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156Y1 - 종합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종합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156Y1
KR0140156Y1 KR2019960016190U KR19960016190U KR0140156Y1 KR 0140156 Y1 KR0140156 Y1 KR 0140156Y1 KR 2019960016190 U KR2019960016190 U KR 2019960016190U KR 19960016190 U KR19960016190 U KR 19960016190U KR 0140156 Y1 KR0140156 Y1 KR 0140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exercise
seat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61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862U (ko
Inventor
안정용
Original Assignee
안정용
주식회사밴스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정용, 주식회사밴스포츠 filed Critical 안정용
Priority to KR20199600161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156Y1/ko
Publication of KR9800008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8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63B21/063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the weights being lifted by rigid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7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chest region, e.g. to the back che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abdomen, the spinal column or the torso muscles related to shoulders (e.g. chest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A63B2225/105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each station having its own resisting device, e.g. for training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종합신체단련기구에 관한 것으로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를 들어올리므로써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 등을 단일 기틀에서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지금까지의 세분화되었던 모든 운동기능을 총집합하여 동시에 두사람이 각기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받침과 후방받침을 ''H''형으로 결합하여서된 받침대에 등받이가 착설된 메인지지대를 입설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받침에 말굽형 후방지지대를 입설하여 상기 메인지지대와 후방지지대 상단을 헤드후레임으로 결합하여서 구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메인지지대와 받침대에 시트가 구비된 시트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후레임 선단양측에는 한쌍의 다리받침봉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는 끝단에 한쌍의 발걸이봉이 형성된 다리운동후레임을 회동하도록 구성한 다리운동기구와, 상기 시트후레임의 시트에 앉아서 운동하기가 용이하도록 좌, 우양측에 전후 회동하는 푸시암을 설치한 푸시운동기구와, 상기 시트에 앉아서 운동이 용이하도록 시트 상측 좌, 우 양측에 하단에는 홀더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모아지는 한쌍의 홀더암을 설치한 홀딩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후방지지대 일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서 회전암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도록 구성한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후방지지대에 어깨로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도록 평행봉을 구비한 작동후레임을 상하회동되게 설치한 하체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받침대와 헤드후레임사이에 중량 체안내봉을 설치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가 각 운동기구의 동작에 따라 들어올리도록 각 운동기구와 중량체를 연결한 연걸로우프와, 상기 몸체의 헤드후레임 선단에 설치된 로울러에 홀딩되는 로우프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에 걸어서 상체운동을 하도록한 상체운동암과, 시트후레임 선단에 회동되게 설치된 다리운동후레임의 끝단에 홀딩되는 로우프단부의 고리에 걸어서 끌어당기도록 구성한 당김봉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은 공간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여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를 배열함은 물론, 두사람이 동시에 서로 다른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거 두 대의 운동기구를 마련하여야 하던 것을 해소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가족중 두사람이 사이좋게 운동하므로써 가정의 화목함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종합운동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푸시운동기구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홀딩운동기구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회전운동기구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하체운동기구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리운동기구 및 당김봉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상체운동암의 구성 및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받침대
11a : 전방받침 11b : 후방받침
12 : 등받이 13 : 메인지지대
14 : 후방지지대 15 : 헤드후레임
15a, 33, 37b : 로울러 16 : 보조후레임
18 : 상체운동암 20 : 시트
21 : 시트후레임 22 : 다리받침봉
25 : 다리운동후레임 25a, 32a, 36a, 37a, 51a : 힌지
26 : 발걸이봉 28 : 당김봉
30 : 푸시암 30a : 푸시핸들
32 : 회동암 35 : 홀더
36 : 홀더암 37 : 작동암
38 : 시스스암 40 : 회전암
41 : 회전판 42 : 스톱파
45 : 셋팅손잡이 50 : 평행봉
51 : 작동후레임 60 : 중량체
61 : 중량체안내봉 70 : 로우프
75 : 고리
본 고안은 모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종합신체단련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량체를 들어올리므로써 팔, 다리, 가슴 및 복근, 삼두운동 등을 단일 기틀에서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지금까지의 세분화되었던 모든 운동기능을 총집합하여 동시에 두사람이 각기 다른 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복잡다변화하는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중한 업무와 매연, 소음등과 같은 주위환경적 요인으로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어 정신적으로나 육체적으로 많이 나약해지는 현상을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렇게 쌓인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임시방편으로 술이나 담배등과 같은 기호식품을 지나치게 가까이 하게 되는데 이는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육체나 정신에 더욱 손상을 입히는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그렇다고 산책이나 조깅등 다른 운동을 하기에는 시간이나 장소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현대인들은 건강한 정신과 육체를 유지하기 위한 한방편으로 다양한 운동기구들을 이용하고 있는바, 여기에 발맞추어 본출원인은 하나의 운동기구에 여러가지 운동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 종합신체단련기구들을 꾸준히 개발하여 소비자들의 건강유지에 최선의 노력을 함으로써 실내나 실외 등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선출원 종합운동기구들이 많이 있었으나 지금까지의 운동기구들은 국부적인 운동기구들을 분리구성함으로써 사실상 종합운동기구로서는 그 기능이 미흡하였으며, 주로 끌어당기는 운동을 위주로 개발되어 밀어내는 동작의 운동은 거의 없었고 팔전체를 이용한 운동방식이나 다리를 걸쳐서 하는 운동 및 팔을 들어올리는 운동기구가 상당히 복잡하게 구성되어 단일운동기구에 모든 기능을 갖추는데에는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제작보급이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운동기구에서 두사람이 각자 다른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없었던 것이 지금까지의 실정이었다.
본고안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단일기구에 복수셋트의 중량체를 이용하여 기존의 다리운동과 상체운동은 물론, 손으로 밀어내기 운동과 팔을 이용하여 오므리는 운동 및 다리를 걸쳐서 하는 운동과 들어올리는 운동이 기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각 부분을 고르게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균형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그 첫째 목적이 있으며, 팔로 밀어내는 푸시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앉는 시트양옆에 설치하여 운동하기에 편리하게 함은 물론, 다리를 걸치고 하는 운동이나 들어올리는 운동을 하는 회전운동기구를 회동식으로 구성하였으며, 두사람이 동시에 서로 다른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하여 좁은 공간을 보다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또다른 목적을 둔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합신단련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첨부도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받침(11A)과 후방받침(11B)을 ''H''형으로 결합하여서된 받침대(11)에 등받이(12)가 착설된 메인지지대(13)를 입설하고 상기 받침대(11)의 후방받침(11b)에 말굽형 후방지지대(14)를 입설하여 상기 메인지지대(13)와 후방지지대(14) 상단을 헤드후레임(15)으로 결합하여서 구성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메인지지대(13)와 받침대(11)에 시트(20)가 구비된 시트후레임(21)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후레임(21) 선단양측에는 한쌍의 다리받침봉(22)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는 끝단에 한쌍의 발걸이봉(26)이 형성된 다리운동후레임(25)을 회동하도록 구성한 다리운동기구와, 상기 시트후레임(21)의 시트(20)에 앉아서 운동하기가 용이하도록 좌, 우양측에 전후 회동하는 푸시암(30)을 설치한 푸시운동기구와, 상기 시트(20)에 앉아서 운동이 용이하도록 시트(20) 상측 좌, 우 양측에 하단에는 홀더(35)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모아지는 한쌍의 홀더암(36)을 설치한 홀딩운동기구와, 상기 몸체(10)의 후방지지대(14) 일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어서 회전암(40)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도록 구성한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몸체(10)의 후방지지대(14)에 어깨로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도록 평행봉(50)을 구비한 작동후레임(51)을 상하 회동되게 설치한 하체운동기구와, 상기 몸체(10)의 받침대(11)와 헤드후레임(15) 사이에 중량체안내봉(61)을 설치하여 결합하는 다수의 중량체(60)와, 상기 중량체(60)가 각 운동기구의 동작에 따라 들어올리도록 각 운동기구와 중량체(60)를 연결한 연결로우프(70)와, 상기 몸체(10)의 헤드후레임(15) 선단에 설치된 로울러(15a)에 홀딩되는 로우프(70)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75)에 걸어서 상체운동을 하도록한 상체운동암(18)과, 시트후레임(21) 선단에 회동되게 설치된 다리운동후레임(25)의 끝단에 홀딩되는 로우프(70)단부의 고리(75)에 걸어서 끌어당기도록 구성한 당김봉(28)으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푸시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상세도에서와 같이 몸체(10)의 받침대(11)하단에 힌지(32a)로 결합되어서 전후회동하도록 회동암(32)을 설치하여 회동암(32)에 설치된 로울러(33)에 중량체(60)와 연결된 로우프(70)를 걸어서 결합하고, 상기 회동암(32) 상단에는 양끝단에 푸시핸들(30a)이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U''형 푸시암(30)을 설치하되 상기 ''U''형 푸시암(30)의 양측이 시트(20) 좌우양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푸시암(30)을 전방으로 밀면 로울러(33)에 걸린 로우프(70)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중량체(60)가 들어올려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홀딩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3도의 상세도에서와 같이 몸체(10)의 헤드후레임(15) 선단에 ''U''형 작동암(37)을 힌지(37a)로 결합하고 상기 작동암(37) 후단에 장착된 로울러(37a)가 중량체(60)와 연결된 로우프(70)와 연접하도록한 다음, 상기 작동암(37)의 일측하단에는 가위처럼 벌어졌다 오므라지는 시스스암(38)을 설치하여, 몸체(10)의 메인지지대(13)와 보조후레임(16)에 끝단이 하향되도록 설치되어서 전방으로 모아지도록 힌지(36a)로 결합한 홀더암(36)을 각각 상기 시스스암(38)에 결합하여서, 홀더(35)를 전방으로 안아서 모으면 중량체 (60)가 들어올려지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4도의 상세도에서와 같이 몸체(10)의 후방지지대(14) 일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회전암(40)이 구비된 회전판(41)을 스톱파(42)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만 회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41)의 회전암(40)이 스톱파(42)에 밀착되는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중량체(60)와 연결된 로우프(70)의 끝단을 연결하여서 회전암(40)을 다리나 팔을 이용하여 회동시키면, 회전암(40)의 회전판(41)에 연결된 로우프(70)가 다른 끝단에 연결된 중량체(60)를 들어올리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고안의 아주 중요한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것은 상기 중량체(60)를 복수셋트로 구성하여 일부중량체(60a)는 푸시운동기구와 홀딩운동기구, 다리운동기구 및 상체운동암과 당김봉(38)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도록 로우프(70)로 연결하고, 다른 중량체(60b)는 회전운동기구와 하체운동기구에 의하여 들어올려지도록 로우프(70)로 연결하여서 두사람이 각기 다른 운동을 동시에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푸시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2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20)에 앉아서 시트(20)의 좌우양측에 위치한 ''U''형 푸시암(30)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푸시핸들(30a)을 잡고 앞으로 밀면 상기 푸시암(30)과 일체로 결합된 회동암(32)이 하단의 힌지(32a)를 축으로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회동암(32)에 설치된 로울러(33)에 감긴 로우프(70)를 긴체시켜 중량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홀딩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20)에 앉아서 양팔을 이용하여 홀더암(36)을 전방안측으로 끌어모으는 것과 같이 동작시키면 홀더암(36) 상단에 결합된 시스스암(38)이 벌어지면서 ''ㄱ''형 작동암(37)을 힌지(37a)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작동암(37) 후단에 장착된 로울러(37b)가 로우프(70)를 긴체시켜서 상기 로우프(70)와 연동되도록 연결된 중량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회전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4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암(40)을 손으로 잡거나 다리를 상기 회전암(40) 걸치고 회전암(40)을 스톱파(42)가 없는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회전암(41)에 편심지게 결합되어 있는 로우프(70)가 긴체되면서 로우프(70) 끝단에 결합되는 중량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암(40)은 사용자에 따라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 회전암(40)의 길이를 조절하려면, 셋팅손잡이(45)를 풀고 회전암(40)을 운동하기에 알맞은 길이로 조절한 다음 다시 조이면 된다.
그리고 하체운동기구는, 첨부도면 제5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다리를 구부린 상태로 평행봉(50)을 양어깨에 안착시킨다음, 일어섰다 앉았다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일어서면 평행봉(50)과 일체로된 작동후레임(51)이 후단의 힌지(51a)를 중심으로 들어올려지면서 여기에 하향당겨지도록 결합된 로우프(70)가 긴체되면서 중량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본고안의 다리운동기구는 이미 본인의 선출원된 공지의 기술과 유사한 것으로, 첨부도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20)에 앉아서 시트(20) 선단의 다리받침봉(22)에 대퇴부를 걸치고 발걸이봉(26)에 발을 걸은 다음 무릎관절을 펼치면, 다리운동후레임(25)이 힌지(25a)를 중심으로 전방회동하면서 그 하단에 로우프(70)를 긴체시켜서 중량체(60)를 들어올리게 된다.
여기서 다리운동대신 끌어당기는 운동을 하고자 할 때는 다리운동후레임(25) 하단에 결합된 로우프(70) 끝단의 고리(75)에 당김봉(28)을 걸어서 잡아당기면 중량체(60)가 들어올려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본고안에서 상체운동을 하고자 할때는 이미 공지된 것과 같이 상기 헤드후레임(15) 선단에 설치된 로울러(15a)에 홀딩된 로우프(70) 단부의 고리(75)에 상체운동암(18)을 걸어서 시트(20)에 앉아서 아래로 잡아당기면 중량체(60)가 들어올려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각종 운동기구를 사용하면 중량체(60)가 들어올려지면서 운동을 하게 되는데, 특히 중량체(60)를 복수셋트로 구성하여 단일종합운동기구에서 서로 다른 두가지의 운동을 두사람이 동시에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작은 공간을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여 다양한 운동기구를 활용하여 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운동기구를 배열함은 물론, 두 사람이 동시에 서로 다른 운동을 즐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과거 두 대의 운동기구를 마련하여야 하던 것을 해소함으로써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며 가족중 두사람이 사이좋게 운동하므로써 가정의 화목함을 이룰 수 있는 신규하고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종합신체단련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방받침과 후방받침을 ''H''형으로 결합하여서된 받침대를 등받이가 착설된 메인지지대를 입설하고 상기 받침대의 후방받침에 말굽형 후방지지대를 입설하여 상기 메인지지대와 후방지지대 상단을 헤드후레임으로 결합하여서 구성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메인지지대와 받침대에 시트가 구비된 시트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시트후레임선단 양측에는 한쌍의 다리받침봉을 설치하여, 그 사이에는 끝단에 한쌍의 발걸이봉이 형성된 다리운동후레임을 회동되도록 구성한 다리운동기구와, 상기 시트후레임의 시트에 앉아서 운동하기가 용이하도록 좌우양측에 전후회동하는 푸시암을 설치한 푸시운동기구와, 상기 시트에 앉아서 운동이 용이하도록 시트상측 좌우양측에 하단에는 홀더가 구비되고 전방으로 모아지는 한쌍의 홀더암을 설치한 홀딩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후방지지대 일측에 회전되게 설치되어서 회동암을 이용하여 운동을 즐기도록 구성한 회전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후방지지후레임에 어깨로 들어올리면서 운동하도록 평행봉을 구비한 작동후 레임을 상하회동되게 설치한 하체운동기구와, 상기 몸체의 받침대와 헤드후레임 사이에 중량체안내봉을 설치하여 결합한 다수의 중량체와, 상기 중량체가 각 운동기구의 동작에 따라 들어올려지도록 각 운동기구와 중량체를 연결한 연결로우프와, 상기 몸체의 헤드후레임 전방에 설치된 로울러에 홀딩되는 로우프의 단부에 걸어서 상체운동을 하도록한 상체운동암과, 시트후레임 선단에 회동되게 설치된 다리운동후레임의 끝단에 홀딩되는 로우프의 단부에 걸어서 끌어당기도록 구성한 당김봉으로 구성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종합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운동기구는, 몸체의 받침대에 하단이 힌지결합되어서 전후회동하도록 회동암을 설치하여 회동암에 설치된 로울러에 중량체와 연결된 로우프를 결합하고, 상기 회동암 상단에는 양끝단에 푸시핸들이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U''형 푸시암을 설치하되 상기 ''U''형 푸시암의 양측이 시트좌우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여 푸시암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운동기구는, 몸체의 헤드후레임선단에 ''ㄱ''형 작동암을 힌지결합하고, 상기 작동암후단에 장착된 로울러가 중량체와 연결된 로우프와 연접하도록 한다음, 상기 작동암의 일측 하단에는 시스스암을 설치하여 몸체의 메인지지대와 보조후레임에 전방으로 모아지도록 힌지결합한 홀더암을 각각 상기 시스스암에 결합하여서, 홀더를 전방으로 끌어 앉아 모으면 중량체가 들어올려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기구는, 몸체의 후방지지대 일측에 길이조절이 가능한 회동암이 구비된 회전판을 스톱파에 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회전판의 회동암이 스톱파에 밀착되는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중량체와 연결된 로우프의 끝단을 연결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를 복수셋트로 구성하여 일부중량체는 푸시운동기구와, 홀딩운동기구, 다리운동기구 및 상체운동암과 당김봉에 연결하고, 다른 중량체는 회전운동기구와 하체운동기구에 연결하여 동시에 두사람이 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운동기구.
KR2019960016190U 1996-06-18 1996-06-18 종합운동기구 KR0140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190U KR0140156Y1 (ko) 1996-06-18 1996-06-18 종합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6190U KR0140156Y1 (ko) 1996-06-18 1996-06-18 종합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62U KR980000862U (ko) 1998-03-30
KR0140156Y1 true KR0140156Y1 (ko) 1999-05-15

Family

ID=1945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6190U KR0140156Y1 (ko) 1996-06-18 1996-06-18 종합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1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77B1 (ko) * 2006-04-13 2014-02-11 요한 비. 베르헴 바퀴달린 저항운동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12B1 (ko) * 2011-04-25 2014-03-10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리운동이 가능한 지팡이형 벤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377B1 (ko) * 2006-04-13 2014-02-11 요한 비. 베르헴 바퀴달린 저항운동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862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858A (en) Apparatus for exercising both arms and legs
US4880227A (en) Variable exerciser
CA2523067C (en) Modular standing frame
US7611445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4928957A (en) Exercise apparatus for actively exercising the upper body while passively exercising the lower body
US5492518A (en) Exercise apparatus
JP3117451B2 (ja) 運動機械
KR101124662B1 (ko) 물구나무서기용 운동기구
US6971977B1 (en) Exercise device
US20080096745A1 (en) Combination office and exercise work station
US20050245370A1 (en) Powerwalk plus
US5188577A (en) Apparatus for total body exercise
US20020173412A1 (en) Exercise apparatus
CA2530206C (en) Abdominal bench with constant gap torso cushion
CN201871160U (zh) 多功能健身器
US4248420A (en) Dynamic self-resisting exercise chair
US7134989B2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CN208097194U (zh) 一种多功能拉筋凳
KR102191270B1 (ko) 하체 운동기구
KR0140156Y1 (ko) 종합운동기구
US5735778A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an improved upper body exercise device
TW201729872A (zh) 蹲立健身器
CN110559600A (zh) 一种多功能健身椅
CN214512511U (zh) 复合式肌力训练机
CN210904807U (zh) 一种多功能健身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