 발걸이(65)에 발을 걸은다음 다리를 펼쳐서 다리운동을 하여야만 하는데 상기 회동후레임(67)의 하단에 설치된 발걸이(65)가 고정설치되어 위치변위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시트설치부(63)선단에 설치된 다리받침구(62)와 상기 회동후레임(67)의 하단에 설치된 발걸이(65)와의 거리는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비교적 다리의 길이가 짧은 사람들은 발을 발걸이(65)에 걸기가 매우 어려웠으며, 이와반대로 다리의 길이가 긴사람은 발이 발걸이(65) 밑으로 많이 내려가기 때문에 다리운동을 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것으로 팔운동겸 가슴운동구의 부속품을 대폭간소화하여 조립 및 설치를 간편하게 함으로써 제품의 원가를 절감토록 함은 물론, 다리운동구의 발걸이를 회동후레임의 하단에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써 신체적인 조건 특히 다리의 길고 짧음과 관계없이 누구나 용이하게 다리운동을 할 수 있는 종합신체단련기구를 제공함에 그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저면에 밀착고정되어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메인후레임과, 상기 메인 후레임의 상단에 후단이 결합고정되며 선단에 롤러를 설치한 헤드후레임과 상기 헤드후레임의 중간부위에 선단이 결합되며 하단은 받침대가 구비된 메인후레임에 결합한 시트후레임으로 구성된 전체골격에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을 골고루 행할 수 있는 각종운동구등을 갖춘 공지구조의 종합신체단련기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후레임의 상단면에 일체로 형성한 수평지지대 내부에 전후회동축을 구성하고, 상기 전후회동축의 양단부에 제1힌지결합부가 형성되도록 한쌍의 아암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아암부재가 전후좌우로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한 팔운동겸가슴운동구와, 한쌍의 다리받침구를 구비한 시트후레임의 선단에 형성된 관절부와 상기 관절부에 유설되어 상하회동되도록 형성된 회동후레임의 하단에 위치변위가 가능한 발걸이를 힌지결합한 다리운동구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저면에 받침대(101)를 구비한 메인후레임(100)과, 상기 메인후레임(100)의 상단에 후단이 결합고정되며 롤러(201)를 설치한 선단 양측에 받침대(202)를 구비한 헤드후레임(200)과, 상기 헤드후레임(200)의 중간부위에 선단이 결합되며 하단은 메인후레임(100)부위에 한쌍의 다리(301)로 결합한 시트후레임(300)으로 전체골격을 구성하고, 상기 메인후레임(100)하측에는 양측선단이 결합되어 신축가능케 작동하는 한쌍의 피스톤저항체(11)와, 그 피스톤저항체(11)의 타측선단에 결합되어 회동가능케 지지된 발판(12)으로 구성된 워킹운동구(10)와, 상기 메인후레임(100)의 상측에는 수평으로 설치된 평행봉운동구(20)가 구성되며, 상기 헤드후레임(200)의 상단부위에는 수평상으로 고착된 속이 빈(空) 수평지지후레임(30)의 내부에 삽설되는 회동축(31)과 제1힌지결합부(33)로 상단이 연설되어 상, 하 및 좌우로 회동되도록 한쌍의 F형 아암부재(41)를 형성하여 팔운동겸가슴운동구(40)를 구성하고, 상기 시트후레임(300)의 시트설치부(300a)선단에 관절부(51)를 형성하고, 상기 관절부(51)에 위치변위가 가능한 한쌍의 발걸이(52)와 롤러(53)를 구비한 회동후레임(54)을 유설하여 다리운동구(50)를 구성함으로써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등을 골고루 행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팔운동겸 가슴운동구(40)는 첨부도면 제5도와 같이 헤드후레임(200)의 상단부위에 일체로 형성한 속이 빈(空) 수평지지후레임(30)의 내부로 헐겁게 끼워지는 회동축(31)을 구성하고, 하단부위에 ㄷ자형 그립(Grip)(42)을 결합하며, 중간부위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4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43)사이에 간격 유지용 보조후레임(44)의 양단을 힌지볼트(45)로써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결합부(46)를 형성한 한쌍의 F자형 아암부재(41)를 구성하여, 상기 아암부재(41)의 양측선단부(41a)를 상기 수평지지후레임(30)의 내부에 회동자재되도록 끼워진 회동축(31)의 양측선단에 결합핀(32)으로 결합하여 제1힌지결합부(3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아암부재(41)가 회동축(31)을 중심으로 한 제1힌지결합부(33)와 이와 중심선상이 일치되도록 아암부재(41)에 형성한 제2힌지결합부(46)를 중심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팔운동겸가슴운동구(40)의 아암부재(41)하단에 천공된 결합공(41b)에 결합되는 그립(42)은, 첨부도면 제5도의 (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결합부(42a)는 짧고 하측결합부(42b)는 길게 형성하여, 상기 결합공(41b)에 결합시 상기 아암부재(41)의 내측으로 하측결합부(42b)가 내향돌설되도록하여 수직손잡이(42')와 수평손잡이(42)가 동시에 형성되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다리운동구(50)는 첨부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한쌍의 다리받침구(55)를 구비한 시트후레임(300)의 시트설치부(300a)선단에 관절부(51)를 형성하고, 상기 관절부(51)에 한쌍의 발걸이(52)와 롤러(53)를 구비하는 회동후레임(54)을 구성하되, 상기 회동후레임(54)의 하단에 형성되는 발걸이(52)를 한쌍의 작동편(56)을 이용하여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써 이용자의 신체조건 특히, 다리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운동자재토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종합신체단련기구에 구비된 팔운동겸가슴운동구(40)를 이용하여 팔운동겸가슴운동을 하고자할 경우에는 시트후레임(300)의 시트 결합부(300a)상면에 설치된 시트(302)에 앉은 다음, 첨부도면 제5도의 (a),(b)와 같이 헤드후레임(200)의 상단부위에 일체로 형성된 수평지지후레임(30)내부로 헐겁게 끼워지는 회동축(31)의 양단에 선단(41a)이 결합핀(32)으로 결합되어 회동자재되는 한쌍의 아암부재(41)의 하단에 결합된 그립(42)의 수평손잡이(42)를 잡고 앞으로 밀면 선단(41a)이 회동축(31)에 결합핀(32)으로 결합되어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한 아암부재(41)가 상기 제1힌지결합부(33)의 회동축(31)을 중심축으로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아암부재(41)의 하단에 결합된 수직손잡이(42')를 손으로 잡고 안쪽화살표방향으로 돌리면 아암부재(41)의 선단(41a)을 회동축(31)에 결합하여 제1힌지결합부(33)를 구성하는 결합핀(32)과, 이와 중심선상이 일치되도록 상기 아암부재(41)의 중간부위에 형성한 한쌍의 결합편(43)과 상기 결합편(43)에 보조후레임(44)의 양측을 힌지 결합하여 제2힌지결합부(46)를 구성하는 힌지 볼트(45)를 기점으로 좌우측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팔운동겸 가슴운동을 아주 간편한 방법으로 즐길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리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도면 제6도의 (b)와 같이 시트후레임(300)의 시트설치부(300a)선단에 설치된 다리받침구(55)에 다리의 대퇴부를 올려놓고 다리운동구(50)의 발걸이(52)에 발을 걸어서 다리를 펼치면 상기 다리운동구(50)의 회동후레임(54)이 관절부(51)를 기준으로 상향회동하면서 다리운동을 즐기게 되는데 이때 다리운동구(50)의 발걸이(52)는 회동후레임(54)의 하단에 한쌍의 작동편(56)으로 힌지결합되어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길고 짧음과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다리운동을 즐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헤드후레임의 중간부위에 설치되는 팔운동겸가슴운동구의 부속품을 대폭간소화하여 조립 및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함은 물론 생산원가를 절감하여 소비자의 지출부담을 줄이고, 상기 시트후레임의 시트설치부 선단에 형성된 다리운동구의 회동후레임 하단에 발걸이를 작동편을 이용하여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서 다리의 길이가 길고 짧음의 신체적 조건과 관계없이 매우 용이하게 다리운동을 즐길 수 있는등 현대인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건강한 삶을 영위토록 하는 종합신체단련기구의 조립 및 사용의 폭과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신규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저면에 밀착고정되어 전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는 받침대(101)를 구비한 메인후레임(100)과, 상기 메인후레임(100)의 상단에 후단이 결합고정되며 선단에 롤러(201)를 설치한 헤드후레임(200)과, 상기 헤드후레임(200)의 중간부위에 선단이 결합되며 하단은 받침대(101)가 구비된 메인후레임(100)에 결합한 시트후레임(300)으로 구성된 전체골격에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을 골고루 행할 수 있는 각종운동구등을 갖춘 공지구조의 종합신체단련기구에 있어서, 상기 헤드후레임(200)의 상단부위에 일체로 형성한 속이빈(空) 수평지지후레임(30)의 내부로 헐겁게 끼워지는 회동축(31)과, 하단부위에 ㄷ자형 그립(Grip)(42)을 결합하며, 중간부위에 서로 대향되는 한쌍의 결합편(4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편(43)사이에 간격유지용 보조후레임(44)의 양측을 힌지볼트(45)로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결합부(46)를 형성한 한쌍의 F자형 아암부재(41)를 구성하여 상기 아암부재(41)의 양측선단부(41a)를 상기 수평지지후레임(30)의 내부에 회동자재되도록 끼워진 회동축(31)의 양측선단에 결합핀(32)으로 결합하여 상기 아암부재(41)가 회동축(31)의 제1힌지결합부(33)와 아암부재(41)의 제2힌지결합부(46)를 중심으로 상, 하 또는 좌, 우로 회동자재되도록 구성한 팔운동겸가슴운동구(40)와, 한쌍의 다리받침구(55)를 구성한 시트후레임(300)의 시트설치부(300a)선단에 관절부(51)를 형성하고, 상기 관절부(51)에 한쌍의 발걸이(52)와 롤러(53)를 구비하는 공지의 회동후레임(54)의 하단에 구비된 발걸이(52)를 한쌍의 작동편(56)을 이용하여 위치변위가 가능하도록 힌지결합함으로써 이용자의 신체조건 특히, 다리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운동자재토록 다리운동구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신체단련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운동겸가슴운동구(40)의 하단부위에 결합되는 그립(Grip)(42)은, 상측결합부(42a)는 짧고 하측결합부(42b)는 길게 형성하여 아암부재(41)의 하단에 형성된 결합공(41b)에 결합시 아암부재(41)의 내측으로 하측결합부(42b)가 내향돌설되도록 함으로써 수직손잡이(42')와 수평손잡이(42)가 동시에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신체단련기구.
KR2019950017529U 1995-07-18 1995-07-18 종합신체단련기구 KR01401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529U KR0140155Y1 (ko) 1995-07-18 1995-07-18 종합신체단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7529U KR0140155Y1 (ko) 1995-07-18 1995-07-18 종합신체단련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27U KR970004327U (ko) 1997-02-19
KR0140155Y1 true KR0140155Y1 (ko) 1999-05-15

Family

ID=1941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7529U KR0140155Y1 (ko) 1995-07-18 1995-07-18 종합신체단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1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094B1 (ko) * 1999-11-25 2002-07-05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100367725B1 (ko) * 2000-12-30 2003-01-10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KR100413225B1 (ko) * 2000-11-24 2003-12-31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100413224B1 (ko) * 2001-02-09 2003-12-31 허영백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 재활운동시스템
KR100653530B1 (ko) * 2006-05-16 2006-12-05 부천시 시설관리공단 휠체어 이용 장애우 또는 재활치료자를 위한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59B1 (ko) * 2006-08-09 2006-12-04 이용로 다기능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094B1 (ko) * 1999-11-25 2002-07-05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100413225B1 (ko) * 2000-11-24 2003-12-31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장치
KR100367725B1 (ko) * 2000-12-30 2003-01-10 허영백 부하기구 및 이를 이용한 허리운동시스템
KR100413224B1 (ko) * 2001-02-09 2003-12-31 허영백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 재활운동시스템
KR100653530B1 (ko) * 2006-05-16 2006-12-05 부천시 시설관리공단 휠체어 이용 장애우 또는 재활치료자를 위한 복합헬스운동기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327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9533A (en) Swivel platform with detachable backrest and resilient exercise cords
US5685810A (en) Leg exercise equipment
KR0140155Y1 (ko) 종합신체단련기구
KR200436589Y1 (ko) 다리 스트레칭 기구
CN201182383Y (zh) 一种运动型家具
KR0140158Y1 (ko) 체중을 이용한 종합신체단련기구
KR200156582Y1 (ko) 종합신체단련기구
CN113546375A (zh) 一种家用综合型健身器
CN209236729U (zh) 多功能甩脂机
KR970002964Y1 (ko) 종합신체단련기구
KR0140157Y1 (ko) 종합 신체 단련용 벤치프레스
KR0140159Y1 (ko) 탄성밴드식 신체단련기구
KR0140156Y1 (ko) 종합운동기구
CN217548911U (zh) 训练杆横移装置
CN219167644U (zh) 一种门架用摆动深蹲架
CN219896939U (zh) 腿部训练器及包含其的腿部训练系统
CN219721826U (zh) 拉筋板
CN2501531Y (zh) 可折叠的健身器
CN2391499Y (zh) 健身椅
CN210644515U (zh) 折叠甩脂机座椅及甩脂机
CN218474866U (zh) 一种可调平衡跷跷板
KR950013910B1 (ko) 취침 및 체력단련겸용 매트리스
RU222556U1 (ru) Стол для армрестлинга
KR200352326Y1 (ko) 하체운동기
KR200463896Y1 (ko) 체중을 이용한 플라이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