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0057B1 -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057B1
KR0140057B1 KR1019940027227A KR19940027227A KR0140057B1 KR 0140057 B1 KR0140057 B1 KR 0140057B1 KR 1019940027227 A KR1019940027227 A KR 1019940027227A KR 19940027227 A KR19940027227 A KR 19940027227A KR 0140057 B1 KR0140057 B1 KR 0140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etabolic
calcium
combination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256A (ko
Inventor
박대규
Original Assignee
박대규
조선무약 합자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대규, 조선무약 합자회사 filed Critical 박대규
Priority to KR1019940027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0057B1/ko
Publication of KR960013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treating the effects of consuming alcohol, narcotics or other addictive behavior, e.g. treating hangover or reducing blood alcohol lev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2Vitamin 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2Vitamin B1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44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52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4Vitamin B
    • A23V2250/706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Vitamin D
    • A23V2250/7104Vitamin D2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Vitamin D
    • A23V2250/7106Vitamin D3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12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에 관한 것으로,
누룩, 맥아, 각종 식물엑스, 효모추출물 등을 첨가한 배지에 미생물인 납두균, 효모군 및 유산균 등을 5개월간 배양, 숙성시키고 여과한 후, 추출액을 저온농축하여 식물엑기스 발효액(바이오짐)을 얻고, 이렇게 얻은 식물엑기스 발효액(바이오짐)에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무기물공급원, 영양공급원, 식이성섬유중 1종이상과 산미제, 감미제, 보존제, 착향제, 안정화제, 천연과즙류 종 1종이상을 용제에 함유시켜 알코올 대사성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는 생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며, 강력한 생리화성을 지녀 음주로 인한 숙취를 제거할 수 있는 복용이 용이하고 안정성과 유효성이 탁월한 신규 알코올 대사성음료이다.

Description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알코올 대사성음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에 관한 것이다.
회식과 접대가 잦고 스트레스가 많은 현대인들에게 음주는 필수적인 것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음주기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연이은 음주후 음주로 인한 부작용인 머리가 무겁고 아프거나 속이 쓰리는 등의 숙취현상으로 고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숙취제거 및 혈중 알코올 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제제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으나 그동안 뚜렸한 성과가 있는 제제는 없었다.
과거에는 조악한 형태의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단순히 제제화한 제품들이 선보여 왔으나, 기존의 식물엑기스 발효액만을 이용하여 만든 제제들은 오랫동안 방치하면 침전물이 생성되는 일이 자주 발생할 뿐만 아니라, 특이한 냄새로 인하여 복용하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이들 상기 식물엑기스 발효액에 비타민류, 무기물, 아미노산 등을 첨가하여 음료료 제조하는 경우에는 경시변화에 따른 제품의 유효성, 안정성 및 각종 세균의 멸균과정에서 초래되는 제품의 안정성 등에 관한 문제점이 야기되며, 불용성 침전물이 생성되고, 맛이나 색깔이 변색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품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보통이어서 제제화에 성공하지 못하였다.
최근에 콩나물을 주원료한 식물엑기스를 함유한 제품이나 미배아와 대두추출물을 함유한 제품이 소개되고 있으나 제제의 안정성면에서 여전히 해결해야 할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음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오랜 연구끝에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복용이 용이하고 체내에서의 흡수가 신속하며 제제에서의 안정성과 유효성이 개선된 액체형태의 알코올 대사성음료 그의 제조방법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식물엑기스 발효물질인 식물성 효소, 과즙효소, 미생물효소 등의 제조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인 특수배양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식물엑기스 발효액, 즉 누룩, 맥아, 각종 식물엑스, 효모추출물 등을 첨가한 배지에 활성이 있는 유용한 순수분리동정된 특수한 미생물인 납두균을 이용하여 특수방법으로 5개월간 배양, 숙성시켜 고분자물이나 단백질 등을 아미노산 및 타이드 등으로 저분자화하고 무균여과 혹은 고분자 성분을 제거하는 특수 여과처리를 거쳐 얻은 추출액을 저온농축하여 얻은 식물엑기스 발효액(이하 “바이오짐”이라 함)을 함유한 제제의 개발에 착수하여 오랜 연구끝에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생체내에서 흡수가 용이하며, 특이하고 강력한 생리활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산 알칼리 및 열 등에 강하여 위장관내에서도 활성을 유지하여 생체내 효소합성에 유용하고 인체내 여러 신진대사를 도와주며, 특히 체내 알코올 분해 효소의 활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혈중 알코올 농도를 신속하게 저하시켜 음주로 인한 숙취를 제거시키는 복용이 용이하고 안정성과 유효성이 탁월한 신규 알코올 대사성 음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식물엑기스 발효액인 바이오짐에 각종 천연과즙, 갈락토올리고당, 비타민, 미네날 및 아미노산 등을 배합하여 체내 알코올 분해효소의 활성을 촉진시켜 혈중 알코올의 농도를 신속하게 감소시켜 주고 숙취를 제거하여 주는 액제형태의 신규 알코올 대사성음료에 관한 것으로, 제조방법 및 그들의 조성에 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각종 야채혼합엑기스, 해조류, 식물성미네랄혼합물, 인삼, 효모추출물, 각종 과일엑기스, 콘스타치, 맥아엑기스, 미국 등을 원료로하여 분리동정된 순수 배양균인 납두균을 이용하여 저온 발효시킨 후 장기 숙성한 다음 특수여과 처리후 30배로 저온농축시킨 식물엑기스 발효액인 바이오짐에 강화제로서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무기물공급원, 영양공급원, 식이성섬유중 1종이상과, 산미제, 감미제, 보존제, 착향제, 안정화제, 천연과즙류중 1종이상을 용제에 함유시켜 액제화한 알코올 대사성음료로서, 좀더 부연한다면 바이오짐에 강화제로서 갈락토올리고당, 벌꿀, 사과농축과즙,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칼슘 등을 첨가하고 여기에 천영향과 감미제, 보존제 등을 배합하여 제조한 신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 제조방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주성분인 바이오짐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자연계에서 분리동정한 강화납두균(Bacillus Subtilis natto. sp.)을 순수 분리시킨 보존주에 의하여 활성을 높이기 위하여 종배양시키고 기타 분리 육성시킨 균을 증식시켜 본 배양의 종균으로서 3-7일간 적당한 온도에서 단기간 배양시킨 다음, 토마토, 마늘, 파세리, 양상치, 세로리, 양배추, 무우, 물냉이 등의 야체 혼합엑기스 45-55%, 시금치엑기스 9.5-11.5%, 곤포분 9.5-11.5%, 사과과즙 9.0-10.0%, 맥아엑기스 4.5-5.5%, 옥수수전분 2.5-3.5%, 갈색설탕 1.0-2.0%, 미국 0.5-1.5%, 식물성 미네랄 0.5-1.5%, 염화칼슘 0.3-0.6%를 혼합한 혼합물을 배지로하여 120-125℃로 15-20분간 완전멸균한 다음 급냉후 납두균 종균을 접종하고 약 2개월간 본 배양을 한다.
본 배양이 완료된 후 pH를 3.0-3.5%로 조정하여 15℃에서 저온 숙성시킨다음 고체, 액체분리 De-condition에 의하여 불필요한 고분자는 분자 여과시키고 2μ, 1μ, 0.45μ, 0.2μ 순으로 여과하여 완전한 무균 청등색을 얻은 후 여과시킨 발효엑기스를 30배로 저온 농축하여 농축엑기스인 식물엑기스 발효액(바이오짐)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바이오짐(biozyme)의 구성성분은 대략 다음과 같다.
-100ml중 함유량-
디벤조일치아민염산염0.125mgDL-트레오닌 25.0mg
리보플라빈산에스테르나트륨 0.085mg판토텐산칼슘 10.0mg
니코틴산아미드 10.0mg탄수화물 14.0mg
메칠헤스페리딘 5.0mg 유기산 118.7mg
L-아스코르빈산 75.0mg 그외 엑스분 500.0mg
DL-트립토판 2.5mg
바이오짐에 함유되어 있는 엑스분내에 활성물질로 검출될 수 있는 것은 각종 아미노산유도체로 다음과 같다.
Arginine5mg/100gAlanine20mg/100g
Lysine8mg/100gGlycine 4mg/100g
Histidine3mg/100g Proline 5mg/100g
Phenylalanine7mg/100g Gutamic acid 13mg/100g
Tyrosine2mg/100g Serine 6mg/100g
Leucine 13mg/100g Threonine 5mg/100g
Isoleucine 8mg/100g Aspartic acid 7mg/100g
Methionine 2mg/100g Tryptophan 1mg/100g
Valine11mg/100g Cystine none detected
(Minimum limit of determination 1mg/100g)
그외에는
1. AMP(adenosin-monopsosphate)
2. Biocytin
3. 메파론산(3,5-dihydroxy-3-methyl valeric acid)
4. 리포산(Lipoic acid)
5. 아데닌(6-aminnopurine)
6. 구아닌(2-amino-6-hydroxypurine)
7. 시토신(4-amino-2-pyrimidinone)
8. 치민(2,4-dihydroxy-5-methylpyrimidine)
9. (2,4-dioxypyrimidine)
10.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11. 리보오스(ribose)
12. mannan(효모mannan)
이어서, 바이오짐을 함유한 본 발명의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갈락토올리고당 2.0-6.0%를 정제수에 용해시킨 다음 교반하면서 여기에 바이오짐 0.1-1.0%, 사과농축과즙(SVZ인터내쇼날사제품, 네덜란드) 등 과즙류 1.0-6.0%, 벌꿀 1.0-6.0%을 서서히 가하면서 30-60분간 교반, 혼합하고 여기에 필요시 화인화이바(마쯔타미사제품, 일본) 등 식이성섬유 1.0-6.0%와 이성화당 등 감미제류 1.0-10.0%를 가하고 함께 교반, 혼합시킨다.
따로 정제수에 비타민 C 0.001-0.5%, 비타민 B10.0005-0.5%, 비타민 B20.0005-0.5%, 비타민 B60.001-0.1%, 비타민 B120.00001-0.5%, 엽산 0.0001-0.5%,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001-1.0%중 1종이상의 비타민류, 글루콘산칼슘, 판토텐산칼슘중 1종이상의 칼슘염 0.01-2.0%를 가하고 용해시키며, 추가로 염산라이신, 엘-트레오닌중 1종이상의 필수아미노산류 0.01-1.0%, 젖산철 등 철염류 0.0001-0.001%를 가하고 용해시킨다. 상기한 2가지 혼합액을 교반하면서 혼합시키고 여기에 구연산, 디엘-사과산 등 산미제 0.05-1.0%와 스테비오사이드(태평양 화학사 제품, 한국), 아스파탐중 1종 이상의 감미제 0.01-1.0%를 순차적으로 가하고 용해시킨 다음 엘데베리농축액(에밀후락쉬만사제품, 스위스)등 천연과일농축액 0.05-1.0%, 혼합과일향, 사과향중 1종이상의 향료 0.1-1.0%, 안식향산나트륨 등 보존제 0.05-0.1%를 가하고 교반, 혼합시키고 호모게나이저를 통과시켜 균질화한다음 10-1μ 휠타를 통과시켜 여과하고 원심분리시킨 후 순간멸균기를 사용하여 멸균시키고 100-1000밀리리터 병에 충전한 후 필요시 후살균을 실시한 다음 숙성시켜 본 발명의 신규 알코올 대사성음료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제로서 상기 기재된 성분외에 비타민류로는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A, B1, B2, B6, B12, C, D2, B3, E 및 엽산 등 모든 비타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비타민 C 및 그의 염류, 비타민 B1질산염, 비타민 B6염산염,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비타민 B12, 엽산 등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제로서 아미노산류는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L-라이신, DL-메치오닌, L-발린, 비오틴, L-시스테인, L-시스틴, L-트립토판, L-트레오닌, L-페닐알라닌, L-글리신 등 아미노산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염산라이신, 엘-트레오닌 등 필수아미노산류를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제로서 무기물 공급원으로는 칼슘염류로서 판토텐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식물칼슘, 동물성칼슘 등과 철염류로서 구연산 철, 젖산철, 후마르산철 등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모든 무기물 공급원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판토텐산칼슘, 글루콘산칼슘, 젖산철을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제로서 영양공급원으로는 식품공정 및 식품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모든 영양원 공급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벌꿀, 로얄젤리 등을 사용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강화제로서 산미제류로는 구연산, 디엘-사과산, 호박산 등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모든 산미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구연산, 디엘-사과산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감미제류로서는 이성화당(고과당),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D-솔리톨액, 글리실리진산염류, 백당 등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모든 감미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아스파탐, 백당 등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존제류로서는 안식향나트륨 등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모든 보존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제는 정제수, 에칠알코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착향제는 천연 또는 인공향료로써 식품의 제조에 통상 사용되는 방향제를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이성 섬유는 화인화이바, 폴리덱스트로스 등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화인화이바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안정화제로서 식품공전 및 식품첨가물공전에 수재된 모든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는 이성화당 및 올리고당류로서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올리고당, 후룩토올리고당 등이 단독 혹은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되며, 그 양은 음료의 양, 종류 및 각 주성분의 사용량에 따라서 가감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제제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 및 제제에 의하여 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실시예 및 제제예나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 “%”는 달리 지식하지 않는한 중량%(w/v% 또는 w/w%)이다.
식물발효액기스(바이오짐)의 제조방법
[실시예 1]
1. (미국(米麴)의 제조)미국의 제조는 공시균인 국균(Aspergillus oryzae ATCC22788)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하였다. 쌀 100그람을 수세 후 18시간 침지하고, 2시간 물 빼기를 행한 후 50분간 증자하였다. 증자 후 20분간 뜸들이기 하여 샤레에 일정량씩을 취한 후 국균의 포자를 접종하였다. 포자의 채취는 균을 약 1주일간 감자덱스트로스 배지에서 배양한 후, 일정량의 증류수로 현탁하여 취하였다. 접종후 35℃에서 약 3일간 배양하고 건조시킨 후, 분말로하여 종국으로 사용하였다.
종국 제조의 원료 전처리 방법으로 쌀 2400 그람을 처리한 후, 종국 72그람을 직접 또는 현탁시켜 분무하는 방법으로 접종하였다(1일 오후)접종 후 배양기안에서 35℃를 유지하며 배양 후, 2일 오전에 원료를 잘섞어 전체의 품온을 일정하게(30∼35℃)하고 원료의 높이를 1/2정도로 하였다. 2일 오후 째에 원료를 다시 잘 배합하여 전체 품온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높이를 다시 1/2로 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3일 오전에 출국하여 미국으로 사용하였다.
2. (전분의 당화) 7.140그람의 옥수수 전분을 60℃, 40리터의 물에 현탁한 후 47.6그람의 CaCl2를 가한 후 pH를 6.5로 조정하였다. 약 90℃로 가열하여 전분을 호화시킨 후, 5리터의 물에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하여 균질화시킨 1킬로그람의 미국을 가하였다. 80℃에서 계속 교반시키면서 2시간 동안 액화시킨 후, 50℃로 온도를 낮추고 pH를 4.5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1.4킬로그람의 미국을 5리터의 물에 균질화하여 가한 후 50℃를 유지하며 20시간 동안 당화하고 0.25밀리미터 표준체로 여과하여 최종 부피를 102리터로 조정하였다.
3.(야채엑스의 제조 및 원료배합) 시금치, 당근, 무, 물, 냉이, 토마토, 파슬리, 셀러리, 양상추 및 양배추 신선한 것을 취하여 각각 10배 분량의 정제수를 가한 후 호모게나이저를 사용 균질화한 후 Whatmann No. 3 여과지를 사용 감압 여과하여 엑스로 사용하였다. 엑스의 함량은 원료 무게의 5%로 계산하였고, 발효에 사용된 원료의 배합 비율은 표1. 과 같으며, 모든 원료를 배합한 후 pH를 7.0으로 조정하여 120℃에서 15분간 멸균하고 급랭하여 발효원료액으로 사용하였다.
4. (균주 전배양 및 접종) 상기 3의 발효원료액을 19.8리터씩 발효용기에 분주하고, 따로 발효 미생물인 납두균(Bacillus subtilis CON, 또는 C 121, FB, BN)을 영양배지를 사용 37℃에서 계속 계대배향을 유지하다가, 접종균주로서 사용하기 위해 각각을 3일간 배양한 후 200밀리리터씩을 발효 원료액에 접종하였다.
5. (발효 및 숙성) 균주를 접종한 발효원액을 28-30℃를 유지하며 배양기에서 2개월간 정치배양하여 발효시키고, 발효 종료후 무균 조건하에서 구연산을 이용하여 발효액의 pH를 4로 조정하고 5-10℃에서 3개월간 숙성시켰다.
6.(여과) 숙성을 종료하고 발효산물을 여과기를 통해 10, 5, 1.0, 0.45, 0.2마이크로미터 순차여과하여 무균상태의 발효·숙성액을 얻었다.
7. 상기 6의 여과액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저온농축하여 본 발명의 식물발효 엑기스(바이오짐)로 사용하였다.(바이오짐의 구성성분은 상세한 설명중 전술한 바와 같다)
[실시예 2]
1. 실시예 1의 1-3의 과정으로 제조한 발효원료액을 연속배양 발효기에 넣고 28℃를 유지하면서 1개월간 교반하면서 배양하여 발효시켰다.
2. 1의 발효액을 무균적으로 구연산을 이용 pH를 4로 조정하고 연속배양 발효기 안에서 5-10℃를 유지하며 1.5개월간 교반하면서 숙성시켰다.
3. 2의 숙성액을 고속원심분리기를 통해 잔류납두균 및 불용성물질을 제거하고 여과기를 이용하여 0.2마이크로미터 여과하여 무균상태의 여과액을 얻은 후 그대로 사용하거나 저온농축하여 본 발명의 식물발효엑기스(바이오짐)로 사용하였다.(바이오짐의 구성성분은 실시예 1과 같았다)
본 발명의 알코올 대사성 음료의 처방 및 제제예
제제예 1
100ml 중
이성화당 10.0g비타민 B1질산염 2mg
갈락토올리고당 6.0g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2mg
벌꿀 2.0g비타민 B120.01mg
사과농축과즙 1.471g디엘-사과산 160mg
바이오짐 167mg구연산 80mg
비타민 C 20mg아스파탐15mg
염산라이신20mg 엘데베리농축액 100mg
엘-트레오닌 20mg 혼합과일향 300mg
아르코르빈산나트륨10mg 안식향산나트륨60mg
판토텐산칼슘 10mg 정제수 적량
비타민 B6염산염 3mg
제조방법:
1) 갈락토올리고당 540g을 정제수 3L로 60-80℃에서 용해시킨 다음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2) 여기에 바이오짐 15.03g, 사과농축과즙 132.39g, 벌꿀 180g을 서서히 가하면서 30분동안 교반시킨다음, 여기에 이성화당 900g을 가한다음 1시간 동안 더 교반시킨다.
3) 따로 정제수 2L에 비타민 C 1.8g, 비타민 B6염산염 270mg, 비타민 B1질산염 180mg,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180mg, 비타민 B120.9mg, 아스코르빈산나트륨 900mg, 판토텐산칼슘 900mg, 염산라이신 1.6g, 엘-트레오닌 1.6g을 순서대로 가하고 60℃에서 가온 용해시켰다.
4) 2)의 액에 3)의 액을 가하고 30분동안 교반시킨다.
5) 4)의 액에 구연산 7.2g, 디엘-사과산 14.4g, 아스파탐 1.35g을 교반하면서 순서대로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6) 500ml의 온수에 용해시킨 혼합과일향 27g, 엘더베리농축액 9g 및 안식향산나트륨 5.4g을 상기 4)의 용액에 가하고 균질화시킨다음 여과하고 정제수 적량을 넣어 전체량을 9L로 맞춘다음 순간멸균기를 통하여 90℃에서 30초동안 멸균시킨다음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1000ml 병에 충전한다.
제제예 2
100ml 중
갈락토올리고당 6.0g엽산0.5mg
벌꿀5.0g 디엘-사과산460mg
사과농축과즙5.88g구연산300mg
화인화이바1.5g 젖산철 0.6mg
글루콘산칼슘1.5g 엘데베리농축액 500mg
바이오짐667mg 아스파탐150mg
비타민 C100mg 사과향500mg
비타민 B6염산염 3mg 안식향산나트륨 60mg
비타민 B1질산염 2mg 정제수 적량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2mg
제조방법
1) 갈락토올리고당 540g을 정제수 3L로 60-80℃에서 용해시킨 다음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2) 여기에 바이오짐 60.03g, 사과농축과즙 529.2g, 벌꿀 450g을 서서히 가하면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다음, 여기에 화인화이바 135g을 가한다음 30분 동안 더 교반시킨다.
3) 따로 정제수 1.5L에 엽산 45mg, 비타민 C 9g, 비타민 B6염산염 270mg, 비타민 B1질산염 180mg,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180mg 및 글루콘산칼슘 135g을 순서대로 가하고 60℃에서 가온용해시킨다.
4) 2)의 액에 3)의 액을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시킨다.
5) 4)의 액에 구연산 27g, 디엘-사과산 143.2g, 젖산철 54mg, 아스파탐 13.5g을 교반하면서 순서대로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6) 500ml의 온수에 용해시킨 사과향 45g, 엑더베리농축액 45g 및 안식향산 나트륨 5.4g을 상기 4)의 용액에 가하고 균질화시킨다음 여과하고 정제수 적량을 넣어 전체량을 9L로 맞춘다음 순간멸균기를 통하여 90℃에서 20초동안 멸균시킨다음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100ml 병에 충전한다.
[제제예 3]
100ml 중
갈락토올리고당 2.0g 엽산0.2mg
벌꿀 1.667g디엘-사과산 200mg
사과농축과즙 1.96g구연산180mg
화인화이바 500mg젖산철0.1mg
글루콘산칼슘 500mg엘데베리농축액 200mg
바이오짐 222mg 아스파탐 50mg
비타민 C 100mg사과향167mg
비타민 B6염산염 1mg안식향산나트륨 60mg
비타민 B1질산염 0.7mg정제수적량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0.7mg
엽산 0.2mg
제조방법
1) 갈락토올리고당 180g을 정제수 3L로 60-80℃에서 용해시킨 다음 1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2) 여기에 바이오짐 19.98g, 사과농축과즙 176.4g, 벌꿀 150.03g을 서서히 가하면서 1시간동안 교반시킨다음, 여기에 화인화이바 45g을 가한다음 30분동안 더 교반시킨다.
3) 따로 정제수 3L에 엽산 18mg, 비타민 C 9g, 비타민 B6염산염 90mg, 비타민 B1질산염 63mg, 비타민 B2인산에스테르나트륨 63mg 및 글루콘산칼슘 45g을 순서대로 가하고 60℃에서 가온용해시킨다.
4) 2)의 액에 3)의 액을 가하고 1시간동안 교반시킨다.
5) 4)의 액에 구연산 16.2g, 디엘-사과산 18g, 젖산철 9mg, 아스파탐 4.5g을 교반하면서 순서대로 가하여 완전히 용해시킨다.
6) 300ml의 온수에 용해시킨 사과향 15.03g, 엘더베리농축액 18g 및 안식향산나트륨 5.4g을 상기 4)의 용액에 가하고 균질화시킨다음 여과하고 정제수 적량을 넣어 전체량을 9L로 맞춘다음 순간멸균기를 통하여 90℃에서 20초동안 멸균시킨다음 자동충전기를 이용하여 100ml 병에 충전한다.
[실험예 1]
제제예1 제품의 경시변화에 따른 안정성시험
1. 시료
본 발명의 제제예1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제품을 검체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 시험방법
1) 함량시험
제품중 판토텐산칼슘의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2) 검체의 보존
검체의 보존은 실온 및 라이프테스터내에서 40도(습도 75%)로 시험하였다.
3) 실험결과
각각의 실험데이타는 모두 3회이상 실험한 결과의 평균치로 하여 표2에 기재하였다.
함량: 제제예1 제품중 판테탄산칼슘(밀리그람/리터)
[실험예 2]
제제예1 제품의 장기보존에 따른 안정성시험
1. 시료, 2, 실험방법, 3. 시료의 제조는 제제예1과 동일하며, 그 결과를 표3에 기재 하였다.
함량: 제제예 1 제품중 판토텐산칼슘(밀리그람/리터)
[실험예 3]
제제예2 제품의 경시변화에 따른 안정성시험
1. 시료
본 발명의 제제예2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제품을 검체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 실험방법
1) 함량시험
제품중 비타민 C의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2) 검체의 보존
검체의 보존은 실온 및 라이프테스터내에서 40도(습도 75%)로 시험하였다.
3) 실험결과
각각의 실험데이타는 모두 3회이상 실험한 결과의 평균치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4에 기재하였다.
함량: 제제예2 제품중 비타민C(밀리그람/리터)
[실험예 4]
제제예 2 제품의 장기보존에 따른 안정성시험
1. 시료, 2. 실험방법, 3. 시료의 제조는 실험예 3과 동일함.
함량: 제제예 2 제품중 비타민 C (밀리그람/리터)
[실험예 5]
제제예3 제품의 경시변화에 따른 안정성시험
1.시료
본 발명의 제제예 3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액제를 검체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 실험방법
1) 함량시험
제품중 비타민 C의 함량은 액체크로마토그라프법으로 정량 분석하였다.
2) 검체의 보존
검체의 보존은 실온 및 라이프테스터내에서 40도(습도 75%)로 시험하였다.
3) 실험결과
각각의 실험데이타는 모두 3회이상 실험한 결과의 평균치로 하였다.
함량: 제제예 3 제품중 비타민 C(밀리그람/리터)
[실험예 6]
제제예3 제품의 장기보존에 따른 안정성시험
1. 시료, 2. 실험방법, 3. 시료의 제조는 실험예5와 동일함
함량: 제제예 3 제품중 비타민 C(밀리그람/리터)
[실험예 7]
혈중 알코올 대신에 따른 임상시험
1. 사용 시료
본 발명의 제제예 1의 방법에 준하여 제조한 제품을 검체로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2. 대상
1994년 4월에 대조군과 시험군의 시험대상자를 동일하게 하여 만 3일간의 휴식기간을 두고, 미리 신체검사를 통하여 질병이 있는 지원자는 제외하고 신체건강한 지원자(남자)를 본 실험의 대상으로 삼았다.
3. 시험 방법
1) 음식물 섭취는 평시대로하고 최종 섭취 5-6시간 후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2) 제제투여 및 채혈
시험계획에 준하여 시료검체약 100ml을 섭취하고 10분후에 알코올(진로소주 25%) 100ml을 섭취하였다. 알코올 섭취 30분전, 섭취후 30분, 60분, 90분, 120분 후에 혈액 1.5ml을 채혈하여 Eppendrof시험관에 넣고 마개를 하여 실온에서 한시간동안 방치한 후 15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냉장보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검색 액 대신 물 100ml을 복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시험군과 동일하게 알콜섭취와 체혈을 행하였다.
3) 혈청 에탄올농도 측정
채혈 다음날 혈액중의 알콜농도을 TDx REA Ethanol Reagent (Abbott Laboratiories U.S.A)를 사용하여 Abbott TDx analyzer에서 측정하였다. 혈중알콜 측정방법의 원리를 간단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에탄올을 NAD와 함께 Alcohol dihydrogenase로 산화시키면 NAD는 NADH로 환원된다. 생성된 NADH와 Monotetrazolium(MTT)을 Diaphorase로 반응시키면 NADH는 NAD로 되돌아가고, MTT는 형광을 뛴 MT Formazan으로 변한다.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에탄올의 농도와 형광광도간의 상관관계를 확립한 후, 미지의 혈중 에탄올농도를 산정한다.
4. 관찰사항
1) 각 시간별 대조군 및 시험균의 혈중 알콜농도측정
혈청 알코올농도에 대한 효과판정은 시료 투여후의 알코올농도가 30%이상 감소하면 저효, 10-30% 감소하면 유효, 0-10% 감소하면 약간유효, 변화가 없거나 혹은 상승하면 무효라 판정하였다.
6. 관찰결과
본 발명품을 투여하였을 경우 각 시간별로 혈중 알코올농도에 대한 효과 판정은 표9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이 혈중알코올농도는 3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5예(33.3%), 유효 4예(26.7%), 약간유효 4예(26.7%), 무효 2예(13.3%)로 약간유효와 유효 및 저효를 합하면 15예중 13예(86.7%)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고, 6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3예(20%), 유효 2예(13.3%), 약간 유효 5예(33.3), 무효 5예(33.3%)로 약간유효와 유효 및 저효를 합하면 15예중 10예(66.7%)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으며, 9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6예(40%), 유효 4예(26.7%), 약간유효 1예(6.7%), 뮤효 4예(26.7%),로 약간유효와 유효 및 저효를 합하면 15예중 11예(73.3%)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고, 120분 경과시에는 총 15예중 저효 4예(26.7%), 유효 6예(40%), 약간유효 2예(13.1%), 무효 3예(20%)로 약간유효와 유효 및 저효를 합하면 15예중 12예(80%)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즉, 본 발명품을 투여하고 2시간(120분)이 지난 경우의 혈청 알코올농도는 총 15예중 12예(80%)에 감소효과가 있으며, 3예(20%)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표9 참조)
(표9 계속)
·괄호안: 대조실험·괄호밖: 본 발명품 투여실험
시간별 혈중알코올 농도의 평균치를 표10에 기재하였다.
1)Data are present as mean ± S.E. for 15 men.
2)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P0.05
7. 결론
본 발명품을 혈청 알코올 농도의 감소시키는 음료로 20세-50세의 건강한 자원자 15명중 대상으로 하여 투여한 결과 아래와 같은 관찰 성적으로 얻었다.
1)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혈청 알코올 농도의 감소효과는 다음과 같다.
3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5예(33.3%), 유효 4예(26.7%), 약간유효 4예(26.7%), 무효 2예(13.3%)로 총 15예중 13예(86.7%)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6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5예(20%), 유효 2예(13.3%), 약간유효 5예(33.3%), 무효 5예(33.3%)로 총 15예중(66.7%)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9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6예(40%), 유효 4예(26.7%), 약간유효 1예(6.7%), 무효 5예(26.7%)로 총 15예중(73.3%)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120분 경과시: 총 15예중 저효 4예(26.7%), 유효 6예(40%), 약간유효 2예(13.3%), 무효 3예(20%)로 총 12예중(80%)에 감소효과가 인정되었다.
2) 본 발명품을 투여하고 2시간(120분)이 지난 경우의 혈청 알코올농도는 총 15예중 12예(80%)에 감소효과가 있으며, 3예(20%)에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인정되었다.
3) 본 발명품을 투여후 시간경과에 따른 대조군에 대한 실험군의 혈청 알코올 농도의 평균치는 30분경과 및 120분경과시에는 상당한 유의성있게 감소함을 인정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품은 실험예 1 내지 6으로부터 장단기보존시 제제학적으로 매우 인정한 제제임을 알 수 있고, 실험예 7의 임상시험으로부터는 음용 후, 30분내에 혈중알코올농도의 감소치를 보이며 음용후 2시간 경과시까지 현저한 감소치를 나타내고 있음을 볼때, 음주에 따른 숙취에 탁월한 효과가 예상된다.

Claims (18)

  1. 자연계에서 분리동정한 강화납두균(Bacillus Subtllis natto. sp.)을 종배양시키고, 분리 육성시킨 균을 증식하여 본 배양의 종균으로서 3-7일간 적당한 온도에서 단시간 배양시킨 다음, 토마토, 마늘, 파세리, 양상치, 세로리, 양배추, 무우, 물냉이 및 인삼 등의 야채혼합엑기스 45-55%, 시금치엑기스 9.5-11.5%, 곤포분 9.5-11.5%, 사과과즙 9.0-10.0%, 맥아엑기스 4.5-5.5%, 옥수수전분 2.5-3.5%, 갈색설탕 1.0-2.0%, 미국 0.5-1.5%, 식물성 미네랄 0.5-1.5%, 염화칼슘 0.3-0.6%를 혼합한 혼합물을 배지로하여 120-121℃로 15-20분간 완전멸균한 다음 급냉후 납두균 종균을 접종하고 28°∼30℃에서 약 2개월간 본 배양을 하고 본 배양이 완료된 후 pH를 3.0-4.0%으로 조정하여 5-10℃에서 2-4개월간 저온 숙성시킨 다음 고체, 액체분리 De-condition에 의하여 불필요한 고분자는 분자여과시키고 2μ, 1μ, 0.45μ, 0.2μ 순으로 여과하여 완전한 무균 청등색을 얻은 후 여과시킨 발효엑기스를 30배로 저온농축하여 얻은 식물 엑기스 발효액(바이오짐)과,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무기물공급원, 영양공급원, 식이성섬유중 1종이상과, 산미제, 감미제, 보존제, 착향제, 안정화제, 천연과즙류중 1종 이상을 용제에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류로는 니코틴산아미드, 비타민 A, B1, B2, B6, B12, C, D2, D3, E, 엽산 등 비타민 및 그의 염류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아미노산류로는 L-라이신, DL-메치오닌, L-발린, 비오틴, L-시스테인, L-시스틴, L-트립토판, L-트레오닌, L-페닐알라닌, L-글리신 등 아미노산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무기물공급원중 칼슘염류로는 판토텐산칼슘, 글루콘산칼슘, 탄산칼슘, 구연산칼슘, 식물칼슘, 동물성칼슘, 오이스터쉘 파우터칼슘 등 통상 식품에 사용되는 칼슘 및 그의 염류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하고, 철염류로는 구연산철, 젖산철, 후마르산철 등 철 및 그의 염류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영양공급원으로는 벌꿀 또는 로얄제리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식이성섬유류로는 화인화이바, 폴리덱스트로스 등 통상 식품에 사용되는 식이섬유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산미제로는 구연산, DL-사과산, 호박산 등 산 및 그의 염류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감미제류로는 이성화당(고과당),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D-소르비롤액, 글리실리진산염류, 백당 등 감미제중에서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보존제류서는 안식향산 및 그의 유도체, 데히드로초산 및 그의 염류, 소르빈산 및 그의 염류 등 보존제중 수용성 보존제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착향료류로서는 혼합과일향, 사과향, 요구르트향, 드링크향 등 향료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로는 올리고당류로서 갈락토올리고당, 이소말롤올리고당 및 후룩토올리고당 등 올리고당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천연과즙류로는 사과, 배, 파인애플, 라임, 귤, 그레이프후르츠, 배, 복숭아, 구아바, 살구, 딸기, 레몬, 자두, 메론 등 천연과즙의 농축액을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식품엑기스발효액(바이오짐) 0.1-1.0%, 엘더베리농축액 0.05-1.0%, 갈락토올리고당 2.0-6.0%, 벌꿀 1.0-6.0%, 사과농축과즙 1.0-6.0%, 비타민 C 0.001-0.5%, 비타민 B10.0005-0.5%, B20.0005-0.5%, B60.001-0.1%를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001-1.0%, 비타민 B120.00001-0.5%, 염산라이신 및 엘-드레오닌 등 아미노산류 0.01-1.0%, 판토텐산칼슘 0.01-2.0%을 추가로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화인화이바 0.1-2.0%, 글루콘산칼슘 0.01-2.0%, 엽산 0.0001-0.5% 및 젖산철 0.0001-0.001%을 추가로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연산, 디엘-사과산 0.05-1.0%, 아스파탐 0.01-1.0%를 사과향 및 혼합과일향 0.1-1.0% 및 보존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알코올 대사성 음료의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엘더베리농축액을 천연과일농축액류로는 엘데베리 대신 블루베리, 오렌지 등 과일엣센스를 단독 또는 2종이상 배합하여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용제는 정제수 또는 에칠알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코올 대사성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40027227A 1994-10-25 1994-10-25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KR0140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227A KR0140057B1 (ko) 1994-10-25 1994-10-25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227A KR0140057B1 (ko) 1994-10-25 1994-10-25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56A KR960013256A (ko) 1996-05-22
KR0140057B1 true KR0140057B1 (ko) 1998-06-01

Family

ID=1939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227A KR0140057B1 (ko) 1994-10-25 1994-10-25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00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4828A (ko) * 2002-06-08 2003-12-18 노환진 인삼 발효음료
KR100555386B1 (ko) * 2002-04-26 2006-03-03 강원도 도시 근교의 채소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100799517B1 (ko) * 2006-03-29 2008-01-31 이규길 미강 발효 조성물
CN104256764A (zh) * 2014-08-10 2015-01-07 杨大均 一种复合果蔬汁发酵保健饮料
KR101507704B1 (ko) * 2013-08-08 2015-04-07 오례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식물소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해독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620B1 (ko) * 2000-10-05 2003-04-26 최주채 야생식물류와 두류 및 과채류를 주성분으로 한 숙취해소음료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08110A (ko) * 2001-07-16 2003-01-24 유논수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0435267B1 (ko) * 2001-09-13 2004-06-11 박동기 발아현미 또는 발아현미 함유 혼합곡류를 배지로 한홍국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품의 제조방법
KR20030040914A (ko) * 2001-11-17 2003-05-23 조인테크주식회사 비단풀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19211B1 (ko) * 2006-06-21 2008-04-02 서희동 식물발효추출액의 제조방법
KR100968779B1 (ko) * 2007-03-16 2010-07-08 대상 주식회사 천연 아미노산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107387B1 (ko) * 2018-09-17 2020-05-08 주식회사 진생바이팜 흑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386B1 (ko) * 2002-04-26 2006-03-03 강원도 도시 근교의 채소를 이용한 숙취해소용 음료조성물
KR20030094828A (ko) * 2002-06-08 2003-12-18 노환진 인삼 발효음료
KR100799517B1 (ko) * 2006-03-29 2008-01-31 이규길 미강 발효 조성물
KR101507704B1 (ko) * 2013-08-08 2015-04-07 오례생명과학 주식회사 천연 식물소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해독 또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CN104256764A (zh) * 2014-08-10 2015-01-07 杨大均 一种复合果蔬汁发酵保健饮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256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7290A (en) Lyophilize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a kefir yoghurt
RU2055871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ладких сброженных напитков
Antenucci et al. Enzymic degradation of. alpha.-and. beta.-cyclodextrins by Bacteroides of the human colon
KR0140057B1 (ko) 식물엑기스 발효액을 함유한 알코올 대사성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CN101437413A (zh) 饮料防腐剂
CN105249100A (zh) 发酵果蔬汁与甜酒酿复合功能饮料的生产方法
US20090022849A1 (en) Prebiotic Use of Fruits and Fruit Juices in the Promotion of Beneficial Gut Microflora
JP2000210075A (ja) γ―アミノ酪酸高生産能を有する乳酸菌、及びその乳酸菌を使用したγ―アミノ酪酸高含有発酵食品とその製造法。
CN106509101A (zh) 一种发酵乳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380287B1 (ko) 상황버섯류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 그제조방법
KR101962570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350383B (zh) 抗氧化、调节血压的乳双歧杆菌bl-99及其应用
CN114947027B (zh) 一种富含γ-氨基丁酸、醋酸和乳酸的发酵果蔬汁的制备方法
US20220104523A1 (en) Food and beverage products comprising ascomycetes
KR20170085830A (ko)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기능성이 향상된 아로니아 발효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8993A (ko) 눈꽃동충하초 액체배양물을 함유한 기능성 음료 및그 제조방법
US7214713B2 (en) Antraquinone compositions as anticancer compositions and nutrition suppleme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m
JP2012017337A (ja) アルコール代謝促進剤組成物
CN113041294A (zh) 植物发酵液用于制备降脂组合物的用途
JP2002017254A (ja) 耐光性発酵乳、耐光性発酵乳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40002532B1 (ko) 홍국균 배양추출물이 함유된 음식물
JPH07289230A (ja) 健康ビールの製造方法
JP2577692B2 (ja) ビフィズス菌の生残性改善方法
JP3261571B2 (ja) ビフィズス菌の生残性改善方法
US20050170047A1 (en) Nutritionally enriched maple syr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